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경험 분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장선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ositive experiences of students, along with the difficulties inherent in team-based learning, and to document the students’ perception regarding the help they received from their instruct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ritten by 99 learners who experienced team-based learn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d recognized 1) the value of intellectual interest and knowledge application, 2) the importance of team activities, and 3) the improvement of their enthusiastic attitude and confidence felt toward TBL classes. Second,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1) collaborating with their team members, 2) solving readiness test and application problems, 3) overcoming academic burdens, and 4) expressing their opinions. Third, learners are encouraged by 1) an instructor’s adequate scaffolding, 2) guidance and support for the TBL class, and 3) a respectful attitude displayed towards them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 as well as the latter’s enthusiasm for the TBL cla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and discussion were provided.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 긍정적 경험 및 어려움, 학습자가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교수자의도움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팀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처방적인 지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기반학습을 경험한 99명의 학습자가 작성한 성찰일지와 서면 인터뷰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지적 흥미 및 지식적용의 가치와 팀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 태도 및 자신감이 향상되는 긍정적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팀기반학습을 하는동안 협업의 어려움, 문제해결의 어려움, 학업부담을 극복하는 어려움, 의사표현의 어려움 등을 겪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스캐폴딩 제공, 팀기반학습안내 및 문제해결 지원, 수업에 열정을 가지고 학습자들을 존중하는 태도 등이 학습자들이 과제를성공적으로 해결하는데 필요한 도움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기반학습 설계 시 주의사항, 평가에 대한 학습자와의 합의, 팀기반학습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의 중요성, 교수자와 학습자간의소통기회 제공 등과 관련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진로탐색효능감이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성별에 따른 적응유연성신념의 매개 효과
장선영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녀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수원지역의 대학생 271명으로, 남자 91명, 여자 180명이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프로그램 PROCESS에서 Boots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신념은 진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search efficac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y belief(RB).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s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271 college students in last semester. Correlation analysis, t-tes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resiliency belief,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resiliency belief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respectively. Second,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ed in the major variables except for the part of employment-preparation(political job exploration, nonpolitical job exploration, endurance level of effort for employment) and preliminary job employment, positive job employment of 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s. Among the three RB forms including active skill acquisition, future orientation and independence/risk-taking, only independence/risk-taking RB partially mediated an career search 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 males.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Interactive Metronome® 훈련의 효과
장선영,박지원,이시원,이지혜,장경민,최빛나,김수경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12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4 No.-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아동을 대상으로 독립변인인 Interactive Metronome®(IM) 중재를 실시했을 때, 실시 후에 종속변인인 주의집중력에 속하는 충동적인 반응 감소와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 관련검사에서 ADHD 아동 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일사례 연구(Single-case research) 방법 중 ABA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2011년 8월 12일부터 9월 25일까지, 약 7주간 기초선(A) 3회기, 중재선(B) 15회기, 유지선(A') 3회기를 시행하였다. 평가로는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기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 K-CBCL),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 : CNT), IM의 Long Form Test(LF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IM Short Form Test(SFT)를 중재선 회기동안 훈련 이전에 실시하여, 기준음(reference sound)과 안내음 (guide sound)을 구분하는지 그리고 점차적인 집중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ADHD 아동의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관찰 측정, 전산화신경인지기능 검사, K-CBCL, 그리고 IM LFT의 결과들은 각각 표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과제수행에 따른 집중하지 못하는 행동 빈도수는 22.6회에서 7.8회로 감소하였고, IM LFT에서 운동과제 평균치는 104.0ms에서 49.5ms로 시간이 감소하였다. CNT의 항목 T점수들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K-CBCL의 하위 항목의 T점수들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IM 중재가 ADHD 대상자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이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 더 객관적이고 일반화 가능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f Interactive Metronome®(IM), the independent variable, on decreasing impulsive behavior and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n ADHD child, both of which indicate the degree of attentive concentration, the dependent variable.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ABA design among single-case research methods with one child who has been evaluated as ADHD-inclined by an ADHD-related test. 3 sessions of First Base-line(A), 15 sessions of Intervention Phase(B), and 3 sessions of Post Base-line(A') were conducted for about seven weeks, from August 12th to September 25th, 2011.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s attentive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CNT), and the Long Form Test(LFT) of IM were conducted. Moreover, the LFT of IM was directed before the training during the Intervention session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child can differentiate between the reference sound and the guide sound and to examine the gradual changes in concentration. The observation data of the child's behavior indicating a lack of concentration and the results of the K-CBCL, CNT, and LFT of IM are presented below as graphs and charts for an analysis.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the behavior indicating a lack of concentration in performing the given task dropped from 22.6 times to 7.8 times, and the mean time taken to perform the exercise task also decreased from 104.0ms to 49.5ms. The T scores of the CNT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he T scores of the subordinate items of the K-CBC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 The intervention of IM has been proved to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attentive concentration of an ADHD child, b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an be complemented through a more objective study that allows generalization.
장선영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3 현대영어영문학 Vol.57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grotesque in Winesburg, Ohio in two ways. First, it intend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otesque and the humanity or the subjectivity with the belief that the grotesque has to do with illuminating the subject’s ontological status. If the grotesque is about the distinctive trait of the characters that the Muse in “The Book of the Grotesque” of Winesburg arrays before the old man’s eyes, the grotesqueness of those who will be main personas in the ensuing stories needs to be speculated in terms of the humanity or the subjectivity. Second, i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affiliation that the grotesque has with the female characters in Winesburg, that is, what the feminine subjectivity of the woman demonstrates on the grotesqueness of beings, put another way, how the grotesqueness of subjects develops in relation with the feminine subjectivity of the woman.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