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의 다문화교육 지원체제에 관한 연구

        천호성 한국일본교육학회 201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다문화교육 지원체제에 관해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민족주의와 동질성을 강조해 오던 일본 사회도 이제 본격적으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라는 용어보다는 “다문화공생”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어 있는 것처럼, 일본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대응 방식의 핵심은 “공생(共生)”이라는 용어에 집약되어 있다. 공생의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본의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지원 체제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3가지 특징이 고찰 되었다. 첫째, 일본계 귀국학생이나 외국인 학생 지원을 위한 체제는 『유입체제 만들기, 네트워크 만들기, 인적자원 만들기, 좋은 학습환경 만들기, 교재 및 수업 만들기, 특색있는 도전』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둘째, 정주 외국인에 대한 지원체제는 정부의 행정기관별로 역할분담이 비교적 명확하게 구별되고 각 기관은 유기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 자녀들에 대해 문부과학성, 총무성, 외무성, 후생 노동성 등이 역할을 분담하여 유기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셋째, 외국인 학생을 위한 취학지원체제는 국제인권 규약의 규정을 근거로 일본인과 동일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정부는 외국인 취학 연령 자녀를 파악하고, 각 교육위원회에서는 이들에 대한 취학 안내 및 실질적인 지원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과제로는 효과적인 일본어 지도를 위한 내용과 방법의 개선, 외국인 학생 지도를 위한 교원과 도우미의 양성 및 확보, 국제이해 교육과 연계한 충실한 교육, 외국인 가정 취학에 관한 조사 및 정보제공, 취학이나 전학에 있어서 학교간의 제휴, 일본어 지상주의 방식에서의 탈피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교원평가에 관한 고찰

        천호성 한국일본교육학회 201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일본의 교육정책 중에서 “교원평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원평가 의 전체적인 구조와 현황에 대해 분석을 하고, 평가의 방법과 내용, 진행과정에 따른 동향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교원평가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역별로 교원평가의 방식이 차이가 있는 일본은 일반적 으로 1차평가와 2차평가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는데, 1차 평가에서는 자신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가는 방법, 요컨대 “자기평가와 자기신고제”의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후 관리자(혹은 평가자)에 의한 2차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피 평가자 가 자신에게 적합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주체적으로 실행해간다는 것은 외부에 의한 강 제적인 방식이 아닌 자신의 주체적인 동력에 의한 자생적인 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매 우 의미가 있다. 둘째, 평가의 시기와 횟수라는 점에서 보면 일본의 경우 중간평가 및 최 종평가의 과정을 거치는 등 1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회에 걸쳐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 다. 일반적으로 학기말이나 학년말에 1회성으로 촉박하게 이루어지는 평가가 아니라는 점 이다. 셋째, 평가의 영역이라는 점에서 보면 교원에 대한 실적과 능력, 그리고 의욕에 초점 을 두고 시행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평가과정에서 평가자와 피 평가자의 관계가 면접 이나 면담에 의한 쌍방적인 의사소통을 강조한다는 점이 일본 교원평가제도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쌍방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평가는 평가자가 피 평가자에게 구체적 인 요구와 어려움에 기초하여 조언과 지도가 이루어 질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일본의 교원평가가 교원들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의 활성화에 기여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과제로 제시된다. 첫째, 평가의 객관성과 공평성의 확보 이다. “고충처리제도”를 두고 있음은 객관성과 공평성에 대한 문제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평가가이드라인”이나 “평가보조부” 작성 등 객관성과 공평성 확보를 위한 구조 정비와 연구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교원평가가 교원에 대한 평가보다는 교원을 위 한 평가로서 자리매김 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교원평가는 결과에 대한 활용에 초점을 두 기 보다는 교육목표를 실현하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

        천호성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종합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with reference to human rights education. The researcher addressed two issues: (i) general bias on the members of bicultural families and human rights violation, and (ii) the unidirectionalit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s in Korea. Then he argued for the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as an alternative. He proposed practical approaches to anti-bias education named 'a paradigm shift in approaches'. His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and direction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hifted from the focus on retardation, identity or adaptability to holistic understanding of multicutural society. Second, a whole member of the society should be provid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elps them enhance their respect for and conciousness of human rights. Third, any policies or programs on multiculturalism should suit the whole members' needs. Fourt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a view to securing human rights of the whole members concerned. Fifth, teachers need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pecialized. Finally,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a long-term view and related to everyday lives. It should neither be ephemeral nor event-l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