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화통역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손명순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수화통역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 17개 지역 192개소 수화통역센터(출장소 포함), 손말이음콜센터에서 근무 중인 수화통역사 211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소진을 분석한 결과 성별, 교육수준, 자격증유무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 근무지역, 이용자수, 통역시간, 평균임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감정노동과 소진 간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간에 부적 상관관계, 사회적 지지와 소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수화통역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표면행위, 내면행위, 직장의지지, 가족의지지, 이용자수, 통역시간, 연령, 근무지역, 평균임금 순으로 소진에 영향력이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수화통역사의 감정노동은 소진을 증가시키고, 사회적 지지는 소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감정노동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화통역사의 감정 노동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감정노동과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센터차원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 新羅 土偶 硏究 : 現況과 變遷을 中心으로

        손명순 慶州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focused on Silla clay figurines excavated from the stone lined tombs in and in the vicinity of Hwangnam-dong, Gyeongju, Korea. A total of 451 clay figurines discovered from 40 sit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type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ime period and site function. Silla clay figurine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before and after the 7th century. The clay figurines from the middle of the 5th to the 6th centuries were about 5cm tall, and attached to the earthenware in their form. In the case of human figures,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were exaggerated or omitted. In the mean time, singing, dancing and other entertaining gestures of human activities were noticeable. Animal figures were made up of various species such as mammals, fishes, birds and crustaceans. No figurine was discovered from the high-mounded royal tombs of Silla. The majority of them were collected mainly from the small or medium sized stone-compiled wooden chamber tombs and the stone lined tombs. Those figurines of the earlier times found to date seem the representation of human life, containing the expressions of human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d happiness. Especially, the expression of the scene of funeral ceremony can be interpreted as a desire to comfort the soul of the dead, and to pray for reincarnation or for an eternal life in the afterlife. Since the 7th century, many changes seem to have appeared in Silla clay figurines in term of the types, the production techniques, the purpose of use and so on. The independent type of human figurines taller than 10cm emphasizing specific parts of the body disappeared, but they changed into the human form which showed courteous manners with the hands clasped in the front. The animal figurines of fish and crustacean disappeared, but the horseback riding figurines and horse-shaped figurines increased in number.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lso changed into the hollow form in order to prevent figurines from cracking during the firing process. It is noted that the Old Silla clay figurine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accessories, which were for shamanistic purpose or primitive prayer for the eternal life of the dead. However, from the 7th century onwards, they have changed and seem to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First, burial mound figures in this time period appear to have functioned substitutes for the sacrificial burials to serve the dead. Second, the horseback riding figurines and horse-shaped figurines found from the dwelling sites are assumed to be used for rituals ceremonies. Third, the early form of the attached to the earthenware type is not completely discontinued, but they have been produced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Buddhism. Lastly, due to introduction and prevalence of Buddhism, the clay figurines seem to be transformed and developed into burial urns. The changes in the clay figurines since the 7th century are interpreted a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tombs in scale and the simplification of funeral ceremony according to Buddhist beliefs.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the horizontal stone chamber, the prevalence of crem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burial urns seem to be a direct influence of Buddhism. In addition, the changes in Silla clay figurines are also found in the course of the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earthenware production technique, the prohibition of sacrificial burials in 502 during King Jijeung reign, and the promulgation of laws by King Beopheung in 520 when the society began to be governed by the ordinances not by the customary laws. 본 논문은 경주 황남동 일대 소형 석곽묘 등에서 다량 출토되어 문화적 특성을 드러낸 신라 토우에 관한 연구이다. 경주지역의 40개 유적에서 출토된 451점의 토우를 정리하여 시대와 유적성격에 따른 토우의 종류와 변화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신라 토우는 시기적으로 7세기를 기준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구분된다. 먼저 5세기 중후반~6세기 대에 제작된 토우는 5㎝ 내외의 크기로서 토기에 부착된 형태이다. 인물 토우의 경우 신체의 특정부위를 과장하고 나머지는 생략하였으며, 가무, 잡기 등의 표현이 두드러진다. 동물 토우는 포유류, 어류, 조류, 갑각류 등 다양한 종류가 제작되었다. 왕릉급 대형무덤의 매장주체부에서는 출토 예가 거의 없고 주로 중․소형의 적석목곽분과 석곽묘에서 출토되었다. 현재까지 출토된 이른 시기 토우는 인간의 일대기를 표현한 것으로, 일상생활중의 희로애락이 담겨있다. 특히, 장례의식 장면을 표현한 것은 사자의 혼을 위로하고 부활을 기원하며, 저승에서도 영생을 기원하는 소망의 표현으로 해석하였다. 7세기 이후 신라 토우의 종류와 형식, 제작기법, 용도 등에 여러 가지 변화가 생긴 것으로 파악하였다. 크기가 10㎝ 이상의 독립형으로, 인물 토우의 경우 신체의 특정부위를 강조하였던 형식은 사라지고 양손을 모아서 예를 표하는 모습 등으로 변화하였다. 동물 토우의 경우 어류, 갑각류 등은 소멸되었으나 기마인물형 토우와 마형 토우의 양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제작기법에서도 소성 시 터짐 방지를 위해 가운데를 비운 중공(中空) 형태로 변화되었다. 아울러 고신라 토우는 신에 대한 원시적인 기원이나 주술적인 목적을 내포한 무덤부장품으로 매납되었으나 7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용도로 변모하였다는 점이 부각된다. 첫째, 순장대용품으로 피장자에 대한 시봉자의 개념인 토용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생활유적에서 출토된 기마인물형 토우와 마형 토우는 제의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토기에 부착되었던 초기형식이 완전히 단절되지 않고 불교의 상징적 표현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불교의 도입과 성행으로 골호로 변화 발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 이후 토우의 이러한 변화요인은 불교 신봉에 따른 무덤의 축소와 장례문화의 간소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횡혈식석실분의 축조와 화장제도의 보편화에 따른 골호의 등장이 불교의 직접적인 영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과 지증왕의 순장금지(502년), 법흥왕의 율령반포(520) 등 관습법에 따른 사회가 아닌 법령의 규제를 받는 사회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토우도 변화된것으로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