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작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이은복 ( Eun-bok Lee ),이근용 ( Kun-yong Rhee ),나운환 ( Woon-hwan N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4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와 작업생산성과의 인과 관계를 구명하고, 이들 요인을 관리함으로서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일반기업체와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중 근로작업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지체장애, 청각언어장애인이며 일반기업 근로자 111명과 근로작업시설 근로자 94명, 총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사회적지지 그리고 작업생산성의 수준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감수준, 가족 및 후원자지지의 수준이 중간인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작업 목표량 완수율이 높고, 모든 요인이각각 높을수록 작업시 실수 혹은 사고 발생이 적으며,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작업참여 태도가 좋고, 과제난이도 선호가 높을수록 작업수행정도가 향상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여성이 자기효능감의 과제 난이도 선호가 더 높고, 작업실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 근로작업시설에 종사하는 장애인 근로자가 일반기업체에 종사하는 장애인 근로자보다 작업완수가 높은 것을 제외하고,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작업생산성에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작업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ing at stabilizing and enhancing work productiv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firstly, by clarify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secondly, by managing any psychological and social causation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I conducted a survey on 205 workers with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y, deaf and speech disability) who work for general cooperations and work activity center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elows are the result of my study; First, work productivity has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at is, firstly, middle level of self-confidence and family and sponsor``s support induced higher ratio of target completion than high level of it, secondly, as each of the all factors becomes higher, work mistake or accidentlessened, thirdly, as self-efficacy enhanced, the attitude of work participation got better, finally, higher task difficulty preference was recognized as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level.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which verified the difference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general peculiarities of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task difficulty preference of self-efficacy and lesser work mistake than men. It represents that women have more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 and they are more challenging and delicat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who became disabilities beyond 20years old that is the time when one should choose his career had high self-efficacy and societal support and they seldom commit work mistake. Notably, the workers with two or thre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had high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he highest performance level as well.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education and ages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not direct determinants fo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verified the difference amo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employ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work productivity, except that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work for work activity centers had higher target completion than who work for general cooperation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owards work productivity, it turned out that self-efficacy, especially self-confidence, ha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work productivity, participation, mistake, performance level. as self-efficacy enhanced, the attitude of work participation got better and the work mistake or accident lessened. Furthermore, high task difficulty was connected with self-recognition of high performance level.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직업능력 표준 개발

        박정식 ( Jung Sik Park ),이근용 ( Kun Yong Rhee ),류현주 ( Hyun Ju Ryu ),인은정 ( Eun Jeong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미래 직업예견 및 준비를 위한 한국형 개별맞춤식 직종 상황평가(KTSA: Korea Tailerd Situational Assessment)의 개발을 위한 직종관련 직업능력표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문헌 분석과 자료 수집, 전문가 협의, 델파이 조사 등을 통해 직종관련 직능과제표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직업능력표준은 사무/판매, 컴퓨터/사무기술, 건설/제조, 소비/서비스, 재배의 5개 직종영역에 따른 40개의 직능영역과 관련된 210개의 직능과제로 분석되었다. 직업능력 표준 자료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상담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상황평가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job-related vocational skills standards for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future job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and the Delphi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Vocational standards are developed five job area(Secretary/marketing, computer/office skills, construction/manufacturing, consumer/services, culture), which were analyzed by the 40 functional areas, 210 functional tasks. Vocational standard materials research is need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pecial education student`s situation assessment systems to take advantage of career counseling materials.

      • KCI등재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 사용 특성

        김화수 ( Kim Wha-soo ),이후인 ( Lee Hu-in ),이근용 ( Rhee Kun-y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대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담화표지 유형과 사용 빈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8~24세 해당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이하 지적장애 집단)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대학생(이하 대학생 집단) 15명으로 총 30명이다. 자료처리는 선행연구를 수정·보안한 담화표지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 담화표지 사용 비율은 지적장애 집단 12.63%, 대학생 집단 12.5%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담화 기능에 따른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보면 지적장애 집단은 공백 메우기를 총 410회(37.79%)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지적장애 집단은 화제 복귀하기, 화제 심화하기, 강조하여 태도 표현하기, 약화하여 태도 표현하기, 조심스러운 태도 표현하기에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담화표지 ‘그’를 총 116회(28.29%)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두 집단 간 담화표지 사용 비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담화표지 사용 빈도수는 지적장애 집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해 개별 담화표지 사용 유형이 더 다양하지 못하였고 빈도가 낮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지적장애 집단의 적절한 담화표지 사용에 대한 언어적 중재를 수립하거나 담화표지와 관련된 연구 시 기초자료로 제공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interview discourse among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learn about what types of discourse markers, frequency of use are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matched their living age.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30 people of 15 adults aged between 18 and 24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hereinafter 'intellectually handicapped group') and 15 university student(hereinafter 'university student group') of the same living age as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marker analysis framework that modified and supplemented previous research. [Result] The two groups showed almost the same percentage of use of discourse markers in overall utterances as 12.63 percen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2.5 percent of university adults with matching their living age. When it comes to the overall use of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the discourse function,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 a total of 410 times (37.79%) of filling in gaps. the group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iversity group of students who matched their age in life in returning to the subject, deepening the subject, expressing attitude by emphasizing, expressing attitude by weakening , and expressing careful attitude. the group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discourse markers 'geu' a total of 116 (28.29%) in filling in gaps, and showed a high frequency of 10.69% of the total discourse markers.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using discourse marker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the fewer number of discourse markers in general, employed the fewer number of discourse marker in each subtype, and demonstrated the limited varieti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linguistic intervention on discourse markers for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지체 유아 및 자폐성 아동 중재 컨텐츠 개발 기초 연구

        김정일,이상복,이근용,권명옥,이민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3

        본 연구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2005년도 중점연구소지원 사업으로 선정된“발달지체 유아 및 자폐성아동 중재 컨텐츠 개발 및 시스템 적용 연구”를 위한 발달지체 유아와 자폐성 발달장애아동들을 위한 e-컨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e-컨텐츠가 지역 사회와 연계한 활용성을 배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하고자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실제 현재까지 연구된 컨텐츠 투입에 따른“실행 경로 추적”에 따라 관련 실행 상황들을 여과 없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 문제는 두 가지로 요약 된다. 첫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e-컨텐츠의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둘째, 향후의 개발 과제는 어떤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제안적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현재 우리나라 발달지체 유아 및 자폐성 발달장애아를 위한 e-컨텐츠 개발은 전문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의 진입단계 수준으로, 특히 지역사회 연계 측면에서는 예비교사교육 내용 등에서 조차 발달지체 관련 내용이 체계화 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 과제 관련 개발 컨텐츠의 투입 경로 추적에 따른 인터넷 시스템의 활용성은 현재 60만 명 이상의 지역사회 누적 사용자 확보에 따라 실용적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향후 지역사회 연계 컨텐츠 개발의 과제는 지역사회에서 발달지체 유아들을 위한 가정지도에 보다 쉽게 활용 될 수 있는“발달 이미지 중심 컨텐츠”와“기초학력 컨텐츠 개발”의 확대 적용이 향후 과제로 부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