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FOT기반 광고물을 이용한 상상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문제해결력 및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변소연,손은주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eFOT-based imaginative activities through advertisements on infants'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metacognition and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imaginative activities through advertisements have on infants'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what effects do imaginative activities through advertisements have on infants' metacogn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we carried out experiments with 53 children at the age of 5, set up imaginative programs using advertisements as experimental tools, and employed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metacognition tests as measurement tools. Key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FOT-based imaginative activities through advertisements exert effects on infants'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cultivating creativity is a way to increase the infants'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MeFOT-based imaginative activities through advertisements exert effects on increasing infants' metacognition. Thus, it is desirable to do creative and imaginative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infants' prediction power and evaluation capabilities. 본 연구는 MeFOT기반 광고물을 이용한 상상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문제해결력 및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를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만 5세 남아 27명(50.9%), 여아 26명(49.1%) 모두 53명을 대상으로, 광고물을 이용한 상상활동 프로그램을 실험도구로 사용하여 인지적 문제해결력과 초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MeFOT기반 광고물을 이용한 상상활동은 인지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유아의 인지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eFOT기반 광고물을 통한 상상활동을 실시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MeFOT기반 광고물을 이용한 상상활동은 초인지 전체와 하위요인인 예언력과 평가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MeFOT기반 광고물을 이용한 상상활동도 유아의 초인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변소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도구는 영유아인성교육과 인성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목적에 맞게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역할, 평가방법 측면에서 유아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질문지는 교사의 배경정보와 영유아인성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5가지 측면의 총 9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 .99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남 소재의 유아교육기관 50곳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66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역할, 평가방법에 대해서 중요도를 실행도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유아기의 인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영아기보다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영유아인성교육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들의 모바일게임과 댄스활동 인식이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변소연 한국무용학회 2008 한국무용학회지 Vol.8 No.1

        본 연구는 휴대전화에 익숙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모바일게임과 댄스활동의 인식에 따라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댄스활동의 대중화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400명을 표집하였으며 설문지 298부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 연구방법과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모바일게임과 댄스활동 대중화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모바일게임, 댄스활동에 대한 인식도가 대중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게임, 댄스활동의 인식과 대중화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providing basic material which is required to popularize mobile games and dance activities by ascertaining the influence of perception about mobile games and dance activities among young adults who are accustomed to using cell phone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400 persons in total among male or female young adul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s of 2007 by employ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m, but only 298 sheets in total were us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the methods and process of the study as above.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games and da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amp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indicated that perception of mobile games and dance activities affect their popularization. Third, there was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s of dance activities and their popularization.

      • KCI등재

        다양성 경험의 확장과 갈등 해결 모색을 위한 리빙랩 분석: 경북대 서문 이슬람 사원 건축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변소연,김은영,Hamza Nasir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3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3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직접 결합하여 해결책을 찾아가는 리빙랩 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분석으로, 경북대학교 서문 인근에서 발생한 이슬람 사원 건축 갈등사례를 다루고 있다. 2021년 가을, 경북대학교 사범대 내 교양강좌를 중심으로 리빙랩이 구성되었고, 다양한 학내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무슬림 유학생들의 경험을 공감하고 갈등 해결을 모색하는 활동들을 전개하였다. 리빙랩 참여자들은 유학생 및 가족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성의 경험을 확장하는 한편, 경북대 인근의 주민들과 만나 각기 다른 의견들을청취하고 갈등 해결을 모색하는 일련의 활동들을 계획하고 실천하였다. 이러한 활동에는 심층 인터뷰, ‘희망 캠프’, ‘대현동 산책’, ‘할랄푸드’ 나눔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의사결정을 통해 활동이 전개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참여자들이 경험한내적 변화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다양성에 내재한 갈등을 이해하고, 편견과 차별을 줄여나가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유아인성교육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분석

        변소연 ( Byeon So-y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IPA 매트릭스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인성교육의 실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유아인성교육 실제(유아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연구도구는 유아인성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유아인성교육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질문지(86문항, Cronbach’s α=.981)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첫째, 유아인성교육의 목적에 대해 우선시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인성교육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점진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인성교육의 내용, 유아인성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는 과잉지양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의 하위내용 분석결과 유아교사는 실제영역별로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인성교육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바람직한 유아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이후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IPA matrix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for 359 young children's teacher (purpos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The research tool used a questionnaire (86 items, Cronbach's α= .981) that examined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hood character practi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child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purpose of child education was firstly needed. Secondly, we recognized that gradual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the evaluation methods of child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y perceived the content of the child education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child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urpose,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child character education revealed that there are various demand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actual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ind out desirable methods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and then to provide basic data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를 중심으로

        변소연 ( Byeon Soyeon ),이경민 ( Lee Kyungm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유아인성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유아 대상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역할, 평가방법 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유아인성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과 경남지역의 유아교육기관 50곳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66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유아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교수·학습방법, 교사역할, 평가방법에 대해서 중요도를 실행도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기보다 유아기에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한 영유아인성교육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 perception about the purpose,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ole of teachers, and evaluation methods on the character education. It was also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60 teachers who were in 50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in B and 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more than performance about the purpose,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eacher role,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charcater education. It seem to be that they recognized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higher than infanc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charact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o propose the activation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of infancy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변소연(So-Yeon Byeon),추성경(Sung-Kyung Chu),윤혜경(Hae-Gyung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는 대학 온라인 튜터링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2021학년도 1학기 부산시 소재 D학교 OO연구소 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실재감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와의 관계분석에서는 학습활동의 학습관리, 참여관리, 내용구조화 순으로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교수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튜티의 학습활동 하위영역인 학습관리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초하여 온라인 튜터링 교수설계시에 교수실재감을 반영한 운영과정과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하였고,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관리 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online tutoring learning environment, and to find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adaption of college life and their reinforcement of learning capabilities.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analyzed for those who participants in the tutoring program of the Busan D School OO Research Center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indicated high correlation in the order of learning management, participation management and content structure of learning activities;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found a significant effect in learning management, which is a sub-area of the tutees learning activities.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and method reflecting teaching presence, and provide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온라인 튜터링 교양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영향분석

        변소연(Byeon, SoYeon),추성경(Chu, SungKyung),윤혜경(Yoon HaeG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튜터링 방식으로 진행된 교양수업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21년도 1학기 D대학교 튜터링 교양수업에 참가한 105명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0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들의 튜터링 참여 전 학습실재감과 16차시 참여 후 학습실재감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진행하였고, 튜터와 튜티의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은 학습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는 학습실재감 중에서 사회적 실재감(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튜티는 감성실재감의 감정인식, 인지적 실재감의 학습내용과 지식창출, 사회적 실재감의 응집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실재감은 다양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성공적인 온라인 튜터링을 위해서는 학습실재감 변인을 포함한 학습전략 설계 및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perceived by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conducted through online tutoring and to present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learning performance. Method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5 people who participated in tutoring liberal arts classes at D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PSS 26.0.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learners’ sense of learning presence before participating in tutoring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16th session; and for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utors and tutees’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s, it was performed the calcul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significantly predicts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utors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presence(co-presence, influence, and cohesiveness) among learning presence, and tutees significantly predicted emotional recognition of emotional presence, understand learning and knowledge constructing of cognitive presence, and cohesiveness of social presence. Conclusions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pres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learning performance at various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for successful online tutoring, the need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learning presence variables wa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튜터링 활동에서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추성경,변소연,윤혜경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arning behavior patterns recognized by students to find effective tutoring operational methods, and further analyze the impact of learning behavior pattern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105 participants in the tutoring program at D University bas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First,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utoring had the most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s and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behavioral styl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behavioral styles and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s. Third, regression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that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behavioral styles significantly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but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behavioral style, and passive learning behavioral style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om the school perspective, learning behavior can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tudents'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so instructors need to check learners' learning behavior patterns and provide appropriate tutoring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plans. 본 연구는 효과적인 튜터링 운영방안 모색을 위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행동양식을 파악하고, 나아가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 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 1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튜터링에 참가한 학생들의 학습행동양식은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 행동형과 독자적 자율학습행동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행동양식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을 보면 적극적 협동학습행동형과 독자적 자율학습행동형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회귀분석에서는 적극적 협동학습행동형이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자적 자율학습행동형과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행동형, 소극적 학습행동형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 측면에서 학습행동양식은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과 실패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행동양식을 확인하고, 이에 적합한 튜터링 교수·학습 설계 방안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