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정희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2717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65 p.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에 국문초록 수록
        Abstract: p. 62-65
        설명적 각주 수록
        지도교수: 김미영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p. 59-6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Study on narrative style and inner consciousness of Oh Jung Hee's early novels. Song, Tae Sil D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odern novel is gradually focusing on human and highly intere...

      ABSTRACT

      Study on narrative style and inner consciousness
      of Oh Jung Hee's early novels.

      Song, Tae Sil
      D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odern novel is gradually focusing on human and highly interested in projecting the subjective inner world of human. The reason is that the desire of expressing inner and mental conflicts of human is increasing in a tense world. To employ the sincere existence and the faithful reality of human in a novel, it is necessary to have a method that narrates the inner consciousness of human. This method is called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his case covers short stories written by Oh Jung Hee such as “The Fire on the River”. “A Faint Light”, "An Embankment of Fog", “Silence and Solitude”, “A Spring Day”, "A woman weaver", "A runner", “A Toyshop woman”, “The garden of children”, “The Chinese road”, "A Game of evening", “A dark house” and so on. These stories describe the inner consciousness of character by an interior monologue. The case studies how the inner world of character has been embodied by which form of description. The summary is the following.
      First, in chapter 2, it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technique of inner monologue and the projection of inner consciousness in novels of Oh Jung Hee. The writer writes lengthy sentences and inserts form of lyricism and uses noun-ending sentences as techniques of inner monologue.
      Tendency of using lengthy sentence has a meaning not only observing the length of sentence. In novels of Oh Jung Hee, it primarily focuses on effects of using short and long sentence in the stream. By using long sentences, it shows that characters in novel of Oh Jung Hee are constantly revealing their complex inner feeling.
      One of methods to present inner monologue is inserting form of lyricism. By inserting implicative lyricism, it indirectly expresses inner side of character. Form of lyricism in Oh Jung Hee’s novels is often used to show the inner consciousness of character which is disconnected. It has a role to break the unity of language by offering different description within the novel. It efficiently expresses disconnected-inner such as severance of world,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o on.
      Noun-ended sentences restraint characters expressing their desire of revealing feeling. It also cuts the flow of inner consciousness by finishing the sentence in noun without predicate. Characters holds their wants to exploit desires in deep inside through noun-ended sentences. This is efficient to isolate characters’ stream of consciousness intentionally and show the repression inside.
      In chapter 3, this case looks at the usage of sensational language for narrating inner side of character.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delineation of sensational language in novels of Oh Jung Hee. And it concentrates on analyzing sight, smell and portrait of smell from five senses which are being used noticeably in novels of Oh Jung Hee. Description in optical language can be interpreted as description in colorful language. The usage of red, blue, black and yellow is remarkable in novels of Oh Jung Hee. In her novel, the image of red means destructive instinct and death in inner side of character. Red is a color as an appetite to escape from passionless life. Blue, in her novel, contrasts with red. Blue symbolizes the nature which is related to water such as river and cannel. In the novel, blue stands for richness of production while conflicting with destructive red. Also black appears frequently. In the story, black contains the image of nigh and darkness. The last color is yellow. Yellow functions as a reminder of the negative, miserable and fragile past memories in her novel.
      In the study of figuring character’s inner consciousness, it shows negative self-understanding and eruptions of desire by using sense of smell in language such as decayed smell, decomposed smell and nauseating smell.
      This study takes a side view of theme study and shows the literal style as a method in novels of Oh Jung Hee. It has an importance that it has observed her novel in an integrated point of view.
      However, focusing just only on the view of interior monologue and sensational languages in a limitation since there are other approaches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method in novel.
      The lifestyle changes the method of creating the story, inner side of characters and the novel. It is obvious that novels of Oh Jung Hee also have changed along history and society. This case argues the depiction method and studies description of inner monologue in her short stories. Also and in-depth discussion with a wider view which considers style of writing and theme should be followed.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國 文 抄 錄 오정희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 송 태 실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현대 소설은 점차 인간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주관적인 내면...

      國 文 抄 錄

      오정희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


      송 태 실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현대 소설은 점차 인간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주관적인 내면세계를 형상화 하는 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점점 복잡해지는 세계 속에서 인간의 내면과 정신적 갈등을 표출하려는 욕구 또한 커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인간 내면의 참된 존재의식을 드러내고, 진실한 리얼리티를 표출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내면의식을 탐색하는 서술 기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이 바로 의식의 흐름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오정희의 작품 중에 작중인물의 내면의식을 내적 독백으로 서술한 단편소설인 「불의 강(江)」, 「미명(未明)」, 「안개의 둑」, 「적요」, 「목련초(木蓮抄)」, 「봄날」, 「직녀」, 「산조(散調)」, 「주자(走者)」, 「완구점 여인」,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 「저녁의 게임」, 「어둠의 집」등을 대상으로 하였다.이러한 작품들에 드러난 작중 인물의 내면의식의 구체화가 어떤 서술 방식을 통해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오정희 소설에 드러난 내적 독백의 기법과 내면의식의 투사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가는 소설에서 내적 독백의 기법으로 장문화(長文化) 경향과 서정 양식의 삽입, 그리고 명사형 종결 문장을 사용하였다.
      장문화(長文化) 경향은 단지 문장의 호흡이 길다는 사실에 착안한 의미가 아니다. 오정희는 소설 안에서 단문과 장문의 흐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오정희 소설 속의 인물들은 내면의식의 표출을 호흡이 긴 장문(長文)을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복잡한 내면을 쉼 없이 토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설 안에 서정 양식의 삽입은 내적 독백을 나타내는 하나의 기법이다. 서정 양식을 삽입함으로써 서정 양식이 가진 함축성을 통해 인물이 가진 내면의식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서정 양식은 작중인물의 단절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 많이 사용된다. 서정 양식이 소설 안에서 이질적인 서술 방식을 동원하게 하여 의도적으로 언어의 통일성을 깨뜨리는 역할을 하며, 또 이것은 인물들의 내면의식에 담긴 세계와의 단절, 자아의 소외의식 등과 같은 단절의식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명사형 종결 문장은 인물들의 욕구 발현이나 분출을 억압한다. 서술어를 생략한 명사로 문장을 종결함으로써 내면의식의 흐름 또한 끊어버린다. 인물들은 명사형 종결 문장을 통해 자신의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욕망을 분출시키지 않고 억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명사형 문장 종결은 소설 인물들의 의식의 흐름을 의도적으로 차단하고, 인물의 억압된 욕망의 내면을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인물의 내면의식을 이야기하기 위한 서술 기법으로 감각어 사용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감각적 언어를 통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인간의 오감(五感)인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중에 오정희 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각과 후각 그리고 청각적 묘사를 중심으로 소설을 분석하였다. 시각적 언어를 통한 묘사는 색채어를 통한 묘사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오정희 소설에서는 색채어 중에서도 ‘빨강’, ‘파랑’, ‘검정’ 그리고 ‘노랑’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의 소설에서 드러난 ‘빨강’의 이미지는 인물 내면의 파괴본능과 죽음 등을 상징한다. 오정희 소설에서 ‘빨강’은 권태로운 일상에 대한 탈출 욕구를 보여주는 색채이다. 그의 소설에서 빨강과 대조되어 나타나는 색채는 ‘푸른색’이다. 푸른색은 소설 안에서 물과 관련된 강, 개천 등과 같은 자연물들로 나타난다. 인간의 내면에서 푸른색은 파괴본능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대조되며 ‘생산의 풍요’를 상징한다. 검은색 또한 빈번하게 등장한다. 소설 안에서 검은색은 밤, 어둠과 같은 이미지들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색채는 노란색이었다. 그의 소설에서 노란색은 불행하고 연약한 부정적인 과거 회상의 매개체로 사용된다.
      후각적 언어를 통한 인물의 내면의식 형상화 연구에서 주로 ‘부패한 냄새’나 썩은 냄새‘ 혹은 ’구역질 냄새‘와 같은 후각묘사를 통해 부정적 자기 인식이나 욕망의 분출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오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청각적 묘사는 인물의 정서와 자기 존재론적 자각에 따른 심리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고를 통해 필자는 오정희 소설의 주제론적 측면과 기법으로서의 문체적 측면을 고루 살펴보았다. 이전의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통합적인 측면에서 오정희의 작품을 바라보았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의식의 흐름 소설 기법에 있어 내적독백과 함께 다른 방식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협소하게 내적독백과 감각언어 정도의 시각에서만 작품을 바라보았다는데 그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이란 인간의 무궁무진하고 다양한 면모를 그려내는 문학 장르로, 인간이 사는 방식에 따라 소설의 내용과 인물의 내면의식 그리고 소설을 창조하는 기법이 변한다. 오정희 소설도 이런 역사와 사회에 따라 변모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오정희의 단편소설의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를 내적독백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지만, 좀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 문체와 주제를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심도 있는 논의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 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록 목적과 필요성 1
      • 목 차
      • <국문 초록>
      • Ⅰ. 서론 1
      • 1. 연구록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 연구 검토 4
      • 3. 연구 방법과 범위 11
      • Ⅱ. 내적 독백 기법을 통한 내면의식의 형상화와 그 효과…… 11
      • 1. 장문화(長文化)경향과 자의식 표출 15
      • 2. 서정양식의 삽입과 단절의식의 전경화 21
      • 3. 명사형 종결 문장과 억압된 욕망의 현시 26
      • Ⅲ. 감각적 언어를 통한 내면의식의 형상화와 그 효과 33
      • 1.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심층적 내면의식의 표출 34
      • 2. 후각적 이미지를 통한 부정적 내면의식의 표출 41
      • 3. 청각적 이미지를 통한 자각적 내면의식의 표출 46
      • Ⅳ. 결론 52
      • Ⅴ. 참고문헌 59
      •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