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로사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국문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에 성폭력을 경험하고 그 사실을 폭로하지 못한 상태로 성인이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성폭력의 비폭로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13세 이전에 접촉성 성폭력을 경험하고 성인이 될 때까지 그 사실을 폭로하지 않은 성인 여성 4명을 심층 면담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적 사례분석 결과, 성폭력 피해를 입은 아동이 폭로를 어렵게 하는 요인을 개인내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범주인 개인내적 요인에는 발생 당시의 인지 발달적 제한, 내재된 자기비난, 자기보호 메커니즘이 포함되었다. 아동의 인지적 제한은 아동의 사건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함으로써 폭로를 어렵게 하였다. 나이들 때까지 성폭력이 반복된 경우 뒤늦게나마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 무엇인지를 인식할 수 있었는데, 사건에 자신이 너무 깊숙이 연루된 상태이므로 폭로해도 사람들이 자신을 믿어주지 않고 비난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폭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된 자기 비난은 사건이 자기 탓이라고 생각하게 만듦으로써 죄책감과 수치심, 부끄러움 등을 유발하였다. 또한 성폭력이 반복될 경우 아동은 자신에게 성적인 아이라는 꼬리표를 붙인 뒤 성폭력을 즐긴 것은 아닌지 혹은 자신이 가해자를 유혹한 것은 아닌지 혼란스러워하였으며 이것이 폭로를 어렵게 하였다. 그러면서 기억을 축소시키거나 회피하였고 마치 일어나지 않은 일처럼 기억을 억압하는 경향이 생겼고, 이 역시 폭로를 어렵게 만들었다. 두 번째 범주인 관계적 요인에는 가족 내 어려움, 보호자 태도, 폭로 시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네트워크 부족이 포함되었다. 사건 이전부터 가족 내 어려움이 존재하는 경우 아동은 가족 해체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고 있었으며, 사건 후 자신의 성폭력이 알려지면 진짜로 가족이 해체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짐으로써 폭로를 어렵게 하였다. 특히, 보호자의 태도가 비지지적이고 비양육적일 때 아동은 가족의 해체뿐 아니라 폭로로 인한 비난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폭로를 어려워하였다. 가해자가 친족인 경우 자신의 폭로로 인해 가해자가 가족 내에서 배척되어 더욱 부적응해질 것에 대한 염려를 가짐으로써 폭로의 어려움이 가중 되었다. 가족 뿐 아니라 세상 사람들의 비난에 대한 두려움도 상당해서, 자신의 성폭력 피해가 세상에 알려지면 사람들로부터 배척되고 비난받을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며, 이것이 아동을 관계에서 위축되도록 만들었다. 세 번째 범주인 사회적 요인에는 사회적 통념과 매체가 포함되었다. 아동은 사회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로 자신의 사건을 해석함으로써 폭로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되었다. 아동은 자신이 더 이상 순결하지 않고 더렵혀졌다고 생각하였으며 사건 당시 자신이 노력했다면 피해를 면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자신이 그러한 노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자신도 성폭력을 원했다는 증거로 해서하였다. 언론매체를 통해 성에 대한 잘못된 가치관이 보도되고 성폭력을 폭로한 뒤에 피해자가 감당해야할 다양한 어려움들이 폭넓게 보도됨으로써 아동이 폭로의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키웠고, 결국 폭로하지 못하게 되었기도 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대동소이 했으나, 다른 나라보다 가족 내 어려움과 보호자 요인이 비폭로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혈연 중심적 문화적 특성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성폭력 피해아동의 폭로율이 낮은 이유와 지연된 폭로의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국제해양법상 선박과 기국간 '진정한 관련'에 관한 연구
정로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It has been a general principle that flag states exclusively exercise their jurisdiction and control over ships flying their flag to guarantee security and maintain public order on the High seas. However, As ‘flag of convenience’ that government of the vessel’s flag does not strictly exercise their function began to emerge, serious maritime problems, such as issues of maritime safety, negative effect on marine environment,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an attempt to restrict each state’s right to grant its nationality to ships has been made. Finally, the 1958 Geneva Convention on the High seas and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provide that there must be a ‘genuine link’ between a ship and the state granting its nationality upon that ship. However, there is no shared definition about what a ‘genuine link' truly means and there are no guidelines about what could happen if a ‘genuine link' did not exist, which causes some dispute about the issues of interpreting or applying concept of ‘genuine link’ both between some scholars and between states. Recently,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flag states are getting stronger to solve the problems; piracy,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the marine living sources, IUU(Illegal, Unreported, Unregulated) fishing. The thing to note is that ‘genuine link’ between ships and flag states is currently being reviewed in assigning strict responsibility to flag states. Despite indefinite meaning for ‘genuine link' between ships and flag states, ‘genuine link' is consistently mentioned as a fundamental component for maintenance of security and public order. Hence, a study on‘genuine link’ is needed at present. Thus, this study shows background of discussion and process of development about ‘genuine link’ between ships and flag states under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Also, it will analyze claim of parties and judgement of international courts about ‘genuine link' for International Dispute on marine disputes and evaluate its concept and role. Thereby, It makes us look into the conditions for the grant of its nationality to ships under domestic law and relevant precedents as well. Hereafter, it examines the attitude of government about ‘genuine link' between ships and flag states and evaluates coincidence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study would be a help to identify current legal status about ‘genuine link’ and propose a effective direction for it. This article describes the issue of ‘genuine link’ as follow : The chapter Ⅰ explains the objectives and the scope of this study. The chapter Ⅱ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genuine link’ between a ship and flag states in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which emerged to ensure a flag state’s obligation to ships on high seas. The chapter Ⅲ analyzes international courts’ judgements and the claims of the parties in international legal disputes whose issue of preliminary objection is on a ‘genuine link’ between a ship and flag states. The chapter Ⅳ examines the attitude of Korea’s domestic laws toward the ‘genuine link’ between a ship and flag states. Through it, their compliance and agreement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are judged. Lastly, the chapter Ⅴ, as a conclusion, describes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suggests the future interpretation way of ‘genuine link’ between ships and flag states.
형광검색법을 이용한 환경오염물질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정로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내분비계 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er)은 환경호르몬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물이나 사람의 몸속에서 천연 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해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물질을 총칭하는 말이다. 또한 지방조직과 결합하여 생태계의 오염을 증가시키고 먹이사슬을 통한 인체 내의 축적을 야기 시킨다. Dioxin, Phthalate plasticizer, Hydroxylated polychlorinated biphenyls 등이 대표적인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며, 이들은 도시쓰레기 소각 시 또는 염소 등을 사용하는 산업공정에서 주로 발생될 수 있다 (Safe, 1995: Yang, 1995). 이 물질들은 생식 및 발생상의 장애, 발암성 면역 기능 억제, 간독성, 체중감소 및 급성 치사 등 생체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lborn, 1995; Yang, 1999). 그 동안 다이옥신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측정에는 GC-MS, GC, HPLC와 같은 고가의 분석 장비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 장비의 이용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수주의 시간이 필요하여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따라 우리 주변에 널리 펴져 있는 많은 양의 시료를 신속하게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Ziccardi et al., 2000). 또한 분석 장비를 이용한 방법은 오염물질의 개별적인 농도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으나 두 개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생체 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승효과나 길항작용은 분별할 수 없다. 실제로 환경 중이나 식품 중의 시료에는 단일 물질로 오염된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여러 물질이 혼합 된 상태로 존재함으로 분석 장비만을 이용한 결과는 실질적인 인체 위해성을 과소 또는 과대평가 할 가능성이 있다 (Shelby et al., 1996; Gaido et al., 1997; Gray, 1997). 생체 검색법은 이미 잘 알려진 강력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세포에 반응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시료중의 내분비계 장애현상이 얼마나 있는가를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상대적 평가 체계이다. 따라서 검색법의 바탕이 되는 세포의 특성에 따라 기준이 되는 다이옥신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대사 또는 작용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세포 모델을 사용하느냐가 실질적인 인체 위해성 평가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생체 검색법에 사용하고 있는 암 세포 모델들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대사나 세포내 작용측면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작용을 정확하게 반영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표적이 되는 인체 장기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세포를 이용한 검색방법은 인체 표적장기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세포 체계로서 세포내 대사 등 세포의 특성이 고려되어 개선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KY1.7 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TCDD (0.01 ~10 nM)에 노출 시켜 luciferase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용량-의존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5 nM에서 가장 높은 RLU 값을 나타내었고 10 nM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농도의 오염물질들을 TCDD 농도에 비교한 값으로 환산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CB-126과 PCB-169 (0.1~100 nM)를 각각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PCB에 대해 용량-의존적인 증가를 보였기 때문에 TCDD 독성 등가 값을 이용하여 PCB의 위해성 정도를 예측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농도의 TCDD에서는 PCB-126과 PCB-169의 용량에 따른 RLU 값의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높은 농도의 TCDD에서는 PCB-126과 PCB-169에 의한 luciferase 반응의 저해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CBs에 의한 RLU 값의 감소는 TCDD에 의해 결정되는 독성 등가 값이 PCB-126에 비해 낮은 PCB-169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PCB-169가 AhR에 결합하는 능력은 비슷하나 상대적인 독성 정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TCDD와 PCBs가 혼재하는 환경오염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TCDD와 PCBs의 순수한 양을 알 수 없으므로 실제적인 위해정도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추출 단계에서의 TCDD와 PCBs 등의 순수분리 단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firefly luciferase를 발현하는 인체 상피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환경오염 물질인 TCDD, PCBs 등과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보다 신속한 독성평가에 활용 될 수 있고 TCDD와 PCBs가 혼합되어 있는 시료에서는 TEF 값을 기반으로 한 total equivalency (TEQ)값을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한 측정법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re ubiquitous chemicals that draw public concern over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ssessment of exposure from these chemicals is often difficult and inefficient due to the heavy cost and time-consuming process. The Chemically Activated LUciferase gene eXpression (CALUX) bioassay is a reporter gene mammalian cell bioassay that is nowadays often used as a rapid and inexpensive screening and semi-quantita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TCDD and PCBs. CALUX bioassay has proven valuable for screening for and assessing toxic equivalents of dioxin-like compounds, because it detects all AhR ligands in a variety of sample matrices. Recently, the CALUX bioassay based on human epithelial cell origin, namely, HKY1.7, has been developed and showed an excellent detection efficiency. This study used the human cell bioassay to detec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st potent AhR agonist, TCDD, and PCB congeners. While increase of RLU value over PCB exposure was dose-dependent in presence of low dose TCDD, the pattern of increase was significantly dampened in the presence of high dose TCDD.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 concentration of TCDD in the sample may interfere with the actual response of PCB exposure and lead to the underestimation of PCB toxicity. Higher receptor affinity of TCDD over PCB congeners may dominate the AhR receptors in the cells and block the response of PCB exposure. The results further imply that, in the mixture samples, high concentration of TCDD may underestimate the true values of TEQ in the sample by lowering the sum of TEQ values from PCB exposu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resence of potent AhR agonist, TCDD, in the sample interferes with the toxic estimation from PCB exposure, suggesting that the presence of specific strong AhR agonists in the sample should be identified to take into account the competition over the same receptor sites and improve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emicals.
중년 남성의 괜찮은 일,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와 Erikson의 생산성
본 연구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괜찮은 일,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와 생산성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일의 심리학(PWT)을 기반으로 한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K-DWS; Nam & Kim, 2019)의 단축형을 구성하고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의 단축형을 구성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Duffy et al., 2024) 제안에 따라 부정문항을 긍정문항으로 변경하여 문항을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후 20대∼60대 일하는 성인 남녀 15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 15문항에 대해 Bifactor 모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각 요인별로 일반요인에 높은 요인부하량을 보인 5문항을 선정하여 단축형을 구성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K-DWS 단축형은 K-DWS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축형 척도-준거 변인 간 상관패턴과 원척도-준거 변인 간 상관패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단축형 척도가 원척도를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성별 집단별 동등성 결과는 연령별 동등성은 검증되었고, 성별 동등성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괜찮은 일과 생산성 간의 관계를 자기결정욕구와 일의 의미가 순차매개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40∼55세 중년 남성 근로자 2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괜찮은 일은 자기결정욕구, 일의 의미 및 생산성과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냈다. 둘째, 괜찮은 일은 자기결정욕구에 정적 영향을, 자기결정욕구는 일의 의미와 생산성에 정적 영향을, 일의 의미는 생산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구성되는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괜찮은 일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욕구와 일의 의미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첫째, 괜찮은 일의 5가지 요소를 모두 반영한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고 타당화하였다. K-DWS 단축형은 괜찮은 일과 다양한 변인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할 때, 설문 응답자의 부담을 줄여 경제성과 유용성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일의 심리학 이론, 심리사회발달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연계하여 괜찮은 일의 결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일의 영역에서 중년기 발달과업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들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 장면에서 괜찮은 일과 생산성(generativity)의 관계에서 중년 남성 근로자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책자에게는 괜찮은 일의 중요성을, 조직에는 근로자의 생산성을 증진할 수 있는 업무 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established and empirically tested a structural model based on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cent work, self-determination needs,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in middle-aged men. To achieve this, a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ent Work Scale (K-DWS; Nam & Kim, 2019), grounded i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Study 1, we constructed and validated a shortened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ent Work Scale.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ed the items by changing the negative items to positive items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previous research (Duffy et al., 2024) and checked the reliability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We then analyzed the data of 155 adult men and women who are currently working between the ages of twenty and sixty. After carrying ou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15 items of the K-DWS using a bifactor model, we selected five items with high factor loading to be the general factors of each factor to make a short form.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short form of the K-DWS and the K-DWS.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 correlation patterns of the short form criterion-reference variables and those of the original criterion-reference variabl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short form fully reflected the original scale. Finally, we verified equivalence among age groups and partially confirmed equivalence between gender groups. In Study 2, we tested the structural relations in which self-determination needs and meaning of work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generativity by analyzing the data of 250 middle-aged male workers aged 40-55.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cent work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 determination needs,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Second, decent work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needs, which in turn had positive effects on meaning of work and generativity. Meaning of work had positive effects on generativity, and the mediating path composed among them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imply that self-determination needs and meaning of work ar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generativity. This study first devised and validated a short form of the K-DWS to reflect all the five elements of decent work. The short form of the K-DW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reduce the burden on survey respondents and add economy and utility when testing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diverse variables. Secondly, the study demonstrated the outcomes of decent work empirically by connecting PWT, 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ies, and findings of previous work,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findings verified th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generativity, which is a development task in the realm of work for middle age. The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male workers in relations between decent work and generativity in counseling scenes. In addition, they can provide policymakers with insights into the importance of decent work and offer organizations basic data on creating work environments that foster worker generativity.
정로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Vocabulary learning is essential in language achievement for leaners. Videos have been considered as effective materials with meaningful contexts and both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Advantages of using videos can be maximized through blended learning.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mpact of using video clips i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in blended learning at university level. Therefore,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plore the patterns of learning vocabulary using video clips in blended learning, to investigate students' perspectives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video clips for learning vocabulary in blended learning, to examine students’ perspectives and preferences for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for learning vocabulary, and to suggest a vocabulary instructional model using video clips in blended learning a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wenty one students participated in L2 listening class at a language institute in S university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one hour of the class a week for 12 weeks. Seven video clips from an American sitcom were used in this study and 70 target words were taught with implemented activities in online and offline session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data from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quantitative data from pre- and post- vocabulary tests, performance assessment, a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55% of the students guessed the meaning of the words with visual, contextual, and verbal clues from video clips. Second, the students’ overall perspectives on using video clips for learning vocabulary in blended learning were very positive. Third, the students had generally positive perspectives on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Guessing the meaning of the words and filling out the summary were the most preferred offline and online activity respectively. Finally, the students’ vocabulary test scores increased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s, so it indicated that using video clips in blended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vocabulary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vocabulary instructional model and implications were made for the effective use of video clips for students’ vocabulary development in blende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