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로쿠샤(明六社) 지식인의 religion 이해의 맥락-니시 아마네(西周)의 「교문론」 분석-

        이새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2

        One of the reasons that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late Tokugawa period paid much attention to Christianity was because they regarded it as the key factor contributing to the wealth and strength of the Western countrie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religion held by most of the so-called Western learning intellectuals after the Meiji Revolution was somewhat similar. They believed that it w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realization of Civilization. Nishi Amane’s articles ‘On Religion’ were written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Nishi’s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his thoughts on how Japan should deal with it by analyzing ‘On Religion’. Also, some articles written by other members of the Meirokusha relating to religion would also be examined. 도쿠가와 말기부터 일본의 지식인들은 서구의 기독교에 주목했다. 기독교가 서구 국가들의 부강을 설명하는 요인이라는 점에서였다. 이 연장선상에서 메이지 유신 이후 본격적으로 기독교를 논의하게 되었을 때, 그들은 서양 사회에서의 기독교가 religion이라는 범주 안에서 이해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기독교가 아닌 종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서양 사회에서 종교란 무엇이며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지, 또 그것을 일본에 적용할 경우 어디에 해당하는지 등등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이들의 관심은 학문적・정치적 논점으로서의 종교에 있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메이로쿠샤 회원들 간에 일어난 흥미로운 논의들 중 하나인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의 「교문론(敎門論)」이 있다. 본 논문은 「교문론」에 나타난 니시의 종교 이해 논리와 그에 대한 기대란 무엇이었으며, 이것이 어떻게 다른 메이로쿠샤 회원들의 논의와 연관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메이지 초기의 religion 이해가 가진 특유의 성격을 해명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천애인설」에 나타난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사상적 전환

        이새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비평 Vol.- No.16

        이 글은 일본의 메이지(明治) 초기를 대표하는 지식인의 한 사람인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 直, 1832~1891)의 메이지 유신을 전후로 한 문제의식의 전환에 대한 고찰이다. 소위 메이지 일본을 대표하는 계몽사상가로 꼽히는 나카무라에 대해 기존의 연구들이 주목한 부분은 영국 유학(1866~1867) 이후의 그가 전개한 본격적인 서양 이해의 논의들이었다. 그러나 나카무라는 영국 유학 이전에 이미 창평횡(昌平黌)의 최고 유학자로 확고한 사상적 기반 위에서 다양한 글을 남긴 바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전체 사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영국 유학 이전 시기인 창평횡에서의 나카무라의 논의에서부터 출발해 메이지 이후로 연결되는 맥락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나카무라의 글 중 「경천애인설」(敬天愛人說)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경천애인설」은 1868년에 집필된 글로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 쓴 글로 추정된다. 이 글에 는그의 유학적 세계관이 서양을 직접 경험하면서 겪은 사상적 변화가 드러나 있다는 의미에서 중요한텍스트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이 글을 전면적으로 분석한 적이 없었다. 이 글은 먼저 「경천애인설」 에 나타난 나카무라의 사상이 놓여 있는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 메이지 이전 시기의 그가 어떠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경천애인설」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통해 그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이전 시기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그의 사상적 변화를 분명히 밝혔다. 마지막으로 「경천애인설」상의 ‘하늘’[天] 개념을 선행연구들의 관점과 같이 기독교적 신(神)으로 봐야 할 것인지를 고찰함으로써 그의 종교 이해의 논리를 분석했다.

      • KCI등재

        『노동야학』에 나타난 국민 만들기의 논리 -유길준이 본 대한제국의 ‘하등사회’-

        이새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사이 Vol.28 No.-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in Korean history, Yu Gil-Jun’s Nodonghahak Dokbon (1908) and Nodongyahak (1909) was the earliest attemp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abor’ and systematically explain the meaning of it in a new social order. Through careful reading on Nodongyahak, this paper tries to depict the problems Yu Gil-jun saw in the Korean Empire in 1908. First, as a basic work to understand the nature of Nodongyahak, I briefly summarized the issues concerning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Worker’s Night School. Second, afte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Nodongyahak, by comparing it with Nodonghahak Dokbon, I examined the motif of writing these two books and tried to understand Yu’s perspective. He set the concept of “society” that is not found in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as a new axis of human relations and the readers of Nodongyahak are regarded as members of the “lower society”. Yu wanted the Korean workers to become independent and self-relying being, i.e. the ‘self-help’ typ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urged men to have proper jobs. However, Yu’s demand led to unconditional loyalty to the emperor at the same time. How can the task of creating a nation based on self-help spirit coexist with the discussion of unconditional obedience toward the monarch and the state? Nodongyahak conveys Yu’s voice most vividly and this makes the text a unique one. By careful reading of it, this paper tries to offer an answer to the above question and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is unique text.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 제일(勞動夜學讀本 第一, 1908)과 노동야학 일(勞動夜學 一, 1909)은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새로운 사회질서 속에서 노동이 갖는 의미를 체계적으로 설명해내고자 한 가장 초기의 시도였다. 이 글에서는 후자, 즉 최근에 발견된 노동야학의 독해를 통해 유길준이 1908년 시점에 대한제국 사회의 모습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텍스트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유길준이 두 책을 집필한 계기가 된 노동야학회의 설립과 운영 문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노동야학독본과의 대조를 통해 알 수 있는 노동야학의 특징을 서술한 뒤, 구체적으로 그의 문제의식을 살펴보았다. 그는 전통적인 유학적 세계관에는 없는 ‘사회’ 개념을 인간관계의 새로운 축으로 설정하고, 노동야학이 상정하는 독자를 ‘하등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노동자’라고 말한다. 유길준은 자조(自助)하는 인간으로서의 주체성․독립성을 노동자들에게 요구하며 ‘직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과 가질 것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그 모든 행위가 ‘임금’에 대한 충성과 의무이어야 함을 요구한다. 그러나 자조 정신에 입각한 국민 만들기의 과제가 군주와 국가를 향한 무조건적인 복종 논의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유길준의 글 중에서 그의 목소리가 가장 생생하게 전달된 텍스트인 노동야학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이상의 내용을 설명하고, 해당 텍스트의 집필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SNS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에 따른 테크노스트레스

        이새봄,문재영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상호작용 속도의 증가는 과잉 관계(over-relations)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과잉 관계로 인한 심리적, 시간적 부담으로 SNS에 대한 피로감을 느껴 SNS 이용을 기피하는 이용자들이 생기고 있다. SNS 피로감(fatigue), SNS 불안감(anxiety) 등 SNS 이용으로 인해 발생된 부작용에 관한 사항들은 ‘SNS 스트레스’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스트레스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며, 스트레스의 발생 원인을 상호작용의 과잉에서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총 26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 결과, 모든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정보공유와 커뮤니케이션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과부하가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SNS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상호작용성을 대입해 SNS가 가진 특징이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n increase of the interaction speed can lead to the problem of over-relations. Due to psychological and temporal burdens caused by the excessive relationship, users feel fatigue and users are avoiding using SNS. SNS fatigue and SNS anxiety is regarded as SNS stress related to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SNS use. This study is to approach negative view which is SNS stress and find out causes of stress from the over-relation of interaction. This study used total of 261 samples from Facebook users. As a results, all hypothesis are accepted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have positive effect on social interaction overload and it causes techno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NS characteristics occurs techno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at the features of SNS have negativ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1880년대 일본 ‘문명개화’론의 행방: 사회진화론과 유니테리어니즘을 대하는 두 가지 사례

        이새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일본비평 Vol.- No.26

        This paper is about Nakamura Masanao and Fukuzawa Yukichi, who led the discourse on Japan’s civilization in the early Meiji period. Following the early Meiji period, they continued to contemplate the method of realizing civilization in the 1880s. In this context, the focus of this paper will be on why they had such high expectations on Unitarianism. Another point of this paper’s interest is how these two intellectuals reacted to Social Darwinism at the time. Social Darwinism was introduced to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1880s and instantly it became the hottest issue. However, Nakamura and Fukuzawa barely showed any interest in Social Darwinism. Instead, one may say that they were more sympathetic to Unitarianism. This paper considers the fact that Nakamura and Fukuzawa actively showed their sympathy to Unitarianism while keeping their distance from the Social Darwinism are two aspects of their understanding of civiliz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logic of Confucianism, which was based on their academic and ideological basis, acted as the main cause for these characteristics to appear.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point ou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same generation who share the same educational background had difficulties in accepting the logic of Japanese Kokutai-ron.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logic of Confucianism underlying their thought.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way intellectuals of the same generation as Nakamura and Fukuzawa understand ‘religion’. And then, this paper will be explaining how the theory of Social Darwinism, which was widely spread in the 1880s, was used in politics and religion, and served as a lever to support the arguments of each stand. An analysis of how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is paper whose thought were centered on ‘heaven(tian)’, understood Unitarianism will be provided in the last part.

      • KCI등재

        메이지 전기 한학(漢學)의 유효성 논의 -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의 논리 -

        이새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1 No.-

        This article highlights how the introduction and prosperity of Western Learning affected the meaning of Chinese Learning in Meiji Japan. It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Masanao Nakamura (1832-1891), one of the greatest Confucian and Western Learning scholars of the time. After the Meiji Revolution, Western Learning education, which started at the end of the Tokugawa period, modified the traditional Chinese Learning-oriented education system from its origin. The academic mainstream quickly switched to Western Learning, and individuals had to learn it in order to succeed in society. However, this did not mean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Chinese Learning disappeare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as inevitably accompanied by an increased demand for translations and a skyrocketing need for Chinese characters for translations. Moreover, as the literary style of official documents changed from Soro(候) to Kanbun Kundokutai(漢文訓讀體), there was a demand for a new level of sophistication and angle on Chinese Learning education. For this reason, Nakamura held that the basics of Chinese Learning were essential to learn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Western Learning. Nakamura's asser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hinese Learning fundamentally differed from the opinions of Chinese scholars from the generation after his.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Nakamura’s logic of correlation between his understanding of the West and the role of Chinese Learning. 이 글은 메이지(明治) 전기 일본에서 양학(洋學)의 도입과 융성이 한학(漢學)의 존재 의의와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었는지, 당대 최고의 유학자이자 양학자이었던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 1832-1891)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도쿠가와 말기부터 시작된 양학 교육은 메이지 유신 이후 기존의 한학 중심의 교육 제도를 그 근간에서부터 바꾸어 버렸다. 학문의 주류는 빠르게 양학으로 바뀌어 갔고, 사회에서 출세하기 위해서는 양학을 배워야 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곧바로 한학의 존재의의가 소멸된 것은 아니다. 서양 문명의 도입이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되는 번역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한자로 된 번역어가 급증했고, 공식 문서상의 문체가 소로(候)문에서 한문 훈독체(訓讀體)로 바뀌게 되면서 한학적 소양에 대한 새로운 각도에서의 수요가 발생하였다. 나카무라에 따르면 한학의 기본 소양 없이 언론이나 정치, 학문 영역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는 어려웠다. 그는 일정 수준 이상의 양학 학습을 위해서도 한학의 기초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이처럼 사회의 변화를 직시하면서도 한학의 유용성을 주장한 나카무라의 주장은, 1880년대 후반 이후 그의 후속 세대 한학 혹은 중국에 관한 지식인들의 논의와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도쿠가와 시대의 마지막 유학자 세대에 속한 나카무라가 전개한 서양 이해의 논리, 그리고 이와 표리를 이루는 한학의 유효성에 대한 확신의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