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Irisin이 유방암 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임상보건학과

        박소담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79

        Breast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ly diagnosed female cancer in the United States after skin cancer and 80 percent of breast cancer tumors are characterized by metastasis. Breast cancer is the second most diagnosed female cancer in Korea after thyroid cancer in 2018. Metastasis refers to the series of cascades reactions to move to another tissue far from the primary tumor. In order for metastasis to occur, basal membrane destruction and invasions into surrounding tissues are essential which is important to enter blood vessel or lymphoid. MMPs are well-known enzymes involved metastasi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and exert the decom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Th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s (TlMPs) is a factor that endogenously inhibits MMPs. Of many myokines, irisin is one of the most recently discovered myokines that is secreted during the muscle contraction after being split from fibronectin type III domain containing 5 (FNDC5). The object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risin on metastatic properties of breast cancer.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and Hs578T were treated with 5, 10 or 20 nM of irisin. In both cell lines, cell viability and cell migration assay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ell survival and migrating property. Western blot assay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MMPs. It was found that irisin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whereas it inhibit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in both cell lines. Furthermore, irisin inhibited metastatic characteristic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MMP-2 and MMP-9 and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Expression of MMP-2 and MMP-9 also decreased in Hs578T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risin secreted by exercise can be a therapeutic benefit against breast cancer metastasis and invasion. 삼중음성유방암환자들은 진단 후 5년이내의 생존률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전이성 재발의 위험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이가 시작되면 사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전이의 억제는 암 치료에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전이에 관련된 인자로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와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가 있는데, MMPs는 세포의 기저막을 파괴하는 과정에 필요한 인자이고 TIMPs는 MMPs의 활성을 방해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이의 감소 과정에는 MMPs의 억제 혹은 TIMPs의 증가가 요구된다. 신체활동 시 분비되는 myokines 중 하나인 irisin은 암의 예방과 전이 억제에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그 기전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 시 분비되는 myokine 중 하나인 irisin을 처리하여 in vitro수준에서 운동이 유방암 이동성과 침윤성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지, MMPs를 매개로 한 전이 억제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irisin을 처리하였을 때, 특히 20n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MDA-MB-231 유방암 세포와 Hs578T 유방암세포에서 모두 세포 생존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이동성과 침윤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MDA-MB-231 유방암세포에서는 vimentin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유방암세포의 악성도 감소를 확인했으며, MMP-2, MMP-9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에 관여함을 확인했다. 또한 TIMP-1과 TIMP-2의 발현을 단백질 수준에서 증가시킴을 확인했다. 다른 삼중음성유방암세포 Hs578T 세포에서도 역시 MMP-2와 MMP-9의 발현 감소를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운동시 분비되는 물질인 irisin이 TIMP-1과 TIMP-2의 발현을 증가시켜 MMP-2와 MMP-9의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유방암 전이 억제 메커니즘에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는 운동이 유방암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감소시켜 전이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하나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 국내 일차의료 및 공공보건의료 현황과 발전방향 : 미국, 호주, 독일 그리고 쿠바 사례와의 비교

        윤보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공공보건의료와 일차의료의 현황을 근거기반의 관점에서 비교 검토해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최근 국내 및 국외에서 발간된 연구보고서와 학술지를 통하여 일차의료와 공공보건의료의 이론과 현황을 연구한 논문을 대상으로 McClellan 등(2010)이 제시한 책임의료조직(ACO)전략의 3가지 핵심 원칙에 따라 국내외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문헌 고찰로 적합한 내용들은 결과에 제시하였으며, 현황에 대한 비교와 고찰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우리나라는 단기간 내 전국민의료보험을 시행하고 의료보장을 통해 의료접근성 향상 등으로 건강지표를 향상하며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의료의 연속성 등의 측면에서 세계적인 추세와 거리가 있고, 주치의 제도가 없는 한국은 전문의 및 대형병원 선호현상으로 과잉진료의 위험이 존재한다. 현행 일차의료 수가체계는 상당히 열악한 수준이어서 일차의료기관과 상급 의료기관의 연계체계가 부재하며 일차와 상급 의료기관 간 경쟁이 치열하다. 반면 주치의 제도가 보건의료시스템 도입 초기부터 체계에 포함되었거나 오랜 시행경험을 가지고 있는 외국의 사례는 주치의 제도 경험뿐 아니라 각 국의 보건의료체계와 일차의료 적용 모델의 다양한 경험과 사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치의 제도가 부재하다. 외국의 경우, 주치의 등의 책임의료조직이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부재하여 의료의 연속성, 의료비 상승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둘째, 일차의료 저수가 및 의료환경에 적절하지 않은 수가체계로 의료의 질 저하와 의료서비스 과잉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외국의 사례의 경우, 보건의료기관 별 법과 제도의 분류가 명확하여 통합적인 보건의료체계가 있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법적인 분류가 있을 뿐 1차, 2차, 3차 기관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구분되지 못하여 과잉 진료, 이용 혼란 등의 문제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선제적 공공보건의료와 일차의료를 시도하고 있는 외국의 경험을 통해 본 연구는 주치의제도 도입, 수가체계 개선과 인센티브 도입 등 지불보상제도 개혁, 보건의료기관의 연계협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주치의 제도에 대해서는 주치의 인정범위 완화와 다학제 팀 구성으로 인한 지속가능한 대책이 중요하며, 수가체계 개선 등을 통하여 지불보상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의료환경에 적합한 일차의료와 공공보건의료 모형으로 인센티브제도, 혼합형 지불제도 등의 개혁으로 의료의 질적 요소를 향상시키고 의료비용 절감 도모가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보건의료기관 별 역할 정립으로 통합형 연계,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발전방향은 앞으로의 공공보건의료와 일차의료체계를 개혁함에 있어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ublic health care and primary health care status and problems that are at the core of Korea's health care by using an analysis framework that is recognized at domestic and abroad. At the same time, it was intended to compare th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ustralia, Germany and Cuba, where the reform of the public healthcare system reforms began,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development. The three key principles of the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 (ACO) strategy presented by McClellan, et al (2010) were implemented for research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that studied the theories and status of primary and public health care. Adequate contents of the literature review were presented in the results, an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drawing up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consid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have a family doctor system. In foreign countries, there were ACO such as family doctors, but Korea was absent an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continuity of medical care and rising medical costs. Second, the primary care payment system was not suitable for the medical environment, resulting in poor quality of medical care and excessive supply of medical services.  Third,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re was an integrated health care system due to the clear classification of laws and systems by healthcare and medical institutions, but in the case of Korea, there was a legal classification an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stitutions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so there were problems such as over-care and confusion of use. There is no strategy to improve the overall health of the population and to reduce health inequa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foreign countries attempting leading public health care and primary care,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to introduce a family doctor system and reform of the payment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This study could help to expand evidence base for strategies on public health care and primary care.

      • 이화상태에 따른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이 다발성 외상 환자의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양수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다발성 외상 중환자는 과대사작용 및 단백질 이화작용이 급격히 증가한 상태에 처해있기 때문에 영양불량 발생의 위험이 높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영양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기 경장영양과 질소 평형 수준이 다수의 외상 중환자의 임상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입원한 302명의 중증 외상 성인 환자에 대한 후향적 관찰 연구이다. 경장영양과 정맥영양에 의한 초기 영양 지원은 입원 후 7일까지 계산되었다. 각 모델은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수술 횟수, 에너지 및 단백질 섭취율 등의 교란 변수를 조정하여 분석되었다.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에 따라 분류된 그룹은 다변수 조정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입원 후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률, 영양관련 혈액검사 등과의 관련성이 분석되었다. 연구 대상자가 적극적인 경장영양 공급을 받았을 때 사망률이 감소하고 (crude model: odds ratio (OR), 0.12; 95% confidence interval (CI), 0.03-0.41; model 1: OR, 0.06, 95% CI, 0.02-0.25; model 2: OR, 0.07; 95% CI, 0.02-0.32), CRP 수치가 줄어들었으나 (crude model: β, -0.34, 95% CI, -11.21--4.32; model 1: β, -0.28, 95% CI, -9.76--2.93; model 2: β, -0.22, 95% CI, -8.66--1.48), 중환자실 재원일수가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crude model: β, 0.15, 95% CI, 0.57-9.55; model 1: β, 0.18, 95% CI, 1.58-10.42; model 2: β, 0.19, 95% CI, 1.82-11.32). 이화 상태에 따라 계층화된 분석에서 경장영양 공급 수준에 따른 병원 연관 감염의 발생률은 경정도의 질소 평형 그룹보다 중정도 이상의 질소 평형 그룹에서 더 낮았다. 추가 분석에서의 사망률 관련 결과는 이전 결과와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보여진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과 사망률 및 염증성 지표 수준 사이의 음의 연관성에 대한 결과는 다발성 외상 중환자의 회복 과정에서 적극적인 경장영양 공급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할 수 있다. 추후 이화 상태가 초기 경장영양 공급 기간과 임상적 예후 사이의 연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추후 필요할 것이다. Pati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trauma need appropriate nutritional support because they are at high risk of malnutrition by hypermetabolic and protein catabolism. Therefore the effects of level of initial enteral nutrition (EN) and nitrogen balance on outcomes after multiple traumatic critical illness patients were analyzed. This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302 severe and traumatic adult patients admitted between January 2017 and September 2020. Initial nutritional support by enteral nutrition and parenteral nutrition were calculated up to admission day 7. Models were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operation number, and intake% of energy and protein.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itial enteral nutrition were compared with mortality, morbidities, and nutrition-associated blood test using multivariable-adjusted logistic regression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When subjects were on the high EN support, they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mortality (crude model: odds ratio (OR), 0.12; 95% confidence interval (CI), 0.03-0.41; model 1: OR, 0.06, 95% CI, 0.02-0.25; model 2: OR, 0.07; 95% CI, 0.02-0.32) and C-reactive protein (crude model: β, -0.34, 95% CI, -11.21--4.32; model 1: β, -0.28, 95% CI, -9.76--2.93; model 2: β, -0.22, 95% CI, -8.66--1.48), but increased in intensive care unit length of stay (crude model: β, 0.15, 95% CI, 0.57-9.55; model 1: β, 0.18, 95% CI, 1.58-10.42; model 2: β, 0.19, 95% CI, 1.82-11.32). In analyses stratified by catabolic status, the incidenc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HAIs) according to level of EN is less in the moderate or higher nitrogen balance group than mild nitrogen balance group. The mortality-related results in the additional analysi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ults. In conclusion, our observation of invers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EN supply and mortality risk and levels of inflammatory markers may confer possible benefits of active EN supply to recovery process among severe and multiple traumatic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whether catabolic status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EN and prognosis.

      •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김경옥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업장 특성,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규명함으로써 안전·보건관리자에 대한 환경 및 처우 개선과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함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자 총 194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기술통계량(빈도분석,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인식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하부요인 업무만족도와 직장만족도를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보건관리자의 업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모형1에서는 연령대, 고용형태, 근무시간, 승진기회가 업무만족도에 영향요인이 되었다. 한편 이 연구의 핵심적 독립변인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들이 추가적으로 투입된 모형2에서는 ‘직무자율’과 ‘보상부적절’ 두 변인이 업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이하게도 모형1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던 것은 사라졌다. 이것은 그 영향력이 흡수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한 일반적 특성이 결국 특정 형태의 직무 스트레스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며, 그렇게 연계적으로 발생된 직무 스트레스가 결정적으로 업무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둘째, 직장만족도의 경우에는 업무만족도와는 다르게 일반적 특성 중 주당평균 근무시간과 소득수준 또한 직장만족도에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와 동시에 직무 불안정 및 조직체계와 관련한 직무 스트레스 또한 직장만족도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자율성’과 ‘보상’과 관련된 것이지만, 자신이 속해 있는 직장 자체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짓는 것은 자신이 맡고 있는 직무와 관련된 고용의 안정성과 조직 전체가 갖고 있는 분위기나 체계 등이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직무만족도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시도에 있어서도 또한 이 두 가지 변인을 구분하여 정확히 어떠한 분야의 만족도를 높일 것인지를 특정하여야 그 제도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안전․보건 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업무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working in the work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related function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s job stress-related factors and analyzed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stress recognition level by dividing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lower factors. The degree of job stres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factors out of 4 points was found to be 2.340 points and experienced normal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as confirmed as a lower area of job satisfaction of 5 points 3.264 points, workplace satisfaction 2.931 points. The main results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such as "age group", "employment type", "average working hours per week" and "promotion opportun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model 2, where the cor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dded to the job stress factors were added, it was found that the two variations of "job autonomy" and "compensation inappropriat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Model 1 was confirmed. This can be seen as absorbing its influence. Such a general characteristic will eventually inform that it is associated with a certain form of job stress, that the job stress generated in such a link is a factor that decisively reduces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work satisfaction, the average working hours and income level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work satisfaction was also found to exert a high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job stress related to job instability and organizational system was also found to be the main factor in determining work satisfaction. Increasing work satisfaction is related to 'autonomy' and 'compensation', but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of the workplace itself in which you belong is because it is the stability of the employment that the person is in charge of the job and the atmosphere or system of the organization as a whole, in an attempt to institutionally increase job satisfaction, also in an attempt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stitutionally, you must also distinguish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o ensure the exact satisfaction of any field that can be guaranteed. it is that there is.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used as a basis for reducing the job stres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effective work and job satisfaction.

      •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동료지지 및 회복탄력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이정화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79

        한국의 간호사 이직률은 13.9%로 국제사회에서 높은 수준이며, 높은 이직률로 인하여 간호의 질 저하 뿐 아니라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 내 폭력, 동료지지, 회복탄력성과 간호사의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2019년 6월 17일에서 6월 26일까지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A대학병원의 간호사 15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29.90±5.30세였으며, 이 중 여성이 142명(91.6%)이었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115명(74.2%)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간호학사가 120명(77.4%),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44명(92.9%), 총 임상경력은 평균 6.91±5.20년으로 1∼3년 미만 간호사가 40명(25.8%)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 근무지 경력은 평균 5.13±4.30년으로 1∼3년 미만 간호사가 57명(36.8%)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직장 내 폭력은 5점 만점에 1.65±0.35점, 동료지지는 5점 만점에 4.05±0.63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25±0.56점,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4.03±0.59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변수의 차이를 살펴보면 폭력은 연령(F=3.83, p=.011), 결혼상태(t=3.19, p=.015), 총 임상경력(F=3.19, p=.015), 근무형태(t=2.58, p=.01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지지는 연령(F=4.62, p=.005), 최종학력(t=-3.30, p=.003), 총 임상경력(F=2.68, p=.039), 근무부서(F=4.15, p=.00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연령(F=6.08, p=.001), 최종학력(t=-2.25, p=.026), 직위(t=7.55, p=.007), 총 임상경력(F=3.36,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성별(t=-4.43,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직장 내 폭력, 동료지지, 회복탄력성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이직의도는 직장 내 폭력(r=.2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동료지지(r=.37,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 경험이 증가할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였으며, 동료지지가 증가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을 예방하여 이직률을 낮추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coworker support, resilience, and nurses’ turnover intention. For this study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55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from 17 June 2019 to 26 June 2019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were 28.91±5.39 years, mostly female (91.6%), not married (74.2%), with a bachelors' degree (77.4%). Most of them were working as staff nurses (92.9%) with 6.91±5.2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and 5.13±4.30 years in current hospital. 2. The score for workplace violence was 1.65±0.35, coworker support was 4.05±0.63 , resilience was 3.25±0.56, and turnover intention was 4.03±0.59. 3. Scores for workplace violence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s (F=3.83, p=.008), statue of the family (t=3.19, p=.015), tota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F=3.19, p=.015), and working pattern (F=2.58, p=.011). Coworker support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s (F=4.62, p=.005), education level (F=-3.30, p=.003), tota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F=2.68, p=.039), and working department (F=4.15, p=.009). Resilience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s (F=6.08, p=.001), education level (t=-2.25, p=.026), current position (t=7.55, p=.007) and total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F=3.36, p=.012). Turnover inten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t=-4.43, p<.001). 4. orkplace violence was positvely correlated to turnover interntion (r=.28, p=.001). Coworker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resilience (r=.37, p<.001). In sum, workplace viol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and coworker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resili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guidance for the prevention of turnover intention to nurses could be developed. Also,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assis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human resource.

      • 국내 임상시험관리기준(KGCP) 개선을 위한 주요 선진국의 최신 임상시험관리규정(GCP)의 동향 및 비교 연구

        김지윤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2016년 11월 9일 ICH-GCP E6(R2)의 개정 이후 제약 선진 해외 각국(미국, 유럽연합, 일본, 한국)의 임상시험관리기준(Good Clinical Practice, GCP)의 개정 또는 반영 현황을 조사, 분석한 문헌 고찰 연구이다. 임상시험관리기준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설계, 수행, 기록 및 보고하는데 관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윤리적, 과학적 기준으로 피험자의 권리, 안전 및 복지를 보호하고 임상시험 데이터의 신뢰성을 회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이 포함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the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ICH)에서는 의약품 임상시험과 관련된 제반 규정을 법제화함으로써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들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하고 임상시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과학적인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최근 임상시험은 규모, 복잡성의 확대로 비용이 증가하였고, 기술의 진화와 위험 관리 절차를 통하여 관련 행위에 대한 유효성을 증대시킬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ICH에서는 임상시험의 계획, 수행, 감독, 기록, 보고에 있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시험대상자에 대한 보호와 데이터의 진실성을 보장하며 전자 기록과 임상시험의 품질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필수 서류의 표준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가이드라인의 개정을 추진하였다. 앞서 선행 연구였던 박혜연 저 ‘국내 임상시험관리기준(KGCP) 개선을 위한 선진 각국의 GCP 비교’의 내용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던 1998년 당시의 각국 GCP 규정은 ICH-GCP E6(R1)을 받아들이는 시점부터 주요 국가에서 그들의 규제 당국의 규정을 스스로 ICH의 기준에 조화 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인하여 현재 상당 부분의 개정과 추가가 있었다. ICH-GCP E6(R2)의 개정 이후 2017년 6월 14일 유럽연합에서 가장 처음으로 이를 반영하여 The Guideline for good clinical practice E6(R2) Step 5를 채택하였고 2018년 3월 1일 미국의 식품의약국이 E6(R2) Good Clinical Practice: Integrated Addendum to ICH E6(R1) Guidance for Industry를 채택하였다. 일본의 후생노동성 산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에서는 2019년 7월 5일 이를 채택하여 규정하였다. 또한 한국은 2020년 7월 22일 「국제 의약품 규제 조화 위원회 임상시험 관리기준 (ICH GCP)」[민원인 안내서]를 통하여 법제화 전 가이드라인을 발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CH-GCP E6(R2) 개정에 따른 선진 각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한국의 법제화 단계가 어느 수준에 있으며 추후 임상시험관리기준의 개정 시 법제화의 방향과 성공적인 국내 정착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했다. 첫째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제도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두번째로는 서면화된 가이드라인을 현실로 실현 가능하게 할 기술력의 개발, 세번째로는 경험과 교육으로 준비된 실무 인력일 것이다. 앞선 나라의 변화를 충분히 참고하면서 우리나라의 타 법규를 고려하고 시장상황과 인식이 따라가는 범위 내에서 입법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이를 법제화시켜야 할 것이다. 이는 독자성은 물론 상호작용의 가능성도 검토해 보아야 함과 동시에 우리에게 제도적으로 맞고 합리적으로 적합하며 실제 적용 가능한 모델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 review article tha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revision or adoption of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s in advanced pharmaceutical countries (US, Europe, Japan, South Korea) since the revision of ICH-GCP E6(R2) on November 9, 2016. The Good Clinical Practice (GCP) is an international ethical and scientific quality standard for the all aspects of clinical trials. Using this as a guideline, the design, conduct, performance, monitoring, auditing, recording, data analysis and reporting of clinical trials are regulated with ethical principles. GCP provides assurance that the data and reported results are credible and accurate, and that the rights,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of trial subjects are respected and protected. The ICH(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the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between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protects the rights and safety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clinical trials and ensures scientific integrity of the clinical trial process and results.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ICH GCP Guideline, the scale, complexity, and cost of clinical trials have increased. Standards regarding electronic records and essential documents intended to increase clinical trial quality and their efficiency have also been updated. In the previous study, Hyeyeon Park. "Comparison of Current GCPs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in ICH-GC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CP regulations of each country at the time in 1998. To accommodate individual country’s needs and efforts to reconcile their regulations with ICH's standards from the time since when ICH-GCP E6(R1) was accepted, there have been many revisions and additions when comparing countries. Initially, the European Commission adopted “Guideline for Good Clinical Practice E6 (R2) Step 5” on 15 December 2016 and set an effective date of 14 June 2017.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n adopted “E6(R2) Good Clinical Practice: Integrated Addendum to ICH E6(R1) Guidance for Industry” on 01 March 2018. The 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Agency adopted it on 5 July 2019. In addition, MFDA published pre-legislative guidelines on 22 July 2020. This review addressed the impact of the revision of the ICH-GCP E6(R2) on US, EU, Japan, South Korea and suggested what level of legalization is in South Korea and also what direction of legal clinical trial management standards should be introduced in the future. Three main suggestions includes the need: 1) to prepare a system based on social consensus, 2) development of technical skills and platforms to make written guidelines feasible in real-life, and 3) to employ experienced and educated personnel. It is necessary to take legislative measures and legalize any required changes to have Korea follow. Referring to the changes and adoption in previous countries like US, Japan and EU, our country should continue to assess the needs, risks, and benefits, and develop the best practical model for us.

      •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 현황 및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 분석

        김보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79

        지난 수십년간 임산부를 포함하는 임상연구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임산부에 대한 임상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임산부를 포함하는 임상연구의 경우에도 대상자 등록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임상연구가 조기종료 되는 데 기여하는 가장 큰 요인은 대상자 등록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현황을 조사하고,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ClinicalTrials.gov에서 2009년부터 2018년 사이에 시작된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현황은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조기에 중단된 임상연구를 경쟁위험(Competing Risk)으로 두고 임상연구의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Cause-specific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선정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821건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약 13%의 연구가 중단되거나 조기종료 되었다.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는 주로 임신 특이 질환(56.4%)에 대해, 제3삼분기(41.0%)의 임산부를 대상자로, human development index 기준 최상위국(58.0%)에서 수행되었다. 임상연구의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 연구 장소가 임상연구의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상위국에서 수행된 임상연구의 경우 하위국에서 수행된 임상연구에 비해 연구가 완료될 가능성이 72% 더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hazard ratio [HR] 0.28, p < 0.01). 추가로 임상연구의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목표 대상자 수가 79명을 초과하는 경우, 제2삼분기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경우, 연구의 1차 목적이 치료 또는 예방인 경우 연구가 완료될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현황 및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의 완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확인하였다. 추후 임산부 대상 임상연구 설계 시 본 연구 결과가 연구의 완료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를 설계하는 데에 기여하였으면 한다. Over the last few decades, though the number of clinical studies including pregnant women has been increased, clinical studies on pregnant women still haven’t been sufficient. Even if the clinical study is about pregnant women, it is difficult to have sufficient number of subjects enrolled. The major reason for early termination of clinical studies is low enrollment ra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clinical studies on pregnant women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study completion. Clinical studies on pregnant women from 2009 to 2018 were collected from ClinicalTrials.gov.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clinical studies. Predictors of completion of clinical studies were estimated using cause-specific hazard model, putting ‘early terminated clinical studies’ as a competing risk. 821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number of studies on pregnant women has been on a steady increase, and 13% of the studies have been withdrawn or terminated early. Clinical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about pregnancy-specific conditions (56.4%), at third trimester (41.0%), and in very high human development index (HDI) countries (58.0%). The analysis of predictors of study completion shows that study location was the main predictor of study completion, and 72% of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isk of the study completion was observed with the clinical studies in very high HDI countries compared to placebo (hazard ratio [HR] 0.28, p < 0.01). Additionally, following conditions which are, having target enrollment over 79 patients, including pregnant women in their second trimester, and having purpose of treatment or prevention had negative effect on completing clinical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studies on pregnant women were analyzed and predictors of study completion were identified. I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lanning better clinical studies on pregnant women and improve the completion rate.

      •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이주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79

        임상시험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또는 연구로, 임상시험의 진행에 있어 적절한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은 중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의 수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임상시험 참여자들이 참여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연구 참여에 대한 인식의 파악이 필요하다. 만성 질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의 특징과 임상시험 참여를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향후 참여 기회에 대한 결정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6년 10월 31일부터 11월 16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임상시험센터를 방문하는 성인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 응답 내용을 근거로 금전적 보상 유무에 따른 임상시험 참여 의사 여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임상시험 참여 결정에의 영향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처음 임상시험에 참여하는지, 과거에 다른 임상시험에 참여 경험이 있는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임상시험 참여 결정 요인을 비교하였다. 118개의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통계 분석으로는 t-test와 chi-square test,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은 임상시험 참여를 결정할 때에 의사의 제안, 건강 향상에 대한 기대, 병원에 대한 신뢰, 질병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았다. 월 가계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경우 그 이하인 경우보다 금전적 보상이 없어도 임상시험에 참여할 가능성이 증가했고(p=0.026, OR=3.221), 임상시험의 총 연구 기간을 고려하여 참여했던 사람은 금전적 보상이 없다면 임상시험에 참여할 가능성이 감소하였다(p=0.017, OR=0.290). 2년제 전문대 이상의 교육을 받은 사람은 고졸 이하의 교육을 받은 사람보다 2회 이상 임상시험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았고(p=0.040, OR=2.391), 임상시험 참여에 따른 금전적 보상에 영향을 받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2회 이상 임상시험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았다(p=0.028, OR=2.847). 만성 질환 환자들은 임상시험 참여를 결정할 때 의사의 제안, 건강 향상에 대한 기대, 질병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 병원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의 제안, 건강 향상에 대한 기대를 고려한 경우에는 금전적 보상 여부가 큰 결정 요인이 되지 않았고, 참여 중인 임상시험의 총 연구 기간과 채혈량이나 검사의 종류, 횟수와 위험도를 고려한 경우에는 금전적 보상 여부가 참여 결정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연구 디자인의 설계와 대상자 모집 방안의 구축, 그리고 체계적이고 윤리적인 임상시험의 진행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linical trials are researches in which conducted on humans to prov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vestigational products. It is essential to recruit appropriate subjects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a clinical trial. As the number of clinical trials in progress in Korea is increasing recentl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of participation and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for future participation of clinical trials.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to participation in clinical trials of chronic disea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n adults who visited the Clinical Trial Center of the Institute of Biomedical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s, patients’ considera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n decision to participate were examin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without financial compensation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118 respondents using t-tes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Survey respondents showed that patients participated in consideration of doctor’s suggestion, the expectation of health improvement, the hospital reliability and the alternative options of diseas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treatment. When monthly household income is over 3 million won,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in clinical trials without financial compensation is increased (p=0.026, OR=3.221), and those who considered the duration period of clinical trial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without compensation (p=0.017, OR=0.290)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More than two years of college educated people are likely to participate 2.39 times higher (p=0.040, OR=2.391) and those who considered the monetary benefi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participation in clinical trials 2.85 times higher (p=0.028, OR=2.847)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spective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considered doctor’s suggestion, the expectation of health improvement, the hospital reliability and the alternative options of disease management when deciding to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Those who valued doctor’s suggestion and health improvement did not consider financial compensation as an important determinant, but those who concerned the duration of trial period and procedure of clinical trial determined by the financial compensatio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study design and recruitment plan considering the above.

      •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지각된 역량, 역량의 직무관련성 및 교육요구

        최혜민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ived competence, job relevance of competence, and educational needs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CRC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dopt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98 CRCs in charge of clinical trials who worked at the in general hospitals or tertiary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Data was collected after approval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perceived competence, job relevance of competence and educational needs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test using SPSS/WIN 24.0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erceived competence was low in all eight domains of competence. ‘Clinical Trials operations (GCP’s)’ had a high job relevance, while the other seven domains of competence had low job relevance. 2. The following two competenc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categories mainly in need of education due to low perceived competence and relatively high job relevance of competence through IPA analysis: ‘Data Management and Informatics,’, ‘Communication and Teamwork.’. 3. Perceived compet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age(F=14.10, p<.001) and highest education(F=4.91, p=.008). The perceived competence was higher in the older and more educated group. Regarding job-related characteristics, perceived compet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F=9.27, p=.002) and career(F=17.08, p<.001). Perceived competence was higher among permanent workers than among contract workers (full-time), and higher in the more experienced group. Regarding affiliation, a job-related characteristic, clinical trial center affiliation was found to have higher job relevance of competence than individual department affiliation(F=3.99, p=.009). 4. Perceived compet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nd perceived compet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refresher education in the past 2 years and certification. The group that did not undergo new employee education(F=17.68, p<.001) and refresher education group(F=11.07, p=.001) had higher competence, and the group with American certification(F=13.32, p<.001) and group with certification(F=8.81, p=.003) had higher competence. 5. In all competence categories, a greater number of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have educational needs for the corresponding category than those who stated that they do not have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needs was the highest for ‘Clinical Trials Operations(GCP’s)’ (80.04%), followed by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76.01%), ‘Ethical and Participant Safety Considerations’ (75.50%), ‘Study and Site Management’ (74.83%), ‘Data Management and Informatics’ (70.20%), ‘Communication and Teamwork’ (69.06%), ‘Medicines Development and Regulation’ (61.90%), and ‘Scientific Concepts and Research Design’ (61.23%).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CRCs’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perceived competence, and job relevance of competence and comprehensively discussed educational needs for each category of competence. The novelty of this study is in proposing the edu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eamwork’, ‘Data Management and Informatics’ is mainly needed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ceived competence, job relevance of competence, and educational needs of CRCs. The present study may be useful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systems and programs for CRCs. 본 연구는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지각된 역량, 역량의 직무관련성 및 교육요구를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5월 7일부터 5월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이상 규모의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담당하고 있는 임상시험 코디네이터 1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Sonstein 등(2016)이 개발한 The Self-assessment of Competence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 도구를 번역과 역번역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교육관련 특성, 대상자의 지각된 역량, 역량의 직무관련성, 교육요구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지각된 역량과 역량의 직무관련성은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역량과 직무관련성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고 결과가 유의한 경우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지각된 역량은 8개의 모든 역량 영역에서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임상시험 운영(Good Clinical Practice, GCP)’은 직무관련성이 높았으며 이를 제외한 7개의 역량 영역에서 직무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IPA 분석을 통해 지각된 역량이 낮고 역량의 직무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교육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2가지의 역량 분류가 도출되었으며, ‘데이터 관리 및 정보학’, ‘의사소통 및 팀워크’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역량은 연령(F=14.10, p<.001)과 최종 학력(F=4.91,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과 최종 학력이 높은 그룹에서 지각된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관련 특성에서는 고용상태(F=9.27, p=.002)와 경력(F=17.08, p<.001)에 따라 지각된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규직이 계약직(Full-time) 보다 지각된 역량이 높았고, 경력이 많은 그룹에서 지각된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소속이 임상시험센터인 경우 개별 진료과 소속인 경우 보다 역량의 직무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99, p=.009). 4.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교육 관련 특성에 따른 지각된 역량을 분석한 결과, 최근 2년 이내 이수한 종사자교육 과정, 인증제 보유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규자 교육 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그룹(F=17.68, p<.001)과 보수 교육 과정 이수자 그룹(F=11.07, p=.001)의 지각된 역량이 높았으며, 미국 인증제 취득 그룹(F=13.32, p<.001), 인증제 보유 그룹(F=8.81, p=.003)이 지각된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모든 역량 항목에서 교육요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수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 분류에 대한 교육요구는 ‘임상시험 운영(GCP)’ 80.04%, ‘리더십 및 전문성’ 76.01%, ‘윤리 및 대상자 안전’ 75.50%, ‘연구 및 시험기관 관리’ 74.83%, ‘데이터 관리 및 정보학’ 70.20%, ‘의사소통 및 팀워크’ 69.06%, ‘의약품 개발 및 규제’ 61.90%, ‘과학개념 및 연구설계’ 61.23%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 및 교육 관련 특성과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지각된 역량, 역량의 직무관련성을 확인하고 각 역량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지각된 역량, 역량의 직무관련성 및 교육요구에 따라 의사소통 및 팀워크와 데이터 관리 및 정보학 영역의 교육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간호 영역의 확장인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의 교육 제도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탄수화물, Glycemic index, Glycemic load와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요인 및 대뇌 죽상경화증과의 상관성 연구

        김아람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objective for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take of carbohydrate, dietary glycemic index (GI), and glycemic load (GL) and the risk factors for ischemic stroke.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orrelation between carbohydrate and dietary intake of GI, GL and cerebral atherosclerosis as a major cause of ischemic stroke. A total of 276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February 2011 to August 2014 in Seoul, Korea.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composed of 111 food items was used for the dietary assessment of subjects.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by quartiles of dietary intake of carbohydrate, GI, and GL. All nutrients intake were adjusted according to total energy intake (per 1000 kcal). When compared with the intake of carbohydrate, dietary GI and GL have negative effects on biochemical blood markers, including HDL cholesterol, fasting blood sugar, HbA1c, Homocysteine. In the highest quartiles of GI, the lowest concentration of HDL-cholesterol (P = 0.0256) and highest concentration of fasting blood sugar (FBS) (P = 0.0295) were observed. In the highest quartiles of GL,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P = 0.0004) and homocysteine (P = 0.0361) were observed. We also found that subjects those with high GI and GL consumed a distinctly less antioxidant and CVD-related vitamins. The age, sex, body mass index adjusted odds ratios of the extensive cerebral atherosclerosis increased from the lowest to highest quartiles of GL (P for trend = 0.0382). High intake of dietary GI, GL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hyperglycemia, inflammatory reaction accompanied by oxidative stress, which is well-known risk factors for stroke. In particular, low intake of dietary GL is associated with the prevention of cerebral atherosclerosis. Taken together, considering not only the quality but the quantity of carbohydrate consumed may help prevent cerebral atherosclerosis. 급성 허혈성 뇌졸중은 뇌의 혈액 공급의 갑작스런 손실로 인한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가 수반되는 상태를 말한다. 뇌졸중의 위험 인자 가운데 뇌졸중 발병에 관한 식이요인을 분석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우리나라는 고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보고된 탄수화물의 질과 뇌졸중과의 관련성 연구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을 탄수화물과 식이 GI, GL의 섭취수준에 따라 4분위로 나누어 생화학적, 임상적 차이와 영양소 섭취를 비교하여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였고, 탄수화물과 식이 GI, GL의 섭취수준과 허혈성 뇌졸중 발병의 주된 원인으로서 대뇌 죽상경화증과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뇌졸중 환자는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에서 모집하였으며, 연구자와 1:1 면담을 통해 일반사항, 식습관, 식이섭취 조사가 이루어졌다. 탄수화물의 질 평가를 위해 대상자의 식이섭취 조사로부터 대상자 별 식이 GI, GL 값을 산출하였다. 혈액성분 검사에서 GI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HDL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낮았고(P = 0.0256), 공복혈당은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295), GL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당화혈색소와 호모시스테인이 유의하게 높았다(P = 0.0004, P= 0.0361). 또한 항산화와 CVD 관련 비타민 섭취량 결과에서 식이 GI, GL의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각각 비타민 A, 비타민 C, β –carotene, 비타민 B12(P = 0.0246, P = 0.0382, P = 0.0008, P = 0.0463)와 비타민 E, 비타민B6, 비타민 B12, 엽산 (P <0.0001, P = 0.0051, P = 0.0006, P = 0.0101)의 평균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생화학적 지표들과 항산화와 CVD 관련 비타민은 뇌졸중 발병에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인슐린저항성과 고혈당, 산화적 스트레스에 수반된 염증반응과 연관이 있는 지표들로써 이는 식사 중 GI, GL의 섭취 비중이 높을수록 뇌졸중의 위험 요인에 더욱 노출되어 있다는것을 의미한다. 탄수화물 섭취량과 식이 GI 섭취수준은 대뇌 죽상경화증의 발생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지만, 식이 GL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대뇌 죽상경화증의 발생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탄수화물을 섭취할 때 그 양과 질을 모두 고려한다면 뇌졸중의 발생위험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