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액정/고분자 복합계를 이용한 보상 필름 설계 및 특성 연구

        박미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widely used in flat-screen televisions, computer monitors, mobile phones and other digital devices, because LCDs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the low price and mass production. Among the large size of displays, wide viewing angle(WVA) characteristic is always required and issued as a critical problem in LCD. To achieve this requirement, many LC modes are studied such as in-plane switching(IPS) mode and patterned vertical alignment(PVA) mode but each mode has different drawbacks. Above all these LC modes are aimed at solving the WVA problems caused by optical anisotropy of liquid crystal molecules rather than the problems caused by effective polarizers, which is more basic and necessary. To handl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liquid/high polymer compensation film. This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ordinary structure of the compensation film which consists of an a-plate film and a c-plate film. It consists of one panel with two layers. One layer is made of high polymer used as an a-plate part and the other layer is made of liquid crystal. It’s a new attempt that use the positive liquid crystal layer as a c-plate part by applying the voltage. Since by using this method, we can not only compensate the LC but also control the compensation by controling the voltage which is applied on the compensation film. As a result, the compensation film which is applied 5V voltage can compensate the light leakage up to 43% of the cross polarizers and up to 58% of the ECB mode when it’s on the off state. As the applied voltage increased, the compensation of the cross polarizers is better. However the compensation effect on the ECB mode is good at 5V rather than increasing applied voltage. And we expect that the Liquid/High polymer compensation structure could be used in large size LC Display to improve the wide view angle characteristics. 정보화 시대라 불리우는 이 시대는 정보를 습득하고 공유를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는 많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재 TV, 모니터, 노트북, 핸드폰 등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대량생산이 용이하다는 점과 우수한 표시 특성에 기반을 둔다. 그중 대형 디스플레이인 TV나 모니터의 경우 높은 대비비(contrast ratio), 광 시야각(wide viewing angle) 특성이 요구된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액정 층의 복굴절 특성을 이용하여 백라이트(backlight)와 편광판을 통하여 입사한 빛의 편광상태를 변조하여 스위칭하는 소자이다. 그런데 입사광의 입사 각도가 커지면 특정 방향의 굴절률이 증가하여 복굴절이 다르게 나타나게 되고, 입사광의 방향에 따라 화면이 다르게 표현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모드를 개발해 왔다. patterned vertical alignment(PVA), in-plane switching(IPS)와 finge-field switching(FFS) 등 모드들은 multi-domain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지만 이로는 많이 부족하다.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특정방향의 복굴절이 다른 것뿐만 아니라 상하 편광판 사이의 effective angle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영향 때문에 액정 모드의 블랙상태는 입사광 각도에 따라 빛이 많이 새는 부분이 있어서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대비비에 영향을 준다. 시야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패널 외부에 광학 보상 필름 혹은 위상차 필름은 추가적으로 삽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런 방법을 이용할 경우 여러 장의 1축성(uniaxial) 필름을 사용하게 되어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조 비용도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2축성(biaxial) 필름을 사용할 경우 1장의 필름만 사용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조 방법이 어렵고, 복굴절 값을 제어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액정/고분자 복합계를 이용한 보상 필름 구조를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1장의 a-plate film과 1장의 c-plate film을 사용하는 보상 필름 구조와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고분자층과 액정층으로 구성된 하나의 패널 구조를 이용하는 보상 필름의 제작방법과 광 시야각 보상 특성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중 고분자층은 a-plate film 역할을 하고 액정층은 전압인가를 통해 c-plate film 역할을 한다. 액정/고분자 복합계 층의 분자 배열 및 복굴절 값을 제어함으로써 사방 보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학교급식 영양사의 감성리더십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교급식 영양사의 감성리더십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학교급식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리더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고, 인천시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12일부터 10월 23일까지 총 27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211부가 회수되었고(회수율 78.1%), 이 중 이중기입 및 무기입한 11부를 제외한 20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3.0을 이용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리더십의 중요도-수행도 비교분석 결과, 18개 전체 항목 총점(90점) 기준으로 중요도가 69.56점(77.3%)인 반면 수행도는 64.36점(71.5%)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리종사원이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 영양사가 실질적으로 감성리더십의 구성요인을 수행하는 정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의 평균평점은 3.19±0.71(범위1~5)점으로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며, 영양사의 감성리더십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셋째, 조리종사원의 조직몰입의 평균평점은 3.85±0.72(범위1~5)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며, 감성리더십 요인 중 감성관리능력(p<0.001)만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감성인식능력은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냈다. 넷째, 조직성과 인식수준의 평균평점은 3.74±0.63(범위1~5)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며, 감성리더십 요인 중 감성인식능력(p<0.05), 감성관리능력(p<0.001)이 모두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감성관리능력의 영향력이 감성인식능력의 영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다섯째, 조리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요인은 영양사의 감성리더십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조절변수로는 조리종사원의 연령, 학력, 경력과 영양사의 연령, 급식지역, 조리종사원수를 채택하였다. 영양사의 감성리더십과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의 조절변수로서 조리종사원의 경력과 영양사의 연령만이 각 p<0.01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영양사의 감성리더십과 조리종사원의 조직몰입의 조절변수로서 조리종사원의 연령(p<0.05), 학력(p<0.001)과 영양사의 연령(p<0.01)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영양사의 감성리더십과 조리종사원의 조직성과 인식수준의 조절변수로서 조리종사원의 학력(p<0.01)만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최종적으로 요약하면 영양사의 감성리더십은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는 모두 영향을 미쳤고, 조리종사원의 조직몰입에는 부분적 영향을 미쳤다. 또 조절변수로서의 인구통계학적요인으로는 감성리더십 수행도에는 근무학교 형태가, 직무만족에는 영양사의 연령과 학교형태가, 조직몰입에는 조리종사원의 학력, 영양사의 연령, 학교형태, 학교의 조리종사원수가, 조직성과에는 조리종사원의 학력과 학교형태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영양사의 감성리더십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를 높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영양사가 감성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고 구체적인 방법과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듀이 ‘경험’ 개념의 교육적 의의

        박미현 순천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search to find ou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John Dewey’s ‘experience’. Because I used hermeneutics of Gardamer to do this study, all data needed for it was collected within writer’s horizon of educational understanding. First of all, I pointed out some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revealing in our society. It was clear that most of people in our society think our educational situation needs to be changed. In this study, I followed up the John Dewey’s educational opinion to find the answer. Especially the concept ‘Experience’ is important in his philosophy. And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the educational change was also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experience and education’. To consider these concepts of ‘experience’ and ‘the Learner’, the main thema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 understood the concept of John Dewey’s ‘experience’ based on the traditional experience and considered the educational experience toward the growth. Second, I considered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education by studying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Learner through John Dewey’s Experience theory. Third, based on the two thema above, I reinterpreted the Learner suitably in our society and consider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To research these thema concretely, Chapter Ⅱ described about the traditional concept of experience, especially in ancient Greek and modern times. And it was presented the necessity of New Education though the experience that John Dewey proposed. There was the explanation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John Dewey on Chapter Ⅲ. Even though there are too many surroundings that a person experiences, the person can grow well only through educational situation. Educational situation is the place where the person has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 make the surroundings the educational experience, it needs three conditions: the principle of the Situation, of the Continuity and of the Interaction. And then, the result of the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is the Growth of the Subject. Eventually experience does not take apart from education. Rather, these two concepts are very close each other. Chapter Ⅳ considered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experience. In John Dewey’s shoes, the Learner is active and subjective. And he has the three Nature; impulse, habit and intelligence. If they function very suitably while the Learner experiences, the experience of the Learner will be able to be educational. But the Learner is immature and dependant. How do we have to understand the Learner who has these character? There are some prejudice in our recognition. To change our recognition about the Learner which we have ever had as the prejudice, we need to break out our recognition and understand new stance about the Learner. The learner was reinterpreted suitably to our educational situation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John Dewey’s experience was described to apply to our educational situation on Chapter Ⅴ. In this moment our education needs to change, many people in our society try to reforming it in various fields. Most of all, the very important thing that is essential and necessary to change our educational situation is understanding properly the Learner who is immature and dependant, but active and subjective. That is, the learner does not have an ability to live alone but he has possibility of growth to live with while going through educational experiences. The important thing is how we can mak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him to grow well in our society. In the end, education considering the Learner’s experiences can be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and education centralizing the Learner is expected to take a leading role to change our educational situation.

      •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박미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제작된 우리나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내에서 공학적 도구가 주로 어느 내용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어떤 공학적 도구들이 주로 활용되고 어떤 교수·학습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공학적 도구의 활용 측면에 있어서 두 나라 교과서의 유사점과 차이점,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 내용을 설계 및 개발할 때 시사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가 주로 어느 내용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가? 2.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어떤 공학적 도구들이 활용되고 있는가? 3.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가 어떤 교수·학습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우리나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2종과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2종을 선정하였으며 공학적 도구가 활용된 부분을 선별하여 이를 내용 영역별, 공학적 도구의 종류별, 공학적 도구의 활용 형태별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싱가포르 교과서에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상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학습하는 내용은 제외한 후 공학적 도구가 활용된 부분을 분석해 본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총 145회,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총 305회로 싱가포르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가 활용된 부분이 약 2배 정도로 많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기하 영역과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비슷한 비중으로 공학적 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수와 연산 및 문자와 식의 대수 영역에서는 공학적 도구가 낮은 비중으로 활용되었다.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도 기하 영역에서 공학적 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나 싱가포르의 경우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에서도 계산기, AlgeToolsTM 등을 통해 공학적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기호 조작-그래프 작성 소프트웨어와 동적 기하 소프트웨어, 통계 전용 소프트웨어가 비슷한 비중으로 많이 활용되었으며 이지통계와 통그라미의 사용으로 스프레드시트는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여러 가지 공학적 도구 중 계산기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교과서에 ‘Internet Resources’나 ‘MATHS WEB’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통계 전용 소프트웨어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대신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공학적 도구의 활용 비중이 낮은 문자와 식 영역을 제외하고는 각 내용 영역별로 한 종류의 공학적 도구가 특화되어 활용된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대체로 여러 가지 공학적 도구가 각 내용 영역에 골고루 분포되어있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두 나라 교과서에서 모두 공학적 도구가 보조도구형의 형태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나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공학적 도구를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골고루 활용한 반면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공학적 도구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집중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단원마다 ‘Investigation’이나 ‘CLASS ACTIVITY’를 통해 학생들이 공학적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학적 관계나 성질 및 문제 등을 탐구할 수 있는 의도된 탐구유도형 및 학생 중심의 탐구학습형이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와 연산 및 문자와 식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접근성이 높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교과서에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꼈던 수학 내용에 대해 보다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공학적 도구의 기능적 특성으로 특정 영역에 어느 한 가지 종류의 공학적 도구가 많이 활용될 수 있으나 이것이 다른 영역에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음을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 지식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다양한 공학적 도구의 폭넓은 기능을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이 해당 수학 내용과 관련된 실생활 예나 추가적인 정보에 대해 주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하여 학생들이 실생활 속에서 수학을 발견하고 나아가 수학의 가치 및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과서에 제시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학습 내용이 실제로 학교 수업 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교실 환경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학생들에게 공학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교과서의 다양한 영역에서 학생들이 공학적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학적 성질이나 문제 상황을 탐구할 수 있는 형태의 비율을 높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및 탐구력 등의 수학적 사고력이 길러지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and basic data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technology in textbooks by analyz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The similarity & difference and strength & weakness of textbooks in the two countries are identif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what content areas are technology mainly used, what kind of technology is used, and what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are technology used.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1. What content areas are technology mainly us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2. What kind of technology is us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3. What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are technology us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In order to solve the prescribed research questions, two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which reflect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two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Singapore are selected. Analysis criteria are determined by content area, types of technology, and application forms of technology to compare and analyze the area of the technology utilization. More specifically, we excluded some parts of Singapore textbooks, which correspond to either elementary or high school level mathematics in Korea. It is found that technology is used twice as much in Singapore textbooks(305 times) as in Korean textbooks(145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textbooks, technology is used most frequently in geometric area, probability and statistical area with similar proportions, while the portion of technology used in algebraic areas of numbers and arithmetic, letters and expressions is low. Also, technology is mostly used in geometrical fields in Singapore textbooks. However, Singapore textbooks also have active use of technology through calculators and AlgeToolsTM in numbers and arithmetic, letters and expressions. Second, in Korean textbooks, symbol manipulation-graphing software, dynamic geometry software, and statistics-only software are most commonly used, whereas spreadsheets are rarely used due to the use of other statistics-only software. Among many technologies, calculators are most used in Singapore textbooks. In addition, by presenting ‘Internet Resources’ and ‘MATHS WEB’, students in Singapore are asked to actively use the Internet for mathematics. Singapore textbooks frequently use spreadsheets to solve problems and explore, instead of using any statistics-only software. In Korean textbooks, one type of technology is specialized for each content area except for letters and expression areas, where the use of technology is low. On the contrary, in Singapore textbooks, various types of technology are, in general, distributed evenly in each content area. Third, although technology is mostly used in both countries' textbooks in the form of auxiliary tools, evenly in Korean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laws, and for solving problems, while Singapore textbooks focus on the purpose of solving problems. In addition, the Singapore textbooks provide many intentional inquiry forms and student-centered inquiry-learning forms in which students can explore mathematical relationships, properties, and problems by using technology through ‘Investigation’ and ‘CLASS ACTIVITY’. The conclusions that can be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cessible software that can be used in the areas of numbers and arithmetic, letters and expressions and present them in textbooks so that students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mathematics content t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Second, although the functional feature of technology can greatly utilize any one kind of technology in a particular area,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so that students who live in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an recognize and utilize the wide range of functions of various technology. Third,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so that students can proactively search for real-life examples or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thematics contents. Through this, students are expected to discover mathematics in real-life and further recognize the value and usefulness of mathematics. Fourth,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change the classroom environment so that the learning contents using the technology presented in the textbooks can be actually practiced in school classrooms, and provide students with practical opportunities to utilize the technology. Lastly, in a variety of areas of the textbook,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atio of types that students can actively use technology to explore mathematical properties or problem situations. This will lead students to develop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such as problem solving, creativity and inquiry skills.

      •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우울성에 미치는 효과

        박미현 蔚山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육 현장에서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 우울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1.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유아의 우울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하여 울산 동구에 소재한 L어린이집 만 4,5세반 혼합연령 22명과 통제집단은 같은 지역 내의 Y 어린이집 만 4,5세 혼합연령 22명씩 모두 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모든 유아에게 사전 검사인 자아탄력성, 우울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이 이루어진 후 실험집단에 실험처치가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1회에서 10회 까지 5주간 약 40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표준보육과정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활동 실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내용의 자아탄력성, 우울성 검사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자아탄력성 검사와 유아 우울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지향 협동 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자아탄력성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t=-5.57, ***p<.001)가 나타났다. 유아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영성지향 협동 활동은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아 스스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유아의 능동성을 길러주기 때문에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이라 생각한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본 연구결과 낙관성(Optimism)을 제외한 모든 영역, 즉 대인관계(t=-5.32, ***p<.001), 활력성(t=-5.29, ***p<.001), 감정통제(t=-4.27, ***p<.001), 호기심(t=-2.45, *p<.05)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영성지향 협동 활동을 통해 또래 친구들과 협동하는 과정 속에서 친밀감이 형성되고,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가짐의 배양, 정서적 순화 등의 과정을 경험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영성지향 협동 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우울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유아의 우울성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영성지향 협동 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부족할 수밖에 없는 사회성에 대한 교육이 가능하며, 활동 중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상황들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의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아의 우울성 감소에 효과나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넷째, 우울성의 하위 영역 중 본 연구결과 가족 및 시설에 대한 우울은 집단 간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나에 대한 우울(t=2.18, *p<.05)과 친구에 대한 우울(t=2.43, *p<.05)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우울의 하위 영역 중 자신에 대한 우울과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영성지향 협동 활동이 5주 동안 10회기라는 짧은 시간을 통해 이뤄졌다는 점. 집단 간 성별 구성이 무작위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 내 유아의 성별 차이에 따른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 연구 대상 선정에 있어 울산 지역 44명의 소수 인원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으로 인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우울성 감소를 위한 영성지향 협동 활동의 효과적인 방안을 위한 후속연구들이 보다 구체적이고 일반화 가능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장기간에 다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현대사회 청소년을 위한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회교육에 관한 연구 : 웨스터호프III세(John. H. Westerhoff III)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미현 한일장신대학교 아시아태평양국제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 청소년을 위한 교회교육의 방법으로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청소년기에는 청소년기에 이루어야 할 여러 가지 발달과제가 있다. 이러한 발달과제는 학교식 교육으로는 답을 줄 수가 없다. 지금까지 우리의 교회교육을 살펴보면 교사 중심의 주입식 교육을 해 왔으며, 또한 학생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와 그 발달 단계에 맞는 학습과제 및 학생의 욕구를 충분히 배려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학교식 교육은 청소년의 발달특징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기가 쉽지 않다.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이야 말로 청소년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은 신앙을 전수받고 청소년기에 이루어야 할 발달과제를 이룰 수 있다. Ⅰ 장에서는 청소년기의 중요성과 청소년 교회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 중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학교식 교육으로 보았다. 학교식 교육으로는 신앙교육을 할 수 없고 청소년의 발달과제에 답을 줄 수가 없다. 신앙공동체교육을 통해서 청소년들은 신앙을 전수 받고 발달과제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Ⅱ 장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해 심리학적 통찰로 얻어진 청소년들의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체적 생리적 특징과 인지적 특징, 자아정체감 발달과 정서적 특징, 사회적 특징과 종교적 특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문화,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적절한 교회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청소년기의 신앙 교육적 발달과제를 알아보고 교회교육에 있어서 청소년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한 뒤 대안의 교육을 찾기 위해 웨스터호프 Ⅲ세가 주장한 신앙공동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형식적이고 지식전달 위주의 교회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신앙을 후손에게 전수하도록 많은 유익을 준 웨스터호프 Ⅲ세의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청소년 교회교육의 방법으로 이 논문의 이론이 되는 웨스터호프 Ⅲ세의 사상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고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단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신앙공동체 이론에 근거하여 청소년 교회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청소년을 교육하기에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이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청소년의 발달특징과 발달과제에 입각하여 신앙공동체 교육의 방법인 종교의식, 경험, 행동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 90년대생 MZ세대 부모들의 자녀 양육관 연구

        박미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녀의 출산과 자녀 양육에 대한 가치관 및 경험은 세대별로 다를 수밖에 없다고 보고, 현재 전체 출산 모 50%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90년대생 부모를 중심으로 이들의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자식을 낳고, 기른다는 것이 이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90년대생 MZ세대 부모의 자녀 양육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는 2022년 8월 23일부터 11월 24일까지 영·유아를 기르는 90년대생 부모 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3-4회의 일대일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총 30회의 면담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90년대생 부모들은 부모가 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기대하고 받아들였다. 부모가 되는 과정에서 자발적이지 않은 부모는 거의 없지만, ‘삶의 유희’와 ‘재미’를 추구하고, 끊임없는 성장을 원하는 90년대생이 자발적으로 부모 되기를 결정하는 것은 이전 세대와 다른 의미를 가진다. 또한 ‘딩크족’이 늘어나고 있는 시대 속에서 이들의 출산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둘째, 90년대생 부모들은 ‘부모로서의 삶’과 ‘나 자신으로서의 삶’사이에서 균형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로서의 정체성이 곧 자기정체성이라고 여기던 전통사회의 가치관과 달리, 자신으로서의 삶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부모 가치관을 보여주었다. 셋째, 90년대생 부모들은 자녀 양육의 다양한 면에서 효율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수고를 덜고 시간을 아끼기 위해 스마트폰 어플 및 SNS, 분유와 시판 이유식 또는 반찬가게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들은 어떠한 결정을 하기 앞서 주어진 시간, 자신의 재능, 경제적인 부분 등을 고려하였고, 가장 효율적이고 가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제공되는 서비스를 잘 활용하는 자신들의 자녀 양육 모습이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모습이 나타났다. 넷째, 나 ‘자신’을 잃지 않고자 하는 90년대생 부모들에게 보육기관 이용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시기에 보육기관을 이용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인식하였으며, 자녀가 돌 전후의 어린 시기임에도 보육기관에 보내는 것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다. 이들에게 보육기관은 부모로서의 삶과 자신으로서 삶의 균형을 추구하기 위해 도움을 얻는 최선의 선택수단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에 참여한 90년대생 부모들이 자신의 삶이 중요함에도 자녀 출산을 통한 부모 됨을 선택하였고 자녀 양육의 가치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책임감과 부담감 사이에서 겪는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나름의 방법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러한 90년대생들의 자녀 양육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90년대생의 세대 특성을 기반으로 자녀 양육에 대한 가치관 및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 거의 유일한 연구로써 의미를 지닌다. The present study assumes that values and experiences around childbirth and child-rearing differ inevitab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aring experiences Among parents born in the 1990s, a category that includes more than 50% of all mothers giving birth. The intent is to understand what it means for them to have and raise children. Accordingly, the study ask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MZ generation parents born in the 1990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3 to November 24, 2022, with eight parents born in the 1990s who were rai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 total of 30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hrough three to four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aptured by the following four main points. First, the 1990s-born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naturally expected and embraced parenthood. Although few people become parents involuntarily, the voluntary decisions of those born in the 1990s to become parents has a different significance than with previous generations, as those born in the 1990s seek “life’s amusements” and “fun,” as well as constant growth. Furthermore, in an era when the number of “DINKs” is growing, their childbirths have even greater signific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born in the 1990s seek to balance their “lives as parents” with their “lives as themselves.” Unlike the values of traditional society, in which one’s identity as a parent was considered to be one’s self-identity, this shows the value modern parents place on living their own lives.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s born in the 1990s seek efficiency in various aspects of child-rearing. To save time and effort, they actively used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social media, as well as infant formula, commercial baby food, and convenient side dish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parents considered factors such as the time available, their talents, and financial factors before choosing the most efficient and valuable method. Furthermore, they considered it desirable to raise children by making good use of the services provided. Fourth, use of the childcare centers was found to be essential for parents born in the 1990s who did not want to lose “themselves.” They found it natural to use childcare centers at the appropriate time and did not find it difficult to send young children to childcare centers even when those children were only about one year old. For these parents, using childcare centers was the best way to balance their own lives with their lives as parents.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ents born in the 1990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ose to become parents through childbirth and highly valued child-rearing even though their own lives were important to them. Driven by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they were trying to find their own ways of overcoming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nd it was meaningful to examine the child-rearing characteristics of these 1990s-born par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one of the few studies that aimed to understand the values and experiences around child-rearing based on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born in the 1990s.

      • 2012-2016 음악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박미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자질은 학습 성과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음악교과는 교사의 영향력이 중요시 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수준 높은 교육을 위해서 교사의 자질을 분별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적인 자질을 평가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임용시험과 교사의 자질은 깊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본 연구는 2012년∼2016년도 음악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의 출제 경향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중등교사 임용시험 제도에 대한 문헌과 앤더슨(Anderson, Lorin W.)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관한 이론적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2012년∼2013년 1차 2차, 2014∼2016년 음악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연구 자료로 하였으며, 두 가지 분석기준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첫째,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제시한 출제 원칙과 음악교육 이론서의 주요 내용을 종합·정리하여 분석기준을 작성하였다. 둘째, 앤더슨의 교육목표 분류학 기준에 맞추어 분석기준을 삼았다. 연구 결과 출제경향으로는 음악과교육과정·서양음악통론·국악통론의 출제 빈도가 높았고, 영역별 배점은 문항 수에 비하여 통합영역의 배점의 합이 월등히 높았다. 앤더슨의 분류 및 평가 틀에 의한 유형분석으로는 ‘사실적지식-이해하다’, ‘사실적지식-기억하다’의 문항 출제 빈도가 높았으며, 메타인지지식에 대한 문항은 출제 되지 않았다. 이는 주어진 자료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조직하거나 정교화기법을 활용하는 문항은 출제 되지 않았고, 자료를 분석하거나 비교하는 유형에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교과의 기본적인 용어에 대한 유형이나 기본개념과 상위개념의 관계에 대해 묻는 유형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음악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Qualified teache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will influence the outcomes in school education. Especially in the field of music, the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 plays a bigger role in imparting the necessary skills and knowledge to the students as compared to teachers of other subjects. That is why standards are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ose who are more qualified than others during the process of recruitment of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The purpos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is to assess the professional qualities of teachers and to ascertain if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have can be applied in reality. Thus, it is clear that the teachers' recruitment examination will very much determine the teachers' qual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types of questions that appeared in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rom 2012 till 2016. Therefore, two different categories of literature are reviewed. Firstly, literature concerning domestic and foreign second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and secondly, theoretical literatures of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by Lorin W. Anderson. For this analysis, the research data is based on the secondary school music 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in 2012, the first and second tests in 2014 and tests in 2014 and 2016. This research is based on two analytical criteria. The first criterion is based on that of the major contents of ‘the principles of making questions and music educational theory’,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second analytical criterion is set on the basis of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questions about music curriculum, introduction to Western music, and 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classical music are amongst the more common questions and these formed a greater weightage in scores, compared to the number of questions. With Anderson's taxonomy and evaluation, the questions about 'factual knowledge-understanding’ and ‘factual knowledge-memory' appear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e questions about ‘meta-cognitive knowledge,’ which have not been presented in the examinations. This meant that questions using reorganization and elaboration method with given data has not been tested during the examinations, but the questions were mostly analysis and comparison of given data. Also those questions were mainly about subject’s basic terms and relations between the basic concepts and the upper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present a direction for improving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present a direction for improving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