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Hpall- Mspl Methylation Microarray를 이용한 비소세포폐암의 DNA Methylation Marker 발굴

        권미혜 ( Mi Hye Kwon ),이고은 ( Go Eun Lee ),권선중 ( Sun Jung Kwon ),최유진 ( Eu Gene Choi ),나문준 ( Moon Jun Na ),조현민 ( Hyun Min Cho ),김영진 ( Young Jin Kim ),설혜정 ( Hye Jung Sul ),조영준 ( Young Jun Cho ),손지웅 ( Ji Woo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연구배경: 유전자의 후생적인 변화(epigenetic alteration)는 악성종양의 병인론에 있어서 유전자 변이와 동등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종양억제 유전자의 전사 촉진(promoter) 부위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메칠화(methylation)는 유전자의 발현을 침묵화(silencing)하고, 결과적으로 유전자의 기능 소실을 일으키게 된다. 저자들은 CpG island와 HpaII site를 가지고 있으며 암화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유전자에 대하여 HpaII-MspI methylation microarray를 이용하여 새로운 종양억제 유전자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건양대학교 병원에서 수술한 비 소세포성 폐암 환자 10명에서 폐암조직과 상응하는 암 주변의 정상조직을 얻었으며, HpaII-MspI methylation microarray (Methyl-Scan DNA chip(R), Genomic tree, Inc, South Korea)를 이용하여 21개의 유전자에 대하여 DNA methylation profile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유전자에서 메칠화된 정도를 두 그룹에서 비교하였고, 정상 대조군으로 두 명의 젊고 건강한 기흉 환자에서 수술한 폐 조직에 대하여 methylation profile을 분석하였다. 결과: 21개의 대상 유전자 중 10개의 유전자에서 폐암조직, 폐암 주변 정상 조직, 대조군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과메칠화 되었고, 나머지 11개의 유전자 중 APC, AR, RAR-b, HTR1B, EPHA3, CFTR의 6개의 유전자에서 대조군에서 메칠화가 없으며, 폐암조직에서 폐암 주변 정상 조직에 비하여 더 빈번하게 과메칠화 되었다. 결론: HTR1B, EPHA3, CFTR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후생적 변화로 발생하는 새로운 종양억제 유전자의 후보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uberc Respir Dis 2008;65:495-503) Background: Epigenetic alterations in certain genes are now known as at least important as genetic mutation in pathogenesis of cancer. Especially abnormal hypermethylation in or near promoter reg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TSGs) are known to result in gene silencing and loss of gene function eventually. The authors tried to search for new lung cancer-specific TSGs which have CpG islands and HpaII sites, and are thought to be involved in carcinogenesis by epigenetic mechanism. Methods: Tumor tissue and corresponding adjacent normal tissue were obtained from 10 patients who diagnosed with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underwent surgery in Konyang university hospital in 2005. Methylation profiles of promoter region of 21 genes in tumor tissue & non-tumor tissue were examined with HpaII-MspI methylation microarray (Methyl-Scan DNA chip(R), Genomic tree, Inc, South Korea). The rates of hypermethylation were compared in tumor and non-tumor group, and as a normal control, we obtained lung tissue from two young patients with pneumothorax during bullectomies, methylation profiles were examined in the same way. Results: Among the 21 genes, 10 genes were commonly methylated in tumor, non-tumor, and control group. The 6 genes of APC, AR, RAR-b, HTR1B, EPHA3, and CFTR, among the rest of 11 genes were not methyl-lated in control, and more frequently hypermethylated in tumor tissue than non-tumor tissue.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HTR1B, EPHA3, and CFTR are suggested as possible novel TSGs of NSCLC by epigenetic mechanism.

      • KCI등재

        환경오염 시설이 환경보호 지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공간회귀모형의 활용

        최유진 ( Eu Gene Choi ),임태경 ( Tae Kyong Li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오염물질 배출시설이 자치단체 내 환경보존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오염물질 배출시설은 각각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 소음발생 시설 등으로 구분되어 공간회귀모형에서 환경보존 지출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보존 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의 통제를 위하여 본 연구는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지방자치단체의 내부적 요인을 연구의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한 회귀식의 추정은 두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첫째 단계에서는 시, 군, 구 지역을 구분하지 않은 전 지역을 대상으로 회귀식의 추정이 이루어졌으며 다음 단계에서는 시, 군, 구 지역이 분리되어 세 개의 각기 다른 회귀모형을 활용한 추정이 이루어졌다. 추정의 결과, 전지역과 시 지역은 환경보존 지출의 증감이 수질오염물질 배출 시설의 증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군 지역과 구 지역의 경우에는 환경보존 지출의 증감은 배출시설의 증감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effects of pollutant release inventories on environmental expenditures in local governments of Korea. Three types of pollutant release inventories are included in the statistical model: toxic release inventory, water pollutant release inventory and noise release inventory. The main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the ratio of environmental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s as to the total expenditure. This study uses spatial regression models to enumerate effects of pollutant release inventories on environmental expenditures because spatial dependency is found among units. This study finds that water pollutant release inventory has strong impact on environmental expenditure while other types of pollutant release inventory has no impact.

      • KCI우수등재

        문화관광 지출의 확산(diffusion)에 관한 실증적 분석

        최유진 ( Eu Gene Choi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4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관광에 대한 지출은 다양한 내부 혹은 외부 결정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문화관광에 대한 지출은 공간적(혹은 지역적) 확산을 통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경쟁관계에 있는 인접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관광 지출의 성과를 학습(learning)한 지방자치단체는 유사한 결과를 기대하며 더 많은 문화관광 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접 지역의 문화관광 지출 수준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관광 지출 수준의 결정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관광 지출의 수준이 인접 지역의 문화관광 지출의 수준에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지, 즉, 정책의 확산(policy diffusion)에 의하여 결정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공간회귀 모형의 중 하나인 공간자기상관 모형(spatial autoregressive model)이 활용되었으며 사회·경제적요인, 정치·행정적 요인, 문화·환경적 요인 등이 모형에서 통제되었다. There are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determine cultural expenditure in local governments of Korea. Especially as an external factor, cultural expenditure may be affected by spatial diffusion from cultural expenditure of adjacent local govern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whether diffusion theory can be applied to determining cultural expenditure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Korea. To measure spatial diffusion of cultural expenditure, the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is applied and literature-driven factors that may affect cultural expenditure, such as socio-economic, political-administrative, and cultural-environmental factors, are controlled in the statistical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경제 증진 조례의 협동조합 활성화 효과 : 공간회귀모형의 활용

        최유진 ( Choi Eu Gen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地方行政硏究 Vol.3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사회적 경제 조직체인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경제 증진 조례가 협동조합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 단위는 우리나라의 시군구 기초지방자치단체인데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조례를 채택하였을 수도 있지만 동시에 상위 지방자치단체인 광역지방자치단체 조례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이를 분리하여 분석의 결과를 도출한다. 또한,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사회과학 이론을 근거로 독립변수를 추출하여 모형의 설명력을 높인다. 공간회귀모형의 추정결과, 기초조례와 광역조례 모두 협동조합의 확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나 기초조례가 광역조례보다 협동조합의 확산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두 조례를 동시에 채택한 경우 효과가 오히려 줄어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Social Economic Promotion Ordinance of local municipalities positively affects the activation of cooperatives, which is a representativ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in Korea. The analysis unit of the study is the local municipality in Korea. The municipalities may adopt their own ordinances, but they may be influenced by the metropolitan municipal ordinances of upper municipality. This study separates these situations and derives results. In addition, the control variables are extracted based on the social science theory suggeste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to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 KCI등재

        명품브랜드 광고전략 연구

        최유진 ( Choi Eu Gen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5 No.-

        명품이라는 브랜드는 상징적의미 ,욕망의 표상이다. 그리고 광고와 브랜드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명품광고가 브랜드와 수용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기법이 판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한다. 레이몬드 윌리엄스는 문화를 상징체계로 이해했다. 인간은 상징적의미를 매개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현 사회에서의 명품이 가지는 의미는 상품 속성 보다 브랜드가 가지는 속성에 더 가깝다. 브랜드는 상품 그 이상의 의미인 것이다. 수용자 즉 소비자는 소비를 통하여 상징체계를 자신의 의미로 재해석한다. 따라서 명품브랜드에는 문화적 정체성과 의미가 담겨있다. 명품 ,브랜드 ,수용자간의 의사소통할 수 있는 구조가 있다. 이제 명품은 더 이상 사치품이 아니다. 수용자 욕망을 만족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명품"이라고 지칭되는 브랜드의 광고 전략에는 그들만의 독특하고 고유한 전략이 있음을 발견한다. The brand is a life width at the one of symbolic meaning and desire. Advertisement and brand are relationship is close. The advertisement in the brand and the consumer considerable to a sale message which it conveys, the effect where technique is . Raymond William the drives understood a culture with the symbolic system. The human being symbolic meaning interaction and understood is gentle by any means with mediation. The present society luxury meaning which the life has sourly goods attribute compared to is nearer in the attribute which the brand has. The brand is to be meaning the above that of the goods. To the brand cultural true identity result meaning is being put in consequently. The of life width, the brand and accommodating there is a structure it could be understood. Recently life width compared to is not the above luxury. It is a structure which is satisfied a consumer desire. Also “Luxury goods", to advertisement strategy of the brand where is called only them being unique, the strategy which is specific discovers was.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실증분석

        최유진(Choi Eu gen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경제의 대표적인 조직체인 사회적기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을 위한 분석 단위는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기초시이며 분석모형은 패널모형(2010년~2015년)을 활용하였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는 사회적기업의 창업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경제활동 참가율이며 주요 독립변수는 지방자치단체 내의 연도별 사회적기업의 수이다. 창업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누적 값을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그런데 사회적기업은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에 따라 경제적 효과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를 연구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군집분석(K-평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기초시를 유형화한 후 유형별로 패널모형을 추정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추정 결과, 주민 십만 명당 사회적 기업이 1개 증가할수록 경제활동 참여율이 2~3%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지역경제의 활성화 정도와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정도가 모두 큰 기초시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s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social economy in Korea. The unit of the analysis in the study is Korean local city government, and the analysis model is the panel model (2010~2016). The indicat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is the participation rate of economic activity that best reflect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social enterprise, and the major in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by year in city governments. According to panel estimations,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per 100,000 residents increased by 2~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