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반복적 움직임을 통한 평면에서의 공간생성에 관한 연구

        장민지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논문은 시각 예술가가 캔버스나 종이와 같은 평면 매체에서 공간을 창출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과 고찰이며, 동시에 본인(장민지)의 회화작업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 평면에서의 공간생성에 대한 접근은 전통적인 원근법을 통해서가 아니라 작가의 작업에서의 움직임과 그로 인해 생성되는 회화내부의 물감과 색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다. 이는 본인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이 반영된 것이며, 공간에 대한 본인의 시선이다. 본인은 공간을 사물과 사물, 사물과 인간, 인간과 인간, 즉, 존재와 존재의 관계맺음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캔버스와 화가의 관계맺음을 통해 생성되는 회화공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인이 말하는 관계맺음은 추상적인 인식을 통한 관계맺음이 아니라 물리적인 관계맺음을 말한다. 인간을 포함한 사물을 하나의 그릇, 공간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공간을 보존하고 확장시키기 위한 움직임, 운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서로간의 부딪힘, 충돌, 끌어당김과 밀어냄, 결국, 존재의 공간 확보, 소유에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관계맺음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캔버스라는 평면의 공간은 화가의 공간에의 욕망이 표출되는 장소이며 그를 통해 발생되는 변신과 변화, 생성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작가의 움직임이 평면의 공간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만들어지는 회화작품에서의 색의 변화와 움직임에 대한 분석이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에 본인의 작업방식과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클로드 모네(Claude Monet)를 비롯한 회화작업을 하는 여러 작가들이 소개된다. 그들의 작품과 본인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각 작가들이 세계를 해석하는 다양한 방식과 그들의 시각이 평면의 공간에 표출, 표현되는 방식, 방법들을 살펴볼 수 있다. 작가에게 있어 공간의 창출은 ‘의미’의 창출이다. 사물과 존재를 인식하고 그를 둘러싼 세계와 존재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여 그로부터 세계에의 시선의 확장과 새로운 의식으로의 전환을 제시한다. 본 논문을 통해 세계를 향한 또 하나의 시선의 체험이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Abstract A Study on the Space Formation on the Flatness through the Continuous Movement By Jang, Min jee Departmen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is thesis is an analysis and study about ways of space creation on the flat surface like canvas or paper of a visual artist, and about my painting works. In this thesis, the approach to the space creation on the flat surface is not through the traditional perspective, bu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artist while working and the resulted movement of the oil paints and colors in the painting works. This is the reflection of how I perceive the world, and how I view the space. I recognize space as something that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thing and a thing, a thing and a human, a human and a human: the relationship between a being and a being. With that concept, I am interested in a painting space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inter and a canvas. The relationship that I am talking about is not a relationship through abstract understanding, but through an actual physical connection. I understand things which include human beings as a vessel and a space. The movement to preserve and expand its own spaces bring a clash, collision, and an action of push and pull. The desire for possessing and securing a space creates the relationship. In this point of view, a flat surface named canvas is a place where artist's desire for a space is expressed, and through that, it is where the chang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take plac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the change and movement of colors in painting works created by the continuous movement of me on a flat surface. For the analysis of the working methods and my artworks, several painters such as Claude Monet are introduced.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their works and my works, various ways of how each artist interprets the world, and the ways and manners of how their views are displayed and expressed on the flat surface can be shown. For an artist, the creation of a space is the creation of a 'meaning'. Recognizing things and beings, and giving meaning to the surrounding world and the life of a being, they suggests the expansion of gaze to the world and shift to the new consciousness. I hope the experience for another perspective toward the world would be provided through this thesis.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SNS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민지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SNS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민지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있어 SNS 과의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가설은 첫째, 대학생의 내현 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 있어서 SNS 과의존은 매개효과가 있는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4년제 대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200명을 대상 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통계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였다. 기술 통계와 Pearson의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고, Cronbach’s α검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 (ANOVA), 사후검정 Scheff 실시하여 변수간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 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 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SNS 과의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성 향과 SNS 과의존은 유의한 정(+)의 상관이 나타났음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SNS 과의존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SNS 과의존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SNS 과의존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활 적응하는 것에 있어 SNS 과의존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대인관계를 맺으며 성인 기를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잘 보낼 수 없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전 체 대학생활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은 SNS 과의존과 매개효과를 나 타냈다. 이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성향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면서 또한 SNS 과의존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했을 때, SNS 과의존 정도에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SNS 과의존은 학대학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활 적응을 돕 기 위한 다양한 워크숍, 세미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대학 생활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상담 및 워크숍을 개최할 필요가 있다. 집단 상담 세션과 워크숍을 통 해 학생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작용하며,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대학생활에 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 차원의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학은 정신건강 클리닉 및 상담 서비스를 강화하고, 홍보하여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의존 문제를 가진 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대학생활 적응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적응과 그 하위요인인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를 입증 하여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세밀하게 지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

      • 체육 교사에 대한 교사 신뢰와 수업 관련 변인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장민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체육교사에대한교사신뢰와수업관련변인의관계에대한메타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장민지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교사의 교사 신뢰와 관련된 변인의 관계에 대해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19편의 논문을 문헌 고찰을 통하여 분석 대상으 로 선정하였으며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상관관계 효과 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급간에 따른 교사 신뢰와 수업 관 련 변인의 상관계수 효과 크기를 산출한 결과,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 생 순으로 중간 효과 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신뢰와 수 업 관련 변인의 상관 효과 크기를 산출한 결과, 수업만족과 교과흥미도에 서 가장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교사 신뢰의 하위 구성 요인과 수업 관련 변인의 상관 효과 크기 분석 결과, 모든 요인이 교과흥미도와 수업 만족과 관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 교사의 학생에 대한 신뢰 구축의 노력은 수업의 질과 학생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요어: 체육 교사, 교사 신뢰, 메타분석, 효과 크기

      •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장민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자아존중감을 높임으로써 학교부적응 및 SNS중독경향성을 예방하고 조절·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의 중학교, 인문계 고등학교, 기타고등학교(예고, 공고 등) 청소년 24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낮을 경우 학교에 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이 높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부적응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에 부적응 할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교부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와 SNS중독경향성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어 교우관계가 부적응하지 않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높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영향관계에서 나타내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영향관계를 조절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이면, 학교부적응 및 SNS중독경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중요한 청소년문제인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에게 상담과 교육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청소년의 학교, 학년, 나이 등 특성에 맞게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할 것과 둘째, SNS를 사용하는 청소년과 SNS를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를 비교분석할 필요성을 느꼈으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 중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장민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middle school and what factors affect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k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ne middle school in Seoul city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one month with 150 teachers and 250 students as target. The questionnaire used was an anonymous questionnaire. And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derived from reliability verification, t-test,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hypotheses using the SPSS 22.0 program.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etting physical education class, student, teacher, gender, and grade as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 a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identifie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teachers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s more important whereas the students perceived ‘quality of teachers' and ‘contents of class' more importantly. Second, with regard to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teachers' and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quality of teachers' turned out to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what influences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hope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a satisfactory way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It is our belief that subsequent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class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현재 중학교에서 진행되는 체육수업에 대해 학생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체육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는 양적연구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중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묻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교사 150명과 학생 250명에게 한 달에 걸쳐 진행하였다. 진행된 설문지는 무기명으로 하였으며, 통계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가설의 신뢰도 검증과 차이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체육수업, 학생과 교사, 성별, 학년을 변수로 설정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는 ‘체육수업 환경’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학생은 ‘교사의 질’과 ‘수업내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육수업의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교사의 질’과 ‘수업내용’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교사의 질’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방향으로 체육수업이 개선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향후 교사와 학생 모두를 위한 체육수업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 기법 중 합성을 활용한 미술 수업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장민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약(국문초록) 기술 및 유행마저도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사람들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이 다양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다문화 시대의 사회 구조에서 경쟁은 불가피해졌고 이러한 경쟁 속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의성은 하나의 생존 수단이 되었다. 미술 교육은 상상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으며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의 ‘합성’ 기법을 활용하여 조형 작품을 제작하는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며 초등학생들이 기존의 실기위주 미술수업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주며 창의적인 사고향상을 위한 방법 요소가 될 수 있다.또한 ‘합성’ 기법은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낯설고 전혀 연관성이 없는 사물들을 결합함으로써 틀에 맞춰진 사고가 아닌 자유로운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주며 개방적이고 폭넓은 사고를 도울 수 있다. 학생들의 집중도, 창의력, 표현력, 색채감각의 교육적 효과를 위해 시기적 이점으로 초등학교 성장기 아동들이 좋아하는 클레이를 활동 재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지도방안은 3차시로 나누어지며 ‘합성’ 기법에 대한 이해와 기법을 활용한 이미지 스케치, 새롭게 구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조형 작품제작, 완성 된 한 스토리 제작 및 함께 토론하기, 총 세 가지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의 실질적인 효과,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페이즈망의 ‘합성’을 적용한 대표적인 작가의 작품들을 감상하고 이를 활용한 매체들을 설명해준 결과 학생들은 이 기법에 대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대상을 바라보고 표현하는 데페이즈망 ‘합성’ 기법은 평소 관찰 표현 중심인 수업을 지루해하는 학생들이 내면을 적극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셋째, 제한이 적고 학생들이 좋아하는 재료를 사용, 자유로운 주제선정으로 개성 있게 표현해 봄으로써 자기주도적인 자세를 기를 수 있었다. 넷째, 다양한 시각으로 사물들을 관찰, 재조합하는 활동은 학생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적인 발상을 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그 결과로 창조적, 개성적 표현이 다수 등장하였다. 학생들은 데페이즈망 기법에 대한 많은 호기심을 보였고 어떤 제한도 두지 않은 그리기 활동에 흥미를 보였으며 스스로 활동하고 완성하려는 자기 주도 학습의 효과의 가능성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페이즈망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주고 상상하는 즐거움, 그것을 표현하는 자신감, 일상에서 새로운 사고로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학습방법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성악음악 발달과 발성법에 관한 연구 : 벨 칸토(Bel Canto) 발성법을 중심으로

        장민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Vocal music, before obtaining the independent concept as a music, was a expression to deliver ones mind and feeling as a sound and according to the social·culture situation, the definition of beautiful sound always differed. Moreover, transcending the time and space, all vocal singers wish to have glorious sound corresponding with body symphony through efficient vocalization. Therefore, the writer was very much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identical sound and developmental process. Moreover, through the process upon training journal of vocal instructors in those days, personal record of vocal singers and performing records of critics, it made writer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decline and superiority and characteristics of Bel Canto vocalization which had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vocalization in the period of 17 and 18 century from the vocal singers who underwent the golden years of vocal music. Bel Canto vocalization, gorgeous and liberal than any others, is currently confirmed as the best Canto naturale vocalization using the harmony of body sound mechanism. Approach on scientific technology period, an attempt to prove the principle of vocalization scientifically occurred and thereupon new theories were constituted under the numerous investigation. However, misunderstanding on vocal mechanism led to the failure approach over the investigation and arouse many misconception and confusion on vocalization theory. Straight investigation over vocalization must start with the recognition of basic limit of the fact that diaphragm, vocal cords and resonator can never be controled by people's will. In order to make a gorgeous sounds, the harmony of body and mind is essential and instead of the scientific results it should concentrate on natural harmony containing infinite value.

      •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장민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on elementary students’ music learning motive. For this purpose, 100 elementary 3rd graders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test. A 8-session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guide was developed using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It was applied to the sample students for 8 weeks from March to April, 2019; each session continued 40 minutes. The sample students were subject to the T-test before and after the test to analyze their music learning motive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teaching guide. The research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scale developed by Hruska (2001) and used by Megan M. Dray (2014); it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again by the researcher to be suitable to this study. The sub-areas of the learning motive consisted of 3 areas: external motive, internal motive and attributed motive. The results of the te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s’ external motive for the music learning was found positive in all sub-areas: influence from life, influence from parents and influence from teacher. As such,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lementary students’ external motive for music learning.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would like to be recognized by others through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feeling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ould be helpful to their life, making their life more energetic and happier. Secondly, subjects’ internal motive for music learning was found positive in all the sub-area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Namely,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was found to affect subjects’ mind-set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ir preparation for the music clas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music class. Thirdly, subjects’ attributed motive for music learning showed a positive change in all sub-areas.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could verify that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would help the elementary students to experience a positive change in their belief in their ability and will. The subjects were found to think that the efforts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the inborn talent. After all, this study that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on elementary students’ music learning motive verified that the music teaching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all of the 3 sub-areas of elementary students’ music learning motive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ways to apply the Integrated Theme-Ba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to the classroom and verified its effects on elementary students’ music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제중심 통합 수업을 적용해 8차시의 국악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2019년 3월부터 4월까지 8주 동안 실제 초등학교 교과 시간에 적용하여 매회 40분씩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이 마무리된 후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악 학습동기에 대한 연구대상의 사전·사후 검사를 t-test를 사용하여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Hruska(2001)가 개발한 것을 바탕으로 Megan M. Dray(2014)의 척도로 번역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음악 학습동기와 관련한 연구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더욱 부합한 형태인 국악 학습동기로 다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국악 학습동기의 하위 영역은 외적 동기, 내적 동기, 귀인 동기의 총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활동이 참여자의 국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연구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의 외적 동기인 삶에 대한 영향과 부모님의 영향, 선생님의 영향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은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의 외적 동기와 긍정적 상호관계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삶에 대한 영향에 가장 큰 변화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들이 주제중심 국악 수업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국악이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되며, 더욱 활기차고 즐겁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느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의 내적 동기는 국악에 대한 흥미와 국악 수업에 대한 흥미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생들이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을 통해 국악에 대해 알고자 하는 마음가짐과 수업에 즐겁게 참여하는 태도, 수업 참여에 대한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음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의 귀인 동기는 능력과 노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노력에 대한 믿음과 의지의 긍정적 변화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국악은 타고난 재능보다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이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본 활동이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의 3개 하위영역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주제중심 통합 국악수업 방법에 대해 모색하고, 본 활동이 초등학생의 국악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음악 개념 지도방안 연구

        장민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개념은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음악 교과의 필수 내용으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는 데 기본 바탕이 된다.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음악 경험은 음악 개념의 형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는 음악 개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도할 것인지 계획해야 한다. 음악 개념은 학습하기 어려운 성격을 지니고 흥미 유발이 어려워 교사들 역시 가르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음악 교과의 정규과정을 거치고도 음악 개념의 형성을 바탕으로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인 단계에 그쳐 음악에 대한 넓은 안목을 갖는 것이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음악 개념의 형성에 중점을 둔 체계적인 교수이론으로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음악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개념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음악 교육에서 개념 학습의 중요성과 음악 개념의 지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브루너의 표현양식 이론과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에 대하여 고찰한다.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은 브루너의 개념적 접근 방법을 음악 학습에 적용한 것으로 작동적, 영상적, 상징적 양식의 다양한 표현 양식을 통해 음악 개념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피아노 음악을 중심으로 악곡을 선정하였다. 악곡은 바흐 인벤션 1번과 베토벤 ‘엘리제를 위하여’,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4악장이며 수업 지도안은 각각 2차시로 구성하였다. 인벤션 1번에서는 성부조직과 조성을 학습 내용으로 하여 1차시에서는 음악의 짜임새를 구별함으로써 다성 음악에 대하여 이해하고 2차시에서는 조성의 개념을 학습한다. 엘리제를 위하여에서는 론도 형식을 학습 내용으로 하여 1차시에서는 론도 연주를 통해 론도의 구조를 파악하고 2차시에서는 음악을 감상하며 론도 형식의 특징을 학습한다. 피아노 5중주 송어에서는 음색과 변주곡 형식을 학습 내용으로 하여 1차시에서는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분하고 2차시에서는 변주곡의 특징을 학습한다. 총 6차시 수업 지도안에서 작동적, 영상적, 상징적 양식을 단계적으로 활용하고 학생들의 음악 경험을 넓힐 수 있는 활동을 포함시켜 음악 개념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최종적으로 평가를 통해 개념의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참고 곡과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능동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Music concep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music education for deeper understanding of music, while providing for a groundwork for diversified music activities. The music experience provided to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 and to this end, music teachers are obliged to make a pedagogic plan for education of music concept. However, since music concept is difficult to learn, much less interesting, teachers feel difficult for teaching it. Hence, although students have completed the regular music curriculum, they may not well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 and thus, they can hardly have a broader view of music.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applying the systematic teaching theory fo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 or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and thereby, suggesting a music pedagogics for an effective education of music concep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importance of concept learning in the music education and examined the pedagogics of music concept, and then, discussed Bruner's modes of expression and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In this study,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the music education was applied to Bruner's modes of expression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usic concept effectively through operative, iconic and symbolic modes of expression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ers. In order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guide applying the generative music learning approach, this study sampled the pieces of music from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centering around the piano pieces. The sample pieces were Bach's Invention #1, Beethoven's Für Elise and Schubert's piano quintet Trout 4 movements, and each teaching-learning guide consisted of 2 sessions. In case of Invention #1, the focus was put on organization of the vocal parts and tonality; at the first sessio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istinguish music structures and understand the polyphony and at the second session, they learned the concept of tonality. In case of Für Elise, the learning focus was put on the rondo form at the first session to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rondo structure through its performance, and at the second session they were urged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ndo form through its appreciation. In case of the piano quintet Trout, the learning focus was put on tones and variations; at the first sessio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istinguish the tones of diverse musical instruments and at the second session, they were urged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tions. Through the total 6 sessions, the operative, iconic and symbolic expression modes were applied step-wise, while students' music experiences were expanded through diverse music activities to help them understand music concept effectively and comprehend it more deeply. In addition, diverse reference pieces and visual materials were used to mak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music with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sic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