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命理書의 以訛傳訛 원인과 해결방안 연구

        전민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meticulously investigate the root causes of compounded errors and misinterpretations within Mìnglĭ texts and propose effective solutions to prevent their perpetuation in subsequent works. Given the historical secrecy and complexity surrounding Mìnglĭ studies, numerous misconceptions have seeped into theories posited by past authors and interpreters. Notably, there exists a conspicuous lack of dedicated research addressing the genesis and resolution of these compounded errors within Mìnglĭ literature. This research classifies these compounded errors into two primary domains: discrepancies in literature information and challenges in the theory of fate interpretation. The former involves issues concerning Luòlùzi and Guĭgŭzi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encompassing complexities related to authors, annotators, theories, and annotations. Meanwhile, the latter delves into misinterpretations of the sexagenary cycle theory, viewing fortune-telling allegorically rather than comprehending the essence of yin and yang energies. The proposed solutions addressing literature information discrepancies involve rectifying historical inaccuracies by establishing the accurate era of Luòlùzi and Guĭgŭzi during the Tang Dynasty, contrary to prevailing assumptions regarding the Age of Civil Wars. Moreover, manuscripts attributed to figures like 'Xiāoxifù' and 'Guĭgŭzi' were authored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not the speculated timeframes. The 'Lǐxūzhōngmìngshū' compilation originated from the Song and Ming Dynasties, referencing pivotal Mìnglĭ works. Clarification is provided regarding titular usage, such as 'Xúzipíng' as a Mìnglĭ book, not a personal name, and attributions like 'Dītiānsuĭ' to 'LiúJī'. Resolutions are also proposed for thematic issues within texts like 'Mìnglĭzhèngzōng', 'Mìnglĭyuēyán', 'Qióngtōngbǎojiànpíngzhù', and 'Zipíngzhēnquánpíngzhù'. Likewise, the study suggests remedies for errors arising from the theory of fate interpretation, addressing misapplications of the sexagenary cycle theory and misconstrued external patterns. These solutions aim to clarify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errors stemming from the sexagenary cycle theory, rectify misconceptions arising from misapplied external patterns, balance energies regarding issues of reducing strength and aiding weakness, and differentiate misconstrued similarities within the sexagenary cycle. These proposed solutions encompass the causes and viable remedies for compounded errors within Mìnglĭ literature. The study’s findings not only offer substantial insights into unresolved issues but also pave the way for further comprehensive research, thereb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continued evolution of Mìnglĭ studies. 본 연구는 명리서의 以訛傳訛 원인을 밝히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명리학은 오랫동안 음지의 학문으로 전승되어 발생 시대와 저자 및 注解者, 명리 이론과 주석뿐만 아니라 간명입식에서 이와전와가 발생했다. 그러나 명리서의 이와전와 원인과 해결방안을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이와전와는 문헌정보 문제와 간명입식 문제 2가지로 구분한다. 첫째, 문헌정보 문제는 명리서의 발생 시대 및 저자와 주해자, 이론과 주석에 있다. 둘째, 간명입식 문제는 『子平眞詮』 「論時說以訛傳訛」에서 말하는 간지를 體象歌訣의 이론으로 삼는 문제, 격국을 外格에서 찾는 문제, 생극을 傷旺扶弱에서 찾는 문제, 행운을 干支相類로 보는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문헌정보 문제의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명리의 始原이라는 낙록자와 귀곡자는 戰國時代가 아니라 六朝에서 唐代 사람이며, 저서인 『消息賦』와 『鬼谷子』는 唐·宋代의 명리서로 바로 잡는다. 『袁天綱』은 대운수 적용과 이론을 볼 때, 唐代가 아니라 宋·明代에 편찬되었고 원수성을 가탁했다. 현존하는 『李虛中命書』는 宋代의 『五行精記』와 明代의 『永樂大全』을 엮은 위서이다. 『玉照定眞經』은 곽박을 가탁했고, 서자평은 이름이 아니라 술수류의 명칭이다. 『滴天髓』는 유기를 주해자로 가탁했다. 『命理正宗』의 四病과 四藥은 調候와 幇身으로 해결한다. 『命理約言』의 일간의 억부는 월령의 억부로 해결한다. 『窮通寶鑑評註』의 절기마다 적용된 조후는 여름의 木일간과 겨울의 金·木일간으로 해결한다. 『子平眞詮評註』의 5가지 용신법은 월령용신으로 해결한다. 간명입식 문제의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體象歌訣로 발생한 간지의 이와전와는 사길격과 사흉격으로 구분하여 해결한다. 外格으로 발생한 격국의 이와전와는 변격과 겸격으로 구분하여 해결한다. 傷旺扶弱으로 발생한 생극의 이와전와는 상신과 구응으로 구분하여 해결한다. 干支相類로 발생한 행운의 이와전와는 干支有別과 同中有異로 구분하여 해결한다. 본 연구에서 명확하게 밝히지 못한 이와전와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세밀하게 밝혀서 명리학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성인학습자의 명리학 강좌 참여동기와 학습경험 : A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명리학 강좌 참여자를 중심으로

        전민희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는 한 곳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성인학습자의 명리학 강좌 참여동기와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된 적이 없었던 점에 주목하여 평생교육학계에서 명리학이 새롭게 조명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되어 연구를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의 명리학 강좌 참여동기와 학습경험을 알아보고, 명리학 강좌 참여가 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A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의 명리학 강좌 참여자를 사례로 하여 명리학 강좌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지, 참여과정에서는 어떤 다양한 학습을 경험했는지 탐색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있어 명리학 강좌 참여가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 유형 및 학습경험의 내용과 관련한 이론, 그리고 명리학과 평생교육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이 명리학 강좌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인생 해결형 동기, 타인 권유형 동기, 학습 지향형 동기, 도피 수단형 동기로 총 4가지 유형의 동기로 참여를 한다. 인생 해결형 동기는 자신의 삶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타인 권유형 동기는 주변의 삶의 환경에서 만나는 많은 사람들의 권유로 참여하게 된 유형이다. 학습 지향형 동기는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즐기면서 자신에 대해 알 수 있는 명리학을 접하게 되어 학습을 충족하기 위해서, 명리학 구성에서 수학적 논리의 짜임이 발견되어 호기심 충족으로 참여하게 된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도피 수단형 동기는 현실의 힘든 삶을 도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참여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대체로 한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동기를 가지고 명리학 강좌에 임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들은 명리학 강좌 참여과정에서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통한높은 만족도의 실전명조풀이 시간, 명주의 삶에 동화 되는 경험, 인생 공부를 함께 하는 일원으로써 유대감 형성, 든든한 교수자의 핵심역할로 인한 학습자들이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경험을 한다. 먼저, 학습자들이 독특하다고 생각하는 명조(=사주)를 수집해 와서 직접 칠판에 쓴 후 교수자와 학습자가 함께 풀어나가는 방식을 보였다. 이러한 능동적인 교육 방법으로 인해 학습자들에게 교육의 만족감을 높이고 있었다. 또한 풀이 과정에서 여러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학습경험을 하였고, 다양한 명조 속의 명주(命主)가 처해 있는 상황에 시시각각으로 감정의 변화를 느끼며 동화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함께 배우면서 지식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었고, 같은 인생 공부를 하는 일원으로써 유대감을 형성하는 경험을 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든든한 안내자가 되어 어려운 문제를 논리적으로 풀어주면서 학습자들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주고, 수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도 공유하며 지속적으로 참여를 하게끔 유도하고 있었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명리학 강좌 참여의 의미에서는 배운 것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여주는 자신감과 용기, ‘비움’을 통한 자아성찰, 일상생활에 있어긍정적인 시선의 변화로 인한 이해심과 수용 능력의 향상, 미래 계획으로 나아가는 힘찬 발걸음이다. 학습자들은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배운 것을 적용하면서 문제점이나 해결책 등을 알려주었다. 이렇게 배운 것을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신감과 용기가 생겼다. 또한 학습자들은 참여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회고하고 타인의 삶을 조명하면서 비움을 통한 자아성찰을 하고 내적 변화를 일으키기도 했다. 그리고 학습경험을 통해 학습자들과 타인이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에서도 새로운 긍정적인 변화로 이끌어 나가면서 이해심을 높이고 포용력이 증대되고 있음을 느꼈다. 이로써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명리학 강좌 참여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삶과 관련된 미래의 계획에 맞춰 현실성 있게 세워 나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명리학 강좌 참여동기와 학습경험을 살펴보면서 명리학을 평생교육 분야와 접목하여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연구임을 제시하고, 이러한 연구가 처음으로 시도된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이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지속적이고도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었으면 한다.

      •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바람직한 교육적 접근방법

        전민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하게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1.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의 실태와 반응양식은 어떠한가? 1-1.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의 실태는 어떠한가? 1-2.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반응양식은 어떠한가? 2.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정도와 가치인식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정도는 어떠한가? 2-2.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가치인식은 어떠한가? 3.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의 바람직한 교육적 접근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수원, 용인, 화성) 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이미 신뢰도와 타탕도가 검증된 도구들을 예비조사와 유아교육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해 이윤희(2009)가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 하였고, 배부된 설문지 300부 중 265(88%)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무응답 문항 및 중복답변이 있는 4부의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61(87%)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 상관분석,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 하였다. 또한 설문지 작성에 참여한 교사들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기관에서 대부분의 아이들이 즐기며 일상생활 속에서 빈번하게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친 신체놀이는 실내와 실외에 따라 서로 다른 행동 유형이 나타났는데 실외에서는 쫓고 쫓기는 추적놀이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실내에서는 싸움과 유사형태인 동작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소에서는 교실 내 흥미 영역과 교실 외의 실내 넓은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특별히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거친 신체놀이를 싸움놀이와 가장 유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안전 상의 문제로 거친 신체놀이를 대체로 금지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 정도는 굉장히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아교육 전문가로서 거친 신체놀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거친 신체놀이가 영유아의 자연스러운 놀이의 하나로 이해하고 그에 따른 문제에 대해 생각해보며 도움이 될 만한 지도 방법이나 전문적인 지식에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가치인식에서도 마찬가지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의 장애요인에 대한 문항에서는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는데, 자녀의 안전에 대한 부모의 민감함과 기관장의 안전사고 예방 요구 , 좁은 교실 공간에 비해 많은 수의 유아 때문에 라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정도가 높았다. 이를 볼 때 부모들이 자녀의 안전에 매우 예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관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방법으로는 거친 신체놀이에 관한 교육을 통해 영유아들이 충분히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교사들은 거친 신체놀이가 주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적절히 참여하며 폭력성을 최대한 줄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다면 교육적으로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거친 신체놀이가 영유아에게 미치는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문제 해결력 발달, 창의적인 사고력 발달 등 긍정적인 영향을 활용한 영유아를 위한 보다 다양한 활동이 연구되어 개발되어지기를 바란다.

      • 복합문화공간 방문 의사결정에 대한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모델 탐색 : 복합문화공간 코엑스 별마당도서관을 중심으로

        전민희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visitors to the complex cultural space emerging as a new fusion space in the city center based on Theory of Reasoned Action(TRA)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irst of all, the landmark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isitors' attitude toward the place. Second, the consumer empathy factors were identified by dividing them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it was found that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sitor's attitude toward the place. In addition, cognitive empathy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than emotional empathy factors. Thir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subjective norms affect the intent of the visit. Based on these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presents that landmarks and consumer empathy factors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visitors, and offer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consumer empathy in shaping attitudes to places. 본 연구는 도심 속 새로운 융복합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그곳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의 의사결정과정을 합리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탐색하고, 최적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랜드마크 인지요인이 복합문화공간을 방문하는 방문객의 장소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공감요인은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으로 나누어 확인한 결과 모두 방문객의 장소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 만 아니라 인지적 공감 요인이 정서적 공감 요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합리적 행동이론의 주관적 규범 요인이 태도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보다는 부족하지만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랜드마크 인지요인과 소비자 공감요인이 방문객의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하며 장소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 소비자 공감 반응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전민희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서관의 문헌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기 위한 정보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서관 이용자가 문헌 위치를 찾기 위해 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웹 또는 키오스크와 같은 설치물로 검색을 하여 청구기호를 얻는다. 이 청구기호는 각각의 문헌마다 갖고 있는 고유번호로써 이를 통해 서가 배치도, 사인, 라벨 등의 여러 시각 정보물을 통하여 위치를 찾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가 접하는 정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살펴보고 문헌 위치 정보 시각화의 문제점을 찾아 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환경과 시각 정보물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도서관의 정보들은 이용자에게 적절한 시간 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준과 순서로 배열되고 있다. 이들 기준에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문헌분류체계를 들 수 있다. 이 문헌분류체계의 목적은 방대한 양의 문헌에서 관련성 있는 문헌을 선별하여 한 곳에 모아둠으로써 이용자는 관련 주제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도서관 측면에서는 정보검색과 정보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문헌 위치 정보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제공 되고 있다. 문헌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디지털매체, 위치의 방향을 유도하고 기명하는 사인물, 그 외에 도서관 안내를 위한 여러 인쇄물 등의 매체를 접할 수 있다. 이들은 상호적으로 위치의 접근을 돕고 있으므로 이용자 시선에서 일관되게 보여야 정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가대표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을, 최근에 개관한 국내의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과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을, 국외 사례로는 미국 산호세주립대학교 마틴루터(DR. Martin Luther King, JP. Library)도서관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문헌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공간안내도와 검색시스템, 서가사인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서가사인에 분류항목명을 기재함으로써 이용자의 문헌탐색을 도왔고,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청구기호 검색결과를 그래픽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문헌 위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서가사인은 서가의 일련번호 아이덴티티와 색채분류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산호세주립대학교 마틴루터도서관의 공간안내도에서는 서가의 시작점과 배열된 순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려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 이용목적이 모두 다르고 문헌을 찾는 방법이 다양하여 한 가지 시각 정보물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정보탐색의 시작점 또한 불특정하다. 때문에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보 디자인이 계획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위의 사례에서는 각 매체마다 시각적 표현이 다르고 통일성이 없어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따라서 웹, 공간, 서가에 적용된 문헌 위치 정보의 수월성과 이용자들의 효율적 인지를 위한 정보의 시각화, 즉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적용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 위치 정보 디자인의 아이덴티티와, 문헌분류체계를 시각화하기 위한 색채 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통일된 시각적 표현으로 일관성을 지녀야 하며 상호 연계된 호환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도서관 이용자가 다양한 측면에서 문헌 탐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체계화를 통해 도서관이 보다 편리하고 친근하며,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on information design development to recognize efficiently information in library literature location. If we look through searching process when finding the literature location, generally speaking, we obtain the call number from the web or kiosks. This call number is an identification number on each literature, and we’re able to find the literature location from several visual signs – bookshelves map, index number, and each book label, etc. In this process, after seeing how an efficient communication is delivered to the users, I’d like to present the better way to provide an efficient communication, solving several problems. Consequently, after analyzing the library’s environment and visual media, several results are found based 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design. First, in the library,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to the users within a certain amount of time, all the information is well-arranged and put everything in order. One of representative examples is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is to sort out related literature from the vast quantities of literature by storing them ina space, so the users are able to search the related topics easily, in addition, the library can provide a better and faster information searching service to the users. Second, the literature location system has been provided by various media: a digital media to search the literature information, a signage system to direct and display information, and several print media to be used as library catalogs. These media increase the accessibility each other, and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if it is displayed consistently to the users. For this case study, I selected and analyze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wo libraries that were just opened recently, Yeonsei University Library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one library in California, U.S., San José State University Library, called Martin Luther King, Jr. Library. After thoroughl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library based on space map, searching system, and index number,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 classified item was included on each index number, so that it was very helpful for the users when they searched the literature. In Yeonsei University Library, searching system helped the users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location, by showing the result of call number visually with graphic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index number was well-displayed to be recognized easily, by bookshelves’ identity number and color classification, and in Martin Luther King, Jr. Library (MLK Library), the space map on each floor helped the users recognize easily the starting point and arranged order of the bookshelves. However, since all users have different purposes to visit the library and their searching method is various as well, the users cannot relyon only one visual medium, and the staring point to search information is also unspecified. In this case, information design is necessary to be planned with considering the possible accessibility, but in these examples, since each medium has different visual representations with inconsistency, the better communication is not occurred. Therefore, information visualization – for easiness of information and the users’ efficient recognition on the web, space, and bookshelves – in other words, information design for the literature location is required. For this case, with an exemplific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 propose several design examples as below; First, a color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visualize design identity for information design of the literature location and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Second, it should be consistent with unified visual representations and compatibilities. Third, the users should be able to search the literature with various accessibilities. Through visual systematization, I hav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is case study, suggesting a fundamental material that the library, as a more convenient and friendly space, meets the cultural desire.

      • 소아청소년의 알레르기질환 유병률과 내부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

        전민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레르기질환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성인에 비하여 소아·청소년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 되어왔다. 성인의 알레르기질환은 영유아기 및 소아기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알레르기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인 알레르겐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환경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밝혀지며, 대기오염은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소아·청소년의 가정환경 및 사회경제적인요인이 알레르기질환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5기(2010-2012), 제6기(2013-2014)의 5개년 자료와 환경부의 대기오염원 현황, 기상청의 자료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아·청소년의 알레르기질환 중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을 파악하였다. 또한, 천식, 아토피피부염 및 알레르기비염에 따라 환경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유병률은 알레르기비염 22.64%, 아토피피부염 14.33%, 천식 4.64%순이며, 알레르기비염이 내부 환경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s higher than adults. Allergic diseases in adults has its roots in their childhood. The substance of the allergic diseases that causes the allergic diseases is diversifying. In particular, environmental factors and air pollution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allergic diseases. The home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factors also have influence on the allergic diseas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f 5th(2010-2012) and 6th(2013-2014) with air pollutants data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weather data from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roughout the statistical analysis we identified prevalence of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y rhiniti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t was found that effects of environment factors on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y rhinitis are different.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are 22.64%, 14.33%, and 4.64%, respectively. It also was found that the allergic rhinitis strongly is influenced by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 老年期 女性의 人體 局所加溫이 皮膚溫에 미치는 영향

        전민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n elementary course to design functional clothing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 age women.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al were health 5 old age women and 5 college women. During the subjects were exposed to the circumstances of 28 ±0.5℃ and local heating at 7 area (chest, abdomen, back, loin, hand, thigh, instep) of subjects skin temperature, physiological rection, and psychological rection were determined. The conclusions about the effects of local heating on their results are as follows. 1. Before heating, skin temperatures of old age women were in order of head & neck > trunk > the upper limbs > the lower limbs parts, and those of young women were in order of head & neck > trunk > the lower limbs > the upper limbs parts. So in the limited part old women's skin temperature was lower then young women's. In the whole mean skin temperature, old women were lower then young women. 2. In the changes of the skin temperature of the heating area to which applied the sudden increasing and decreasing parts in using heating pad for 30 minutes were the same both old women and young women and the changes happended after using heating pad in 5 minutes later and removing it in 5 minutes. All of them had great changes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in body part. In old women especially the loin and chest(r=0.77, r=0.66) had great changes In young women the order was the loin(r=0.99), the thigh, the abdomen(r=0.75, r=0.72). 3. when heating bodily temperature, 36.5∼36.8℃� was hardly changed both young and old woen as before. Blood pressure and pulsation were greatly changed both of them without showing any settled aspects. In old women the blood pressure of constracyion and extension were high and pulse frequency was lower then young women's. 4. In psychological response, the sense of heat and cold was 'neutral' both of them after using heating pad and removing it, and the sense of comfortable could be found in young and old women but on both responses old women were lower then young. 5. In the effect on other parts, heating the loin of old women affected not only the skin temperature increasing of body part but also the whole bodily temperature, but heating the chest, abdomen and back(abdomen) didn't affect other part's skin temperature increasing. Heating the chest, the abdomen, and back, and loin did affect the skin temperature of the body part as well as the whole bodily skin temperature. Heating to hand in the limbs couldn't affect the skin temperature increasing of foot. While applying heat to foot could affect the skin temprrature increasing of hand as well as the whole bodily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