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Gender and development approach : application for women entreprenuership development in SMIs

        이주영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 1998 국내석사

        RANK : 235295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WID (Women in Development) 접근법과 GAD (Gender and Development) 접근법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과거의 경제 개발 정책과 여성 개발 정책을 비판하고, 나아가 GAD 접근법을 바탕을 해서 중소기업에서의 여성기업가개발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 지 검토하는 것이다. WID 와 GAD 의 비교에 있어서 이 글에서는 먼저 WID 접근법에서 GAD 접근법으로 변천하게 되는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보게 된다. WID 접근법은 처음으로 여성들의 현실과 발전에 있어서의 그들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WID의 지나친 여성 강조 성향은 남성과 구분 짓는 여성만의 구획화 (sectorization)를 낳았다. 뿐만 아니라, 여성을 수동적이고 주변적인 대상으로 보는 WID의 전제는 여성들이 적극적인 주체로서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리하여 학계와 발전 기구에서 여성 발전을 위해 일하는 학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WID의 한계점을 깨닫고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던 중 GAD접근법에 도달하게 된다. 발전 과정에서의 성 (gender) 불평등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GAD접근법은 다면적이고 총체적이며 실질적이다. 또한 구획화 보다는 협력과 통합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GAD접근법은 밑으로부터의 풀뿌리 대중 운동이나 동원을 강조한다. 따라서, GAD 접근법을 토대로 ‘발전’의개념은 토론과 참여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향상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 개념은 과거의 경제 발전 정책의 반성을 거쳐 등장하게된 ‘지속 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 과 깊은 연관이 있다. 대규모의 중앙 집중적인 산업화를 주장하던 정책 입안자들은 과거 발전 정책의 통화 침투효과 (trickle-down effect)의 한계를 인정해왔다. 이는 곧, 개발정책 뿐만 아니라 여성 정책에 있어서 변화를 의미하고, 그 변화는 상의하달 (上意下達) 식이 아닌 하의상달 (下意上達) 식의 일반 대중의 참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전과정에서의 여성들의 참여의 기회가 GAD 접근법과 중소기업개발 (SMID) 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밑으로부터의 풀뿌리 대중운동이나 하의상달식의 대중 참여의 특징으로 인해증가하게 되었다. 경제, 사회 발전에서의 중소기업의 중요성과 중소기업개발의 긍정적인 측면은 정부와 정책 입안자들이 여성중소기업가개발 증진에 관심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성에 근거한 불평등과 여성에 대한 속박으로 인해 개발도상국의 많은 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지지 못한 채 빈곤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GAD접근법을 바탕으로 한 정책 개발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GAD접근법이 여성기업가개발정책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의 활동을 소개한다. This thesis, by comparing Women in Development (WID) approach and Gender and Development (GAD) Approach, aims to discuss how past approaches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o women development can be criticized and how wome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small and medium-industries (SMIs) can be accomplished, using the GAD approach as its foundation. In comparing WID and GAD,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hift from the WID to the GAD. The WID approach was very meaningful in highlighting the situation of women and significant role women play in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its overemphasis on women resulted in sectorization of women. Also, its limited premise of women as passive and marginal subjects restricted women´s potential to become active agents. Considering the limits of the WID, those who worked for women´s development in development agencies and academia came to explore other kinds of approaches. Thus, the GAD approach arose. In terms of dealing with gender inequalit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GAD approach is multi-dimensional, holistic and substantial. The approach focuses on cooperation and integration rather than sectorization.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rassroots level mobilization. Hence, the concept of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GAD approach can be vied as a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etterment of individuals and of society as a whole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This notion of development can be equivalent to tha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appeared the contemplating the past development policies. Policy makes who used to insist on large-scale, centralized industrialization have acknowledged the limit of “trickle-down” effects. In other words, there in a shift in the approach to development as well as to women, specifically the emergence of bottom-up mobiliz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AD and small and medium-scale industry development (SMID) of bottom-up or grassroots level mobilization, women came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play as active participants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SMIs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positive aspects of SMID are powerful enough to persuade government and policy makers to promote wome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in SMIs. However, due to the gender-based problems and constraints against women, many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in acute poverty, far from having any chance to run their own firms. Here, the GAD approach can be fully engaged. In order to see how the GAD approach can be adapted to women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distinctive activities of UNIDO.

      • Vocational education reforms : inter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 on Korean vocational education

        백미화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 1998 국내석사

        RANK : 235295

        과거 직업 교육은 학생들이 특정 직업에 필요한 기능만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기술 발달과 경쟁으로 급하게 변해가는 현대경제에 맞서 세계 각 국가들은 이러한 경직된 직업교육을 재고하고, 다양한 개혁 정책을 모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적응해가는 노동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가 마다 사회, 경제 구조가 다르므로 그 정책이 다양하겠으나 최근 직업교육의 개혁 방향은 몇 가지 공통된 추세를 보인다. 첫째, 교과 과정이 직업교육과 인문교육 내용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둘째, 고용주들이 직업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가, 교육 행정과 들과 협의된 의사 결정을 내리도록 하고 있으며, 셋째, 학교 중심 학습(school-based learning)보다는 일 중심 학습(work-based learn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넷째 고용에 필요한 자격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통된 경향들을 이론적인 접근과 국가별 직업교육 개혁 정책 소개를 통해 증명하려 하였다. 특히 OECD 국가들 중 서독, 일본, 미국, 영국, 호주, 스위스의 직업 교육 정책을 예시 하였는데, 이들 국가는 15세에서 24세에 해당하는 노동 인력의 실업률이 낮고, 비교적 효율적인 직업 교육 제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들의 정책은 국제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최근 OECD에 가입한 한국의 직업 교육 개혁 정책에도 많은 시사점을 가질 것이다. 결론으로는, 위 네 가지 공통된 추세 중 직업 교육 과정과 인문 교육과정이 통합되는 경향이 나머지 세 경향__직업교육에 고용주 적극 참여, 일 중심 교육, 자격제도 확립__을 생기게 한 가장 근본적인 동기가 되며, 역으로 이 세가지 정책을 바탕으로 통합 정책이 더 강화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직업 교육과 인문 교육 통합 정책은 특히 한국의 직업 교육에서 첫째, 직업 고교 졸업자들에게 상위 교육 기관에 진학할 기회를 주고, 둘째, 대학 진학에 실패한 인문 고교 졸업자들에게 다양한 직업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위한 방안에 효율적임을 시사하였다. In order to properly cope with the current economy which demands widely adaptive skills and guarantees employment to the only equipped workers with this ability, most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recently undertaken reforms in vocational education. Since every country has its own unique set of social structures, reform trials in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take different shape in each context. In spite of the differences, recent policies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share several similar changes and are converging on four trends: 1. New curricula begin to integrate vocational and academic studies; 2. Employers actively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coordinate decision making with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3. Work-based learning is more focused than school-based learning; and 4. Qualification standards for employment are nationally set. In this thesis, these four trends are demonstrated by showing theoretical qualitative and empirical evidences. In particular, for empirical evidence, the vocational education reforms and policies of OECD countries- especially Germany, Japan, the U.S, the U.K. Australia, Switzerland, Denmark, and Netherlands- are introduced in terms of thei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 In these countries, since they are showing relatively low un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from age 15 to age 24 and making smooth transitions to employment, the core reform trends commonly found in their vocational education could be the role model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the efforts to provide reliable cross-national trends within the boundary of OECD countries will constructively enhance discussions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system of Korea, which recently received the status of member country in OECD. This thesis concludes that among four current trends, integr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education is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 which includes three other trends. That is,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pursuing similar reform pattern; overcoming traditional distinctions between vocational and academic curricula, and integrating them based on coordinated decision-making system, work-based learning, and the efficient skill standards(e.g. certification system). A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 vocational education, it is argued that integration policy can be applied for two purposed: firstly, to help vocational school graduates continue their studies in higher education level; secondly to provide workplace options for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who cannot advance to higher education level.

      • The influence of US domestic politics on the change in the US foreign policy : the US-North Korea negotiations from 1993 to 1994

        안유나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 1998 국내석사

        RANK : 235023

        이 논문은 미국 국내 정치가 미국 외교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1993년 3월부터 1994년 10월까지의 북미 핵 회담 사례를 통해 살펴 보았다. 회담 과정에서 클린턴 행정부의 기본적인 대북 정책은 변하지 않았으나 그 접근법은 강경 노선에서 온건 노선으로 수정되었다. 이 분야의 한 저명한 학자는 클린턴 행정부가 카터 행정부의 자유주의적 전통과 레이건, 부시 행정부의 현실주의적 전통을 물려 받았다고 주장한다. 행정부 내 두 이념의 공존은 대북 협상에서 클린턴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비일관된 태도를 설명해 준다. 더군다나 미 행정부는 종종 북한에 대하여 강경 노선에서 온건 노선으로 그 입장을 변경했다. 이러한 전술적 변화의 주요 원인을 같은 학자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동북아 국가들의 국제 정치에서 찾고 있다. 한편 다른 한 북한 전문가는 북한에 의해 사용된 다양한 협상 전술들이 미 행정부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다. 본인은 두 전문가에 의한 설명이 미국의 태도 변화를 이해하는 데 불충분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설득력도 있고 기존의 두 견해에 보완적이기도 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본인은 미국 국내 정치가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 회담에서의 전술적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한다. 11월에 예정된 중간 선거 때문에 클린턴 행정부는 많은 양보를 하면서까지 대북 회담을 조속히 마무리했다. 본인은 민주당 백악관이 외교 문제보다 국내 문제를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미국 국민들에게 과시하기 위해 오래 끌던 회담을 급히 종결한 것으로 본다. 미국 외교 정책은 국내 정치의 영향력을 도입함으로써 만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최근 미국 선거가 미국 외교 정책에 점점 더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가? 선거에서 미국 정치인들은 특히 탈냉전 시대를 맞아 국제 문제보다는 국내 문제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었다. 또한 누적된 미국 경제 불황도 선거에서 미국 정치가들이 국내 문제에 더 초점을 맞추게 하는 데에 공헌하였다. 결과적으로 탈냉전과 국내 경제 상황의 변화에 따라 미국 국내 정치가 미국 외교 정책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ole of U.S. domestic polities on the U.S. foreign policy by focusing on the case of Washington’s negotiations with Pyongyang regarding the nuclear issue of North Korea from March 1993 to October 1994. The fundamental policy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toward the North Korea has not changed but has been modified in its approach from hard-line to soft-line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One prominent scholar in this area argues that the legacy of both the liberal tradition of the Carter administration and the realist tradition of the Reagan and Bush administration remains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The coexistence of the two ideologies in the Clinton Administration explains the Washington’s inconsistent attitudes toward Pyongyang in the path of negotiation process. Further, Washington often changes its stance toward Pyongyang from hard-line to soft-line. The major cause of this tactical change has been ascribed to the international politics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Russia, and Japan by the same scholar. Another expert on North Korea claims, on the other hand, that the various negotiation tactics utilized by North Korea brought changes in Washington’s attitudes. I find these two explanations rendered by two experts are incomplete in understanding the change of Washington’s attitude. Hence, I attempt to give a new account that is thought to be not only more persuasive, but complementary to the previous two explanation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U.S. domestic politics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tactics adopted by Clinton Administration in negotiating with North Korean authorities. The off-year election that was to be held in November caused Washington to hasten the closure for the long negotiation with Pyongyang, making too many concessions. I believe that Democratic White House was motivated to close the dragging negotiation to show off its efforts in dealing with domestic issues rather than foreign affairs to the U.S. public. American foreign policy can only be understood adequately by incorporating the impact of domestic politics. Then, why the U.S. elections recently influence more increasingly the U.S. foreign policy? U.S. politicians react more sensitively to the people’s demands on domestic affairs rather than the international affairs when the election comes up especially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The accumulated U.S. economic recession also contributed to make U.S. politicians increasingly focus on domestic affairs in the elections. Consequently, the U.S. domestic politics influence the U.S. foreign policy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nged environment of the post-Cold War and the domestic economic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