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길림성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자기표현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로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길림성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기표현, 자아존중감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지가 자기표현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설문은 중국 전문 조사업체인 Wenjuanxing을 통하여 중국 길림성 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random sampling) 방법으로 2021년 8월 18일부터 8월 24일까지 7일간 진행하였다. 총 650부의 설문지를 온라인 계정으로 Wenjuanxing 패널에게 배포하여 412부(회수율 63.4%)를 회수하였다. 특정 응답 값에 대한 중심화 경향이 강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14부를 제외하고 398부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Window용 SPSS 21.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순 회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회귀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중국 길림성 내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자기표현, 자아존중감의 평균 차이 검정과 각 변인 간의 인과관계 검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길림성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 자기표현, 자아존중감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의 자기표현력에서 내용적표현은 남학생(3.4951±.9714)보다 여학생(3.6969±.9144)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음성적표현과 비언어표현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출생지에 따른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은 도시와 농촌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이 느끼는 자기표현력은 형제자매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서 정보적지지와 물질적지지는 외동인 대학생이 외동이 아닌 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의 인지하는 자아존중감은 외동인 대학생(3.9304±.9824)이 외동이 아닌 대학생(3.7310±1.0412)보다 높게 나타났다.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에서 내용적표현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1, 2학년에 비해 3, 4학년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자기표현능력의 음성적표현과 비언어표현은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정 연수입에 따른 길림성 대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감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서 물질적지지는 가정 연수입이 많은 가정의 대학생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길림성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가정 연수입에 따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및 평가적지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길림성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에서 평가적지지는 학업성적이 높은 대학생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학업성적에 따른 길림성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 및 정보적지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기표현의 내용적표현과 음성적표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지만, 자기표현력의 비언어적표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길림성 대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의 내용적표현과 음성적표현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표현의 하위 요인 비언어적표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길림성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표현의 내용적표현과 음성적표현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 비언어적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전체적으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자기표현 능력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학교 수업 등 대학 생활 전반에 걸쳐 대학생들의 자기표현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교수들의 강의시간을 이용한 발표나 토론, 대학의 상담센터에서의 상담이나 대화 등을 통하여 대학생들의 자기표현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자기표현훈련 등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입하여 운영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자기표현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데, 자기표현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 집단상담 등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중국 '노동자 신촌'(工人新村) 주택의 공간특징과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 1951 ~ 1976년 상하이 지역을 중심으로

        정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the relative research on the residential space features and changing inducement of the worker new village in Shanghai in the beginning period of state found (1951-1976). From the state found of new China in 1949, China marches to modernism in the political system of socialism. The social planned economy replaced the former economic systems.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the first worker new villages began to be constructed in Shanghai in 1951. The worker new village belonged to one of the welfare residents, which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ng system, since which the worker new villag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new China. This thesis includes five chapters Chapter One introduces the researching background, clarifies the researching necessity and purpose, and proposes the researching object and target. Chapter Two introduces the shortage of the worker new village researching from the current researching result, and understands the relative elements which influences the Chinese residents var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e, it researches the residential space features and changing inducement. It first illustrates the appearance and spread of the concept “new village” from the aspect of theoretical research. Then it clears up the background of Chinese worker new village and illustrates the conception of workers and Chinese worker new village. Next is the consolidation to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workers new village’s planing theory. Chapter Three is the clarification and analysis to the different residential space structures and features of the worker new village divided according to different age backgroun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important history event, the researching subject is from the period of national economy resuming from 1949 to 1952; the first five-year plan period from 1953 to 1957; the Great Leap Forward period from 1958 to 1960; the national economic adjustment period from 1961 to 1965; and the Culture Revolution period from 1966 to 1976. There were six types of the worker new village during these five periods, which were the Early internal corridor residential, the Soviet style interior corridor residential, Standard internal corridor residential, the outside small square hall residential, inside small square hall courtyard residential, and outside corridor residential. Chapter Four compares and researches the basic space features of the work new village with the method of comparing analysis, finds the differences and connections among those in different periods, and finds the basic regulation and features of every residential evolution. These include the space organization in the space structure, space property and space rank. Then is the comparison among the space room, kitchen, bathroom and balcony. Last on the basis of these relative space variation and the current researching of the relative elements which influence Chinese residential variation, it explores the relative elements of the work new village changing through the researching method of deductive reference. Chapter Five makes the conclusion to the above narrative content. 본 논문은 중국 건국 초기(1951~1976년)의 상하이 지역의 노동자 신촌 주택의 공간특징과 변화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1949년 신중국의 건국 이후, 중국은 사회주의적 정치제도 하에서 현대화가 진행되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가 원래의 경제제도를 대체했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영향 하에 1951년 상하이 지역에 처음으로 노동자 신촌이 건설하였다. 시작했다. 노동자 신촌은 복지주택의 일종으로, 분배제도에 따라 동일하게 분배되었다. 그 때부터 노동자 신촌은 신중국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은 연구의 배경으로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명확히 하며,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제2장은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동자 신촌 주택에 대한 건축학적 연구가 미비한 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노동자 신촌 주택 변화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건축학적 시각에서 살펴보고, 공간특징 및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이론적인 측면에서 “신촌”과“신촌 주의”개념의 등장, 그리고 전파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중국에서 노동자 신촌이 만들어진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노동자와 노동자 신촌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노동자 신촌'의 단지 계획 발전 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3장은 “노동자 신촌”의 시대별 주택유형의 공간구조와 특징을 정리 및 분석 했다. 시대적 구분으로는 1949년부터 1976년까지의 기간을 중대한 역사적 사건의 영향에 따라 중국의 국민경제 회복기(1949년-1952년), 첫 번째 5년 경제 계획 시기(1953년-1957년), 대약진(大跃进) 시기(1958년-1960년), 국민 경제 조정 시기(1961년-1965년), 문화대혁명 시기(1966년-1976년)등 총 5개의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이 시기의 노동자 신촌 주택을 초기 내랑(内廊) 주택, 소련 내랑(内廊) 주택, 표준 내랑(内廊) 주택, 외부 소방청(小方厅)식 주택, 내부 소방청(小方厅) 천정(天井)식 주택, 외랑(外廊)주택 등 6종류로 분류하였다. 제4장은 노동자 신촌 주택 공간의 기본특징에 대해 비교분석하였고, 각 시기에 따른 차이점과 연관성, 그리고 주택 변화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규칙과 특징을 탐구했다. 공간구성 측면에서는 공간 조합, 공간 속성과 공간 위계 3개의 측면으로 분석하였으며, 단위공간 측면에서는 방, 주방, 화장실, 그리고 발코니 공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변화를 기반으로 한 선행연구의 중국 주택변화에 영향을 준 요소들을 참고하여, 노동자 신촌의 공간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 한국 아파트 실내디자인 트랜드에 관한 연구 : 중형 아파트 실내색채를 중심으로

        정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consumers have an interest in interior style increasingly in modern society, various visual materials regarding interior design and their needs are rising. Accordingly, the trend of the past should be understood and color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seeking satisfactory interior design, should be analyzed for providing clear information on color trend of interior design expected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interior style on which the latest trend was reflected.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interior design mainly based on colors, through a total of 200 photos of interior designs of middle sized apartments (35 ~ 40 pyeong) via interior design magazines for past five years from 2003 to the present(2007),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expecting colors of the future interior design style,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styles based on colors of a living room, bed room, and kitchen from 2003 to 2007, and as a result, the natural style percentag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odern style one, and hightech style one in descending order. Second, the results of expecting 2008 F/W interior color design trend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ior design colors from 2003 to 2007 are as follows: It is considered that the new-naturalism, in which the image of nature becomes more realistic and radical affected by naturalism, the new-neutral that adds more humane details to hightech style to compose for balance and harmony not to be broken, and the new expressionism style, which is represented by somewhat exaggerated colors since the unique taste such as pop art and animation, are mixed with minimal elements, affected by modern style, will be main trends. However, if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interior trend style during that time, all interior themes are not made into a fixed form, and instead many styles are mixed so that all themes such as natural, modern, and high-tech, etc.. are mixed organically.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자들은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시각적 자료와 필요성이 증가 되고 있고 급속하게 발전하는 기술의 진보는 시대의 흐름과 우리의 삶을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외부 환경적 정보 외에도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 문화적 현상이 실내 디자인 스타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최신의 트랜드를 반영한 인테리어 스타일을 행하기 위하여서는 과거의 트랜드의 흐름을 이해해야 하며 인테리어 스타일의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도 인간에게 시각적으로 강렬한 반응과 정서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실내 디자인의 만족을 추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는 색채를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의 예측되는 실내 디자인의 색채 트랜드의 명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실내디자인 스타일의 색채 예측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현재(2007년)까지 5년간의 실내 디자인 전문 잡지를 통하여 중형(35평-40평) 총 200장의 아파트 실내디자인 사진을 통해 색채를 중심으로 주로 사용되어진 실내디자인 스타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거실, 침실, 주방의 색채를 중심으로 한 스타일 분석 결과 모두 내추럴, 모던, 하이테크 스타일 순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빈도가 가장 높은 3가지 스타일별로 추출된 주조색, 보조색 컬러를 색상, 명도, 채도, 색조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통해 당시의 전반적인 사회 문화적 현상.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하여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각 스타일별 트랜드 컬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추럴 스타일 컬러의 제일 높게 나타난 10그룹은 YR-Dk(9.4%), YR-S (8.2%), YR-L(7.9%), Y-L(7.4%), YR-Dl(6.2%), Y-Dl(5.3%), R-Dk (4.4%), Y-Gr(4.1%), YR-Dp(4.1%), Y-S(2.9%) 순으로 나타났다. 모던 스타일 컬러의 제일 높게 나타난 10그룹은 YR-Lgr(11.8%), Y-Lgr (7.6%), YR-Dk(7.1%), YR-L(4.9%), Y-Dk(4.4%), YR-Dl(4.4%), GY-Dk(3.6%), R-Dk(3.1%), Y-Gr(3.1%), BG-Dk(3.1%) 순으로 나타났다. 하이테크 스타일 컬러의 제일 높게 나타난 10그룹은 B-P(5.6%), PR-P (5%), B-L(4.4%), YR-Gr(3.8%), PR-Lgr(3.2%), YR-Gr(3.2%) Y-Gr (3.2%), Y-Lgr(3.2%), Y-Dl(3.2%), B-B(3.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실내디자인의 색채 분석을 바탕으로 2008 F/W 실내 색채 디자인 트랜드를 예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추럴리즘에 영향을 받아 자연의 이미지가 더욱 실제적이고 과격화되는 NEW-NATURALISM, 하이테크 스타일에 좀 더 인간적인 디테일을 가미하여 균형과 조화가 깨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NEW-NEUTRAL, 모던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팝아트와 애니메이션과 같은 유니크한 취향이 미니멀한 요소와 서로 믹스되어 다소 과장된 색채로 표현되는 NEW-EXPRESSIONISM 스타일이 트랜드가 될 것이라 생각되어 진다. 다만 그동안 실내디자인 트랜드 스타일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모든 인테리어 테마들이 하나로 정형화되지 않고, 여러 스타일이 믹스되어 내추럴, 모던, 하이테크 등 모든 테마가 서로 유기적으로 믹스되어 진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 중국의 외자유치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중투자전략에 관한 연구

        정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 중국 외국직접투자와 관련 중국정부의 정책변화를 중심으로 그 조치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중국진출을 준비하고 있거나 기 진출한 한국기업에 대한 유의점 내지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중국의 투자유치 정책 변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사전에 시의 적절히 점검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고, 동시에 이에 대한 한국기업의 전방위적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중국인 초·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띄어쓰기 오류 양상 연구

        정로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급과 중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띄어쓰기에 있어서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띄어쓰기 교육 내용과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유 작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띄어쓰기에 관한 인식과 띄어쓰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자유 작문을 통해서는 평소 띄어쓰기 습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와 자유 작문 자료의 분석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띄어쓰기의 중요성과 기준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초급 학습자들은 띄어쓰기 총칙에 관한 것과 조사,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에서는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고유 명사,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급 학습자들은 의존 명사에서도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하는 말, 단음절로 된 단어와 보조 용언 등에서는 정답률이 높지 않았다. 또한 자유 작문 분석 결과에서는 전체 오류 중 총칙에 관한 것과, 조사, 의존 명사, 보조 용언의 등의 띄어쓰기에서 여타의 조항에서보다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띄어쓰기 교육에 포함시켜야 할 교육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글쓰기에서 띄어쓰기의 중요성과 띄어쓰기의 기준을 명확하게 알려 주어야 한다. 둘째, 조사의 의존 명사의 구분 등 한국어 문장 성문과 구조에 대한 기본 지식의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실제 글쓰기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것, 즉 띄어쓰기 총칙에 해당하는 것과 조사, 의존 명사, 보조 용언 등의 띄어쓰기에 중점을 두고 가르쳐야 한다. 넷째, 중급 학습자에게는 띄어쓰기 규정의 각 조항에 포함된 주의사항, 예를 들어 조사가 중첩된 경우, ‘대로, 뿐, 만’ 등 용법에 따라 조사와 의존 명사의 기능을 하는 어휘의 띄어쓰기까지도 주의하여 가르쳐야 한다. 이상에서 논의한 점들을 중심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띄어쓰기 교육의 내용과 지도 방안을 구성하여 가르친다면 띄어쓰기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확고히 하고 실제 글쓰기에서 필요한 띄어쓰기 규칙을 익혀, 보다 완성도 높은 산출물을 생산하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향후 더욱 효율적인 교육이 되기 위하여 띄어쓰기로 인해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사례들, 다시 말해 이해에 지장을 주는 오류에 대한 세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한 활용도 높은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rrors in word spacing made by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esent the contents of word spac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achieve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learners and free composi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m. Through the survey, their use of word spacing and problems with their word spacing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standards of word spacing in the Korean language was low for those Chinese learners. As the result of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learners showe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spacing, and in the word spacing of postpositions and bound nouns. However, they found the word spacing of nouns representing units, proper nouns, and auxiliary predicates relatively difficult. The data also demonstrated that the intermediate learners showe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bound nouns, but when using words representing units, words connecting two words or words of listing, monosyllabic words, and auxiliary predicates, thei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not hig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writing skill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errors in word spacing was higher in the general rules, postpositions, and bound nouns than in other ite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ucture that should be used in Korean language word spacing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word spacing in Korean writing and the standards of word spacing should be taught clearly. Second, education in basic knowledge about the sentence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 such as distinguishing between postpositions and bound nouns, is needed. Third,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actual writing, which are related to the general rules of the word spacing, postpositions, bound nouns, and auxiliary predicates should be a priority for teachers. Fourth, for the intermediate learners, caveats included in word spacing rules such as the word spacing in the words that function as postpositions or as bound nouns, depending on the usage of, for example, ‘대로, 뿐, 만’ in the case of overlapping postpositions, should be taught. It is expected that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will reinforce their awareness about word spacing and learn word spacing rules needed for actual writing more effectively, if they are taught the contents of word spacin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commendations. In order to attain a more efficient education in the future,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with a high degree of usefulness, based on detailed investigations about the errors hindering understanding, that is, hindering effectiveness due to the word spacing, should be prepared.

      • 한ㆍ중 정치변천과정 중 정부기능과 농촌토지제도간의 상호작용메커니즘에 관한 비교연구

        정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sociology; it conducts careful analysis and research about government functions, social environments and the interactive mechanism of the rural land system in the process of political change in South Korea and China since the founding of these two countries. South Korea and China have put a great effort into relative laws and policies, as the rural land problem is a core task of national construction. It is significant for both countries to regard each other as references in the legal system of rural land. This study attempts to put forward constructive advice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rural land system in China after its reform and open-door policy, based on analysis and studies of South Korean experiences. The study combines the method of searching documents, theoretical analysis and historical comparative analysis. The innovative and proper research framework is construc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nsolidation of government function theory, social conflict theory, relative theory of comparative historical research and general political system analysis theory in the western sociology theory system, which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 objective basis for the study. The relative study of South Korea in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period from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Phase to the Kim Young-sam Phase. The policy approach of rural community environment and related content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legal system of rural land in South Korea during the various political periods includes the reform of rural land to the Agricultural Land Act. All of these ph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on the government function has gradually increased but geopolitics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s gradually reduced. Secondly, the social influence of rural social conflicts has declined while urban social conflicts have increas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he national modernization process. Thirdly, the economic development under political authority is the basis of success, and political democratization is the ultimate thrust towards the perfecting and maturing of the rural land system in South Korea. The relative study of China in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a period from the Mao Zedong phase to the Xi Jinping phase. It clarifies the relative study of political views and choices of political leaders and the rural land problem solving methods in the various periods. It i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function and the system from land reform towards the people's commune, and from the household contract responsibility system to recent times. The rural land system in China needs to be improved. It mainly display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on its development path. First,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ural land system still passes down on one continuous track, though china's social environment was different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door policies. Second, China's rural social conflicts still exists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fication and complexity. Third, the structure of social strata after reform and open-door policy is multivariate, the political appeal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armers group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t is urgent to solve the social conflicts in rural areas. Upon the analysis of the above two chapters and on the related theories of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and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four aspects are studied in the fourth chapter of the thesis. There is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ural land legal system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rural land system and agricultural production, rural land system and rural social changes and the development law of rural land system. It’s possible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nd comprehens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a rural land legal syst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ple directions, for the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South Korea and China. Especially, some specific suggestions and ideas are given in this chapter about the development of China's future rural land syst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dentity of cultivator and land rights. Finall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 through induction to this study. First, the related contents in the legal process of rural land system can be comparatively studied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of South Korea and China, in a backdrop of different political systems. Second, the development path of the rural land legal system in South Korea is more mature and advanced compared to China. Third, the rule of law is a necessary process to replace the ruling of men in the course of a rural land system. Fourth, an authoritarian government is the preliminary condition of the comprehensive opening of the democratic consultation mechanism, but the rule of the law establishment is the basic premise to improve the social conflict adjustment ability. 本论文从政治社会学的视角出发,就中韩两国建国以来,各自政治变迁过程中的政府职能、社会环境及农村土地制度间所形成的互动机制进行了深入细致的分析和研究。农村土地问题作为国家建设的核心任务,中韩两国在相关法律及政策层面倾注了巨大的努力。因此,尽管两国间的意识形态和政治体制存在差异,但是农村土地法制化的历程方面,相互间存在“他山之石,可以攻玉”的借鉴意义,而本研究的起始也正是基于以上判断。特别是在韩国经验分析研究的基础之上,试图为改革开放之后的中国农村土地制度发展提出一些建设性建议。 此项研究的进行过程中,本人采取了文献查阅、理论阐述和历史比较分析相结合的研究方法。其中,通过对西方社会学理论体系中的政府职能理论、社会冲突理论、比较历史研究相关理论和一般政治系统分析理论的整理统合,构建出新颖合适的研究框架,并为本研究提供了理论背景和客观依据。 论文第二章中的韩国方面相关研究起始于美军政时期,结束于金泳三时期。即从农地改革到《农地法》颁布,韩国各个政治时期内,政府针对农村社会环境的施政方针和农村土地法制化的相关内容及其成果。分析结果可以归纳为以下三点。第一,国内社会环境对政府职能的影响力逐渐增大,地缘政治和国际局势对政府职能的影响力逐渐减小。第二,随着国家现代化进程的推进,农村社会冲突的社会影响力递减,城市社会冲突的社会影响力递增。第三,关于韩国农村土地制度的完善与成熟,权威政治下的经济发展是取得成功的基础,政治民主化是取得成功的最终推力。 论文第三章的中国方面相关研究起始于毛泽东时期,延续至习近平时期,是关于各个时期政治领袖的政治路线及农村土地问题解决方式的相关研究。即从土地改革到人民公社,再由家庭联产责任制发展至今,关于政府职能与制度化间相互关系的分析研究。中国的农村土地制度尚且有待完善,关于其发展路径主要呈现出以下三种特征。第一,改革开放前后的中国社会环境虽然判若云泥,但农村土地制度的发展路径依然一脉相承。第二,中国农村社会冲突持续存在,并具有多样化、复杂化的发展特征。第三,改革开放后的社会结构趋向多元,农民群体的政治诉求和社会参与逐步增加,农村社会冲突迫切需要解决。 论文第四章基于之前两个章节的分析,结合比较历史研究的相关理论和本研究的理论模型,从中韩两国的农村土地法律体系发展路径、农村土地制度与农业生产、农村土地制度与农村社会变化以及农村土地制度的发展规律四个方面入手研究。通过多方位的对比分析,针对不同政治、社会条件下的中韩两国,关于其促进农村土地法制化过程中的相似之处和不同之处产生了认识和理解。其中,通过对耕者身份和土地权利方面的对比分析,为中国未来农村土地制度的发展相关提出具体的建议和思路。 最后,通过对本研究的归纳总结,相关结论如下所示。第一,政治制度存在差异的中韩两国,其农村土地制度法制化过程的相关内容可以通过理论分析的方式进行对比研究。第二,相比于中国,韩国农村土地法律体系的发展路径较为成熟和先进。第三,农村土地制度化的历程中,法治取代人治是必然过程。第四,权威主义政府是民主协商机制全面开启的启动条件,而法治主义的确立是提高社会冲突调节能力的基本前提。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이 정부수립이후 정치적 변천과정에서 이루어진 정부기능과 사회 환경 및 농촌토지제도 간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에 관하여, 정치사회학적 시각에서 심도 있는 연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농촌토지문제는 국가건설의 핵심과제로써 한국과 중국 두 나라 모두 관련법과 제도 마련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따라서 양국의 이데올로기와 정치체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농촌토지법제화 경험은 상호간에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한국의 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혁개방이후 중국 농촌에서 추진하고 있는 토지제도 건설에 의미 있는 제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문헌조사ㆍ이론분석 및 비교분석 접근 방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서구 사회학의 주요 관련이론인 정부기능이론ㆍ사회갈등이론ㆍ비교역사연구이론 그리고 정치체계이론 등을 조합하여 본 연구 분석에 적합한 새로운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사실논거를 제시하였다. 제 2장은 한국에 대한 연구로 미군정시기부터 김영삼정부까지, 즉 농지개혁부터 농지법제정 공포까지, 각 정치시기별로 농촌사회 환경에 대한 정부의 대응방식과 농촌토지관련 법제화 내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첫째, 국내 사회환경의 정부기능에 대한 영향력은 점차 증대한 반면 국제정세와 지연정치의 영향력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 현대화 발전과정에서, 농촌 지역의 사회갈등이 사회에 미친 영향력은 점차 줄어든 반면 도시 지역의 사회갈등이 사회에 미친 영향력은 점차 늘어났다. 셋째, 한국농촌토지제도의 정비와 완성은 권위정치가 이룩한 경제발전의 초석위에 정치 민주화가 발전하면서 가능하였던 것이다. 제 3장에서는 마오쩌둥시기부터 시진핑시기까지 중국의 각 정치지도자들의 정치노선이 농촌토지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방식, 즉 토지개혁ㆍ인민공사설립 그리고 가정청부영농제 등을 분석하여 정부기능과 제도화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농촌토지문제는 오늘날까지도 온전한 법제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정치변천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개혁개방 전과 후의 중국 정치사회적 환경은 상당히 상이하지만, 농촌토지관련 제도추진경로는 일맥상통하다. 둘째, 중국농촌사회에 사회 갈등은 지속적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점차 다양화ㆍ복잡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셋째, 개혁개방 이후 사회 계층구조가 다원화되면서 중국 농민계층의 정치적 요구와 사회참여 기회가 점차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농촌사회갈등도 증폭되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대두하였다. 논문의 제 4장은 앞의 두 개 장에서 진행한 분석 결과에 대하여 본 연구의 이론모델에 비교역사이론을 접목시켜 비교 분석하였다. 한․중 양국 농촌 토지 법제화과정, 농촌토지제도와 농업생산, 농촌토지제도와 농촌사회변화, 그리고 농촌토지제도의 발전규율 등 네 가지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다각적 비교분석을 통해, 양국이 상이한 정치적ㆍ사회적 조건하에서 추진한 농촌토지관련 법제도화로부터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특히 경작자의 신분과 토지권리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는 중국농촌토지제도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건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치체제가 다른 한․중 양국의 농촌토지제도 법제화과정 비교가 이론적으로 분석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중국에 비하여, 한국의 농촌 토지 법률시스템 발전이 더 완전하고 진보적이다. 셋째, 농촌토지 제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법치가 인치를 대체하는 필연적 과정을 거쳐야한다. 넷째, 권위주의 정부는 민주협상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가동하여 법치주의를 확립하여야 사회갈등 조정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 외국인의 한국 전통음식 적응도와 메뉴 선택요인이 선호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정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외국인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적응도, 메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이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구성변수의 개념적 이해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의수집은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을 분석하고, 설정된 연구 가설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적응도는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들은 김치 냄새가 좋아졌다, 된장이 맛있고 생식도 익숙해 졌다는 반응을 보이며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한국 전통음식 메뉴 선택요인은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유학생들이 한국 전통음식의 메뉴 선택 시 본인이 먹어 본 경험의 유무와 친구의 권유, 방송매체, 식당홍보가 중요한 고려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전통음식을 접하기 전 적응하는 정도와 한국음식을 접한 후 적응된 후의 행동양상이 달라짐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외국인들이 처음 느끼는 한국 전통음식의 맛에 대한 선호 도가 나이, 식사 습관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셋째,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만족도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유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할 때 자연스럽게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관련 산업의 기업은 물론 국가차원에서 우선 외국인에게 한국음식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보다 많은 기회를 갖게 만드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외국인들에게 대중매체를 통한, 특히 최근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흐름을 적극 활용하여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직․간접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설득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렇게 한국음식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되며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자연스럽게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며 한식의 세계화라는 중요한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are influenced by foreigners’ adapta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and menu choice and these influences 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With this purpos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accordingly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he correlations were verified through the conceptual comprehension of composition variables and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material collection for verification analysis, taking the 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as subjec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Korean traditional food, i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n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ypothesis 1 was adopt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nese students got to like the kimchi smell better and that the Doenjang was delicious to them and that they have got used to eat raw foo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high adapta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appeared and there was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Secondly, Korean traditional food menu choices factors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ypothesis was dismiss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Chinese students choose the menu of Korean traditional food, their having experience of eating the food or not, the recommendation of friends, broadcast media and the promotion of restaurants were not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daptation before getting at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he behavior patterns after getting at it would be different. In addition, it can be supposed that this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in foreigner’s’ preference to the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at the first time according to age and eating habits. Thirdly, the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ypothesis was adopted.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increases, the satisfaction with it will increase natural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enterprises’ efforts to provide chances for foreigners to taste Korean food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national dimension should be made firs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reigners persuasive communication activitie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by the mass media, especially by applying positively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wave trend. As they get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food gets better, their preference to Korean food will get better naturally. Therefore, the goal to globalize the Korean food will be realized

      • 형광검색법을 이용한 환경오염물질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정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내분비계 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er)은 환경호르몬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물이나 사람의 몸속에서 천연 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해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물질을 총칭하는 말이다. 또한 지방조직과 결합하여 생태계의 오염을 증가시키고 먹이사슬을 통한 인체 내의 축적을 야기 시킨다. Dioxin, Phthalate plasticizer, Hydroxylated polychlorinated biphenyls 등이 대표적인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며, 이들은 도시쓰레기 소각 시 또는 염소 등을 사용하는 산업공정에서 주로 발생될 수 있다 (Safe, 1995: Yang, 1995). 이 물질들은 생식 및 발생상의 장애, 발암성 면역 기능 억제, 간독성, 체중감소 및 급성 치사 등 생체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lborn, 1995; Yang, 1999). 그 동안 다이옥신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측정에는 GC-MS, GC, HPLC와 같은 고가의 분석 장비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 장비의 이용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수주의 시간이 필요하여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따라 우리 주변에 널리 펴져 있는 많은 양의 시료를 신속하게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Ziccardi et al., 2000). 또한 분석 장비를 이용한 방법은 오염물질의 개별적인 농도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으나 두 개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생체 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승효과나 길항작용은 분별할 수 없다. 실제로 환경 중이나 식품 중의 시료에는 단일 물질로 오염된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여러 물질이 혼합 된 상태로 존재함으로 분석 장비만을 이용한 결과는 실질적인 인체 위해성을 과소 또는 과대평가 할 가능성이 있다 (Shelby et al., 1996; Gaido et al., 1997; Gray, 1997). 생체 검색법은 이미 잘 알려진 강력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세포에 반응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시료중의 내분비계 장애현상이 얼마나 있는가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상대적 평가 체계이다. 따라서 검색법의 바탕이 되는 세포의 특성에 따라 기준이 되는 다이옥신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대사 또는 작용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세포 모델을 사용하느냐가 실질적인 인체 위해성 평가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생체 검색법에 사용하고 있는 암 세포 모델들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대사나 세포내 작용측면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작용을 정확하게 반영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표적이 되는 인체 장기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세포를 이용한 검색방법은 인체 표적장기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세포 체계로서 세포내 대사 등 세포의 특성이 고려되어 개선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KY1.7 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TCDD (0.01 ~10 nM)에 노출 시켜 luciferase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용량-의존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5 nM에서 가장 높은 RLU 값을 나타내었고 10 nM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농도의 오염물질들을 TCDD 농도에 비교한 값으로 환산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CB-126과 PCB-169 (0.1~100 nM)를 각각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PCB에 대해 용량-의존적인 증가를 보였기 때문에 TCDD 독성 등가 값을 이용하여 PCB의 위해성 정도를 예측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농도의 TCDD에서는 PCB-126과 PCB-169의 용량에 따른 RLU 값의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높은 농도의 TCDD에서는 PCB-126과 PCB-169에 의한 luciferase 반응의 저해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CBs에 의한 RLU 값의 감소는 TCDD에 의해 결정되는 독성 등가 값이 PCB-126에 비해 낮은 PCB-169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PCB-169가 AhR에 결합하는 능력은 비슷하나 상대적인 독성 정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TCDD와 PCBs가 혼재하는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TCDD와 PCBs의 순수한 양을 알 수 없으므로 실제적인 위해정도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추출 단계에서의 TCDD와 PCBs 등의 순수분리 단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firefly luciferase를 발현하는 인체 상피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환경오염 물질인 TCDD, PCBs 등과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보다 신속한 독성평가에 활용 될 수 있고 TCDD와 PCBs가 혼합되어 있는 시료에서는 TEF 값을 기반으로 한 total equivalency (TEQ)값을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한 측정법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re ubiquitous chemicals that draw public concern over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sessment of exposure from these chemicals is often difficult and inefficient due to the heavy cost and time-consuming process. The Chemically Activated LUciferase gene eXpression (CALUX) bioassay is a reporter gene mammalian cell bioassay that is nowadays often used as a rapid and inexpensive screening and semi-quantita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TCDD and PCBs. CALUX bioassay has proven valuable for screening for and assessing toxic equivalents of dioxin-like compounds, because it detects all AhR ligands in a variety of sample matrices. Recently, the CALUX bioassay based on human epithelial cell origin, namely, HKY1.7, has been developed and showed an excellent detection efficiency. This study used the human cell bioassay to detec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st potent AhR agonist, TCDD, and PCB congeners. While increase of RLU value over PCB exposure was dose-dependent in presence of low dose TCDD, the pattern of increase was significantly dampened in the presence of high dose TCDD.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 concentration of TCDD in the sample may interfere with the actual response of PCB exposure and lead to the underestimation of PCB toxicity. Higher receptor affinity of TCDD over PCB congeners may dominate the AhR receptors in the cells and block the response of PCB exposure. The results further imply that, in the mixture samples, high concentration of TCDD may underestimate the true values of TEQ in the sample by lowering the sum of TEQ values from PCB exposu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resence of potent AhR agonist, TCDD, in the sample interferes with the toxic estimation from PCB exposure, suggesting that the presence of specific strong AhR agonists in the sample should be identified to take into account the competition over the same receptor sites and improve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emicals.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mily Functioning, Future Time Perspective, Meaning in Life, and the Learning Engagement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정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As we venture further into the 21st century, the learning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academic pursuits emerges as an important measurement of the efficacy of elementary education. It stands as a necessary requirement for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as well as a pressing need of the contemporary era that is vigorously supported by policy. Currently, there exists a scarcity of research exploring the interplay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the learning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adage "Parents are the first and the best teachers of children" underscores the profound significance and far-reaching influence of family factors on a child's education.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inquir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meaning in life on the learning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eaning in life. To examine this research hypothesi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survey approach was adopted, Students enrolled in three middle schools in Ganzhou, Jiangxi, who comprised the 835 valid responders. SPSS 26.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Subsequently, the final phase of the analysis entailed the utilization of AMOS 26.0, facilitating the execu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validation factor analysi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gree of learning engagement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s marginally higher than the average mean.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ing engagement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pecifically,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exhibit marked disparities in vigor, dedication, and overall learning engagement, while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rption. Notably, students in the third year demonstrat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vitality, dedication, and overall learning engagement compa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year.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gender, being only child or not, serving as a class cadre or not, the residential locations,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s. Nevertheless,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being an only child or serving as a class leader)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learning engagement. (1) Learning engagement scores were found to be notably higher among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in comparison to their urban counterparts. (2) Learning engagement levels were higher in non-only child group, when contrasted with those only child group. (3) First- and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exhibited higher learning engagement in comparison to second-year students. Fourthly, we analyzed the impacts of family functioning,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eaning in life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1) Learning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family functioning. (2)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3) Meaning in lif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Fifthl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gagement and family functioning is mediated b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eaning in life. Family functio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which was mediated by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eaning in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learning engagement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eaning in life play in this proc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function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eaning in life act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to improve junior high middleschool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Firstly, it is imperative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milies to collaborate in order to provide family support and deliver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s. This joint effort serves as a pivotal means to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enable students with a profound sense of life's purpose. Encouraging parents to engage in discussions surrounding future goals and values with their children serves as a catalyst for stimulati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oward learning. Secondly, good family functioning provides emotional support, enabling students to receive encouragement and understanding, which helps to reduce academic stress and enhance students'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thereby increasing their learning engagement. Helping students make plans to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is essential because future time perspective enables them to better organize their learning process. The qu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can be further enhanced by fostering close family relationships, encouraging communication, and creating flexible learning atmosphere. These strategies can also rais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As a result, it provides additional motivation for ongoing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education. Key Words:Learning Engagement; Family Functioning; Future Time Perspective; Meaning in Life;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 중국 중학생의 가족 기능, 미래시간조망,삶의 의미 및 학습 몰입의 구조적 관계 정로로 교육 및 문화 콘텐츠 개발학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도교수 이 승 미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중학생들의 학습 몰입은 기초 교육의 질을 측정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가 되었다. 이는 시대적인 긴요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받고 있으며, 더 나아가 교육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필연적인 요구이다. 현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족 기능과 학습 몰입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비교적으로 적다. "부모는 아이들의 첫 번째 선생님이자 최고의 선생님이다"는 말은 가정 요인이 자녀 교육에 미치는 중요성과 영향의 깊이를 어느 정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학습 몰입에 가족 기능, 미래시간조망 및 삶의 의미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미래시간조망과 삶의 의미는 가족 기능과 학습 몰입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강조시의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며, 총 835개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하였다.데이터 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차이 분석, 상관 분석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AMOS 26.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에서 중학생들의 학습 몰입 수준은 중간 수준보다 약간 높다. 가정 친밀도와 적응 수준은 높으며, 미래시간조망과 삶의 의미은 모두 중간 수준보다 높다. 둘째, 중국 중학생들의 학습 몰입은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데, 중국 중학생들은 활력, 공헌, 전체 학습 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만, 집중도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3학년 중학생들은 활력, 공헌, 학습 몰입가 중학 2학년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다. 그리고 성별, 학년, 외동 자녀 여부, 학급 간부,가족 거주지 및 부모 교육 수준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외동 자녀 여부, 학급 간부와 같은 다양한 인구 통계학 변수들은 높은 수준의 학습 몰입와 관련이 있다. (1) 농촌 중학생들은 도시 중학생들보다 높다. (2) 외동 자녀가 아닌 중학생들은 외동 자녀인 중학생들보다 높다. 셋째, 가족 기능, 미래시간조망 및 삶의 의미가 중학생의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 가족 기능은 학습 몰입를 유의하게 예측한다. (2) 미래시간조망은 학습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삶의 의미는 중학생들의 학습 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미래시간조망과 삶의 의미은 가족 기능과 중학생의 학습 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가족 기능은 미래시간조망과 삶의 의미을 매개로 하여 중학생의 학습 몰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로써가족 기능이 중국의 중학생의 학습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이 관계에서 미래시간조망과 삶의 의미의매개효과가 있는 것을밝혀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학습 몰입 및 각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기능, 미래시간조망, 삶의 의미 및 학습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며, 가족 관계와 개인의 심리 및 학업 발달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에게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습 몰입를 향상시키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였다. 1)학교와 가정은 학생들이 미래시간조망과 삶의 의미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더 많은 가정 지원 및 심리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2) 좋은 가족 기능은 감정적 지원을 제공하여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생들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높여, 최종적으로 학습 몰입을 향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3)미래시간조망은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제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밀접한 가정 관계를 구축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적응력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학습 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고 기초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역량을 제공할 수 있다.. 핵심어:학습 몰입;가족 기능;미래시간조망;삶의 의미;중국 중학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