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 교사에 대한 교사 신뢰와 수업 관련 변인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장민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체육교사에대한교사신뢰와수업관련변인의관계에대한메타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장민지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교사의 교사 신뢰와 관련된 변인의 관계에 대해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19편의 논문을 문헌 고찰을 통하여 분석 대상으 로 선정하였으며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상관관계 효과 크기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급간에 따른 교사 신뢰와 수업 관 련 변인의 상관계수 효과 크기를 산출한 결과, 고등학생, 중학생, 초등학 생 순으로 중간 효과 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신뢰와 수 업 관련 변인의 상관 효과 크기를 산출한 결과, 수업만족과 교과흥미도에 서 가장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교사 신뢰의 하위 구성 요인과 수업 관련 변인의 상관 효과 크기 분석 결과, 모든 요인이 교과흥미도와 수업 만족과 관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 교사의 학생에 대한 신뢰 구축의 노력은 수업의 질과 학생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요어: 체육 교사, 교사 신뢰, 메타분석, 효과 크기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SNS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민지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SNS 과의존의 매개효과 장민지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 있어 SNS 과의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가설은 첫째, 대학생의 내현 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 있어서 SNS 과의존은 매개효과가 있는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4년제 대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200명을 대상 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통계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였다. 기술 통계와 Pearson의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했고, Cronbach’s α검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 (ANOVA), 사후검정 Scheff 실시하여 변수간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 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 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학생활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SNS 과의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성 향과 SNS 과의존은 유의한 정(+)의 상관이 나타났음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SNS 과의존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SNS 과의존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SNS 과의존과 대학 생활 적응과의 관계는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활 적응하는 것에 있어 SNS 과의존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대인관계를 맺으며 성인 기를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잘 보낼 수 없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전 체 대학생활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은 SNS 과의존과 매개효과를 나 타냈다. 이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성향은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면서 또한 SNS 과의존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했을 때, SNS 과의존 정도에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SNS 과의존은 학대학 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매개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활 적응을 돕 기 위한 다양한 워크숍, 세미나,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대학 생활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상담 및 워크숍을 개최할 필요가 있다. 집단 상담 세션과 워크숍을 통 해 학생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작용하며,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대학생활에 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 차원의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학은 정신건강 클리닉 및 상담 서비스를 강화하고, 홍보하여 내현적 자기애와 SNS 과의존 문제를 가진 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대학생활 적응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 적응과 그 하위요인인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를 입증 하여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세밀하게 지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주제어: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학생활 적응, SNS 과의존

      • 반복적 움직임을 통한 평면에서의 공간생성에 관한 연구

        장민지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논문은 시각 예술가가 캔버스나 종이와 같은 평면 매체에서 공간을 창출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과 고찰이며, 동시에 본인(장민지)의 회화작업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 평면에서의 공간생성에 대한 접근은 전통적인 원근법을 통해서가 아니라 작가의 작업에서의 움직임과 그로 인해 생성되는 회화내부의 물감과 색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다. 이는 본인이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이 반영된 것이며, 공간에 대한 본인의 시선이다. 본인은 공간을 사물과 사물, 사물과 인간, 인간과 인간, 즉, 존재와 존재의 관계맺음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캔버스와 화가의 관계맺음을 통해 생성되는 회화공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본인이 말하는 관계맺음은 추상적인 인식을 통한 관계맺음이 아니라 물리적인 관계맺음을 말한다. 인간을 포함한 사물을 하나의 그릇, 공간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공간을 보존하고 확장시키기 위한 움직임, 운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서로간의 부딪힘, 충돌, 끌어당김과 밀어냄, 결국, 존재의 공간 확보, 소유에의 욕망이 만들어내는 관계맺음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캔버스라는 평면의 공간은 화가의 공간에의 욕망이 표출되는 장소이며 그를 통해 발생되는 변신과 변화, 생성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작가의 움직임이 평면의 공간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만들어지는 회화작품에서의 색의 변화와 움직임에 대한 분석이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에 본인의 작업방식과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클로드 모네(Claude Monet)를 비롯한 회화작업을 하는 여러 작가들이 소개된다. 그들의 작품과 본인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각 작가들이 세계를 해석하는 다양한 방식과 그들의 시각이 평면의 공간에 표출, 표현되는 방식, 방법들을 살펴볼 수 있다. 작가에게 있어 공간의 창출은 ‘의미’의 창출이다. 사물과 존재를 인식하고 그를 둘러싼 세계와 존재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여 그로부터 세계에의 시선의 확장과 새로운 의식으로의 전환을 제시한다. 본 논문을 통해 세계를 향한 또 하나의 시선의 체험이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Abstract A Study on the Space Formation on the Flatness through the Continuous Movement By Jang, Min jee Departmen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is thesis is an analysis and study about ways of space creation on the flat surface like canvas or paper of a visual artist, and about my painting works. In this thesis, the approach to the space creation on the flat surface is not through the traditional perspective, bu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artist while working and the resulted movement of the oil paints and colors in the painting works. This is the reflection of how I perceive the world, and how I view the space. I recognize space as something that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thing and a thing, a thing and a human, a human and a human: the relationship between a being and a being. With that concept, I am interested in a painting space which is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inter and a canvas. The relationship that I am talking about is not a relationship through abstract understanding, but through an actual physical connection. I understand things which include human beings as a vessel and a space. The movement to preserve and expand its own spaces bring a clash, collision, and an action of push and pull. The desire for possessing and securing a space creates the relationship. In this point of view, a flat surface named canvas is a place where artist's desire for a space is expressed, and through that, it is where the chang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take plac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the change and movement of colors in painting works created by the continuous movement of me on a flat surface. For the analysis of the working methods and my artworks, several painters such as Claude Monet are introduced.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their works and my works, various ways of how each artist interprets the world, and the ways and manners of how their views are displayed and expressed on the flat surface can be shown. For an artist, the creation of a space is the creation of a 'meaning'. Recognizing things and beings, and giving meaning to the surrounding world and the life of a being, they suggests the expansion of gaze to the world and shift to the new consciousness. I hope the experience for another perspective toward the world would be provided through this thesis.

      • 블로그(Blog)에 나타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한 인식 연구

        장민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공적인 개최였다고 평가받고 있는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Suncheon Bay Garden Expo 2013)에 대한 관람객들의 인식을 도출하여 국내최초의 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고, 향후 활용이나 유사한 계획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관람객들의 인식을 도출함에 있어 현대 정보 사회에서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인정받고 있는 블로그(Blog)를 활용하였다.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인 포털사이트에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와 관련된 블로그들을 검색하여 키워드 분류에 따라 300건을 분류하고, 블로그에 나타난 공간이나 정원 체험, 언급된 빈도와인식 등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편적인 인식 조사 방법인 기존의 설문 조 사 결과와 비교하여 일반인들의 인식 조사 방법으로서 블로그의 유용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블로거들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한 정보, 공간에 대한 인상과 체험을 가감 없이 기술하고 있어 설문 조사 같은 방법을 통해 파악하기 어려운 인식을 포착할 수 있었다. 블로거는 ‘시민 비평가’라고 할 수 있고, 블로그는 일반들의 ‘격식 없는 담론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시민들과 시민들의 의견을존중하고 반영하는 것은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운영 관리의바탕이기도 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정원에 대한 선호는 네덜란드 정원(91회)이 가장 높았고, 한국 정원(78회), 중국 정원(62회), 프랑스 정원(50회) 순이었고, 관람객들은 세계 정원에대해서 만족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정원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11개소의 세계 정원이 448회 나타난 것에 비해 61개소의 참여정원은 360회 저조하게 나타난 것이다. 참여 정원은 새로운 정원 소재, 실험적인 디자인을 통해 정원 예술과 디자인을 소개하는 정원박람회 본래의 취지를 대변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이 더 중시될 필요가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많은 블로거들은 시간에 따른 경관 변화, 독특한 분위기, 디테일 같은 미시적 경관(micro landscape)과 일시적 경관(temporary landscape)에서 깊은 인상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중요한 경관 체험 요소로 향후 유사한 계 획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블로거들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한 소개, 가는 길과 교통편, 행사일정, 운영 시간, 입장권 구매와 가격, 할인 정보, 준비물, 박람회장을 효율적으로돌아보는 루트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입장료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이 “비싸다”는 의견이었다. 이는 비용을 지불하고 정원을 관람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아직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다섯째, 블로거들이 전달하는 정보는 정원박람회 자체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개최 도시와 인접 지역의 자연과 문화에도 관심을 가지고 직접 체험한 후의 소감과 정보를 게시하고 있다. 성공적인 국제정원박람회를 위해서는 박람회장, 개최도시, 인접 지역 등이 연계되어야 정원박람회를 통한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가장 인상적인 장소는 순천호수정원과 꿈의 다리로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관람객들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표현하지만, 부정적인 인식도 쉽게 접할 수 있다. 부정적인 인식들은 실망한 점, 개선사항과 바람, 박람회 이후의 활용에 대한 생각까지 왜곡 없이 담고 있어 향후 정원박람회장을 보완 개선하거나 유사한 사례에 참고할만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있다. 첫째는 짧은 준비 기간으로 인한 미비점을 지적하는 블로그들을 통해 좀 더 여유있는 준비를 통해 완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특색이 잘 드러나지 않는 세계 정원에 대한 아쉬움을 전하는 블로그들을 통해 샘플 정원식의 전시보 다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순천호수정원과 꿈의 다리 같은 장소는 인상적인 볼거리를 제공하면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대표 경관으로 인식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세계 정원과 참여 정 원에 대한 인식은 미약하므로 이를 보다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넷째는 넓은면적과 더운 날씨를 고려하여 보행 동선과 겹치지 않는 관람차 동선 계획이 필요하다. 다섯째, 박람회 개최 기간의 대부분이 더운 날씨이므로 날씨를 고려한 그늘과 휴게시설 설치가 더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식 조사 방법으로써 블로그는 설문 조사나 인터뷰를 통해 알기 어려운 개인의일상이나 관심분야, 공간에 대한 체험을 알 수 있는 통로이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구성하는 설문 내용에 맞추어 응답자들의 인식을 한정할 수 있지만, 블로그는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세밀한 인식을 포착할 수 있다. 설문 조사는 응답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어 양극 척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지만, 블로거들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장소나 정원, 가장 기억에 남는 장 소와 장면, 특정 장소나 정원에 대한 좋고 싫음을 가감 없이 기술하고 있어 긍정적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노출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인 블로그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라 해석에 어려움이 있고,자료를 정량화하여 분석하는 데에는 비록 한계점을 가지지만, 전문가 담론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것들과 과소평가했거나, 추측에 머물렀던 것을 구체적으로 실증하 는 기록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블로그의 이러한 측면은 향후 활용이나 유사한 사례를 계획함에 있어서 관람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반영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될것으로 판단된다.

      • 퇴원간호교육 국내 연구 동향분석 : 주제 범위 문헌고찰

        장민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uses a scoping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o develop nurse’s discharge educations published in Korea and analyze the trend and characteristic related research. Total 9 paper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s a nurse’s discharge education intervention 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paper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 the topic of discharge education for the recent 10 years (Jan. 2012 to Oct. 2021). This study identified the research questions, identified relevant studies, selected studies, charted data, collated and summarized data, reported the results, and analyzed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dischar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scoping literature review provided by Arksey & O'Malley and the guidelines of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ic Reviews and Meta-analysi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otal 9 papers were analyzed. The academic journal in which nurse’s discharge education related papers were contained the most is nursing science research field and chronically ill adult patients were the most. 2. All papers were the ones that were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on patients and the papers on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on self care practice among patients were the most. As a result, discharge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self care practice among patients. 3. All papers developed a new discharge education program, and as data for development, used the demand for education in patients who experienced hospital admission and discharge for the same disease as the patients to be educated had the most. One (1) time of training about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ccurred the most and the time of education varied from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to 3 weeks after discharge. There were only 2 papers that executed discharge education even after discharge. And there’s no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The time of education varied from 12 min. to 60 min. For experiment group, lecture, among the education methods or media was used the most. In all papers, nurses participated as an education performer. There were only 2 papers in which people working in other occupations other than the nurse participated in education. All papers executed post investigation. Give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precedent research paper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discharge education researches and nurse’s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is, the strengths and supplementations for nurse’s discharge education could be found. One of the strengths was positive impact on patient’s self care practice by developing and intervening in the nurse’s discharg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h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e’s discharge education by executing discharge education continuously could be seen. As supplementations, standardized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need to be develope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for continuous management after discharge is also needed. Therefor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effective nurse’s discharge education strategies and nurse’s discharge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퇴원간호교육 관련 연구 동향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주제 범위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최근 10년 이내(2012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퇴원간호교육을 주제로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퇴원간호교육 중재 혹은 효과검증 논문으로, 연구에 사용된 논문은 총 9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Arksey & O'Malley 가 제시한 주제 범위 문헌고찰의 방법론적틀과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ic Reviews and Meta-analysi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의 지침에 따라 연구 질문을 설정, 관련 연구 확인, 연구선택, 데이터 기록, 분석 ·요약과 결과 보고를 시행하여 퇴원간호교육 연구 국내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9편의 논문이 분석되었다. 퇴원간호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간호학 연구 분야였으며, 대상자는 성인 만성질환자가 가장 많았다. 2. 모든 논문은 퇴원간호교육이 대상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퇴원간호교육이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 퇴원간호교육이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 모든 논문이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고, 개발을 위한 자료로 교육 대상자와 같은 질환으로 입퇴원을 경험하였던 환자의 교육요구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교육횟수는 1회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 시기는 입원 시부터 퇴원 후 3주까지 다양하였다. 퇴원 후에도 퇴원간호교육을 시행한 논문은 2편에 불과하였으며, 퇴원 환자의 사후 관리 시 병원 외 자원과 연계된 프로그램은 없었다. 교육시간은 최소 12분에서 60분으로 다양하였다. 실험군 대상 교육방법/매체 중 강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모든 논문에서 간호사가 교육 시행자로 참여하였다. 간호사 외 타 직종이 교육에 참여한 논문은 2편이었다. 모든 논문이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퇴원간호교육 연구특성 및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논문에 제시된 정보들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퇴원간호교육의 강점과 보완해야 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점으로는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재하여 환자의 자가간호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속적인 퇴원간호교육 연구 수행으로 퇴원간호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볼 수 있었다. 보완이 필요한 점으로는 대상자 특성에 적합한 표준화된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퇴원 후 지속적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와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효과적인 퇴원간호교육 전략과 퇴원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중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장민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middle school and what factors affect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ask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ir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ne middle school in Seoul city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one month with 150 teachers and 250 students as target. The questionnaire used was an anonymous questionnaire. And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derived from reliability verification, t-test,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hypotheses using the SPSS 22.0 program.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etting physical education class, student, teacher, gender, and grade as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 a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identifie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teachers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s more important whereas the students perceived ‘quality of teachers' and ‘contents of class' more importantly. Second, with regard to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teachers' and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quality of teachers' turned out to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what influences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hope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a satisfactory way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It is our belief that subsequent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class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현재 중학교에서 진행되는 체육수업에 대해 학생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체육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는 양적연구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중학교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묻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한 곳을 선정하여 교사 150명과 학생 250명에게 한 달에 걸쳐 진행하였다. 진행된 설문지는 무기명으로 하였으며, 통계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가설의 신뢰도 검증과 차이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체육수업, 학생과 교사, 성별, 학년을 변수로 설정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는 ‘체육수업 환경’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학생은 ‘교사의 질’과 ‘수업내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육수업의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교사의 질’과 ‘수업내용’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교사의 질’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방향으로 체육수업이 개선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향후 교사와 학생 모두를 위한 체육수업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장민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자아존중감을 높임으로써 학교부적응 및 SNS중독경향성을 예방하고 조절·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의 중학교, 인문계 고등학교, 기타고등학교(예고, 공고 등) 청소년 24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낮을 경우 학교에 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이 높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부적응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에 부적응 할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교부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와 SNS중독경향성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어 교우관계가 부적응하지 않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높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영향관계에서 나타내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의 영향관계를 조절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이면, 학교부적응 및 SNS중독경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중요한 청소년문제인 학교부적응과 SNS중독경향성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에게 상담과 교육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청소년의 학교, 학년, 나이 등 특성에 맞게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할 것과 둘째, SNS를 사용하는 청소년과 SNS를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를 비교분석할 필요성을 느꼈으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음악 개념 지도방안 연구

        장민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개념은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음악 교과의 필수 내용으로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는 데 기본 바탕이 된다.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음악 경험은 음악 개념의 형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는 음악 개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지도할 것인지 계획해야 한다. 음악 개념은 학습하기 어려운 성격을 지니고 흥미 유발이 어려워 교사들 역시 가르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음악 교과의 정규과정을 거치고도 음악 개념의 형성을 바탕으로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지 못하고 피상적인 단계에 그쳐 음악에 대한 넓은 안목을 갖는 것이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음악 개념의 형성에 중점을 둔 체계적인 교수이론으로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음악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개념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음악 교육에서 개념 학습의 중요성과 음악 개념의 지도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브루너의 표현양식 이론과 보드만의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에 대하여 고찰한다.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은 브루너의 개념적 접근 방법을 음악 학습에 적용한 것으로 작동적, 영상적, 상징적 양식의 다양한 표현 양식을 통해 음악 개념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피아노 음악을 중심으로 악곡을 선정하였다. 악곡은 바흐 인벤션 1번과 베토벤 ‘엘리제를 위하여’, 슈베르트 피아노 5중주 ‘송어’ 4악장이며 수업 지도안은 각각 2차시로 구성하였다. 인벤션 1번에서는 성부조직과 조성을 학습 내용으로 하여 1차시에서는 음악의 짜임새를 구별함으로써 다성 음악에 대하여 이해하고 2차시에서는 조성의 개념을 학습한다. 엘리제를 위하여에서는 론도 형식을 학습 내용으로 하여 1차시에서는 론도 연주를 통해 론도의 구조를 파악하고 2차시에서는 음악을 감상하며 론도 형식의 특징을 학습한다. 피아노 5중주 송어에서는 음색과 변주곡 형식을 학습 내용으로 하여 1차시에서는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분하고 2차시에서는 변주곡의 특징을 학습한다. 총 6차시 수업 지도안에서 작동적, 영상적, 상징적 양식을 단계적으로 활용하고 학생들의 음악 경험을 넓힐 수 있는 활동을 포함시켜 음악 개념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최종적으로 평가를 통해 개념의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참고 곡과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능동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Music concep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music education for deeper understanding of music, while providing for a groundwork for diversified music activities. The music experience provided to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 and to this end, music teachers are obliged to make a pedagogic plan for education of music concept. However, since music concept is difficult to learn, much less interesting, teachers feel difficult for teaching it. Hence, although students have completed the regular music curriculum, they may not well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 and thus, they can hardly have a broader view of music.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applying the systematic teaching theory for understanding of music concept or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and thereby, suggesting a music pedagogics for an effective education of music concep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importance of concept learning in the music education and examined the pedagogics of music concept, and then, discussed Bruner's modes of expression and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In this study, Boardman's generative approach to the music education was applied to Bruner's modes of expression in order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usic concept effectively through operative, iconic and symbolic modes of expression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ers. In order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guide applying the generative music learning approach, this study sampled the pieces of music from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centering around the piano pieces. The sample pieces were Bach's Invention #1, Beethoven's Für Elise and Schubert's piano quintet Trout 4 movements, and each teaching-learning guide consisted of 2 sessions. In case of Invention #1, the focus was put on organization of the vocal parts and tonality; at the first sessio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istinguish music structures and understand the polyphony and at the second session, they learned the concept of tonality. In case of Für Elise, the learning focus was put on the rondo form at the first session to help students comprehend the rondo structure through its performance, and at the second session they were urged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ndo form through its appreciation. In case of the piano quintet Trout, the learning focus was put on tones and variations; at the first sessio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istinguish the tones of diverse musical instruments and at the second session, they were urged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tions. Through the total 6 sessions, the operative, iconic and symbolic expression modes were applied step-wise, while students' music experiences were expanded through diverse music activities to help them understand music concept effectively and comprehend it more deeply. In addition, diverse reference pieces and visual materials were used to make students more interested in music with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sic classroom.

      • 오르간복고운동(Orgelbewegung)이 오르간 제작역사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악기와 음색의 변화를 중심으로

        장민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Organ Reform, the movement that occurred in Germany 1908, The movement was assessed reformative for it was occurred by Albert Schweizer(1875∼1965) to correct the errors in the history of Organ Building . The history of organ building started before the B.C.. Since the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instrument continuous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musical history, the organ develop into is most perfect shape in Baroque period. However, during the midst of getting to 20th century, the unique sound of the organ either changed or vanished because of the effect of ecopolitics of the time. Due to this effect, the past traditional method of instrument building gradually modernized and caused numerous errors in organ building. Criticizing the problems in building the organ, the Organ Reform began. Organ Reform studied the past Baroque period's organ building method, which was the most ideal, and used the studies to manufacture the traditional organ. Emphasizing the greatness of the traditional method of organ building, Organ Reform presents the standard model of organs to decrease the number of errors made when manufacturing the organ, and to continuously develop and preserve. 본 논문은 1908년 독일에서 일어난 오르간복고운동(Orgelbewegung)에 대하여 다루었다. 알베르트 슈바이처(Albert Schweizer, 1875∼1965)를 주축으로 일어났던 이 운동은 오르간 제작역사의 오류를 바로 잡기위해 일어났던 개혁적 성격의 운동으로 평가되어진다. 오르간 제작의 역사는 기원전부터 시작되었고 악기의 형태와 구조는 계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음악사적으로 바로크시기에 이르러 가장 이상적이며 우수한 형태로 완성되기 이른다. 하지만 20세기에 이르는 동안 시대 경제‧정치적인 영향으로 인해 오르간 고유의 음색은 변화하거나 사라지게 되었고 과거의 전통적인 악기 제작법은 점점 현대화되어 오르간 제작에 수많은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에 오르간 제작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일어났던 운동이 바로 오르간복고운동인 것이다. 오르간복고운동에서는 제작적으로 우수했던 과거 바로크시기의 오르간 제작법을 연구하여 그 제작기술을 토대로 전통오르간을 제작하였다. 그리하여 전통적인 오르간 제작 방법의 우수성을 강조하였고 현재의 오르간 제작이 더 이상의 오류를 범하지 않을 수 있도록 그 표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오르간의 발전과 보존이 이어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