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 일과 에너지 ' 단원 수업의 정성적 이해 :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고찰

        윤혜경,박승재 한국과학교육학회 199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2

        In Korea, previous survey in science education mainly dealt with quantitative variables. Qualitative ethnographic observation can bring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school lesson and it's fe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qualitative understanding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s provided in middle school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m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to investigate it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Six lessons of the 9th grade were observed and recorded on the video tape. The topics of the lessons were potential energy, kinetic energy and conservation of mechanical energy. We had also unstructured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three groups of students. The teacher's deductive explanation starting from scientific definition and quantitative problem solving using formula were the main features of the classroom lectures. The video - watching lesson was taking the role of a break rather than being seen as a useful tool for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by both students and the teacher.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lab experiment was not supported by the responses form the students. The teacher and students preferred problem-book to textbook for their teaching and learning. From a constructivist's perspective, however the teacher seemed to have intention of introducing daily life context, he couldn't unfold it to main context of the lessons. Students were so accustomed to passive learning that they did not express directly their complaint about their learning and did not participate in planing and controling their learning.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believed the scientific knowledge came from an exact experiment. There was a cooperation to seek right answer rather than a social process of making sense of knowledge. In conclusion, the observed science lessons of a middle school showed typical cross section of teacher - centered, passive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far from constructivist perspectiv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윤혜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2

        In previous study,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VRC-T), which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effective visual representation use an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for shadow phenomenon was investigated using VRC-T. In terms of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interpretation’ wa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construction’ and ‘integration’. It also showed that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was not high even after learning shadow-related units in the regular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ext-based scientific knowledge was not correlated with all categories of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visual representation more in science class. Finally,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processes of VRC-T was explored according to ordering theory. If the tolerance level is somewhat loosened, a linear hierarch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six cognitive processes. This suggests that VRC-T is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ful when designing assessment tools, tasks, and science class activities to enhance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효과 적인 시각적 표상 활용과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 차원으로 구성된 시각적 표상 능력의 교육목표 분류체계(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VRC-T)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VRC-T에 기초하여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조사하고 그림자에 대한 과학 지식과 표상 능력 사이의 관계및 VRC-T 인지 과정의 위계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을 ‘해석하기’, ‘통합하기’, ‘구성하기’의 대범주로 나누어 보면 대체적으로 ‘해석하기’가 가장 점수가 높고, 다음이 ‘구성하기’, ‘통합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그림자 관련 단원을 학습한 이후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표상 능력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텍스트 기반의 과학 지식은 시각적 표상 능력의 모든 범주와 상관이 높지 않았다. 이것은 텍스트 형식의 과학 지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시각적 표상 능력은 갖추어져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과 과학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좀 더 강조하여 다루어야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서열화 이론에 따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시각적 표상 능력의 인지 과정 위계 관계를 탐색한 결과, 인정비율을 다소 느슨하게 하는 경우 6개 인지 과정 사이에 일직선의 위계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평가 도구나 과제, 시각적 표상 능력을 지도하는 수업 활동을 계획할 때 VRC-T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있는 분석틀임을 시사한다.

      • 교양 교육과정의 균질성 확보 방안 연구

        윤혜경,강창완,최승배,이영학,박철수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17 교양교육실천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secure the homogeneity of the cur riculum which can reflect the universality and interdisciplinarity of gener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talents and core competencies of the university in the teaching plan (65%), ‘It is necessary to secure homogeneity of ge neral education courses (55%)’. The average of the two questions was 3.65 and 3.47, whic h was positive. In addition, as a method of securing the homogeneity of education using the teaching p lan, it was indicated as ‘Curriculum Education Goal (1st rank)’, ‘Curriculum Overview (2n d rank)’, ‘Main Textbook (3rd rank)’, and also appeared as a method of ensuring homoge neity of education using evaluation methods are ‘measures to establish evaluation criteria for achieving learning goals according to core competencies and to implement them separ ately (1st rank)’, ‘the mid-term and final-term test items are administered by the faculty members in common and perform the test on the same schedule (2nd rank)’.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problems that can occur in genera l education and to secure the quality of education when homogenizing teaching plan and student evaluation method as a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of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보편성과 학제성을 반영하고 시행할 수 있는 교양 교육과정의 균질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교수계획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65%)’, ‘교양강좌의 균질성 확보가 필요하다(55%)’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질문에 대한 평균이 3.65, 3.47로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교수계획서를 활용한 교육의 균질성 확보방법으로서 ‘교과교육목표(1순위)’, ‘교과목개요(2순위)’, ‘주교재(3순위)’로 나타났으며, 평가방법을 활용한 교육의 균질성 활보 방법으로는 ‘핵심역량에 따라 학습목표달성을 위한 평가준거를 마련하여 별도로 시행하는 방안(1순위)’, ‘중간과 기말시험 문항을 담당교수진이 공통으로 출제 후 동일 일정에 시험시행(2순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양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교수계획서와 학생평가 방법을 균질화시킬 경우, 교양교육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의 질 확보를 실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

        윤혜경 한국인간발달학회 2001 人間發達硏究 Vol.8 No.1

        한글은 음소문자이면서도 음절표기를 한다. 또한 자음자, 모음자가 가획에 의해서 매우 조직적으로 만들어진 문자로서 각 자소의 음소와의 대응이 매우 규칙적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문자 터득시기 아동 대상의 한글 읽기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으로는 철자재인 단위로서 '글자'라는 단위가 존재한다는 것과 한글 자소-음소 대응관계의 파악이 다른 음소문자보다 용이하고 자모의 시각적, 음운적 특성이 자소-음소 대응규칙의 터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소와 음소의 대응과정에서 삼성음절(C1VC2)의 글자가 '초성+중성'(C1V)의 음절체과 종성부분(C2)으로 먼저 분해되고 이에 각각 소리가 대응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것은 같은 음소문자인 영어권의 아동들에서는 초성(C1)+각운(VC2)으로 분해되는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였다. 이는 문자 학습 초기의 철자-발음의 대응과정에서 음절과 음소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단위인 각운(VC2)이나 음절체(C1V)의 음운 정보가 표상된다는 언어보편적인 면을 보여주는 것이며 한편 이 중간크기의 음운단위는 각 모국어의 음절구조를 반영한다는 언어특수적인 면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린치의 도시이미지 5 요소 관점의 역사·문화 도시의 도시환경색채 사례 연구 - 독일 하이델베르크, 마르부르크, 프랑크프루트 중심으로

        윤혜경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2

        This case study was to identify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ree cities in Germany and their city image. To examine the city image, Kevin Lynch’s 5 elements of city image were applied, which people use to construct their mental image of a city. In this research, the city imag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ase studies. Also,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city image affects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ity, and the urban colorscape is a core value that satisfies both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by creating a pleasant and livable city. For this study, Heidelberg, Marburg, and Frankfurt were chosen as case cities that have differences in identity and are globally well known as cities tourism. By way of visiting and observing of the places, the research for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10 days in October 2017. During field surveys, photographs were taken of 5 famous tourist destinations for the color images of Lynch’s 5 elements. The color of a city image was measured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path, node, landmark, edge, and distric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mages of Heidelberg showed medium values and hues of Y and YR in naturalness, elegance, and lightness. Marburg showed a dichotomy with medium-low values/hues and high values with strong or dark tones, but the whole city image was gorgeous and dynamic. Frankfurt showed coexistence of images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with cool colors of PB and Y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effectively be utilized for Korean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as benchmarking guidelines for the Urban Regeneration Plan and a better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