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주 관광시장의 관계품질과 관계성과에 관한 연구

        정해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A.(MS.) Thesis Study on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for Korean Traditional Wine Tourism market. Jeong, Hae Na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Wine Tourism market. The specific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ervicescape with relationship quality. Seco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emotion with relationship quality. Third, to identify the effect between satisfaction with confidence of the relationship quality. Fourth,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quality with relationship performance. The investigation target for this study was all tourists at least once had experience that korean traditional wine tour.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target population as travelers of list from the Susubori academy and Korea bartenders association. 13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e data was collected by post mail and e-mail from September 26th to October 15th 2013. This data was filtered to 15 questionnaires, after removing insincere responses, multiple response, and no response data.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 pack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nvironment of the servicescape is only affects to satisfaction and the other variables are affects to satisfaction and trust. Second, the positive emotion is affects to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negative emotion is affects to negative trust. Third, the Trust is affects to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fluence but the satisfaction is not affects nothing. Fourth, the best impact on satisfaction is the positive emotion and the best impact on trust is the negative emotion.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fidence of traditionalism tourists and not a natural environment with human service environments should be like.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wine tourist feel more positive emotions. so it is important to avoid negative emotions. Third, the korean traditional wine tourist have to gain more satisfaction and trust from revisiting and positive word-of-mouth leads on 'emotion'.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o gain more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will have to research about the wine tourism with the long-term interests and passion. Second, There were th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The subsequent researchers have to research with the korean traditional wine tourist who have more experienced for this study.

      • 경영자 특성에 따라 지속가능경영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해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의 경영자는 미래의 이익 및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지속가능경영활동을 실행하며, 이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더 나아가 경영자의 특성에 따라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이며, 표본대상은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경영자의 특성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 학력(학력과 전공으로 구분), 나이, 주식소유여부, 성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도 세부요인인 지배구조지수, 사회활동지수, 환경활동지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가 기업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업의 경영자가 지속가능경영활동을 위해 노력한다면 기업의 가치는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현대기업의 경영자는 경영활동에 있어 지속가능경영활동에 집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기업의 경영자가 대학 및 대학원을 졸업함에 있어 경영학과 관련된 전공을 수학하였는지 아니면 타 전공을 수학하였는지에 대해 경영학에 대한 마인드가 있는지 여부가 지속가능경영활동과 관련하여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경영학전공과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의 교호항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타 전공자에 비하여 경영학을 전공한 경영자가 지속가능경영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아 경영관리가 더 효율적일 것이다. 셋째, 경영자의 학벌에 따라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학벌을 확인한 결과, 고졸이 소수이며, 대부분이 대졸이며, 석사졸업과 박사졸업으로 나타났다. 경영자의 학벌과 지속가능경영활동의 교호항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영자의 나이에 따라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경영자의 나이와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영자의 나이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젊은 경영자가 더 진취적이고 도전적이며, 새로운 경영방식에 대해 수용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결국 기업가치에 강한 양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교호항(경영자의 나이와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가 높은 경우)인 경우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교호항을 제외한 경우만을 고려하면 젊은 경영자가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기업가치에 더 긍정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경영자의 주식소유여부에 따라서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자로 구분하여 소유와 전문경영자에 따라 지속가능경영활동지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문경영자의 경우의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문경영자는 투자기회의 포착 및 전문성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하고, 고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안에 투자하고 활발한 연구개발투자 및 본인의 성과를 위해서 기업가치를 높이려고 노력할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경영활동이라는 비재무적 성과측정에도 관심이 있기 때문에 더 활발히 관리하여 기업가치를 상승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소유경영자는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보수적이고 세대간 경영상속 또는 기업가치보다는 현금성자산의 유출을 더 고려하는 경영, 의사결정에 있어 폭넓고 다양한 의사결정자들과의 회의 및 토론 보다는 독단적인 결정 등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경영자의 성별에 따라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경영자가 남성일 경우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지속가능경영활동이라는 것 자체가 다방면적으로 관리를 하여야 하며,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자의 성격에 따라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선행연구의 결과에서와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경영자의 특성에 따라서 기업을 운영 및 관리함에 있어 지속가능경영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이에 기업의 소유주들의 최고의결기구인 주주총회에서 경영자를 선임함에 있어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A manager is expected to proceed corporate’s sustainability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future earnings and increase firm valu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index on firm value, and furthermore considered managerial characteristics.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from 2011 to 2018 was investigated, and managerial characteristics was classified into 4 parts; age, gender, stock holding, level of education(education and major).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fically on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y index and the factors consisting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social contribution index and environmental activity index.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y index had a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Firms that aim for sustainable management will likely have an increase in firm value. Managers today are seemingly focusing on sustainable managemen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 whether a manager studied business-related major or other majors in graduating from a university or a graduate school, and whether the manager had a mindset for business affected firm value in relation to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The interaction variable of business major and sustainable management index had a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nagers who majored business will most likely to effectively manage the firm sustainable due to they are more aware of sustainable management than non-business major managers. Third, in looking in to education, most of the managers had a bachelor’s degree followed by master’s degree and doctor’s degree. High school graduates where least of the population. The interaction variable of educ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y had a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Age had a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Young managers are tended to be more adventurous and embrace challenge. They show more will to accept new management and by these facts result to strong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However, the interaction variable of age and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y had a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but it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xcluding the interaction variable, younger managers contribute more to firm value. By dividing an owner and a professional CEO, a CEO had a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A CEO will aim for increase in firm value by using there professional vision for high return and R&D investment along with personal performance. CEO’s are also interested i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therefore they will more actively aim for increase in firm value. Owners on the other hand, turns out to negatively influence firm value. A conservative vision and a tendency to focus on leaks of cashable assets, in addition to dogmatic management rather than a embracement of free conversation will negatively influence firm value. Finally, in gender, a male manager influenced firm value negatively. Lack of scrupulous management might contribute to the result for sustainable management requires the upmost attention. A the impact on firm value differed from manager’s characteristic. The result follows those of prior research. In managing a 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r should be taken to account when trying to increase firm value by sustainable management. When appointing a manager, the characteristics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general meeting.

      • 초등학교 6학년의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이 음악 인지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해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이 음악 인지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생성적 학습 이론과 맞춤형 수업의 구성 요소를 접목하여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이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이를 토대로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재직 중인 Y 초등학교의 6학년의 두 개의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음악 수업이 적용되었다. 수업 적용 전·후의 음악 인지 능력 변화도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습자의 다면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사후 인터뷰 내용과 학습 일기를 함께 분석하였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이란 음악 교육의 목적을 음악과의 내적 목표인 음악 개념 이해에 두며, 학습자의 학습 준비도, 흥미, 학습 양식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학습 방식이다. 제재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음악 수업과 달리 음악 개념에 중점을 둔 맞춤형 학습이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뿐더러, 학습자의 학습 부담감을 완화하고 적절한 도전 의식과 자신감을 함양하게 한다. 둘째, 학습자의 실태와 학습적 요구를 토대로 생성적 학습 이론 기반의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 음악 개념에 대한 학습 준비도 및 흥미 요소 등의 학습자 실태를 분석하여 학습적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보드만의 생성적 학습 이론과 맞춤형 수업의 구성 요소를 접목하여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 모형은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각적 감지–음악 개념의 탐색–음악 개념의 적용–내면화의 학습 단계를 거쳐 음악 개념을 형성하도록 한다.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의 실효성을 높이고, 수업 프로그램의 일관성 및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셋째,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은 음악 인지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음악 수업에 비해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이 음악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더불어 상위집단보다는 하위집단에서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 음악 인지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전체 검사, 가락인지 검사, 조성인지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리듬인지 검사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반해, 통제집단의 경우 전체 검사, 리듬인지 검사, 가락인지 검사, 조성인지 검사의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한, 학습 준비도에 따라 실험집단을 상·하위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해본 결과 상위집단보다는 하위집단에서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던 리듬인지 검사의 경우 하위집단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 교과에서의 맞춤형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라며, 리듬, 가락, 화성 개념 외의 다양한 음악 개념에 적용된 연구 사례가 많아지길 기대한다. 또한, 개념 중심 맞춤형 음악 수업의 효과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음악 인지 능력 검사 외의 다양한 검사 도구를 활용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in the sixth-grade on the improvement of musical cognition competence. To accomplish this, a new program nam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was developed by incorporating component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ory and generative music approach. To increase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is program in actual school settings, a lesson model was devised and appli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based on i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two classes of sixth-grade students at Y Elementary School, where the researcher is employed, and assigned them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general music classes. The changes in musical cognitive 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lasses were verified using a paired-sample t-test.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changes of the learners, post-interviews and learning diaries were analyzed together. In summary, the conclusion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refers to a learning approach in music education that places the objective of education on the internal goal of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This approach offers diverse musical experiences to learners based on their Readiness, Interest, and Learning profile. In contrast to general music classes that typically focus on musical pieces in textbook,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provides learners with an optimum learning environment that considers their various characteristics. This approach not only helps for learners to relieve the burden of learning but also fosters appropriate challenge and confidence. Second,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can be designed by combining Boardman's generative learning theory and the component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rough the stages of sensory detection, exploration of music concepts, application of music concepts, and internalization, learners are guided to form music concepts.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will enhance practicality in school settings and ensure the consistency and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hird,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gnition competence. It can be said that concept-centered customized music classes are more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gnitive abilities compared to general music classes, and furthermore,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the lower subgroup than in the upper subgroup. Pre-test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musical cognition competencies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aired-sample t-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overall musical cognition competences test, cognition subtest for melodic lines and cognition subtest for tonal,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cognition subtest for rhythm.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ny of the areas tested, including overall musical cognition competences test, the cognition subtest for rhythm, cognition subtest for melodic lines and cognition subtest for tonal. Furthermore, w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upper and lower subgroups based on their readiness, the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the lower subgroup than in the upper subgroup. For the cognition subtest for rhythm, whe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a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lower subgroup.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 stimulus for discussions and research on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usic education and also for an increase in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to various music concepts beyond rhythm, melody, and harmony.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should utilize various assessment tools beyond test of music cogni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understanding music concepts.

      • 탈은폐를 통한 주변부 표현 연구 :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제작된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창작 동기와 발상의 전개, 작품의 조형적 특성과 표현기법 등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나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이 연구는 세상에 은폐된 주변부 존재의 본래의 모습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탈은폐의 방식과 드러난 대상을 탐구한다. 탈은폐는 가려져 있던 진실을 드러내 기존의 존재 방식을 새롭게 구성한다. 중심에서 벗어난 주변부의 소외된 존재를 새롭게 바라보고 중요한 의미로 재구성하여 보여주는 것을 탈은폐로 정의하고, 작품 분석에 적용한다. 인간은 자신의 삶 속에서 필연적으로 세계와 자아의 불일치를 겪는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세계와 타자에 대해 소외된 존재로서 삶에 대한 본질 적 의문을 풀기 위해 저항한다. 세계에 대한 불일치와 소외의 관점에서 미술은 현실 사회의 모순을 작품으로 표현해 사회에 의미 있는 발언을 던진다. 이 연구는 나의 작품세계의 주요한 개념이자 관심사로써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진 주변부들, 주변부에 존재하는 진실들, 은폐된 것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는 비판적 작업에 관해 기술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며 이 연구의 결과의 의미를 검토한다. 기존 가치 체계의 중심성을 해체하는 주제로 작업하는 동시대 작가와 나의 작업 세계를 비교하며 연구 주제의 유사함과 차이를 밝힌다. Ⅱ장에서는 탈은폐의 개념과 쓰임을 찾고 탈은폐의 동양적 개념인 ‘은현(隱顯)’과 서양적 개념으로써 ‘탈은폐(Entbergung)’의 철학적, 미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탈은폐는 의도적으로 숨겨진 진실을 드러내거나 폭로하는 의미로 쓰이는 용어이다. 동양 미학에서 은현의 숨김과 드러냄은 유기적 관계이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진리의 ‘탈은폐’ 개념은 은폐성 안에서 은폐되지 않음을 경험하는 것이다. 세계 내 존재에서 인간이 은폐된 것을 인식하고, 관념을 재구조화하여 비은폐된 진리를 드러내는 행위를 탈은폐로 설명한다. 감춰진 은(隱)의 본래의 모습을 현(顯)의 세계로 밝혀 드러나게 하는 과정을 탈은폐로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탈은폐의 방식을 중심부에서 벗어나 주변부를 사유하는 것으로 본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현실의 대상을 빗대어 말하는 언어, 소외된 타자성 회복, 개인의 감정을 표출해 발언하는 것을 제시한다. ‘주변부’란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것을 의미하므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정체성에 따라 상대적인 관계가 될 수 있다. 개별적이지만 여럿인 중심의 주변부는 현시대의 여러 모순을 드러내는 장소이자 맥락이다. 이러한 탈은폐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분법적 범주에서 발생한 편견, 인간 소외 현상, 고전을 차용해 현시대를 비판하는 작품을 연관 지어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주변부의 이야기를 사회문화 전반에 자리 잡은 여성에 대한 고정 관념을 바라보는 것에서 시작한다. 여성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한자 문화권의 언어, 이야기에서 다뤄지는 내용을 이미지로 전환한 작업을 분석한다. ‘여자 여(女)’를 부수로 한 한자의 뜻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작업에서 파생된 작품들은 우리 사회에 오랫동안 널리 퍼진 여성 폄하를 드러낸다. 이어서 불합리한 삶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고통과 침묵의 감정을 표현한 작업을 다룬다. 은폐된 장막과 어두운 공간 속 인간이 표현된 그림을 분석하고 삶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변화과정을 기술한다. 이것은 기존 남성 중심의 회화와 차별되는 여성적 내러티브가 강화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대안적 여성 서사를 만들어 발언함으로써 주변부를 드러내는 작업을 분석한다. 나의 주요 작품인 <연회장의 밤>을 중심으로 오랜 시간 동안 ‘여자들의 사라짐’이 있었다는 진실을 밝힌다. 나의 작업은 허구의 예술작품을 통해 진실을 전달하고 감상자들에게 평온한 일상을 새롭게 볼 것을 제안한다. Ⅳ장에서는 작품에 적용된 탈은폐의 조형적 특성과 재료기법을 분석한다. 나의 작품 제작 방식은 전통 회화의 형식을 계승하되 역사적으로 기록되지 않았던 사적인, 여성의 이야기를 넣는 중심과 주변의 구도를 구성한다. 따라서 다시점 구도의 나열식 이야기 서술 방식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또 다른 방식으로 전통적 방식인 책가도의 구성과 상징적 도상을 빌려, 이들 구도와 조형 형식이 작품 안에 어떻게 적용하고 해석하여 다른 의미를 창출하는지 소개한다. 또한 동양화의 특유한 제작, 보관, 감상의 방식을 소개하기 위해 동양화의 마감과 형식인 장황(裝潢)이 사용된 사례를 소개한다. 다음으로 작품 제작에 사용되는 한지, 비단, 삼베의 지지체와 포수와 전색제로 사용되는 아교와 백반의 작용, 채색기법의 표현을 실험하는 과정을 자세히 정리한다. 한지에 옅은 먹으로 켜켜이 쌓는 적묵법을 사용하는 수묵의 효과, 비단의 배채를 통한 농담의 효과, 삼베의 중채 기법을 중심으로 다층적인 발색을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따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며 성과와 한계점을 서술한다. 나는 작업자로서 세계가 나에게 주는 구체적 이미지와 이야기를 사랑한다. 그리고 그러한 구체적 이미지를 이야기로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다. 하지만 내가 이상적으로 상상하는 세계와 경험하는 현실의 세상에는 불일치가 존재한다고 느껴왔다. 이 불안한 감정이 무엇인지 알 수 없어서, 오랫동안 세상이 나에게 제시하는 기준에 맞춰 주변부에서 나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노력한 시간이 있었다. 한 사람의 평범하고 유일한 삶에서 느끼는 여러 감정들을 크게 부풀려 비로소 자세히 드러내는 이야기들을 만날 때, 속삭이던 이야기를 표출하는 것이 두렵지 않을 때, 내 자신이 세상에 받아들여졌다 안도한다. 주변부의 개별적인 이미지와 이야기를 기록하는 것을 통해 역사, 사회, 문화적 맥락 안에 회귀하는 증거로 남는다.

      • "기초학력 저하"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정해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문사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기초학력 저하’와 관련된 언론 보도가 변화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그 이면의 이데올로기적 갈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현 정부가 집권한 이후 보수적 색채의 신문사를 중심으로 ‘기초학력 저하’를 문제시하는 보도가 급격히 증가한 현상에 주목한 결과이다. 이에 따라 지난 10년 간 5대 신문사에서 보도된 ‘기초학력 저하’ 기사에 결부된 이념적 의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신문기사에서 ‘기초학력 저하’와 관련된 텍스트는 어떻게 표현되어 왔는가? 둘째, ‘기초학력 저하’와 관련된 신문기사 텍스트에는 어떠한 담론의 질서가 작용해 왔는가? 셋째, 어떠한 사회적·문화적 맥락에 따라 ‘기초학력 저하’와 관련된 담론이 변화해왔는가? 이 질문은 Fairclough(2003)가 제시한 텍스트 내적 관계 분석, 담론수준의 분석, 텍스트 외적 관계 분석의 세 가지 차원의 분석틀을 바탕에 두고 있다. 이를 토대로 총 190편의 신문기사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내적 관계 분석 결과, ‘기초학력 저하’ 기사에서는 여러 언어적 자질을 통해 특정 사안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강화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특정 성격의 어휘 사용, 은유표현, 과장된 표현 등을 활용하여 기초학력과 관련된 현상이나 정책 등을 일정한 방식으로 틀짓기를 하고 있었다. 둘째, 담론수준의 분석 결과, ‘기초학력 저하’ 기사에서는 그 자체로 설득력을 지니는 언어체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즉, 실증적이고 이론적인 논의를 언술하지 않더라도 특정 주장의 근거로서 기능할 수 있는 담론의 질서가 나타나고 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의 본질(진보주의 교육관)”, “교육 형평성(사회구조적 관점)”, “교육 경쟁력(신자유주의)” 담론들이 있다. 이들은 미디어에서 ‘당연한 것’으로 전제되어 각 정책 담론에 대한 옹호 및 비판의 근거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셋째, 텍스트 외적 분석 결과, ‘기초학력 저하’ 기사는 사회적 실천과 변증법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여러 사회문화적 맥락 및 정권별 정책 담론에 따라 신문기사의 수와 지배담론이 변화하였고,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 미디어 담론은 그 다음 정권의 정책 담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명박 정권 시기의 진보언론에서는 ‘강제성’을 표상하는 어휘를 통해 전수평가 방식으로 인한 ‘교육의 황폐화’를 비판하며 해당 정책의 정당성을 무력화하는 반면, 보수언론에서는 보수 진영에서 중시하는 ‘효율성’, ‘객관성’, ‘수월성’ 등을 표상하는 어휘들을 사용함으로써 전수평가의 필요성을 피력한다. 이러한 미디어 담론의 대립은 진보주의적 교육관에 따른 ‘교육의 본질’ 담론과 신자유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 경쟁력’ 담론 간의 이념적 대립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교육의 본질’ 담론을 근거로 하는 진보언론의 신문기사의 수가 보수언론 기사보다 많았다는 점에서 당시의 지배담론으로 자리했음을 알 수 있다. 지속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데 성공한 ‘교육의 본질’ 담론은 이후 박근혜 정부의 “행복교육”이라는 정책 담론으로 이어졌다.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자유학기제의 도입 및 혁신학교의 확산으로 시험 체제가 완화되자, 보수언론에서 두 정책의 정당성을 무효화하기 위한 여러 언어적 전략을 활용하였다. 특히 정치적 성격을 띠는 어휘를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혁신학교가 ‘이념편향적 정책’에 불과하다는 틀짓기를 하고 있었다. 또한 두 정책으로 인한 사교육 증가 및 교육 격차 심화의 위험성을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반면 진보언론에서는 지필평가를 바탕으로 한 경쟁 시스템은 ‘과거/구식의 것’으로 틀짓기 하고, 자유학기제 및 혁신학교에 대해서는 이를 극복할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교육’으로 표현함으로써 두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는 지난 정권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있던 ‘교육의 본질’ 담론을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자유학기제 및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인 신문기사가 보다 더 많았다는 점에서 ‘교육 형평성’ 담론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담론은 이후 문재인 정부가 ‘행복한 출발을 위한 기초학력 보장’을 주요 국정 과제로서 설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혁신학교의 확대 운영 및 진단평가 의무화를 추진하자, 보수언론에서 혁신학교를 ‘이념편향적’ 정책으로 틀짓기 하고, 진단평가 의무화에 대항하는 진보 단체에 대해서는 ‘부적절한 행위’로 틀짓기를 하였다. 나아가, 박근혜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사교육을 유발하고 교육 격차를 심화한다는 ‘교육 형평성’ 담론을 근거로 혁신학교를 비판하고 전수평가를 통해 ‘교육 경쟁력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논지를 견지하고 있었다. 현재 보수언론의 두 가지 담론들은 그 입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항하는 담론이 공고하게 형성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교육 증가 및 교육 격차 심화와 같은 형평성 담론은 우리나라에서 중대한 사안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는 보수적 학력관과 진보적 학력관 간의 이념적 갈등에서 전자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신문 기사의 ‘기초학력 저하’에 대한 문제제기는 보수적 학력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수치로 환원되지 않는 영역은 학업성과로 상정하지 않고 철저한 시험 제도와 경쟁 시스템을 통한 교과내용의 습득만을 중시하는 것이다. 둘째, 신문 기사의 ‘기초학력 저하’에 대한 문제제기는 진보적 성격의 정책에 대한 저항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는 보수언론에서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수적 학력관에 의거할 경우 자유학기제 및 혁신학교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보수 진영의 권력 강화라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는 자유학기제를 옹호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결국 보수언론의 ‘기초학력 저하’에 대한 문제제기는 정치적 권력 갈등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신문 기사에서 형성된 ‘기초학력 저하’와 관련된 지배담론은 이후의 정책 담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현재는 교육 형평성과 관련된 담론이 미디어뿐만 아니라 정책 담론으로도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교육 불평등에 대한 대중의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입안자는 여론을 고려하되 기초학력의 정의와 지원 범위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거쳐 합의를 이루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언론 매체는 대중의 불안을 가중시키는 담론보다는 균형 잡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셋째, 교사와 학부모는 신문 보도가 이념과 결부된 담론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nce the adven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s reports problematizing underachievers centered on conservative newspapers. In light of this, the current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representation of underachievers has differed across news articles from five news agencies with varying ideological positions across three consecutive governments. The study, in so doing, attempts to uncover and describe the ideological struggle that underlies differences in such representation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how have underachievers been represented in newspaper articles? Second, what orders of discourse are exhibited in newspaper articles on underachievers? Third, how do socio-cultural contexts affect discourse on underachievers? Each question is addressed with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particularly in reference to the three-dimensional framework in Fairclough (2003): (1) internal analysis of texts; (2) interdiscursive analysis; and (3) the external relations of analysis. Analyses of 190 newspaper articles reveal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ternal analysis of texts indicates that articles on underachievers strengthen each news agency’s position through such linguistic tokens as marked vocabulary,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hyperboles. Second, the interdiscursive analysis reveals that the orders of discourse as a linguistic structure could function as a sufficient basis for each new agency’s argument, even if empirical or theoretical discussions were not stated. The three main orders of discourse, in particular, were “Essence of Education (progressivism)”, “Educational Equity (structuralism)”, and “Educational Competitiveness (neoliberalism).” These discourses are taken for granted and used as the basis for policy discourse. Third, the external relations analysis shows that articles on underachievers have a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social practice. The number of articles and the dominant discourse varied according to socio-cultural contexts and policy discourse by each administration. The media discourse, taking the dominant position, recursively influenced the next administration's policy discourse formation. To offer a specific example, whe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mplemented a state-administered test as a means of complete enumeration, progressive news agencies criticized it using vocabularies of coerciveness in the test.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media outlets advocated the policy using words of efficiency, objectivity, and excellence. The conflict in discourse is caused by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Essence of Education" discourse under progressivism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Competitiveness” discourse based on neoliberalism views. It could be said that “Essence of Education” won out as the dominant discourse in that the number of articles from progressive media outlets was higher than from the conservative counterpart. The discourse continued to dominate where it eventually led to the education policy discourse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Education for Students’ Happiness”. As Free Learning Semester and Innovative Schools started to proliferate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conservative press utilized several linguistic strategies to invalidate the legitimacy of both policies. In particular, the words with political nuances were repeatedly used to frame Innovative Schools as merely a “left-biased policy”. Both policies are also criticized in that they might encourage private education and deepen the educational gap. In contrast, progressive media outlets sought to defend Innovative Schools by framing the policy as a ‘new kind of education’ with ‘potential’ which overcomes the ‘old-fashioned’ education existing before. Behind these representations was the “Essence of Education” discourse which was dominant under the Lee administration. However, during the Park administration, the censorious stance on Free Learning Semester and Innovative Schools using the "Educational Equity" discourse took the dominant position. This dominant discourse impacted the following national goals of “assuring basic achievement for a happy start” in the Moon Jae-in government. Since the Moon Jae-in government announced expanding Innovative Schools and making diagnostic evaluation mandatory, the conservative media has framed Innovative Schools as ‘left-biased’ policy and some progressive organization’s behavior of opposing compulsory testing as ‘inappropriate’. Furthermore, it criticized Innovative Schools based on the "Educational Equity" discourse as it did in the previous period, in that the schools might encourage private education and deepen the educational gap. Currently, the two arguments in the conservative media seem to continue. Not only has the count discourse not been solidly formed, but the “Educational Equity” discourse, such issues as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and widening education gap, has been considered considerably significant in Korea. This is a process in which the conservative view occupies a dominant position in the ideological conflict with the progressive one. Based on th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newspaper articles on underachievers are primarily based on conservative education perspectives that acknowledge only the acquisi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nly through a competitive test system as the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newspaper articles problematizing the issue of underachievers have been playing a pressuring role against the progressive camp. This was confirmed by the conservative news agencies’ dual attitude toward Free Learning Semester. They have been critical to it from their own educational perspectives while advocating the system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onservative camp’s power. This shows that the problematization of underachievers is part of the political power conflict. Third, the prevailing discourse on underachievers in newspaper articles influences policy discourse. Given that discourses related to “Educational Equity” have been consecutively dominant in both the media and policy discourse, the public's sensitivity to educational inequality can be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lications as follows: (1) policymakers should come to an agreement on how to evaluate underachievement before entirely accepting the public opinion; (2) the media needs to deliver balanced information rather than ideologically biased discourses that add fuel to public anxiety; and (3)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more aware that newspaper reports as a discourse reflects specific ideologies.

      • 중소기업의 연구개발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해나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지식전략적 사업의 확대로 인하여 무한경쟁시대이며, 이로 인해 기업들은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을 통해 새로운 전략을 세우며, 기업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의 연구개발비의 지출로 기업가치가 제고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정책 중 가장 중요한 지속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단계의 연구비와 개발단계의 개발비와 경상개발비의 사용으로 인하여 기업가치(Tobin-Q, MTB, 주식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또한 중소기업의 경우는 대기업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비교와 중소기업의 경우 연구비, 개발비 그리고 경상개발비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과 대기업으로 구분하여 기업가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치의 대용치인 Tobin-Q변수를 보면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기업가치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MTB변수도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기업가치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기업가치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하여 개발비 그리고 경상개발비를 분석한 결과, 개발비와 경상개발비 모두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개발단계에서 개발비와 경상개발비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단계의 연구비와 개발단계의 개발비와 경상개발비의 사용이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개발비와 경상개발비는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이 개발비변수와 경상개발비변수를 증가시키면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연구단계의 연구비와 개발단계의 개발비와 경상개발비의 사용이 중소기업의 기업가치에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개발비와 경상개발비는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며, 중소기업의 경우에 기업가치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업이 개발비변수와 경상개발비변수를 증가시키면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보다 기업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를 구분하여 연구비와 개발비 그리고 경상개발비의 사용으로 인하여 기업가치와와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정보이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구분하여 기업가치, 개발비 그리고 경상개발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정부당국의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관한 정책 수립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Micro-dispensers on inkjet-printed, paper-based digital microfluidic device for gold nanorod synthesis reactions

        정해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Digital microfluidics (DMF)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that is useful for a wide range of liquid handling applications. Especially Paper DMFs has emerged as a simple and low-cost method to fabricate fluid manipulation devices. This paper presents an Inkjet-printed, paper-based digital microfluidic device with an accurate micro-dispenser developed for unequal droplet splitting.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micro-dispenser using unequal droplet splitting, unlik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were based on equal splitting. To characterize the micro-dispenser, the effects of the applied voltage and the sub-electrode geometry on the splitting performance are studied. The droplet size increased showing a linear behavior in the range of the applied voltage 180-340 Vpp while the frequency was 1.0 kHz. For the effects of the sub-electrode geometry the height and width factors were concerned. This part of the study illustrates that there is a linear relation between the area of the split droplets and the area of the sub-electrodes. This linear behavior allows for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size of the sub-electrodes to be actuated based on the desired volume of the droplet We performed a seed meditated gold nanorod synthesis on this inkjet-printed, paper-based device, which was possible to make different sizes of gold nanorods with aspect ratio 2.3, 18.9, 33.0 by controlling the volume of growth reagent amounts. We propose that this represents a breakthrough for DMF, possibility for high precision reactions on-chip by the Micro-dispensers. This simple, low-cost, precise device will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various chemical reactions at resource limited and educational fields.

      • 스포슈머 세대를 위한 스포티브 룩 디자인 개발

        정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들은 초고속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로 인해 더욱 증가된 여가시간과 경제적 풍요를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영향력이 확대된 스포츠는 사회적 트렌드와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며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사회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문화유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스포츠 환경 및 매체환경의 변화는 패션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 스포츠 활동을 돕기 위해 착용되었던 스포츠 웨어가 일상복화 되었고, 기능성과 편의성을 갖춘 의류의 수요를 증가시켰으며, 스포츠웨어의 디테일이나 이미지를 도입한 일상복의 개념인 스포티브 룩을 유행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스포츠의 확산 추세에 맞춰 스포츠와 관련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세대인 스포슈머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산업을 활성화 시키고, 건전한 스포츠 문화를 만들어 가는 주체인 스포슈머에 대한 분석은 국내 스포츠 시장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스포티브 룩에 대한 개념 및 변천과 등장 배경을 고찰한 후, 그에 따라 새롭게 떠오른 스포츠 소비자인 스포슈머 세대의 개념과 특징 및 패션 성향을 알아보고, 현대 패션에서 나타난 스포티브 룩의 이미지를 조형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포티브 룩은 일상복, 사무복, 외출복 등 스포츠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의복에 스포츠 웨어의 기능성과 디자인 특성인 실루엣, 소재, 색상, 문양 그리고 디테일 등을 반영한 의복 스타일로 정의할 수 있으며, 1890년대부터 현재까지 기능적인 발전과 간소화, 다양화 및 일상화의 변천 과정을 보였다. 또한 스포티브 룩이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는 여가 시간이 증가하고 웰빙 트렌드의 확산뿐만 아니라, 스포츠 웨어가 일상화 및 대중화되고, 문화의 스포츠화 및 스포츠의 쿠뛰르화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과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스포츠 참여가 높아지면서 스포슈머가 등장하였다. 스포슈머는 스포츠와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머의 합성어로, 직접적인 스포츠 활동이나 관전, 정보 탐색 등에 대한 관심과 잠재력이 높은 세대로 정의된다. 이들은 스포츠 산업 활성화의 원동력이자 건전한 스포츠 문화를 이끌어 갈 주체로 스포티브 룩의 대중화를 확산시켰다. 셋째, 21세기 이후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스포티브 룩은 다양한 트렌드와 함께 복합적으로 재해석되며 발전하였다. 스포티브 룩의 스타일 분석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S/S에서 2008년 F/W에 걸쳐 나타난 총 19가지의 패션 트렌드 중 유사한 이미지를 갖는 스타일끼리 묶어서 그 빈도수를 비교·분석하여 비중이 높은 스타일을 선정하였다. 이 같은 자료에 근거하여 도출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포티브 룩 스타일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나타내는 럭셔리 스포티브, 페미닌·로맨틱·섹시·엘레강스·글래머러스의 여성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페미닌 스포티브, 캐주얼·스포티·매니쉬의 중성적이며 다이나믹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액티브 스포티브, 모던·미니멀·퓨처리스틱의 절제되고 미래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던-퓨처 스포티브, 에스닉·내추럴의 이국적이면서 자연주의적인 에스닉 스포티브의 다섯 가지 스타일로 분석되었다. 넷째, 위의 도출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Special, Sensitive & Sportive Fashionista’ 라는 컨셉을 설정하고, 트렌디한 패션 감각으로 대중의 유행을 이끄는 패셔니스타의 독창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특별하면서 감성적이고 트렌디한 감각의 스포티브 룩을 표현한 5벌의 의상디자인을 제시하였다. 타겟은 획일화와 평범함을 거부하며, 스포티브와 다양한 스타일의 융합을 통해 특화된 차별성과 정체성을 요구하는 20대 중반의 사회 초년생인 스포슈머로, 다른 스포티브 브랜드보다 다양화되는 스타일로 디자인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스포츠의 확산으로 대중화된 스포티브 룩의 개념과 특징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스포슈머 세대를 분석하고 매 시즌 다양한 트렌드에 결합되어 나타나는 스포티브 룩의 디자인 요소 분석을 통하여, 스포슈머의 기호와 트렌드를 반영한 차별화된 이미지와 스타일을 갖는 스포티브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처럼 현대 컬렉션에서 분석된 트렌드를 이용한 디자인을 제시함으로 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브랜드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나아가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스포슈머의 기호와 요구를 충족시켜 국내 스포티브 룩 브랜드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Modern people can have more spare time and enjoy better economic abundance because of the change into super-speed digital age. Therefore, the sports, whose influence is more expanded, changes according to social trend, gives effect to entire cultures and becomes the representative culture that symbolizes current society. The change of sports and media environment is more prominent in fashion field. The sports wear, which was employed for helping sports activity, became everyday wear, increased the demand of costume with function and convenience and caused the popularity of sportive look, which is a concept of everyday wear adopting detail and image of sports wear. Keeping pace with the trend of sports enlargement, Sposumer, which means the generation consuming sports-concerned product or service, appeared.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ports increase gradual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Sposumer, which is a subject activating sports industry and creates sound sports culture in order to develop domestic sports market.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change and appearance background of sportive look, grasped concept, characteristic and fashion taste of Sposumer, which is a newly appearing sports consumer, and classified the image of sportive look, new trend in modern fashion, by formative characteristic.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ortive look can be defined as a costumer style that applies silhouette, material, color, pattern and detail of sports wear to the costumes that are not designed for sports such as everyday wear, business wear and casual wear. From 1890s to the present, it has showed functional development and change process of simplication, diversification and generalization. Moreover, sportive look could appear because people's spare times were increased, well-being trend was enlarged, sports wear were generalized and popular and sports became culture and couture. Second, Sposumer appeared as the interest in health and sports increased and many people participated in sports. Sposumer is a complex word of sports and consumer. It is defined as the generation, whose intention and potential power of direct sports activity, viewing and information search are high. These kinds of persons are motive powers of sports industry activation and subjects to lead sound sports culture. They enlarged popularity of sportive look. Third, sportive look that has appeared in the modern fashion since the 21st century has developed while it was reinterpreted synthetically with various trends. In order to analyze the style of sportive look more objectively, the study selected the more important style by grouping similar styles among total 19 fashion trends that appeared from 2006 S/S to 2008 F/W and checking their frequencies. On the bass of the material, the study analyzed the styles by classifying the sportive look styles appearing in the modern fashion into luxury sportive showing luxury image, feminine sportive showing feminine, romantic, sexy, elegant and glamorous image, active sportive showing casual, sporty, mannish image with neutral and dynamic characteristic, modern-future sportive showing, modern, minimal, futuristic image with restrict and future-oriented characteristic and ethnic sportive showing exotic and natural image. Fourth, on the basis of the case analysis drawn above, the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Special, Sensitive & Sportive Fashionista’ and suggested 5 costume designs by reflecting unique lifestyle of Fashionista leading the popularity of people with trendy fashion sense and expressing special, emotional and trendy sportive look. The study targets were Sposumers in their mid-twenties, who are society beginners requesting discrimination and identity by mixing sportive with various styles. More various styles were designed than any other sportive brands. Through the result above, the study could grasp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sportive look, which was popularized through sports enlargement. Moreover, the study developed sportive brand design with discriminated image and style, to which taste and trend of Sposumer was applied, by analyzing the generation of Sposumer and the design factor of sportive look, which is mixed with various trend each season. It is expected that by suggesting the design using the trend analyzed in modern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and image with competitiveness and discriminated high value added, meet taste and request of enlarging Sposumer and give assistance to activation of domestic sportive look brand.

      • 경험과 상상을 통한 심상풍경 연구

        정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자연과 마음의 만남’을 주제로 제작된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창작 동기와 발상의 전개, 작품의 조형적 특성과 표현 기법 등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이 연구는 본인 작품의 창작 동기와 원리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한다. 본인은 일상을 떠나 여행 중에 만나는 원초적인 자연의 모습에 영감을 받아 즉흥적인 현장 드로잉을 남기고, 이를 재조합하여 작품을 제작 하고 있다. 특정한 풍경을 마주하고 그리는 행위는 나의 몸을 매순간 변화하는 시간과 공간 안에 존재하게 하며 동시에 마음을 움직여 순간적인 감흥과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이 과정을 통해 경험과 상상이 어우러진 심상풍경은 작품의 최초 모티브가 되었던 자연 풍경과 다른 모습을 갖게 된다. 본인의 연구주제인 심상풍경은 자연과 마음이 만나 감화되어 발생하는 주관적인 정서를 핵심으로 하고 있기에 창작자 입장에서 작품 창작동기와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논문은 머리말, 자연 경험과 예술, 경험과 상상의 표현, 심상풍경의 공간 연출, 맺음말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본인의 작품 창작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연구 주제인 심상 풍경의 발생 요소에 대한 탐구의 중요성을 소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인의 창작 동기인 자연 경험과 예술가의 정신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자연과 인간, 예술과의 관계에 대하여 노장사상으로 대표되는 동양철학과 중국화론, 산수회화사를 중심으로 고찰하며 더불어 서양의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러 나타난 화가의 주관적인 시각을 다루었다. 개인이 자연 풍경을 경험할 때 발생하는 정서를 논하고 특히 창작자가 자연물에 감화되어 마음이 움직이는 것을 미적 경험과 감정이입으로 풀어나갔다. Ⅲ장에서는 평면 회화를 중심으로 자연 풍경이 본인의 경험과 상상을 통해 심상풍경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드로잉과, 사진, 글 등을 통해 어떤 특정한 풍경의 인상을 포착한 예를 본인 작품의 제작 과정과 함께 제시하여 이어지는 한지 콜라주 작업과 함께 창작 원리를 설명하였다. 또한 심상풍경 속 주요하게 등장하는 이미지의 의미와 표현을 탐구하기 위하여 본인의 무의식에 존재하는 내적 충동과 신화적 배경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이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감상자를 심상풍경 안으로 초대하기 위하여 설치, 화첩, 두루마리로 연출된 심상풍경의 공간 연출을 기술하였다. 그림이 그려진 테이블 사이를 지나다니며 공간 안에서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의도한 설치 작품인 ‘경험하는 풍경’과 대형 두루마리 그림인 ‘펼쳐진 산수’를 중심으로 동양화의 시각 전개 방식이 본인의 작업에 어떻게 해석, 활용되었는지를 기술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고 자연과 마음이 만나 발생하는 새로운 심상풍경의 창작 원리를 파악하려 한 본고의 연구 결과와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 앞으로의 연구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Creating and applying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정해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세계화, 국제화 같은 현상을 거점으로 입시와 취업에서 영어점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한국교육에서 영어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영어영역은 대학입시에서 등급의 반영 비율이 높은 과목으로 수험생들의 부담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초래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는 과잉학습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학생들간의 영어실력의 격차를 더 별러 놓는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영어실력의 격차가 벌어짐으로써 각각의 학생들의 영어실력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향상 시키기에 적합한 정규영어수업을 운영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들이 더욱더 영어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한 영어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러한 영어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쓰기 활동에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인별 학습이 가능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사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던 45명의 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이들은 학교에서 실행된 영어시험에서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하다고 평가된 학생들이었다. 정규 영어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태블릿 컴퓨터, 구글문서, 에드모도,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한 과정중심쓰기 활동을 만들고 이를 정규 영어수업시간에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쓰기활동 사전, 사후 설문지, 학생들과의 인터뷰, 교사활동일지, 그리고 학생들의 쓰기활동내용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번째, 학생들에게 익숙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영어학습동기를 향상 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과정중심쓰기활동과 긍정적인 동료평가로 인해 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학생들이 직접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쓰기활동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은 평소 교과서에서는 접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들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즉각적으로 원하는 답을 직접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속도로 쓰기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점등이 정규수업 활동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서 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학생들의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업 전 기계들을 확인하고, 문제가 일어날 시에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해 정규영어수업을 통해 보다 더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고, 학생들의 영어실력의 격차가 큰 학급 안에서 조금 더 개별적인 영어학습의 기회를 높여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학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규 영어교과서의 내용과 연결 된 영어쓰기 활동을 만들어 수업에 적용시켜 볼 가치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 그리고 과정중심쓰기활동은 개개인의 학생이 본인에게 적합한 속도로 활동을 진행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유발시킴으로 영어실력의 차이가 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경우, 이러한 지도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ich can be us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schools. Forty-five fourth grade overachievers from a privat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Many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proved to be more advanced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which is set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is is namely caused by the prerequisite English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before starting official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used probl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sign and conduct English lessons for overachievers whose English proficiency level is higher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Thus,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and parents feel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is not sufficient, and feel more needs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skill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Moreo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searcher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skills and argued that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lack writing practice in comparison to other areas of English.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based on the national English textbook which can be conducted in regular English class in elementary schools for overachievers. Furthermore, as many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a rise in motivation when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s are used in education,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wer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so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activity according to their own learning pace. The study employed pre-writing activity and post-writing activity survey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log, and students’ in-class work to observe the result of the writing activity. The researcher focused especially on affective domain such a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s result showed positive outcomes of the rise i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 displayed the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due to the use of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and internet.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a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sh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ose English abilities are superior to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find regular English class not motivating. Moreover, the study can be served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gning and applying English lessons that can be more suitable for overachievers in a regular school class wher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all v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