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 수술의 최대혈액신청량 및 Adjacent Diagnosis Related Groups 환자분류체계에 따른 질환의 적혈구제제 평균수혈량의 설정

        윤수진,이경훈,권민정,박효순,우희연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20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10 No.3

        Backgroun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blood components, periodic updates of the maximum surgical blood order schedule (MSBOS) using recent data are crucial.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updated MSBOS and red blood cell (RBC) mean transfusion units per patient according to the adjacent diagnosis related groups (ADRG) classification system.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an audit of the medical records of inpatients at a tertiary hospital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7. We investigated transfusion-related data to establish the MSBOS and determine the RBC mean transfusion units per patient according to the ADRG and compared these updated values with previous data. Results: During the investigated period, a total of 5,607 RBC units were transfused in 17,382 patients. The revised MSBOS was similar to the previous MSBOS in most surgeries. Among the 130 ADRG codes analyzed, 34 codes showed an increase, while 96 codes showed a decrease in RBC mean transfusion units per patient, compared to data from 2007. Overall, the RBC mean transfusion units per patient in 2017 was 0.89 units less compared to that in 2007 after adjusting for age (95% CI: 0.853–0.912). Conclusions: The revised MSBOS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version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RBC transfusion units used in some surgeries and disease treatments compared to those in the past. Considering the changes within the medical environ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eriodic evaluation of MSBOS and RBC transfusion usage. 배경: 효율적인 혈액제제 관리를 위하여 최근 수혈자료를 활용한 최대혈액신청량(maximum surgical blood order schedule, MSBOS)의 개정은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대혈액신청량과 adjacent diagnosis related groups (ADRG) 코드 별 적혈구제제 평균수혈량을 설정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한 상급종합병원의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의무 기록을 바탕으로 한 후향적 연구이다. 수혈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최대혈액신청량과 ADRG 환자분류체계에 따른 적혈구제제 평균수혈량을 설정하였고, 과거 자료와 비교하였다. 결과: 2017년 17,382명의 환자에게 5,607단위의 적혈구제제가 수혈되었다. 새로 개정한 최대혈액신청량은 대부분의 수술에서 과거와 비슷하였다. 2007년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2017년의 평균수혈량이 130개의 ADRG 코드 중 34개 코드에서 증가하였고, 96개 코드에서는 감소하였다. 환자의 연령을 보정한 후 평균수혈량은 2007년에 비해 0.89단위 감소하였다(95% CI: 0.853-0.912). 결론: 개정된 최대혈액신청량은 과거와 거의 비슷하였으나 일부 수술과 질환에서의 수혈량은 차이가 있었다. 의료 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때 최대혈액신청량과 적정 수혈량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가상비서(Virtual Assistant) 콘텐츠를 활용한 뉴 실버세대의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지원 방안

        윤수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4

        21세기 의학, 생명공학 등의 비약적 발전에 힘입어 인간의 수명이 점차 늘어남으로써 실버세대로 불리는 노령인구 층도 점차 두터워지고 그들의 생활환경도 새로운 양상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노령 세대 인구의 개인적, 사회적 현실을 배경으로 _그들의 실생활에서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가상비서 콘텐츠는 어떠한 메커니즘과 시각적 이미지가 필요할까_ 라는 의문 해결의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근거를 확보하기 위하여 1,2차 설문조사와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뉴 실버세대를 위한 콘텐츠 서비스의 실용성 확장방안과 효율적인 제작 방향을 다음과 같이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가상비서의 일차적 기능은 육체적 건강과 심리적, 인지적으로 약해지기 시작하며 사회적 위상도 낮아지는 뉴 실버에게 친구이자 동반자의 개념으로 다가가 정서적 안정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현재 운용되고 있는 뉴 실버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분류‧분석하여 범주화 한 후 그에 최적화된 4가지 콘텐츠를 도출하였는데, 이 영역들은 기존 콘텐츠의 공통분모들을 모아 재구성 한 것으로 실버들의 특성에 맞는 요소들을 융합하여 디자인 하여야 한다. 세 번째, 뉴 실버세대가 원하는 기본적 가상비서 이미지는 30대 여성으로, 위 세 가지 내용들을 가이드라인으로 구성한 콘텐츠의 활용이, 사회에서 그들이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question_ which mechanism and visual image are required for a virtual assistant that coincides with their life and is available for efficient communication_ based on the individual and social reality of such elderly generation population. To secure the basis of research, this research conducted 1st, 2nd survey and analysis, based on this, suggested a conclusion on practicality extension plan and efficient production direction of contents service for new silver generation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function of virtual assistant should take a role to give emotional stability by approaching the new silver generation as a concept of a friend or a companion, who is weakened with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unction, with lowered social status. Second, this research derived 4 customized optimal contents after classifying· analyzing and categorizing various contents for new silver, currently operated, which areas are recomposition of common grounds of the existing contents, that should be designed by embracing the factors proper for the silver generation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 Third, the virtual assistant image required by new silver generation is female in 30s, and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bove contents composed of the above contents as the guideline could contribute to their efficient communication in the society.

      • KCI등재

        영화제 포스터의 시각적 다원성 분석 연구 - 국내 3대 국제영화제 포스터를 중심으로 -

        윤수진,노주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대한민국 영화계에서 개최해 온 국제영화제는 최근까지 세계적인 관심 속에 양적 질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그와 함께 해당 영화제의 포스터 디자인 또한 그시각적 이미지 표 현양식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괄목할만한 발전을 가져왔다. 본 연구는 국제영화제 포스터의 다원적 표현유형 분석을 통 해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순기능 및 그 위상을 확인함과 더불어 시각적 표현양식의 변화 추이 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 방법은 첫째, 문헌 적 연구를 통해 영화제의 개념 및 특성 분류, 포스터에 대한 고찰 후 영화제와 영화제 포스터 현황을 알아보았다. 둘째, 위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3대 국제영화제 포스터 70종의 디자인 이미지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셋째, 설정된 분석틀을 기준으로 포스 터에 적용된 디자인 이미지들의 시각적 표현양식을 분석하고 그 흐름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국제영화제 포스터의 이 미지 표현양식의 변화 추이는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첫째, 전반적으로 유채색의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에 기반을 두고 사진, 타이포그래피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한 형식이 두드러 졌다. 둘째,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미지 및 레이아웃 의 시지각적 차별성을 더욱 강조한 작품이 많았으며, 영화제 마다 각각의 성격 및 특성을 부각하고자 한 경향이 두드러지 게 나타났다. 따라서, 영화제를 홍보하는 대표 매체인 포스터 는 영화제의 성격 및 특징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시각적 이미 지의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또한 그와 같은 요건이 충 족되었을 때 대중에게 흥미를 주고 공감을 유도하는 포스터 로 기억될 것이며 영화제 자체의 존재감도 확장됨과 아울러 더욱 수준 높은 영화제로 평가될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영 화제 포스터 디자인 발전에 기여함과 아울러 여타 영화제 포 스터의 표현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 of visual expressi on patterns as well as the net function and status of post er design as a visual communication medium through the analysis of pluralistic representation types of internationa l film festival posters. First, the research method reviewe 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of the fest ival and the status of the festival posters through a litera ture study was conducted a review of the concept and ch aracteristics of the festival. Second, a prior study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background established an analy sis framework to verify the design images of 70 posters of the three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 Korea. T hird, the visual representation patterns of design images applied to posters were analyzed and their flow was ident ified based on the established analytical framework. As a result, first, the composition of photographs, typography, etc. in a complex manner based on illustration images of color colors in general is notable. Second, there were man y works that emphasized the visual differentiation of ima ges and layouts by utilizing computer programs, and eac h film festival had a distinct tendency to emphasize each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ster design for th e festival in the future, as well as be used as a basic mat erial for establishing expression strategies for other festi val posters.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윤수진,탁진국 한국코칭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만 5세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 통제 집단 15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만 5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주 1회 50분씩 총 7회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주 내용은 다양한 감정 장면을 통해 만5세 유아들의 감정의 명명화와 나의 감정을 인식하고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또래 유능성,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사회적 능력검사)을 사전, 사후, 추후(코칭 종료 4주 후)로 실시한 결과, 또래 유능성과 담임교사와의 의사소통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지속성도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