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누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 탐색

        이서준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카누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 탐색 이서준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카누 엘리트 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입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선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카누선수들이 입시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대한체육회에 카누선수로 등록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 면담으로 수집하였고, 내용은 주 제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카누선수가 겪는 입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부모의 관여, 경기 력 부진, 대인관계였다. 부모의 관여는 대학 중시, 1등 강조, 관전 거부감, 진로 갈등, 과도한 기대, 훈련 간섭, 감정적 홀시가 코드로 나타났다. 경기력 부진은 성적 부진, 기록 달성 실패, 입시 종목 제약, 대회장 환경 제약, 페이스 조절 실 패, 실력 발휘 실패, 진보 압력, 초조가 코드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는 과도한 간 섭, 경쟁, 운동 방해, 다툼, 질책, 질투, 무시, 선˙후배 사이 갈등, 외로움, 비교, 후회가 코드로 나타났다. 둘째, 카누선수가 겪은 입시 스트레스 요인이 삶에 미친 영향은 강박, 우울과 불안이었다. 강박은 강박성 행위와 강박성 사고가 코드로 나타났다. 우울은 기 분 부전과 절망감이 코드로 나타났다. 불안은 공황, 강박, 범불안과 특정 공포증 이 코드로 나타났다. 카누선수가 겪는 입시 스트레스는 카누 외 다른 것을 찾기 어려운 현실에 직 면하면서 생길 수밖에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예방책이 필요하다. 첫째, 카누선수가 겪는 입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부모의 관여, 경기 력 부진, 대인관계이다. 따라서 카누선수가 불안해하지 않고 우울해하지 않도록 부모와 코치가 도움을 주어야 한다. 둘째, 카누선수가 불안과 우울을 경험하면 성적 저하, 품행 문제, 대인관계 문 제, 주의집중 문제, 분노, 공포증, 짜증 등이 나타난다. 특히, 불안과 우울을 경 험하면 위험 수준이 높아져 자해, 자살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부모나 교 사, 감독 등이 개입하여야 한다. 셋째, 카누선수가 불안과 우울을 경험할 때 가까운 사람들의 관심과 이해가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카누선 수가 대학 입시를 앞두고 겪는 스트레스를 이해할 수 있고, 입시 스트레스를 예 방하여 선수 생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카누선수, 입시, 스트레스

      • 토요휴업일 학교도서관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성남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서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도서관은 주5일 수업제의 전면 실시에 따른 토요휴업일의 안정적 지지기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간적 요소뿐만 아니라 전문인력, 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토요휴업일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피고, 프로그램의 기본요소를 파악하여, 주5일 수업제의 근본 취지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성남지역 45개 중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토요휴업일 개방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프로그램 담당자의 면담과 참가학생들의 설문을 통하여 조사․분석하였으며, ‘학교도서관 담당인력 부재’, ‘토요프로그램 관련 예산(운영비 및 인건비) 미배정’, ‘학생들의 낮은 관심 및 수요인원 부족’, ‘학교 내․외의 지원 미비’라는 4가지 주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를 파악하고, 토요 휴업일 학교도서관 운영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도서관 토요프로그램의 안정적 운영은 학교도서관의 전문인력 배치․확충이 전제되어야 한다.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업무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인력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재정적 자원 측면이다. 학교도서관 토요프로그램에 관한 예산 항목이 준비되어야 한다. 예산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면, 학교 밖의 여러 공공기관의 지원 및 협조체계를 구성하여, 학교도서관의 한정된 자원 및 시설, 예산 등 인프라 문제를 극복하고, 학교 안의 제한된 이용 범위를 확장시켜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교관리자와 학생들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학교도서관 담당자들은 학교도서관의 타당한 존립 근거와 진정한 가치를 학교관리자에게 알려야 하고, 학생들의 토요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조사 및 사후평가를 통해, 참가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주5일 수업제의 목적에 맞게 학생들과 학부모가 토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 개방시간이나 프로그램 운영시간을 확대하여 학부모들의 접근기회를 확대시켜야 한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 및 지원을 통해, 주5일 수업제의 전면도입으로 바람직한 여가문화 정립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및 창의력 신장을 중요시하는 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은 교육문화의 발판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A school library requires not only spatial factors but also professional manpower, programs and others to accomplish its role as a stable supporting foundation of the off-Saturdays in accordance with overall implementation of the five-day school week. This study observed current circumstance of school library programs on off-Saturdays, analyzed basic factors of the programs, and trie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five-day school week.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the opening on off-Saturdays and current program management conditions targeting on 45 middle school libraries on Seongnam district, and to conduct research and analysis through interviews with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as well as survey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following four major problems appeared through this study: ‘absence of manpower to support school library’, ‘no allocation of budget related with off-Saturdays program(operating expenses and personnel expenditure)’, ‘low interest of students and lack of demand’, and ‘low support from both in and outside of school’.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basic element of the programs and to suggest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to revitalize the program operated by school libraries on off-Saturdays. First, arrangement and expansion of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school library are a prerequisite for stable operation of school library’s Saturday progra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 in charge and to prepare alternative manpower to reduce its task burden. Second, it is the financial resource aspect. The budget items about school library’s Saturday program must be arranged. If it is not easy to prepare the budget, onemust overcome infrastructure problems such as limited resources, facilities, and budget of the school library budget and broaden the restricted availability range within the school, by organizing supportive and cooperative system with several public organizations outside the school.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students about school library. Persons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must inform to school administrators a reasonable existential base and true value of the school library, and develop programs which could motivate participation through student demand survey and post evaluation on Saturday programs. Fourth, with the purpose of the five-day school week inducing participations from both students and parents, approach chances should be expanded by extension of program operating time or opening time in school library. Through these constant interests and consideration on school libraries, they could make a progress as a steppingstone of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thinks highly of establishing desirable leisure culture, self-learning ability, and developing creativity.

      • 이더넷 기반 방송 시스템 통합제어에 관한 연구

        이서준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출 제한 조치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화상회의나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고, 오피스 환경에서부터 학교, 회의, 엔터테인먼트, 문화 활동, 그리고 거의 모든 측면에서 비대면 솔루션과 온라인 플랫폼이 부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화상회의 및 녹화 스튜디오를 필수적인 수단으로 만들었으며 방송 시스템은 미디어 제작, 엔터테인먼트 산업, 예술, 문화 활동, 교육, 그리고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었다. 음향 영상 시스템을 비전문가들이 다루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고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많은 인력과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통합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제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별도의 임베디드 시스템 없이 Companion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서 이더넷 기반 방송 시스템 통합제어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방송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통합제어 버튼을 구성하고 구축이 가능하다.

      • Numerical study of surface plasmon polaritons scattering at a planar metal-dielectric interface by an embedded dielectric nanocube

        이서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Surface plasmon polaritons (SPPs) are localized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along a planar metal−dielectric interface. SPPs have drawn much attention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light-emitting diodes, solar cells, Raman scattering, chemical or biological sensors, and integrated plasmonic circuits since they are localized electromagnetic waves on a metallic surface with higher local field density. As they have been applied in many applications, the in- and out-coupling of SPPs become important to efficiently excite SPP modes (in-coupling of SPPs), convert SPP modes into far-field radiating modes,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away from the metal surface to which SPPs are confined (out-coupling of SPPs), or manipulate SPPs (reflection or transmission). Particularly, efficient scattering of SPPs into the far-field radiating modes or reflected or transmitted SPPs is demanded in areas such as thin-film spectroscopy, integrated plasmonic devices, 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In this numerical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how SPPs at a planar metal−dielectric interface are scattered by a dielectric nanocube embedded in the metal layer. The scattering properties of the embedded nanocube in terms of cross sections of scattering and absorption, scattering patterns, reflection, and transmission are numerically analyzed employ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based simulations. It is confirmed that this embedded nanocube structural system is capable of wavelength-selective SPPs scattering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nanocube due to the plasmonic resonant modes that are excited in the nanocube.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attering properties of the embedded nanocub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monic resonant modes found in the embedded nanocube is discussed, showing that a specific plasmonic mode, which similarly appears in each of different-sized nanocubes, is responsible for strong scattering of SPPs. Along with the strong outcoupling of SPPs, the strong reflection also occurs when resonant modes of the embedded nanocube are excited, while the transmission decreases. In addition, the scattering patterns of the scattered waves out-coupled by the embedded nanocube are also discussed. With further developmen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fficient scattering of SPPs at a planar interface, which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integrated plasmonic devices and, especially, the efficiency of OLEDs by outcoupling of SPPs into the far field radiating modes by collection of embedded dielectric nanocubes with an appropriately chosen size distribution.

      •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불면증에 대한 수용전념치료(ACT)의 효과

        이서준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를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불면증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특히 수용전념치료의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치료과정 변인들을 설정하고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불면증에 대한 수용전념치료의 효과를 비롯해 치료과정 변인의 치료 후 변화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불면을 일으키는 요인을 설명하는 주의-의도-노력 경로 모형과 수면노력 모형에 근거하여 수용 행동, 수면 노력, 불면증 심각도,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인 신념 및 태도, 자기 자비를 ACT의 치료과정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실제 치료를 위해 충북 소재의 알코올전문병원에서 알코올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입원한 환자들 중 불면증 수용전념치료를 의뢰한 총 24명의 성인 남녀로 구성되었으며 결과 분석은 개인적인 사정과 퇴원 등의 이유로 처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의 자료를 포함하여 공분산분석(ANCOVA)으로 검증하였다. 처치집단에 실시한 수용전념 프로그램은 주 1회 90분씩 8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검사는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자기보고식으로 구성된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각 1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수용 행동과 자기 자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불면증 심각도, 수면 노력,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인 신념 및 태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불면증에 수용전념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이서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유례없는 고속 성장은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급속도로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가사에 대한 책임은 여성에 편중되어 있고, 젊은 세대를 필두로 성역할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기혼 임금근로자는 직장에서의 책임과 가정에서의 책임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과도한 중압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는 직장 또는 가정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써 작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영역의 갈등이 다른 영역에까지 전이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한국은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노동시장 유연화가 급격히 이루어졌으며 이는 비전형 근로자 확산의 계기가 되었다.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개인의 삶의 질과 근로자로서의 직업만족 저하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으로 인한 어려움과 종사상 지위의 취약점은 직업만족의 하락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들이 가진 취약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는 영유아·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의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어려움을 살펴보았는데 성별과 관계없이 가족 구성원으로서 그리고 근로자로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총체적으로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이 이론과 사회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2020 제6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사 응답자 50,538명 중 기혼 상용근로자와 임시·일용근로자 19,089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독립변수인 직장-가정갈등은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5개 문항의 합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직업만족은 직무와 직업에 관한 주관적 평가 문항의 응답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7개의 문항의 합으로 측정하였다. 조절변수인 고용형태는 상용근로자를 기준 집단으로 더미변수 처리하여 투입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장-가정갈등과 직업만족 수준의 차이, 고용형태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9.0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라 연령, 성별, 학력, 주당 근로시간, 근속년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기혼 임금근로자의 연령, 성별, 학력, 주당 근로시간, 근속년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직장-가정갈등, 직업만족 수준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직장-가정갈등 수준이 낮을 때, 고용형태가 임시·일용근로자일 때보다 상용근로자일 때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가정갈등과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 간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중 연령, 성별, 학력, 근속년수, 주관적 건강상태가 기혼 임금근로자의 직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가정 양립제도 점검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기혼 임금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이 종사상 지위와 관계없이 지원되도록 제도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장·가정 양쪽 영역에서 동시에 역할갈등을 겪고 있는 기혼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차별적 조직문화 철폐와 비정규 노동에 대한 고용 안정성 증대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임시·일용근로자 집단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한 교육·훈련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Korea's unprecedented rapid growth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throughout society. Although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s increased rapidly, responsibility for housework is still concentrated on women, and awareness of gender roles is changing, led by the younger generation,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In particular, married paid workers suffer from excessive pressure as they simultaneously carry out responsibilities at work and at home. This can act as a possibility that negative influences can occur in the work or home domain, and there is a risk that conflicts in one domain can spread to other domains. In addition, labor market flexibility has been rapidly achieved in Korea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spread of atypical workers. The stress caused by job instability has a hug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and the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as a worker. The difficulties caused by work-family conflicts and the vulnerability of working status of married paid workers are highly likely to cause a decline in job satisfaction, so appropriate interventions are needed to address their vulnerabilities. Existing studies have looked at the difficulties of married female paid work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have comprehensively looked at the difficulties that can be experienced as family members and workers regardless of gend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married paid workers' job satisfaction based on spillover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analysis data used the raw data of the ‘2020 6th Work Environment Survey’ and included 19,089 married regular workers and temporary/daily workers out of 50,538 total survey respondents in the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 work-family conflict, was measured by the sum of 5 items composed of a 5-point Likert scale. It was measured as the sum of items. Employment status, a moderating variable, was input by treating regular workers as a dummy variable as a standard grou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presented, and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were verified. In addi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9.0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ag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weekly working hours, years of servi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paid workers. Second,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age, gender, education, weekly working hours, years of servi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arried paid workers were verified. Third,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was low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married paid workers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y were regular workers than when they were temporary or daily workers.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statu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paid workers. Lastly,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gender, education, years of servi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paid work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create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expand the system to support married paid workers' work-life balance regardless of occupational statu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married paid workers who are experiencing role conflicts in both the workplace and family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properly manage their stress. Third, it is necessary to abolish discriminato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crease employment stability for non-regular labor. Fourth, as the proportion of socially vulnerable groups is high in the temporary and daily worker group, policy support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and creation of quality jobs for them is needed.

      • 일제강점기 한글성경의 반포와 해석에서 나타나는 항일 운동에 관한 연구

        이서준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한글성경의 반포와 해석, 그리고 항일운동에 대해 다룬 논문이다. 특히나 권서의 역할이 성경 반포 뿐만 아니라 항일 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이를 통해 어떻게 성경이 해석됐는 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 논문이 다루는 논의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1) 일제의 한국강점과 개신교의 관계에서는 일제강점기를 시기별로 구분 하고 각 시기에 개신교가 일본에게 어떤 존재였는지를 서술한다. (2) 한글 성경의 번역과 출판과정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반포되었던 성경의 과정과 이 과정이 갖는 의의에 대해서 살펴본다. (3) 한글성경의 반포와 항일운동 에서는 권서들이 한글성경을 반포하면서 일어난 항일운동의 과정을 다루 고, 성경이 어떻게 해석되었는지에 대해서 다룬다. 이 연구를 통해 입증하 고자 하는 내용은 한글성경이 일제강점기에 항일운동으로 작용한 영향이 적지 않다는 사실이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예> 한글성경, 항일운동, 권서, 신사참배, 성경번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