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에 있어 유리 이식편으로 사용된 골격화 우위대망 동맥의 효용성

        류상완,안병희,홍성범,송상윤,정인석,범민선,박정민,이교선,상우,윤주식,김상형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9

        배경: 조직학적 장점과 생리학적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자들은 완전동맥도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 시행 시에 골격화 방식으로 체취한 우위대망동맥을 유리 이식편으로 사용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조합도관이나 연장도관으로 사용하는 것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골격화 우위대망동맥을 유리 이식편(연장도관 22명, 조합도관 107명, 기타 4명)으로 사용하여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했던 133명(43 여자, 평균연령 61.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을 수술 직후(중간값 14일, 86명), 초기(중간값 366일, 56명) 그리고 중기(중간값 984일, 29명)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조기 사망 3명(2.2%)이었고 만기 질환 연관성 사망이 4명(3.3%)였다. 환자 당 평균 문합수는 전체 3.34개였으며 우위대망동맥은 1.92개였다. 수술직후, 초기, 중기의 우위대망동맥 개통률은 각각 157/159 (98.7%), 105/112 (93.7%), 50/56 (89.3%)였다. 외래 관찰 중 4명의 환자가 우위대망동맥의 문합부 협착 또는 경쟁혈류에 의해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골격화 우위대망동맥 유리 이식편은 개통률 및 임상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록 대상환자들의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겠지만 저자들은 골격화 우위대망 동맥 유리 이식편이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에 있어 효용성 있는 선택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o maximize the histological advantage and minimize the physiological disadvantage, we have been using the skeletonized gastroepiploic artey (GEA) as a free graft for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skeletonized GEA as a composite or extended graft for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2000 and Feburary 2005, 133 patients (43 female, mean age=61.8 yr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with a skeletonized GEA as free graft (22 extended, 107 composite and 4 othe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oronary angiograms were performed in the immediate (median 14 days, n=86), early (median 366 days, n=56) and midterm (median 984 days, n=29) postoperative periods. Result: There were 3 (2.2%) early and 4 (3.3%) late cardiac-related deaths. The mean number of distal anastomoses per patient was 3.34 for total graft and 1.92 for GEA graft. The immediate, early, and midterm GEA patency were 157/159 (98.7%), 106/112 (94.6%), and 53/56 (94.6%), respectively. During follow-up, four patients required percutaneous intracoronary intervention because of GEA and target coronary artery stenosis or competitive flow. Conclusion: These data demonstrate satisfactory clinical and angiographic results in the skeletonized GEA as free graft for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Although we need a careful longer follow-up, the skeletonized GEA as a free graft will be a valuable option ‘to be’ for CABG.

      • KCI등재후보

        흉부 외상 후 발생한 종격동기흉(Macklin효과)

        류상완,김동훈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5

        Hamman 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하는 종격동기흉은 종격동의 근막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는 질환이다. 드물지 않게 종격동과 경부 근막 사이의 교통공간을 통해 공기의 확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종격동기흉의 원인은 기도-기관지 질환 및 식도손상이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명확하지가 않다. 몇몇의 증례에서 Macklin효과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흉부 외상 후 발생한 종격동기흉의 원인으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확인된 Macklin 효과의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틈새신체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완(Hong Sang-Wan),종식(Ryu Jong-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16주간의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틈새신체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혈압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HRmax 60%이하의 저강도 운동으로 구성된 틈새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은 초 등학교 6학년 58명으로 틈새신체활동 그룹(n=29, 남:16, 여:13)과 비교그룹(n=29,남:16, 여:13)으로 구성하였으며, 신체조성, 혈압, 기초체력을 측정하였다. 16주간의 틈새신체활동이 시기와 집단 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틈새신체활동 실시결과 BMI(p<.001)와 체지방률(p<.01)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혈압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초체력의 경우 근지구력(p<.001)과 유연성(p<.01)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틈새신체활동은 초등학생의 건강한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기에, 성장기 아동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학교에서 실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16 weeks of regular and continuous niche physical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basic physical fitness. For this purpose, niche physical activity programs consisting of less than 60% of HRmax, including stretching, walking, and light muscle exercises, were implemented using the before class, morning, mid-game, and lunch time. We compared the effects of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basic physical fitness by dividing 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niche physical activity group(n=29, 16males and 13females) and comparison groups(n=29, 16males and 13females). The Repeated-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16 weeks of niche physical activity between the time and the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MI (p<001) and %body fat (p<.01) showed a significant effect, but blood pressure did not. In case of basic physical fitness, muscular endurance(p<.001) and flexibility(p<.001)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conclusion, 16 weeks of niche physic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healthy body composition and improving basic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can be an effective program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ild healthy bodies and improve their physical fitness.

      • KCI등재

        자발형성된 양극산화 알루미늄 나노구조를 이용한 나노패턴 SiNx박막 제작

        박준모,류상완 한국물리학회 2006 새물리 Vol.52 No.2

        A nano-pattern compatible with mass production was fabricated by using porous anodic aluminum oxide (AAO). By changing the anodizing conditions, we were able to control the periodicity, pore size, and thickness of the AAO. As a result, we could fabricate uniform hexagonal nano-patterns with periodicities between 100 and 200 nm. Nano-patterned SiN$_x$ thin films on GaAs substrates were made by utilizing AAO membranes as etch masks. Reactive ion etching with good etch directionality resulted in produced uniform transfer of nano-patterns without the changes in the pore diameter. 알루미늄 양극산화를 통해 형성된 다공성 Anodic Aluminum Oxide (AAO)을 이용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top-down 방식의 나노패턴 제작공정을 연구하였다. 양극산화 공정조건을 조절하여 AAO 막의 두께, 구멍의 크기와 패턴간격을 제어하였고, 그 결과 100-200 nm 주기의 균일한 육방격자구조의 나노패턴을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AAO 막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GaAs 기판위에 성장된 SiNx 박막에 나노패턴을 제작하였다. 방향성이 우수한 식각특성을 갖는 reactive ion etching을 이용하여 구멍크기의 변화 없이 나노패턴을 전사할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다동맥이식편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성적

        이재원,류상완,김건일,주석중,송현,김종욱,송명근,Lee, Jae-Won,Ryu, Sang-Wan,Kim, Kun-Il,Choo, Suck-Jung,Song, Hyun,Kim, Jong-Ook,Song, Myeong-Gu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

        배경: 관상동맥우회술은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증상을 완화하고 급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확립되었다. 그러나 80년대에 들어와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대복재정맥편에 비해 동맥이식편의 장기개통율이 월등함이 알려지면서 좌내유동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동맥이식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본원에서는 1998년부터 다동맥이식편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조기성적에 대해 대복재정맥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본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았던 355명의 환자중 심정지액을 이용하여 시행했던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76명의 단일 동맥편을 사용한 환자를 I군, 두 개 이상의 다동맥편을 사용한 77명의 환자를 II군으로 분류하여 수술전후 임상기록, 심초음파 및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양군간에는 II군의 환자가 I군의 환자에 비해 더 젊고 흡연자가 많다는 것 이외에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각 군에서 1례씩 있었고 환자당 문합갯수에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 이외에는 수술과정 및 술후 결과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다동맥편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결과 본원에서 학습기(learning period)임에도 불구하고 조기성적에 있어 대복재정맥을 이용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다. 물론 중기 및 장기성적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겠으나 이러한 조기성적은 동맥이식편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이 환자의 장기생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완전 동맥이식편 관상동맥우회술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