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쓰기 발달과 자모 지식: 만 4~6세 유아들의 자유 쓰기와 이름 쓰기 분석

        최나야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Subjects in this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development and Korean alphabet knowledge were 207 kindergartners. Four kinds of sub-tests (i.e. writing consonants, recognition of consonants sounds, recall of consonants names, and recitation)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between four to six years of age to assess their Korean alphabet knowledge Their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forms of random writing and name writ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could write their names well and some wrote invented spellings in random writing. Four-year-olds showed significantly less writing ability and Korean alphabet knowledge than five and six-year-olds. Kindergartners’ writing development was correlated with their Korean alphabet knowledge. The better the children could write, the more Korean alphabet knowledge they represented. This finding confirms that kindergartners’ knowledge of Hangul is related to their writing development. 이 연구는 만 4, 5, 6세 유아 총 207명의 자유 쓰기와 이름 쓰기 자료에 나타난 발달 양상을 분석하고, 쓰기 능력이 자모 지식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자유 쓰기와 이름 쓰기 발달 단계를 평가한 결과, 4세아들은 5, 6세아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유아들의 이름 쓰기 수준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높으며, 자유 쓰기에서는 유아들의 이름 글자, 유사 자모나 불완전한 자모 결합 등의 창안적 글자가 나타났다. 자음 쓰기, 자음 소리 재인, 자음 이름 회상, 가나다 암송의 네 가지 형식으로 측정한 자모 지식의 발달을 분석한 결과, 4세아들의 자모 지식은 5, 6세아들에 비해 낮았다. 마지막으로, 쓰기 단계와 자모 지식 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비자모, 자모, 자모 결합, 단어 수준으로 자유 쓰기 단계가 높아질수록 유아들의 자모 지식수준이 높았고, 기호 불포함 단계, 기호 포함 단계의 이름 쓰기를 하는 유아들은 이름을 거의 또는 완전히 정확하게 쓰는 단계의 유아들보다 자모 지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한글해득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영역별 발달과 유아기 가정 문해환경 비교

        최나야,편지애,김효은,이은혜,양연희 한국인간발달학회 2023 人間發達硏究 Vol.30 No.4

        The current study compares the developmental levels in different facets under Hangeul acquisition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HLE) during the preschool period of children in their first grade who had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ies and those who did not. Study participants included 99 pairs of first graders with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ies and their mothers, 140 pairs of first graders without such difficulties and their mothers, and 70 teachers. Analysis of covariance and 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development levels in language, literacy, preference for conventional literacy activities, cognition, sociality, and/or emotion were statistically lower in children with Hangeul acquisition difficulties. Additionally, the same children experienced poorer quality HLEs during their preschool perio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dicating lower levels of emergent literacy guidance. However, preference for emergent literacy activities and certain HLEs during preschool period (literacy interaction, picture book reading interaction, conventional literacy guid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support for families with poorer HLEs before entering school age, and a comprehensive plan to help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who show difficulties in Hangeul acquisition.

      • KCI등재

        유아용 전집과 단행본 그림책에 대한어머니의 선호와 상관 요인

        최나야,김세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3 아동과 권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hers' preference for complete collections and monographic picture books and explore related variables for the selection of children's books. Questionnaires completed by 295 mothers of 5-year-old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thers purchased many more complete collections than monographic picture books for their children, thus favoring the former. Secondly, when selecting complete collections, the mothers considered some factors to be more important such as the types, physical attributes, price, and authority of the books, as well as the books' supportiveness for learning, and their own tast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books' supportiveness for feeling emotions and their child's liking, when selecting monographic picture books. Thirdly, the mothers' perceived hedonic value of picture books, the children's fondness for picture books, the children's opinions reflecting the desire for the purchasing of picture books, and the mother-child concurrence on the preference for picture books were exclusively correlated with purchasing monographic picture books. 이 연구는 유아용 전집과 단행본 그림책에 대한 어머니들의 선호도와 장서량을 비교하고, 구매 결정시 중시하는 요소 및 상관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95명이 응답한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단행본보다 전집을 더 선호하였고, 평균적으로 전집은 488.92권, 단행본은 193.10권 보유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이 전집과 단행본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달라, 전집의 종류, 물리적 특성, 경제성, 권위와 추천, 학습 지원성, 어머니 선호 등을, 단행본의 정서 지원성과 유아의 선호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그림책 구매관여도, 그림책에 대한 주관적 지식, 그림책의 실용적 가치 인식은 전반적인 장서량과 상관이 있는 반면, 그림책의 쾌락적 가치 인식, 유아의 그림책 선호도, 그림책 구매시 유아의사반영도, 어머니와 유아의 그림책 선호일치도는 단행본 장서량과만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구매 관여도가 높을수록 전집을 선호하고, 유아의 의사를 반영할수록 단행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선택권을 반영하고, 부모에게 전집과 단행본 모두에 대한 공신력 있는 평가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유아용 기관일과활동 선호도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특성별 선호도 분석

        최나야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일과활동에 대해 만 3-5세 유아들이 보이는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개 지역의 23개 기관에 다니는 유아 1,195명과 교사 154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문항 간 내적 일치도를 통해 유아용 기관일과활동 선호도 척도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개인 정적 활동, 개인 동적 활동, 집단 정적 활동, 집단 동적 활동의 네 요인이 확인되었고, 이 요인들이 서로 정적 방향, 적정 수준의 상관을 보여, 법칙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역시 확보되었다. 그리고 유아 동기 척도와 낮은 수준의 상관이 발견되어 공인타당도를 뒷받침하였다. 셋째, 이 검사는 적합한 문항양호도와 문항변별도를 보인다. 넷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어릴수록 개인 동적 활동을 더 자주 하며 중요도도 높다고 인식하였고, 유아들의 활동 선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유아들의 실제 선호도를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들의 연령이 높을수록 개인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고, 정적 활동에 대해서는 여아들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들의 활동 선호도가 더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reference scale for daily routin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otally 1,195 preschoolers and 154 teachers from 23 institutes in 9 regions particip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cale showed appropriate reliability, validity, and item quality. It has 30 items of 4 factors, i.e. individual/group by quiet/dynamic activities. Teachers reported that individual dynamic activities were more relevant for younger children. But their perceptions on children’s preference could not reflect reality. Older children reported lower preference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girls preferred quiet activities more than boys. Finally, children enrolled at daycare centers generally showed stronger preference for daily activities than kindergarten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