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경영자 환경적 특성이 기업의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유선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역사상 산업화가 시작된 후 수많은 경영자와 학자들은 훌륭한 경영자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한 경영을 위한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다. 경영자 개인의 경영 능력은 결국 경영자 특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경영자의 선발과 경영 환경의 구성이 기업의 성과와 직결 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대안이 중요한 경영 요소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이 기업에 미치는 기여도에 따라 기업의 가치와 경쟁력은 좌우 되며, 이는 경영자의 개인적 특성과는 별개로 기업경쟁력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즉, 경영자의 경영성과 보상과 연계된 경영자의 스톡옵션 등의 인센티브여부, 경영자 교체여부, 또한 경영자 자신이 경영하는 기업의 주식 소유(지분율) 여부의 세 가지 요소가 대표적인 경영환경특성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영자환경 특성은 기업의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그 가치평가의 기준은 회계수치로 기록되고 제시하며 신뢰성 있는 정보로 판단되어 시장에서 기업의 중요한 가치지표로 받아지므로, 이러한 가치지표를 작성하는 감사품질과 경영환경특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가설을 기반으로 하여 관련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으로는 스톡옵션이라는 인센티브를 부여 했는지 여부와 경영자의 교체 여부, 경영자가 대주주로서 기업의 주식을 보유했는지 여부를 독립변수로 감사품질에 통계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즉, 경영자의 환경적 특성이 감사품질(감사보수, 감사시간, 국내 4대 회계법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연구기간을 2009년부터 2014년 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신용등급을 이용할 수 있는 기업 3,984개를 대상으로 영업을 통한 현금흐름, 총자산순이익률 등 다양한 재무지표를 변수로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인센티브 관련 내용으로 “경영자 인센티브(스톡옵션)제도가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경영자 인센티브(스톡옵션)제도가 감사보수, 감사시간, 회계법인 규모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검증과 더불어 유의적인 결과로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영자 인센티브(스톡옵션) 제도가 결국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경영자 교체 관련되어 “경영자가 교체되면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경영자가 교체되면 감사보수, 감사시간, 회계법인 규모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검증과 더불어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기에, 경영자가 교체되면 그 즈음에 발생되는 감사품질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편미영․최국현 (2014)의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경영자의 잦은 교체가 장기적인 회사 경쟁력에 도움이 될 수는 없지만 단기적으로 경영 환경을 개선하는 전환점을 맞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일부 검증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주식소유 여부 관련 내용으로써 “주식을 소유한 경영자는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라는 가설은 주식을 소유한 경영자는 회계법인 규모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지만,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없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인센티브나 경영자 교체에 비해 주식소유 여부가 경영자의 환경 특성으로서 유일성이나 시간성에서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는 추정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이세용․송형준 (2005)의 논문에서 보듯이 비교적 경영자의 주식소유 여부가 다른 경영자 환경적 특성들에 비해 감사품질에 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계적 분석을 위한 실질적인 표본 데이터는 그 시대의 경영환경, 사회환경, 경영자나 기업가의 경영철학을 대변하는 것이므로 절대적일 수 없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경영능력을 경영자 개인의 능력과 별개로 경영자 환경특성 요인을 정의하고 또한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의 지표로서 감사품질 항목을 선정하여 상호 영향성을 파악하고, 종합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 호텔기업의 조직문화유형이 지식경영활동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강미연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의 기업은 일정한 패턴을 반영하여 예측하는 전략적 추세적용을 통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을 정도로 기업 환경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현재 등록된 전국호텔현황(2016년 12월 31일 기준 한국호텔업협회 통계자료)을 보면 특1급(5성급)호텔 85개, 특2급(4성급)호텔 122개, 1등급(3성급)호텔 190개, 2등급(2성급)호텔 165개, 3등급(1성급)호텔 173개 등 총 1738개의 관광숙박업 등록현황을 보이는데, 특 1,2성급호텔을 중심으로 새로운 호텔이 신축중이거나 지방자치 단체에 인가신청을 해놓고 있는 실정으로 치열한 경쟁상황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열한 경쟁과 급격한 환경변화 속에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경영혁신과 아울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올바른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관리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대두되면서 호텔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호텔조직문화와 지식경영활동 및 조직유효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호텔기업의 발전을 부여하기 위해 호텔 조직문화를 유형별로 세분화하고 이를 지식경영활동 및 조직유효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호텔기업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350부 중 299부를 회수하여 총 28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으로는 Windows SPSS 22.0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하였고, 분석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판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조직문화의 하위요소인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합의지향문화가 지식공유 및 지식활용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 조직문화의 요인의 하위요소인 과업지향문화가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소인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는 유의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나,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합의지향문화는 조직유효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 지식경영활동의 하위요소인 지식공유활동과 지식활용활동 모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유의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조직문화가 지식경영활동에 적합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 특성을 고려하고 반영하는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호텔 기업이 효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조직문화를 형성하여 향후에 전략적인 인적관리를 수립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금융기관의 지식경영 및 IT 도입에 관한 연구

        임일현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외환위기 이후 대외환경의 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국내 대형은행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이 도입되었다. 국내은행들의 지식경영에 대한 투자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지식정보시스템 및 새로운 금융시스템 구축 그리고 기존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의 강화 등에 집중되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은행의 대형화와 함께 국내 금융기관들이 경쟁적으로 도입한 지식경영 및 IT분야 투자에 대한 성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K은행의 지식경영 도입이 고객들에게 어느 정도의 만족감을 주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고객만족 결정요소가 각각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는가?”라는 연구가설을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을 통해 검증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IT 서비스 중 <스마트폰을 이용한 서비스>가 아직까지 고객만족을 통한 은행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모형 적합 결과 <송금수수료 인하>와 <ATM(현금자동지급기)의 추가설치>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구조방정식 해석결과 K은행의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요인은 <수익성>으로 해석 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구축하는 참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Aftermath of financial crisis in 1998, large domestic banks in Korea have introduced Knowledge Management and Financial IT system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strong compet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n domestic banks a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 the research,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ntroduction in domestic banks, several models have been set up focused on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among the viewpoints of BSC. As the result of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using SPSS AMOS, Among the four factors( Reliability, Profitability, Stability and Convenience ) used in hypothesis, Profitability is a conclusive contribution to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from the Reliability Analysis of Model are follows. IT services through smart phones are not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profitability improvement of bank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sults from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of Model are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s, it indicates that Profitability is the key- by-factor which influenced to the satisfaction levels of customers. second, Remittance charge and more ATM machine installation are the factors to be improve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method which banking sector should be pursued from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its profitability achievement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 HR BSC요인이 예술경영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예술학사와 비예술학사 비교분석 중심으로

        최상기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문화예술산업은 인터넷의 발달, 예술가들의 자세 전환, 예술에 대한 사회 인식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점차 공존과 융합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인식의 변화로 예술경영은 문화산업의 핵심이자 예술상품의 가치창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예술경영학은 여타 학문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예술경영이라는 용어가 국내에 사용된 것은 30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실무와 밀접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문화예술계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저변을 확대하는 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예술경영의 필요인력과 학과는 점차 증가하는 것에 비해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경영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예술학과 비예술학의 이론과 실무의 기초, 발전, 심화과정까지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오류들이 발생하며 예술경영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현재까지 문화예술인의 인적자원평가는 예술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경영학적인 측면을 배제한 채 연구자 자의적으로 독립변수를 설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검증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미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의 평가 지표인 BSC(균형성과시스템)에 대한 중요 변수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기업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인적자원 관점에서의 예술경영인을 평가하기 때문에 기업 BSC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BSC의 사상을 기초로 한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의 HR BSC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학사와 비예술학사 출신의 예술경영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예술경영인을 인적자원 균형성과시스템(HR BSC)의 네 가지 요인인 학습과 성장(HR 전략), 내부프로세스(HR 운영), 고객, 재무 관점이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 모형을 구성하고 검증하였으며 그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 모집단은 예술경영분야 현업에 활동하고 있으며, 예술학사 출신과 비예술학사 출신의 학사이상 소지자를 그 대상으로 하여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예술학사 출신의 예술경영인은 내부프로세스가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예술학사 출신의 예술경영인은 고객과 학습과성장이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 Art-culture industry gradually has revealed its coexistence and phenomenon of convergence caused by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rtists’ changed directions, and better recognition in society. Due to changed social attitudes towards Art-culture industry, it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entire culture industry and also gaining much attention for its value creation strategy. Therefore, the art-management is rapidly growing compare to other studies. Although it has only been about thirty years since the term art-management was started to used in the South Korea, it’s affecting all over the world of culture and art and plays significant role to expand the base. However, in contrast to increased necessary manpower and departments of internal art management in Korea, researches on art managers in the field can’t be easily found. Moreover, due to non-balanced theory and executive ability between art studies and non-art studies,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researches on understandings of art managers. Until the present, evaluation of human resource for cultural artists has excluded business administration aspect due to distinct characteristic of art, and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researches based on proven theories. In order to overcome those factors, they have drawn critical variable from the BSC, which is known for evaluation index for companies. Nevertheless, there is a limitation on this specific research to just refer to the BSC, because this research is not focusing on evaluating cultural art companies but appraising art managers based on human resources perspective. Thus, HR BSC, which is based on BSC’s idea, has been applied to this research. This research mainly focuses on comparing effective performance between art related graduates and non-art related graduates. Therefore, research model based on four main factors (HR strategy, HR operation, customer, financial perspective) in HR BSC was use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ir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In order to empirically prove the research model, population survey composed of art graduates and non-art graduates currently works in art-related field. It has shown that art managers with art degrees have positively affected in terms of internal process side. On the other hand, the ones with non-art related degre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performance in terms of treating customers, learning and growth.

      • 중소기업의 경영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병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조직성과의 결정변수로써 경영자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지식경영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변수의 개념 및 관계 설정을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경영자원을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신뢰도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성과는 직무만족과 내부성과로 구분하였다. 또한 지식공유 활동도 조직지식 중심형과 정보공유 중심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 주로 국내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Stata13.1으로 분석하였다.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을 포함한 변수에 관하여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우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에서 리더십, 조직이미지, 내부평판, 제품/기술우위는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경영활동에 대하여 경영자원과 조직성과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조직경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과 함께 경영자원을 공유하면서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경영리더는 효과적인 조직경영을 위해서 다양한 혁신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조직구성원은 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조직차원으로 공유 및 확산하는 지식경영을 통해 효과적인 전략경영을 수립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실현하고, 조직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향후의 연구에서는 폭 넓은 지식경영의 활동을 이해하면서도 좀 더 객관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연구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 분야로도 확장하여 신뢰도가 높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경영자원, 리더십, 변혁적리더십,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인적배려, 거래적리더십, 상황적보상, 예외적관리, 조직이미지, 지각한 조직정체성, 해석한 외부이미지, 내부평판, 비전공유, 근무환경, 경영안정, 사회적책임, 제품우위, 기술우위, 제품 및 기술, 지속관리, 조직성과, 직무만족, 직무효능, 대인관계, 급여보상, 업무성과, 능률성, 효과성, 공정성, 지식경영, 조직지식중심형, 정보기술중심형 (Abstract) Impact of Managerial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 Byungkyu Min Department of Asse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essor Youngkook Kim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the impact of managerial resource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s their determinan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nd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based on these, managerial resources were classified into leadership, organization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reliability whil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ere classified into job satisfaction and internal performances. In addition,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knowledge focused activities and knowledge sharing focused activities. Based upon these classification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set up. For an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mainly with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13.1.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were conduct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of the sampl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advantage were shown to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eadership, organizational images, internal reputation and product/technology advantage were shown to have an impact on work performance. Third, it was shown tha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 managerial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dentity of an organization as well as to share managerial resources with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ism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addition, the management leader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hould play various innovative role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able to realize the value of the enterprise and enhance its competitiveness by establishing effective strategies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that enables sharing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he future extension of this study, the improvement in research methods that allow more objective measurement while understanding a wide range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s needed. Furthermore, for higher reliability of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into the service area. Keywords: Managerial resources,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Personal consideration, Transactional leadership, Situational compensation, Exceptional management, Organizational image,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Interpreted external image, Internal reputation, Vision sharing,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tability, Social responsibility, Product advantage, Technology advantage, Product & technology, Continuing manage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Job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ge compensation, Work perform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Fairness, Knowledge management, Organizational Knowledge-focused, Information technology-focused

      • 중소기업의 ESG에 대한 인식이 조직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환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탄소규제 강화 법안들이 세계 여러 국가에서 입법화되면서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세계 유수의 투자기관이나 금융기관들 또한 기후 변화 리스크에 대한 대응 수준을 투자 결정 지표로 삼겠다고 선언하고 있다. 이는 생산활동을 통한 이익 극대화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최소화, 노동 및 인권 문제, 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을 함께 실천하여야 지속 가능 기업으로서 성장을 계속할 수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ESG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는 하는 과제는 이제 기업들의 생존과 직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ESG 위원회 및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인력, 자본, 인프라 등의 부족으로 ESG에 대한 투자를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어 중소기업이 동참하지 않을 경우 우리 기업들이 국제경쟁력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적극 실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ESG 경영을 실천할 경우 뚜렷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어야 하나 다수의 중소기업은 초기비용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적극적 동참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나 조사들은 ESG 인식수준에 대한 조사나 연구들로 ESG 경영을 실천할 경우 기대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기업들이 EGS 경영 도입 및 실행전략을 시급히 마련해야하지만대기업 중심으로만 ESG 준비가 진행되고 있어 중소기업의 인식조사를 통해 ESG 도입이 조직성과 및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의 실행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ESG 인식요인을 독립변수, 조직성과와 경영성과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ESG 인식요인의 하위변수로 환경활동(E), 사회적책임활동(S), 지배구조활동(G)을, 조직성과의 하위변수로 효율성과 공정성을, 경영성과의 하위변수로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설정하여 ESG인식과 조직성과,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고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ESG 인식 중 사회적 활동과 지배구조활동은 모두 조직이 효율성과 공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경 활동은 공정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효율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조직의 효율성과 공정성은 모두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중소기업의 ESG 인식 중 사회적책임활동(S), 지배구조활동(G)은 효율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활동(E)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환경활동(E) 보다는 기업의 활동 중 본인과 이해관계자를 포함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회적책임활동(S)과 지배구조활동(G)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책임활동(S)과 지배구조활동(G) 뿐만 아니라 사회적 활동(S) 또한 기업의 효율성과 공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기업의 장기적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므로 ESG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ESG 경영에 적극 동참할 수 있는 ESG 실행전략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중소기업의 ESG 활동 모두가 공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ESG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므로 객관성과 공정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대부분의 ESG 이니셔티브들은 공정한 ESG 평가 기준을 공개하고 있다. 기업에 공정성이 확보되어 있다는 것은 조직내 이해관계자들 간의 신뢰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으로 상호 간의 의사결정이 존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정성이 확보 될 경우 생산성 증가로 이어져 기업성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은 공정한 보상체계와 성과기준 등을 마련하여 조직 구성원들이 ESG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공정성 확보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직성과의 하위요인인 효율성과 공정성은 모두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성과에 대한 보상이 공정하게 분배 될 경우, 구성원들의 충성도가 높아질 것이며 고객서비스, 품질 개선 등을 위한 노력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기업이 지속 성장을 추구하는데 요구되는 선순환 구조 형태의 활력있는 조직문화가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ESG 경영을 선행하여 조직의 공정성을 높이고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기업의 ESG 활동을 대외적으로 고객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활동은 경영성과로 이어지며 ESG 경영을 통해 만들어진 기업 이미지는 고객의 충성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ESG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ESG 활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중소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해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ESG 경영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중소기업의 ESG 경영 참여 동기를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대기업과의 상생을 통해 글로벌 ESG 가이드를 준수하면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ESG 경영, ESG 인식, 중소기업, 조직성과, 경영성과, 환경활동(E), 사회적책임활동(S), 지배구조활동(G), 효율성, 공정성, 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 지속가능경영

      • ESG 경영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정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ESG 경영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ESG 경영전공 유 정 은 지도교수 : 손 성 진 본 연구는 ESG 경영의 수준과 ESG 경영 수준의 변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707개 기업을 대상으로 FnGuide에서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ROA, ROE, Tobin’s Q 등의 재무자 료를 수집하였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ESG 기준원에서 공개한 2,121개의 ESG 등급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 경영 수준이 양호한 기업이 재무성과가 우수하고, ESG 경영 수준이 취약한 기업이 재무성과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경영 수준과 ESG 경영 수준 변동의 상호작용변수는 일부 재무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 다. 셋째, ESG 등급과 변동의 고저 수준별로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재무성과에 대 한 차이 분석을 수행한 결과, ESG 등급과 변동이 모두 양호한 그룹이 모두 취약한 그룹보다 재무성과가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ESG 경영 수준이 양호한 기업의 재무성 과가 우수하다는 점, 그리고 그 과정에서 ESG 경영의 수준이 증가하는 기업의 재무 성과가 일부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일환으로 기업은 ESG 경영을 꾸준하게 전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주제어: 지속가능성, ESG 경영, ESG 등급, ESG 변동, 재무성과

      • 중소제조기업의 경영성과와 품질경영시스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경영혁신의 매개효과 및 조직역량의 조절효과

        유군일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소제조기업의 경영성과와 품질경영시스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경영혁신의 매개효과 및 조직역량의 조절효과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경영품질 전공 유 군 일 지도교수: 김 성 수 오늘날 한국기업이 처한 국제적 상황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특히 기업 간 경쟁은 국가의 흥망을 좌지우지할 만큼 격화되어 가히 전쟁에 비할 수 있다. 한국과 같이 물적, 환경적 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인적 자원을 활용한 기업의 경영시스템, 그중에서도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에 무엇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 21세기가 품질의 시대인만큼 기업생존과 직결된 품질경영시스 템은 무엇보다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 산업에서 중소기업은 어느덧 중추신경으로 자리잡았다. 본 연구는 총 205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205명 중에 서 남자가 147명으로 71.7%, 여자가 58명으로 28.3%를 나타냈다. 이는 우리 나라 중소제조기업의 성비를 잘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전사적 품질경영 활동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이 두 변수 간의 관계가 경영혁신이라는 변수에 의해 서 매개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품질경영 활동이 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 고, 경영혁신은 다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조직역량이 품질경영 활동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 해서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0을 활용하였는데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 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신뢰도 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 시하였다. 또한 변수의 정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왜도 및 첨도를 도출하였 다. 그 결과 먼저 품질경영시스템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잘 운영하는 것이 기업의 경영성과 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품질경영시스템은 매개변수로 상정한 경영혁신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경영혁신은 품질경영시스템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경영활동에 기업의 경영혁 신이 동반될 때, 경영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직역량은 품질경영시스템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성과에 대한 품질경영시스템의 영향력은 제 3의 변수인 조직역량과 관계가 없음을 의미하고 그만큼 경영성과에 대한 품질경 영시스템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중소제조기업 지원의 방 향성을 제시했다. 정부는 중소제조기업이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중소기 업의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에 많은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소제조기 업의 경우 취약한 자금력에 대하여 국가주도의 중소기업 품질경영시스템을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경영성과, 품질경영시스템, 경영혁신, 조직역량, 중소제조기업

      • 기업의 복지비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및 접대비를 중심으로

        박흥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시대가 변하면서 기업의 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구직자들이 기업에 지원할 때 기업의 연봉, 인사체계와 더불어 복지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회사의 매출액, 경영성과뿐 아니라 기업의 복지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런 트렌드를 따라 기업들도 복지 강화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으며 기업을 홍보할 때에도 타사 대비 특별한 복지가 무엇인지 어떤 점이 좋은지에 대하여 설명하곤 한다. 그러나 복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2011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지속적으로 KSE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복지비용(복리후생비, 교육훈련비, 접대비)이 전체기업, 제조업, 서비스업, 금융업 각 업종별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경영성과를 대표하는 변수로는 ROA, ROE, 매출액, 영업이익 4가지 변수를 이용하였다. 각 변수별로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ROA, ROE, 매출액, 영업이익에 독립변수가 미치는 영향이 각 변수별로 모두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각 업종별로도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제조업은 복리후생비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었으며 서비스업, 금융업에서는 교육훈련비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이는 업종별 특성에 의해서 이와 같은 차이가 야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업의 경우 제품이 이익을 창출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지만 서비스업, 금융업의 경우 이익을 창출하는 주체가 제품이 아닌 인적자원이기에 인적자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비가 높아질수록 경영성과가 높게 나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모든 업종의 복지비용이 경영성과에 같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업종별로 복지비용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업종별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각 다른 복지비용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복지비용별로 경영성과를 세분화하여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가 많지 않기에 본 연구를 토대로 각 업종별로 원하는 경영성과에 따라서 경영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생각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corporate welfare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times change. When applying for a job, job seekers check the level of welfare of the company as well as the company's annual salary and personnel system. In addition, when the value of a company is evaluated, the welfare of the company as well as the company's sales and business performance are important. Following this trend, companies are more concerned about strengthening welfare, and when promoting a company, they explain what special welfare they have compared to other companies.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ell-being, however, relevant research has been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impact of welfare expenses (employee benefits,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entertainment expenses) of companies listed on KSE continuously from 2011 to 2018 on business performance was analyzed by all companies and by industries (manufacturing, service, and finance). Four variables were used for business performance: ROA, ROE, sales, and operating profi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ROA, ROE, sales, and operating profit were all differently derived for each variable. Results were also different for each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t was efficient to put more weight on employee benefits, and in the service and finance industries, it was more efficient to put more weight on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This difference seems to b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products are a means of generating profit.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financial industry, since the main source of profit is human resources, not products, the higher the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 to increase the level of human resources, the higher the business performance.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welfare expenses on business performance varies by industry. This means that different welfare expenses are required to be focused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by industry. Since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business performance has been studied by subdividing business performance by types of welfare expenses, in the perspective of executives, it may be possible to think about the business performance desired for each industry based on this study for better decision making.

      •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순옥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대한 표본선정을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거래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은 2,153개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우선 최고경영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재직기간이 길수록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경영자의 소유지분율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연령과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연령이 적을수록 그리고 감사품질이 높을수록(감사시간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사보수가 증가하거나)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재직기간과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재직기간이 짧을수록 그리고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주식소유율과 감사품질의 대용치인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주식소유율이 작을수록 그리고 감사품질이 높을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추가분석으로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감사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연령이 적을수록 감사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령이 작은 최고경영자일수록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을 많이 투입하여 회계투명성에 더 많은 신경을 쓰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결국 대리인비용을 감소시켜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재직기간을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재직기간이 짧을수록 감사품질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재직기간이 짧은 최고경영자일수록 회계이익의 질 향상과 투명성을 위해 감사품질을 높이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대리인비용의 감소로 인하여 기업가치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주식소유율을 살펴보면, 최고경영자의 주식소유율이 낮을수록 감사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식을 소유하지 않는 전문경영자일수록 회계이익의 질 향상과 투명성에 초점을 둘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감사품질을 높이려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이는 결국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는 유인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