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AT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보 개방에 따른 하천유량 및 수질 거동 분석

        이지완,정충길,우소영,김성준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SS, T-N, and T-P) behavior of Nakdong river basin (23,609.3 km2) by simulating the dam and weir operation scenarios using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operation senarios are the simultaneous release for all dam and weirs (scenario 1), simultaneous release for all weirs (scenario 2), and sequential release for the weirs with one month interval from upstream weirs (scenario 3). Before evaluation, the SWAT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11 years (2005-2015) daily multi-purpose dam inflow at 5 locations (ADD, IHD, HCD, MKD, and MYD), multi-function weir inflow at 7 locations (SHW, GMW, CGW, GJW, DSW, HCW, and HAW), and monthly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at 6 locations (AD-4, SJ-2, EG, HC, MK-4, and MG). For the two dam inflow and dam storage,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was 0.56~0.79,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68~0.90. For water quality, the R2 of SS, T-N, and T-P was 0.64~0.79, 0.51~0.74, and 0.53~0.72 respectively. For the three scenarios of dam and weir release combination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cenario 1 and 3 operations were improved the stream water quality (for T-N and T-P) within the 3 months since the time of release, but it showed the negative effect for 3 months after compared to scenario 2.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유역(23,609.3 km2) 내 댐-보 연계운영 평가를 위해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댐보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하천 유량·수질 거동을 평가하는 것이다. 댐-보 방류시나리오는 댐-보 동시방류(시나리오 1), 보 동시방류(시나리오 2), 상류 보에서부터 1개월 간격의 순차방류(시나리오 3)로 모의되었다. 평가에 앞서 SWAT은 11년(2005-2015) 동안 5개의 다목적댐(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남감댐, 밀양댐)과 7개의 다기능보(상주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보, 달성보, 합천보, 함안보) 및 6개의 수질관측지점(안동4, 상주2, 왜관, 합천, 남강, 물금)에 대하여 검보정 되었다. 유입량 및 저수량 검·보정결과 R2는 0.68~0.90, NSE는 0.56~0.79, RMSE는 0.94~1.74 mm/day 였으며, PBIAS는 –7.52~18.08%로 분석되었고,. 수질 R2는 SS는 0.64~0.79, T-N는 0.51~0.74, T-P는 0.53~0.72의 상관성을 나타었다. 댐-보 연계운영 평가를 위해 환경부에서 제시한 연계운영 시나리오 중 3개의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모의하였으며,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수질 거동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나리오 2 에 비해 시나리오 1과 3은 연계운영 종료 이후 3개월 이전에는 수질 (T-N, T-P)개선 효과가 나타났지만, 3개월 이후로는 시나리오 2에 비해 수질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폭염과 하천 수질의 공간적 평가

        이지완,김세훈,한대영,신형진,임혁진,김성준,Lee, Jiwan,Kim, Sehoon,Han, Daeyoung,Shin, Hyungjin,Lim, Hyeokjin,Kim, Seongjoon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9

        본 연구는 폭염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기상청 91개의 기상관측소의 일 최고기온 과 환경부 수질관측망 918개에 대한 13개의 하천수질인자(DO, BOD, COD, TOC, TN, DTN, NH4-N, NO2-N, NO3-N, TP, DTP, PO4-P, Chl-a)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최고기온과 수질인자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DO, Chl-a, T-N의 상관계수(R<sup>2</sup>)가 0.782, 0.609, 0.691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폭염과 수질인자 간의 공간적 영향 분석을 위해, 일 최고기온을 이용하여 폭염강도(heat wave intensity, HWI)와 폭염지속시간(heat wave duration, HWD)를 산정하였다. 공간적 영향 평가는 핫스팟 분석과 공간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핫스팟 분석결과 폭염지수(HWD, HWI)는 낙동강 하류유역에 대해 높은 공간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수질인자 중 Chl-a, TN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폭염에 따른 수질 영향 지역 공간 통계분석 결과 공간적인 변동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수질인자는 DO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Xylooligosaccharide 의 랫트에 대한 아급성경구독성

        이지완,이창승,윤세왕,양창근,이운택,류보경,강부현,박윤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5 No.2

        The subacute toxicity of xylooligosaccharide (XO) was evaluated in SD rats. Groups of 60 male and 60 female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0, 333, 1000 or 3000 mg/kg of XO for 13 weeks. The changes of body weight, food and water consumption were investigated for 17 weeks, while heamatological value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investigated at the end of the 13 weeks and 17 weeks including 4 weeks of recovery periods. No death and toxic effects were observed during the test perio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everal parameters, but these change had no direct relationship to dosage. Clinical changes were general occurrence and no specific toxicity was related to XO. Gross necropsy and histopathology revealed that no target organs were found in the treated mouse with XO. According to the results, no-observed effect level of XO is estimated to be above 3000 mg/kg.

      • KCI등재

        SWAT을 이용한 미래기후변화에 따른 금강유역의 지하수위 거동 평가

        이지완,정충길,김다래,김성준,Lee, Ji Wan,Jung, Chung Gil,Kim, Da Rae,Kim, Seong Joo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3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9,645.5km^2$)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HadGEM3-RA RCP 4.5와 8.5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간(2020s: 2010~2039, 2050s: 2040~2069, 2080s: 2070~2099 )의 지하수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WAT 모형의 검 보정은 11년(2005~2015)동안의 유역내 2개 댐지점(대청댐, 용담댐)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5개 관정지점(JSJS, OCCS, BEMR, CASS, BYBY)의 일단위 지하수위 관측자료, 3년 5개월(2012년 8월~2015년 12월) 동안의 3개 보지점(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의 일별 유입량 및 저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2개 댐의 유입량 및 저수량 검보정 결과, Nash-Sutcliffe 모델효율(NSE)은 각각 0.57~0.67, 0.87~0.94, 결정계수($R^2$)는 각각 0.69~0.73, 0.63~0.73의 범위를 보였으며, 3개 보의 유입량 및 저수량의 NSE는 각각 0.68~0.70, 0.94~0.99, $R^2$는 각각 0.83~0.86, 0.48~0.61로 검보정 되었다. 5개 지점의 지하수위에 대한 $R^2$는 0.53~0.61이었다. 유역 전체의 미래 기온은 기준년도(1976~2005) 대비 2080s RCP 8.5 시나리오에서 최고 $4.3^{\circ}C$ 상승하고 강수량은 6.9% 증가하였으며, 미래 지하수위는 5개 지하수위 관측지점 중 금강 상류 3개 지점(JSJS, OCCS, BEMR)에서 각각 -13.0 cm, -5.0 cm, -9.0 cm 감소하였고, 금강 하류 2개 지점(CASS, BYBY)에서는 각각 +3.0 cm, +1.0 증가하였다. 미래 지하수위는 유역 내 강수량의 계절별 공간적 편차에 따른 지하수 충전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groundwater level behavior of Geum river basin ($9,645.5km^2$)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projection periods (2020s: 2010~2039, 2050s: 2040~2069, 2080s: 2070~2099) using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Before future evaluation, the SWAT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11 years (2005~2015) daily multi-purpose dam inflow at 2 locations (DCD, YDD), ground water level data at 5 locations (JSJS, OCCS, BEMR, CASS, BYBY), and three years (2012~2015) daily multi-function weir inflow at 3 locations (SJW, GJW, BJW). For the two dam inflow and dam storage,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was 0.57~0.67 and 0.87~0.94,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69~0.73 and 0.63~0.73 respectively. For the three weir inflow and storage, the NSE was 0.68~0.70 and 0.94~0.99, and the $R^2$ was 0.83~0.86 and 0.48~0.61 respectively. The average $R^2$ for groundwater level was from 0.53 to 0.61. Under the future temperature increase of $4.3^{\circ}C$ and precipitation increase of 6.9% in 2080s (2070~2099) based on the historical periods (1976~2005) from HadGEM3-RA RCP 8.5 scenario, the future groundwater level shows decrease of -13.0 cm, -5.0 cm, -9.0 cm at 3 upstream locations (JSJS, OCCS, BEMR) and increase of +3.0 cm, +1.0 cm at 2 downstream locations (CASS, BYBY) respectively. The future groundwater level was directly affected by the groundwater recharge by the future seasonal spatial variation of rainfall in the watershed.

      • KCI등재
      • KCI등재

        금강유역 2014~2016년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 평가

        이지완,김경호,김세훈,우소영,김성준 한국습지학회 2019 한국습지학회지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meteorological drought and RDI (Reservoir Drought Index) agricultural drought for Geum river basin. Drought Indices was calculated by collecting data of precipitation and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torage rate from 2014 to 2016. To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 the Pearson correlation and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The SPI-6 and RDI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Pearson coefficient 0.606 and ROC hit rates 0.722 respectively, and the spatial occurrence patterns of drought using overlapped SPI-6 and RDI,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2 indices were occurred in the upstream areas of Miho stream and Nonsan stream from August to October 2015. The analysis using reservoirs specifications for areas where reservoir droughts occurred was conducted, and the areas showing severe drought of RDI were the reservoir areas having relatively small value of basin magnifying power (BMP). This means that a reservoir has the reaction capability for agricultural drought mainly depending on the reservoir BMP. 본 논문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기상학적 가뭄지수, 농업용 저수지 가뭄지수(Reservoir Drought Index, RDI)간의 관계를 통해 기상학적 가뭄이 농업에 미치는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2014년부터2016년까지의 강수량, 농업용 저수율 자료를 수집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가뭄간의 상관성을평가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SPI-6와RDI의 Pearson 및 ROC 적중룰이 각각 0.606, 0.722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가뭄의 공간적 발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공간분포된 SPI-6와 RDI를 중첩한 결과 2015년 8월부터 2015년 10월의 심한 가뭄 발생 시 미호천 상류 유역과 논산천 유역에서 중복적으로 가뭄의 심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수지 가뭄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저수지의 제원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RDI 가뭄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유역배율이 작은 저수지들이 많이 모여 있는 지역일수록 극심한 가뭄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역배율에 따라 저수지의 농업가뭄 대응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함정전투체계의 복합 스트림 데이터 처리 성능분석을 위한 관성기반 데이터 셋 생성

        이지완,홍봉희,김우찬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1

        전술 이동 객체의 테스트 데이터 셋은 함정전투체계에서 중요한 기능들 중 하나인 이동체 관리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시계열 위치 데이터 셋의 생성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확률분포기반에 테스트 데이터 셋 생성에 집중하고 있어 전술 이동 객체의 움직임을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와 유사한 전술 이동 객체의 이동 궤적과 분포를 모두 만족하기 위해 관성을 고려한 이동 객체의 궤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과거 데이터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미래에 이동 가능한 영역을 예측하고, 확률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선정하여 시뮬레이션된 전술 이동 객체의 궤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전술 이동 객체의 궤적을 임의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속도, 진행방향을 모두 고려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함정전투체계의 이동체 관리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The test dataset of the tactical moving object is essential for testing mobile management functio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in the naval battle system. Existing studies for the generation of time-series position data set have a problem of not considering the movement of a tactical moving object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the test data is focused on the generation of the distribu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generating the trajectory of moving object considering inertia in order to satisfy both the moving trajectory and the distribution of tactical moving object similar to the real one. The proposed method predicts the area that can be moved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past data and generates the trajectory data of the simulated tactical moving object b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us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in the area.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trajectory data of the tactical moving object in consideration of time, speed, and direction, and is suitable for testing the mobile management function of the naval battl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