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효정,이귀옥 한국청소년학회 2002 청소년학연구 Vol.9 No.2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stress and maladjustment in adolescence. However, the mechanism of attachment transfer and the effects of early attachment experiences on stress perception were not answered yet.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 of attachment transfer from parents to friends, and the effects of early attachment history with mother in the stress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ce. The results show the majority of participants(60%) wer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ttachment-related functions from parents to peers.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early attachment history with mother on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using stress resolution strategy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during adolescence. 유아기 부모와 형성한 애착유형이 내적 실행모델에 의해 청소년기 또래관계에서 일관성 있게 지속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애착이 어떤 과정을 통해 부모에게서 또래로 전이되는지를 Hazan 등에 의해 제시된 애착전이모형(Hazan, Hutt, Sturgeon, & Bricker, 1991; Hazan & Shaver, 1994)을 통해 검증하였다. 나아가,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과 현재 또래 애착이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인식과 대처방법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연구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애착전이에 관한 설문조사(전효정 & 이귀옥, 2000)와 같이 Hazan의 애착전이 과정 모델을 지지한다(Fraley & Davis, 1997). 유아기 어머니와 애착경험과 현재 또래와 애착유형에 따라 현재 부모와의 관계와 가족의 친밀도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애착유형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법에 있어서 애착유형은 일부 스스로 해결방법의 사용에 있어서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애착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애착유형은 현재 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유아기 어머니와 안정형 애착 경험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고, 불안형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았으며, 이와 유사하게 청소년기 또래와 안정형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고, 불안정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이와 같이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은 성격의 중요한 특성으로, 이후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와 다양한 상황에서의 관계의 인식과 지각에 영향을 주어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유아기에 형성된 애착유형의 지속성의 여부와 애착전이 과정에 대한 보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는 종단적 연구와 보다 정교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전자영수증 확산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효정,김태성 한국IT서비스학회 2018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7 No.2

        An electronic receipt (e-receipt) is a receipt issued electronically in place of a traditional paper receipt. This e-receipt, which can be accessed on a smartphone or online, allows for the exchange of goods, refunds, and other services without a paper receipt.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widespread dissemination of e-receipts to realize a society without paper by 2020. Introduction of the e-receipt has begun in mainly large marts and coffee shops, and recently, major franchise convenience stores. As a result, individual customer's transactions are being converted into electronic transactions, and the payment methods are changing to card-based electronic payment services or prepaid electronic payment services. The number of non-paper commercial transactions are also on the increase. In this paper, we try to identify the e-receipt industry ecosystem by analyzing the industries and market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receipt issuance from the perspectives of storage, management and disposal, and to analyze the domestic industrial and social economic effects expected from the spread of electronic receipts.

      • KCI등재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 요인에 대한요구도 분석

        전효정,고은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의 현재 수준의 실태 및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영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직업적 안녕과 개인적 안녕을 포괄한 행복의 5개의 하위요인 및 21개의 세부요인들에 대한 현재만족실태와 개선에 대한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Borich의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 분석, 교사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상위 요인은 여가 및 신체적 안녕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 요구가 높게 나타난 세부요인으로 시간적 여유, 신체적 건강, 보수효능, 여가생활, 복지제도, 근무환경이 도출되었다. 셋째, 유치원교사는 기관 만족, 보육교사는 전문성 만족 세부요인에서 상대적으로 요구도가 더 높았다. 영유아교사의 포괄적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요인을 중심으로 교사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s to improve their comprehensive happiness 5 sub factors and lower 21 detail factors. To collect data,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150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SPSS 22.0 and Excel 20.0 Program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the Borich reques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lso utilized. From the analysis with the Borich request scale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pare-time and physical well-be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rehensive well-being 5 sub factors. Further, kindergarten teachers require organizational satisfaction, while child care teachers require efficacy about class management.

      • KCI등재

        지하철 환승역의 길찾기 스트레스 측정에 관한 실험 연구

        전효정,정진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failure of wayfinding which can be considered minor, affects the user's stress. The researcher set up the sign’s obscurity, location, angle, and so on, which are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people wander the subway transit st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determine whether it affects the wayfinding results and whether the wayfinding results affect the user's stres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virtual spaces. In the control group, all the signs were in the direction of human viewing, and signs were placed at appropriate distances. The experimental group is a space in which the signs are hidden by another object such as pillars or are not located at the viewing angle and direction so that the signs cannot be found at once, and there is a section in which the sign is not arranged at a proper distance. In these two virtual reality spac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designated destination within the time limit, and the post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ress according to the wayfinding result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uccessful experiments within the time limit, the time taken to the arrival point,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vocabulary related to the stress response, and the difficulty of the experiment.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d the wayfinding results and stress, and the wayfinding results influenced the stress of the user. Although the wayfinding failure in this study was very simple and insignificant, most of the subjects showed a stress response through the selfdiagno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wayfinding mistakes in unusual environments may be greater than the stress levels measur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wayfinding problem should not be approached simply from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of users using space, but from the user's emotional point of view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사소하다고 생각되어질 수 있는 길찾기의 실패가 사용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철 환승역에서 길을 헤매게 만드는 환경요인인 사인의 가림, 위치, 각도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해 길찾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로 인한 길찾기 결과가 사용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은 두 개의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대조군은 사인이 모두 사람이 보는 방향에 있으며, 적정거리마다 사인이 배치되었다. 실험군은 사인이기둥 등과 같은 다른 사물에 의해 가려져 있거나, 보는 각도와 방향에 위치하지 않아 사인을 단번에찾을 수 없고, 적정거리마다 사인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구간이 존재하는 공간이다. 이 두 가상현실공간에서 제한 시간 내에 지정된 목적지를 찾는 실험을 진행하고 사후 설문지 작성을 통해 길찾기 결과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두 개의 실험 공간에서 제한 시간 내에 실험을 성공한 횟수와 도착지점까지 소요된 시간,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긍정 및 부정 감정 어휘, 그리고 실험의 난이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환경요인이 길찾기 결과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그 길찾기 결과는 사용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길찾기 실패는 아주 단순하고 매우 미미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피험자들 대부분은 자가진단을 통해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일상적이지 않은 환경에서의 상대적으로 큰 길찾기 실수는 본 연구에서 측정된 스트레스 정도보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길찾기 문제는 사용자들이 공간을 사용하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단순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적 입장에서 폭넓게 확장되어 접근되어야 한다.

      •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성인기 애착유형과 배우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전효정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1999 영유아보육연구 Vol.5 No.-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incipal assumption--person-environment interaction, including the roles of person, context, and process in Korean marriages was tested. As pan of an investigation of the mechanisms and relative contributions of personal and social attributes in partner selection and marital relationships, two hundred Korean couple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tudy that included standard measures of attachment, demographics, and marital adjustment. There is significant effects of childhood attachment on one's adulthood attachment style. The hypothesis, 4untinuity of attachment style from childhood to adulthood, was supported. There is relatively high dyadic similarity on attachment style between couples. Among structural attributes, education and S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adjustment, while 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marital adjustment. However, the degree of matching on any variabl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al adjustment. Individual disposi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marital adjustment, while dyadic similarity was not, suggesting that person factors are more important for marital adjustment than are such environmental factors as dyadic similarity. Further, the degree of homogamy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al adjustment.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research on marriage and personality are discussed, as ar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유아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전효정,고은경 인지발달중재학회 2015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기간 을 제한하지 않고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포함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KISS, DBPIA, RISS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유아 행복’, ‘유아 웰빙’, ‘유아 삶의 질’, ‘유아 삶 의 만족’으로 검색을 시행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2,166편이었으며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 한 검색 전략으로 최종 선정된 논문은 14편이었고 그중 12편의 논문이 메타분석에 사용되었 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들은 2010년대 이후에 대부분 발표되었으며 만4세와 만5세 유아 학 급을 단위로 연구자와 담임교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중재방법으로는 자연?신체 활동과 그림 책 활용의 활동들이 이루어졌다. 둘째, 모든 연구물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특히 자연?신체 활동 프로그램들이 높은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 행복감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Feuerstein의 인지발달 중재프로그램 개관

        전효정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2

        본고에서는 역동적 지능관에 바탕을 둔 대표적인 인지발달 중재프로그램의 하나인 Feuerstein의 중재프로그램(Feuerstein Instrumental Enrichment: FIE)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심리학자인 Reuven Feuerstein(1979)은 모든 인간은 자신을 변형시킬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부족한 인지적 기능은 적절한 중재를 통해 언제든 보상이 가능하다는 구조적 인지수정이론(Structural Cognitive Modifiability)을 주장하였다.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Vygotsky의 인지이론 및 정보처리이론과 대비되는 FIE 프로그램은 만 3세에서 성인까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도구를 매체로 하는 인지발달 중재프로그램이다. Feuerstein의 구조적 인지수정이론을 살펴보고, 응용프로그램(LPAD, IE 도구: Standard, Basic)을 소개하고 장애인, 일반인 그리고 작업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하는 현황을 개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