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혜진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목적:이 연구는 학습자가 문학을 통한 가치 있는 체험을 할 수 있는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 개념을 제안하고 그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문학 문식성과 감수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 감수성 개념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정동이론과 정서지능이론의 논의를 기존의 문학 감상 방법에 적용하였다. 결과:문학 문식성은 기능적 영역을 벗어나 문학 경험이 지니는 정의적 속성에 주목하여 실제 삶 속 학습자의 자아실현을 가능케 하는 능력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학습자의 능력을 구체화하기 위해 자극을 느끼고 표현하는 작가의 성질로 여겨졌던 ‘감수성’을 학습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문학 문식성으로서 학습자의 감수성은 문학작품의 자극에 대해 체험하였으나 형상화되기 이전의 상태인 정동을 학습자가 기억을 통해 실제적으로 표현하여 자기화하는 능력으로 구조화되었다. 이때 기억을 통한 체험의 형상화는 문학작품에 대한 몰입과 거리두기의 작용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결론:이 연구는 몰입을 위한 자극의 차원인 정동을 도입하고 현실적 주체 인식을 위한 정서적 거리를 학습자의 기억에 의거한 자신의 정서 인식에서 찾아 학습자의 내적 체험을 문식성으로 구조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Purpose: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concept of learners’ sensibility and reveal its structure as a literary literacy that allows learners to experience valuable experiences through literature. Methods:To this end, the existing discussion on literary literacy and sensibility w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 of learner’s sensibility as literary literacy was discovered, and the discussion of affect theor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was applied to the existing method of literary appreciation. Results:Literary literacy is regarded as the ability to enable the self-realization of learners in real life, noting the affactive property of literary experience beyond functional boundaries. To embody this learner’s ability, we looked at the ‘sensibility’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nature of the writer who felt and expressed the stimulus. As a result, the learner’s sensibility as a literary literacy, affect which was experienced about the stimulus of literary work but was in a state before it was shaped, was structured with the ability of learners to actually express and personalizing through memory. Conclusion: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ntroduced the level of stimulation for flow, and found emotional distance for realistic subject recognition from the learner’s own emotional perception based on his or her memory, thus structured the learner’s inner experience with a literacy.
김혜진,손유진,전윤숙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7
일본과 한국은 세계에서 몇 안되는 유아교육과 보육이 행·재정적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는 국가이다. 대부분의 국가는 보육 또는 교육으로 일원화된 상태에서 유아를 위한 정책이 실현되고 있으나, 일본과 한국은 이원화의 문제로 일관된 유아정책을 실현해 나가는데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일본의 경우 한국에 앞서 일원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으나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었다. 일본의 지속적인 노력은 2006년 개정된 인정어린이집의 행정적 체제를 완성함으로서 일원화를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정어린이집이 출현되기까지의 유보일원화 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최종 산물로 나타난 ‘인정어린이원’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유보일원화 과정과 방향에 대한 발전적 대안 모색의 시사점을 제안 받았다. 일원화 된 기관의 형태에 있어서 유아교육 혹은 보육 중 한방향으로 일원화 되는 형식 또는 제 3 형태의 일원화 기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의 일원화가 오래기간 동안 변화의 고통 속에서 실현된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한국의 일원화 역시 한 번의 정책으로 일원화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인내와 기대가 요구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소외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 유아와 학부모의 요구와 권리임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Japan and Korea are the special nation that have two type of administrative agency about children``s welfare. The policy of children are divided in education and daycare in Japan and Korea. The division of administration and public finance leads to some problems. Those are the confusion of police, the waste of public finance and the conflict of education and daycare. Japan has endeavored to unify the education and daycare for a long time. In 2006, Japan got result the concrete system of the reformed ``In Jung Children``s Center`` that is a core of the unification of the Japanese education and daycare. This study suggested the process of unification on education and daycare and direction of progressive alternatives to Korea. There are two options which are As the form of unified institution, there are two option are possible. The one is to select one direction eduction or daycare, the other is the third option neither kindergarten nor children house. The unification of Korean education and daycare should be asked continuous efforts and endeavor for the unification. Also children``s rights and parents`` need are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decision of policy about the unification.
김혜진,김정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최근 자원고갈,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가 지구환경 위협 요인으로 등장하면서 자원순환형 사회 정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자원순환형 사회 형성의 일부로써 정부는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의 책임을 생산자까지 확대 시키는 EPR(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를 2003년도부터 시행하였다. 종이팩은 EPR 제도 대상 포장재 중 하나의 품목이며 2013년 기준으로 재활용의무율은 34.1%, 재활용율은 33.4%에 그쳤다. 이는 유리병 74.4%, PET 93.8%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팩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 종이팩 재활용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종이팩 재활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이팩은 살균팩(우유팩)과 멸균팩(두유, 주스팩)으로 구분하고, 국내에는 살균팩이 75%, 멸균팩이 25%로 유통되고 있으며, 종이팩 재활용은 KPRC 및 KORA에서 관리되고 있다. 배출원에서 배출되어 수집된 종이팩은 현재 제지업체(화장지)로 운반・재활용 또는 제지업체(그 외)로 운반 되어 소각/매립 되거나 종량제 봉투로 배출되어 소각/매립되어지고 있다. 국내 종이팩 재활용율은 2014년 26.5%로 2013년 33.4% 대비 약 7%가 감소하여 종이팩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외의 종이팩 재활용율은 2013년 기준으로 스페인 약 60%, 독일 65~70%, 대만 50%, 일본 34.9%였으며, 유럽 국가는 종이팩을 재활용하여 화장지, 노트, 종이 쇼핑백, 박스, 서류봉투, 계란난좌, 알루미늄 잉곳・파우더, 파라핀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으며, 대만은 노트, 종이, 제지원료, 지붕타일, 알루미늄 괴 등으로, 일본은 화장지로 대부분 재활용하고 있고 소량 박스지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국내 종이팩 재활용 문제는 수집단계와 재활용 단계로 나누어 접근이 가능하다. 수집단계의 문제점은 1. 종이팩 수거 인프라 미비, 2. 폐지와 종이팩 분리 배출에 대한 낮은 국민의식, 3. 지자체의 공동주택 관리의 어려움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재활용 단계의 문제점은 1. 수거된 종이팩은 화장지로만 재활용 되고 있으며, 2. 화장지로 재활용 되고 있는 종이팩만 재활용율에 산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자원의절약과 재활용촉진법」 시행규칙 별표6에서 종이팩 재활용 방법으로 6가지 소분류로 명시하고 있으나, 현재 제1항 가목에 해당하는 화장지로만 종이팩을 재활용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종이팩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배출되는 종이팩이 일반 폐지와 분리배출 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역할이 강화됨과 동시에 종이팩 수거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민의식 변화를 위해 꾸준한 홍보활동이 수반된다면, 종이팩 수거율은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현재 화장지로만 재활용 하는 틀에서 벗어나 국외 사례와 같이 종이팩을 다양한 제품으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장지로 재활용 되는 종이팩만을 재활용율로 산정하는 체계를 국외 사례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도록 벤치마킹하여 도입한다면 종이팩 재활용이 개선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습자의 평가 준거 개발 참여가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영문과 수업을 중심으로
김혜진,장선영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20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 and peer evaluations and learners’ involvement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in higher education English literature classes. A total of 4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tracting five main criteria with 10 sub-standards to assess their group assignments and conduct self- and peer evaluation on their presentations. The results of the learners’ selfand peer assessments were compared with instructor’s assessments and their final grades using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the assessment criteria to find which factors affecte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ir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positively, affected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selection of subjects for the group presentations. Logicality of writing also affected the outcomes of final assessments. The study concluded that self- and peer assessments can be highly effective in learning processes when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 in setting the assessment criteria.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 및 환자안전관리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김희정 간호행정학회 2022 간호행정학회지 Vol.28 No.3
목적: 본 연구는 간호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 및 환자안전관리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D시 상급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136명의 간호사이며, 자료는 2020년 10월 2일∼13일까지 수집되었으며 간호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 및 환자안전관리인식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측정하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간호일터영성, 조직시민행동, 환자안전관리인식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환자안전관리인식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쳤으며, 모형4는 환자안전간호활동을 42% 설명하였다. 결론: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환자안전관리인식 강화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내적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추후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