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슬개골 하극 분쇄 골절에서 고정 술기에 따른 인장력 비교

        송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슬개골 하극 분쇄 골절에서 고정 술기에 따른 인장력 비교 목 적 : 슬개골 하극 분쇄골절에서 수직 강선 고정술 단독 수술법과 환상 강선 고정술을 병행한 수술법 간의 술 후 슬개골의 길이와 인장력의 차이를 사체 슬개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5구의 사체에서 좌우 10개의 슬개골을 적출한 후 하극이 사등분 되도록 절골술을 시행하고 한쪽은 수직 강선 고정술을, 반대쪽은 수직 강선 고정술 후 환상 강선 고정술을 병행하여 내고정 하였다. 슬개골의 최장 종축 길이를 절골술 시행 전과 각각의 시술 후 측정하여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검체를 Intron기기(Instron model 6022; Instron Co., Canton, Massachusetts, U.S.A.)에 연결하여 절골부의 해리가 발생할 때까지 인장력을 가하여 최대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고정 방법에서 슬개골 길이 변화 및 최대 인장력, 강성도를 구한 후 이를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검증하였다. 결 과 : 절골술 전 슬개골의 길이는 수직 강선 고정군에서 평균 5.27cm (범위 4.72-5.87cm), 환상 강선 고정술 병행군에서 평균 5.27cm (범위 4.75-5.82cm)였으며, 시술 후 수직 강선 고정군에서는 평균 4.8cm (범위 4.24-5.36cm), 환상 강선 고정술 병행군에서 평균 4.72cm (범위 4.08-5.3cm)으로 환상 강선 고정술 병행군에서 길이 변화가 의미 있게 많았다(p<0.05). 최대 인장 강도 및 강성도는 수직 강선 고정군에서는 평균 223N (범위 131.6-365.2N) 및 249.5N/mm (범위 186.5-376.1N/mm) 였으며, 환상 강선 고정술 병행군에서 평균 324.7N (범위 264.8-423.8N) 및 342.9N/mm (범위 295.2-426.1N/mm)로 두 군간의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결 론 : 수직 강선 고정술과 환상 강선 고정술을 병행하여 시행하면 수직 강선 고정술 단독 고정에 비하여 고정력이 우수하며 조기 재활이 가능하여 대퇴 신전 기능 유지에 더 좋은 효과가 있는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麻黃 藥鍼의 喘息抑制 및 免疫調節效果에 對한 實驗的 硏究

        송형근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 Recently, so many people are suffered from the allergic or auto-immune disease, and the representative disease is just Allergic Asthma. It is because human immune function has been decreased. Many treatments were done to treat this disease, and many methods were studied to increase immune function and to suppress the asthma. But, the effect of asthma-suppression and improvement of immune response of EH-HA(Ephedrae Herba Herbal Acupunture) has not been studied in detail. To study the effects of EH-HA, we injected EH-HA at Joksamni(ST36) of C57BL/6 mice.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thma-suppression and improvement of immune response of EH-HA(Ephedrae Herba Herbal Acupunture). EH-HA was done at Joksamni(ST36) of the mice with ovalbumin-induced asthma. Methods : C57BL/6 mice were sensitized and challenged with OVA(ovalbumin) for 12 weeks.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1%, 0.1%) of EH-HA at Joksamni(ST36) for the later 8 weeks(3times/week). Results : 1. The lung weight of the group treated with EH-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2. The total cells in lung, total leukocytes and eosinophils in BALF of the group treated with EH-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3. Eosinophils in BALF of the group treated wtih EH-HA in photomicrograph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4. The concentrations of IL-3, IgE, IL-4 in serum and IL-4 in BALF of the group treated with EH-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5. The numbers of Gr-1^(+)/CD11b^(+) cells, CD3e^(-)/CCR3^(+) cells, CB4^(+) cells, CB8^(+) cells, CD3e^(+)/CD69^(+) cells and IgE^(+))/B220^(+)cells in lung of the group treated with EH-HA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6. In RT-PCR, the mRNA expression of IL-4, IL-5 and IL-13 in the group treated with EH-HA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H-HA at Joksamni(ST36) in C57BL/6mice may be effective to OVA-induced asthma of C57B/6 mice.

      • 양릉천 도인 약침이 고지혈증 병태 모델 흰쥐에 미치는 영향

        송형근 大田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 Method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Persicae Semen Herbal-acupuncture at GB34 (Yangneungcheon) on hyperlipidemia of rats fed with high-fat diet. The author performed several experimental items to analyze the levels of various components and enzymes in serum and liver, and the histological changes of liver and aorta. Results : 1. Persicae Semen Herbal-acupuncture solution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ctivity in rat's liver cells. 2. In Persicae Semen Herbal-acupunctur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in serum and the ratio of total 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ratio of total phospholipid to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3. In Persicae Semen Herbal-acupunctur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level of glutathione in liver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4. In Persicae Semen Herbal-acupuncture group, the pathological changes in liver and arota were suppressed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ersicae Semen Herbal-acupuncture at GB34 has a good effectiveness on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idemia.

      • 장애인 고용지원정책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송형근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인 고용지원정책의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세균성 점무늬병에 의한 고추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 변화 연구

        송형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토양과 고추에 세균성 점무늬병의 병원균인 Xanthomonas euvesicatoria 접종하여 점무늬병을 유발하고, 병징 발생, X. euvesicatoria 검출 및 병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를 통해서 점무늬병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또한, iSeq 100을 통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과 생물정보학 tool인 Mothur를 사용하여, 세균성 점무늬병에 의한 근권토양 미생물군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병원균을 고추 엽면에 접종한 PAD (병원균 미접종 A 토양 사용)와 PBD group (2주전 병원균 접종 B토양 사용)에서 반점, 황화 및 낙엽 등 점무늬병의 대표적인 병징이 발생하였으며, 병원균을 토양에만 접종한 PBC group과 토양 및 고추에 병원균을 접종하지 않은 PAC에서 점무늬병의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X. euvesicatoria를 검출하기 위해, 종 특이성 primer set를 사용해 PCR을 한 결과, B soil, PAD 및 PBD group에서 뚜렷한 band 크기를 확인하였고, PBC group에서는 희미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A soil과 PAC group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점무늬병에 의한 엽록소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시료의 엽록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PAC group의 chlorophyll-a, chlorophyll-b 및 total chlorophyll 함량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점무늬병의 병징이 나타난 PAD 및 PBD group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에 따라, 토양에만 병원균을 접종한 PBC group은 병원균이 토양에서 식물로의 전이는 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되며, PAD와 PBD group에서 세균성 점무늬병이 발병한 것을 확인하였다. 세균성 점무늬병에 의한 고추 근권토양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alpha-다양성, 미생물 군집 분포, beta-다양성, LEfSe분석을 시행하였다. alpha-다양성 분석 결과, Good’s coverage의 측정치는 0.922-0.933로 평균 0.927±0.004 값이 나왔으며, 약 92%의 OTU가 sequencing에 의해 제시됨을 의미하며, 이는 시료를 잘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병징이 나타난 처리구(Disease group)와 대조구(Control group)간 alpha-다양성 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OTU 수, Chao 지수, Shannon 지수 및 inverse Simpson 지수는 유의적으로 처리구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위 결과는 세균성 점무늬병이 미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미생물 군집 분포 분석 결과 문 수준에서 Proteobacteria, Bacteria_unclassified, Actinobacteria 및 Candidatus Saccharibacteria 순으로 우점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교 분석한 결과, Candidatus Saccharibacteria, Verrucomicrobia, Chloroflexi, candidate_division_WPS-1 및 Gemmatimonadetes이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속 수준에서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모든 근권 토양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Bacteria_unclassified와 Candidatus Saccharibacteria_unclassified가 우점을 차지하였으며, 비교 분석한 결과 총 743종의 세균 속 중 Candidatus Saccharibacteria_unclassified를 포함한 50종의 미생물이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료 간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Yue & Clayton distance, Bray-Curtis distance 및 Jaccard distance를 사용하여, beta-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Yue & Clayton distance와 Jaccard distance에서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Bray-Curtis distance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distance를 바탕으로 비모수다차원 척도법(NMDS)과 주좌표법(PCoA)으로 도식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간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균성 점무늬병이 발병한 처리구와 대조구간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OTUs를 선별하기 위해 LEfSe 분석한 결과, 처리구에서 Rhodanobacter (OTU 1), Arachidicoccus (OTU 39), Candidatus Saccharibacteria (OTU 60, OTU 76) 및 Unclassified Xanthomonadales (OTU 76)이 나타났으며, 대조구에서는 Unclassified Subdivision3 (OTU 18, OTU 51), Unclassified Chitinophagaceae (OTU 20) 및 Unclassified Micropepsaceae (OTU 35)가 유의적으로 많이 분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세균성 점무늬병에 의한 고추 근권 미생물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식물병과 고추 근권 미생물 군집 간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기초 연구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벌금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송형근 건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벌금형은 오늘날 단기자유형으로 인한 시설의 부족과 인력, 비용의 등의 문제를 대체할 수 있는 형벌로서 가장 많이 선고되는 형벌중의 하나이다. 벌금형은 범죄인을 교정시설에 구금하지 않고 사회내 처우를 통하여 교화,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시설내 처우에 비하여 경비가 적게 들며 무엇보다 단기자유형으로 인한 중한 범죄로부터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총액벌금형제도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자에게는 형벌이 가볍게 받아들여지고, 빈곤한자의 경우에는 형벌이 너무 무거워서 형벌의 효과가 불평등하게 미치는 결과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벌금을 미납한 경우 벌금형을 대체하는 노역장 유치제도는 벌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자들을 위해 벌금을 탕감해주려는 목적에 의해서 도입된 제도임에 불구하고, 고액의 벌금을 받거나 벌금을 충분히 납부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자들이 악용하여 고액벌금을 탕감 받는 제도로 전락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피고인의 경제적인 능력을 고려하지 않는 총액벌금형제도가 갖는 문제이다. 이 밖에도 벌금미납시에 대체하는 노역장에 유치제도는 합리적인 환산기준의 부존재로 인하여 형벌의 불균형문제가 심각하다. 또한 벌금이 징수되지 못하여 벌금형의 집행률이 매우 저조한 문제점도 발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외국에서는 이미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일수벌금형제도의 도입과 그 밖에 집행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개선방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Monetary penalty, one of the most exercised punishments today, is a punishment capable of resolving th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manpower, costs and facility caused by short term imprisonment. Monetary penalty is designed to reform and correct offenders through better treatment without detaining them at correctional facilities. At the same time, it exhausts less costs comparing to the treatment within the facility, and it is also capable of preventing the offenders in advance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more serious offenses through short term imprisonment. However, the total amount fine system widely adopted in Korea has been accused of incurring an unequal practice of punishment as the system is taken lightly by those who are financially wealthy while it imposes heavy burden on those who are financially strapped. Moreover, although the system of detention in a work place was initially introduced with intent to forgive the fine for those who are unable to pay for the fine due to financial difficulty by allowing them to substitute the fine with the hard labor, the system has often been manipulated by wealthy offenders trying to write off the fine after being sentenced to a large amount of fine. Such problems were caused because the total amount fine system was developed without fully taking individual financial means of offenders into a consideration. In the same context, the system of detention in a work place also carries a serious problem of inequal punishments as the system has yet to procure reasonable conversion criteria between the amount of fine and the number of days for hard labor. In addition, monetary punishments also revealed its systematic flaws of the low execution rate as substantial amount of the fines often remain uncollect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number of improvement measures designed to elevate the execution rate by implementing a day fine system and electronic deposit garnishment service, which have already been enforced in other nation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 저전력 시스템 지원을 위한 JFFS2 플래쉬 파일 시스템

        송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xisting JFFS2 flash file system recompresses a file already compressed in user level such as multimedia files when writing the file, so reiteration of data compression can befall for a number of files. When reading a file, moreover, unconditional usage of disk caches causes unnecessary memory access. Because of two vulnerable points, the file system is not suitable for supporting low power system. Thus, this work presents a modified JFFS2 file system applied by both the selective data compression technique to avoid repetitive data compression at writing a file and the selective page caching technique for preventing unnecessary RAM access at reading a file. This modified file system used in Linux running on a PDA shows effectiveness of reduced energy consumption. 본 논문은 플래쉬 메모리 기반의 내장형 시스템에서 저전력 시스템 지원을 위한 개선된 JFFS2 플래쉬 파일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JFFS2는 파일 쓰기 시 멀티미디어 파일과 같이 사용자 수준에서 압축된 파일을 파일 시스템 수준에서 중복 압축한다. 또한, 파일 읽기 시에는 무조건적인 디스크 캐쉬 사용으로 불필요한 메모리 접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개선된 JFFS2에서는 파일 쓰기 시 중복 압축 방지를 위한 선택적 데이터 압축 저장 기법과, 파일 읽기 시 불필요한 램 접근 방지를 위한 선택적 페이지 캐슁 기법을 적용한다. PDA기반의 리눅스 환경에서 시스템 에너지 소모량 감소를 보임으로써 개선된 JFFS2가 저전력 소모에 효율적임을 검증한다.

      •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 모형에서 두부골수형 골수내 정의 대퇴경간각과 지연나사 위치에 따른 고정력의 생체역학적 분석

        송형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are a prevalent occurrence among elderly individuals afflicted with osteoporosis. Nevertheless, there exists a notable paucity of research endeavor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emoral neck angle and the optimal lag screw placement for the treatment of these fractures. Consequently, the principal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undertake a biomechanical assessment, utilizing two distinct femoral neck angles and varying lag screw positions in intramedullary nailing, with the ultimate goal of ascertaining the most stable fixation configuration. Methods: Within the confines of this study, an unstable A2.2 intertrochanteric fracture, characterized by a 2mm interfragmentary gap, was meticulously replicated using artificial femurs as a consistent model. Four discrete fracture-fixation models were devised, predicated on the placement of lag screws either in the central or lower region of the femoral neck. These models were implemented using intramedullary nails featuring femoral neck angles of 125° and 130°, thereby constituting Groups 1, 2, 3, and 4, respectively. Each specimen underwent a series of four mechanical assessments while assuming a one-legged stance with a 25° frontal plane adduction angle and maintaining a neutral position in the sagittal plane. Mechanical evaluations were executed in a sequential fashion, commencing with a preload phase (100N, 20N/min), followed by dynamic loading (75-750N, 10,000 cycles, 2Hz), and culminating with static loading (10mm/min). Fracture strength and stiffness were determined at the juncture where a 10mm vertical deformation was observed. The movement of lag screws before and after dynamic loading was quantified through X- ray imaging. Furthermore, rotational alterations in the femoral head along the X (Rotation), Y (Varus collapse), and Z (Retroversion collapse) axes were assessed. For this purpose, markers were affixed to the femoral head, and their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ere recorded employing a Microscribe M (Revware Inc., USA). Results: The outcomes of static compression testing unveiled that Group 2 exhibited the highest fracture strength (1350±64N) and stiffness (188±15N/mm) in contrast to Group 1 (1312±100N, 170±3N/mm), Group 3 (1316±98N, 173±2N/mm), and Group 4 (1327±92N, 183±7N/mm). Furthermore, the displacement of lag screws, assessed via X-ray imaging both pre- and post-testing, demonstrated the least amount of movement within Group 2 (0.54±0.11mm) when juxtaposed with Group 1 (0.64±0.11mm), Group 3 (0.62±0.11mm), and Group 4 (0.56±0.07mm). Conversely, rotational changes about the X, Y, and Z axes were most pronounced within Group 2, with respective values of 1.72±0.09°, 2.25±0.27°, and 0.58±0.21°, in contrast to Group 1 (1.42±0.19°, 1.94±0.41°, 0.51±0.12°), Group 3 (1.33±0.17°, 1.94±0.25°, 0.49±0.15°), and Group 4 (1.66±0.18°, 1.97±0.44°, 0.58±0.14°).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superiority of employing intramedullary nails with a femoral neck angle of 125° in conjunction with lag screws position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femoral neck (Group 2), resulting in enhanced fracture strength and stiffness when compared to other configurations. Nevertheless, it is imperative to note that the placement of lag screws in the lower region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greater rotational change, amounting to approximately 30%. Therefore, future investigations are warranted to explore strategies for mitigating rotational changes in such instances. 서론: 대퇴 전자간 골절은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골수정의 대퇴경간각과 지연나사의 위치에 대해 비교 분석을 진행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수정의 두 가지 대퇴경간각 과 지연나사의 위치에 따른 생체역학적 평가를 진행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대퇴 경간각과 지연 나사의 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퇴 인조골을 사용하여 2mm의 골절 간격을 갖는 A2.2 대 퇴골 전자간 불안정 골절을 일정하게 재현하였다. 이후 125° 및 130°의 대퇴경간각 을 가지는 골수정에 지연나사를 대퇴 경부의 중심부 또는 하단부에 위치시켜 총 4가지 Group으로 골절-내고정 모형을 제작하였다. 125° 대퇴경간각의 골수정에 지연나사를 중심부 또는 하단부에 위치시킨 경우를 Group 1, 2로 설정하였으며, 130° 대퇴경간각 의 골수정에 지연나사를 중심부, 하단부에 위치시킨 경우를 Group 3, 4로 설정하였다. 모든 시편을 one-legged stance를 가정하여 frontal plane에서 25° adduction을 적 용하였으며, sagittal plane에서는 neutral position으로 고정하한 후 mechanical testing machine(MTS 858, MTS system Corp., USA)을 이용하여, 각 Group별 4회 의 역학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직 압축 하중은 예비 하중(100N, 20N/min), 동적 하중 (75-750N, 10,000cycles, 2Hz), 정적 하중(10mm/min)의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직으로 10mm 변형이 발생한 시점에서의 파괴 강도와 강성도를 측정하 였다. 동적 부하 실험 전후 X-ray 촬영을 통한 지연나사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대퇴 골두의 X(Rotation), Y(Varus collapse), Z(Retroversion collapse)축 회전변화 측정 을 위해 대퇴골두에 marker를 부착 후 Microscribe M (Revware Inc., USA)을 이용 하여 3차원 좌표를 측정하였다. 결과: 정적 압축 실험의 결과는 Group Ⅱ가 1350±64N (Group Ⅰ=1312±100N, Group Ⅲ=1316±98N, Group Ⅳ=1327±92N)으로 가장 높은 파괴강도와 강성도 188±15N/mm (Group Ⅰ=170±3N/mm, Group Ⅲ=173±2N/mm, Group Ⅳ=183 ±7N/mm)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 전후 X-ray 촬영을 통한 지연나사의 sliding은 Group Ⅱ가 0.54±0.11mm(Group Ⅰ=0.64±0.11mm, Group Ⅲ=0.62±0.11mm, Group Ⅳ=0.56±0.07mm)로 가장 낮은 sliding을 보였다. 그러나 X, Y, Z축 회전변화 의 경우 Group Ⅱ에서 각 1.72±0.09°, 2.25±0.27°, 0.58±0.21°(Group Ⅰ =1.42±0.19°; 1.94±0.41°; 0.51±0.12°, Group Ⅲ=1.33±0.17°; 1.94±0.25°; 0.49±0.15°, Group Ⅳ=1.66±0.18°; 1.97±0.44°; 0.58±0.14°)로 가장 높은 변화를 보였다. 모든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Group Ⅱ에 해당하는 125° 대퇴경간각의 골수정을 이 용해 지연나사를 경부 하단에 위치시킬 때 다른 Group보다 우수한 파괴강도와 강성도 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연나사가 하단부에 위치할 경우 최대 약 30% 높은 회전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추후 회전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 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