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에서 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골의 미세 구조

        김지완 울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골밀도 및 골대사와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와 장골 생검에서 측정한 골형태계측 및 미세단층 촬영을 얻은 미세구조 지표를 생역학 검사에서 골강도를 나타내는 최대응력점과 상호 분석함으로써 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내고 나아가 골절의 위험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골다공증성 고관절 주위 골절로 본원에 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환자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서 골밀도 검사(BMD), 혈중 비타민 D 농도를 측정하였다. 골절 치료에 대한 수술 시 장골능에서 직경 7.5 mm, 길이 약 1.5 cm정도 크기의 생검 2개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각각의 검체 중 하나는 비탈회 골조직 표본으로 만들어 골조직 형태 계측을 실시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미세 단층 촬영을 하여 골형태 분석을 한 후 골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Instron 기계를 이용하여 골절을 일으키는 최대응력점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나이는 평균 77.7(59~90)세였으며, 남자는 5예(평균 나이 81.4세), 여자는 14예(평균 나이 76.4세)였다. 최대 응력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Spearman 방법을 이용한 상관 계수를 구하였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장 영향력 있는 인자를 찾아보았다. 비타민 D 농도를 15 ng/mL를 기준으로 하여 두 군으로 나눠 Mann-Whitney 방법을 통해 최대 응력점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4.0을 사용하였다. 골형태 계측에서의 골미세 지표 중 골체적/조직체적(R=0.516, p=0.024), 무기질화골체적/조직체적(R=0.632, p=0.004), 골수주 수(R=0.495, p=0.031)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골소주 간격(R=-0.493, p=0.046)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 관계를 보이는 4개의 요소를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최대 응력점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인 요소를 알아보았을 때 골소주 간격(β=-0.003, p=0.026)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D 농도가 상이한 두 군의 골강도를 Mann-Whitney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을 때 비타민 D 농도가 낮은 군에서 골강도가 더 낮은 결과를 보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9). 골다공증성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골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골의 미세구조 중 골체적, 무기질화 골체적, 골소주 수와 골소주 간격이 있었으며, 골밀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골절의 예측 지표로 쓰이던 골밀도와 함께 골질을 나타내는 골미세 구조를 골절 발생 가능성 예측을 위해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비타민 D 농도가 영향을 주는 점과 무기질화 골체적이 골강도와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인 점에서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한 골의 무기질화 장애가 골절에 대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microarchitecture affecting bone strength through bone histomorphometry and micro computed tomography (MicroCT). The 19 patients comprised a consecutive series of patients with osteoporotic hip fracture. Their age was 77.7 (range 55-90 years: 14 women, 5 men). 2 biopsy samples were taken, they were 7.5 X 15 mm sized from iliac crest which were located at adjacent spots. One sample was prepared without decalcification and used for gaining data in histomorphometry. The other was examined with microCT and was performed with biomechanical test. Serum vitamin D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checked, and biomechanical test was performed to obtain maximum strength. The relationships between bone strength and vitamine D level, BMD, and parameters of bone microarchitecture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were evaluated by Spearman correlation coeffcients. The patients were also divided into 2 groups by serum vitamin D level, and the difference of bone strength was investigated between 2 groups.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oftware for Windows (version 14.0; SPSS Ltd, Chicago, IL), and the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for all parameters. Biomechanical test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linear correlations between maximum stress and bone volume/tissue volume (R=0.516, p=0.024), mineralized bone volume/tissue volume (R=0.632, p=0.004), and trabecular number(R=0.495, p=0.031), and showed significant negative linear correlations between maximum stress and trabecular seperation (R=-0.493, p=0.046).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 using 4 significant parameters demonstrated that trabecular sepe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β=-0.477, p=0.039) to bone strength. In terms of vitamin D, the lower group (vitamin D ≤15 ng.mL) had less bone strength,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Whitney test, p=0.049). Bone volume, mineralized bone volume, trabecular number and trabecular seperation among parameters of microarchitecture were influencing factors to bone strength. We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BMD, but also bone microarchitecture when we are managing the osteoporotic patients. The fact that vitamin D level and mineralized bone volume affected bone strength suggests vitamin D deficiency causes the mineralization impairment and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of fracture.

      • I-fiber Stitching 보강공법이 적용된 Unit Cell 복합재 단일섬유 전단강도 실험 및 해석

        김지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composite material has high specific rigidity and specific strength as well as excellent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existing metal material, the composite material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replacement material for a structure requiring high efficiency. Layered composite materials generally applied to aircraft structures have excellent in-plane physical properties where fibers are arranged, but they are not arranged in the direction where fibers are stacked, that is, in a thickness direction, so they are vulnerable to thickness loads. The I-fiber stitching method, a method that complements the Z-pinning and existing stitching methods, is used to reinforce these shortcomings. The I-fiber method is a method of maximizing the reinforcing effect by arranging discontinuous reinforcing fiber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forming a bolt head-like shape using residual fibers. By discontinuously cutting and inserting fibers,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reinforcing fibers can be overcome,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compared to the existing stitching method. In this research, a unit cell specimen was manufactured using the I-fiber stitching method, a three-dimensional composite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reinforcement effect of a single fibe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hear strength and reinforcing fiber angle through test and analysis.

      • AHP 기법을 이용한 UHD 뉴스룸 시스템 설계

        김지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 UHD newsroom system which estimates the bandwidth for smooth transmission of the selected video format to the network and the appropriate data storage space of the video play server. For this study, the Ultra High Definition (UHD) news video format was select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Four selection criteria such as video quality, rendering time, file size, and bit rate were used to select the UHD news video format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HP technique survey was used to determine the weights of criteria. The quality of each video format was evaluated by an objective assessment,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and two subjective assessments, Differential Mean Option Score (DMOS) and Picture Quality Rating (PQR). The results of rendering time, file size, and bit rate were obtained from the output of the news report video in UHD format using Non-Linear Editing (NLE). The data of each codec and format comparison groups are normalized to 100 points. XAVC Class 300 as the UHD news video format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elements derived from the AHP survey.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esting of the proposed XAVC Class 300 video format through the News Digital System (NDS) network, 10 Gbps bandwidth is required to transmit the UHD news video format. 1 Gbps network is not suitable for transmitting UHD news video format. The data storage capacity of the UHD video play server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apacity of the proposed UHD news video format with the currently used HD news video format. The results confirm that approximately 12 times more storage than HD, 22.5 TB, is required. 본 논문에서는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기법을 사용하여 Ultra High Definition (UHD) 뉴스 영상 포맷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상 포맷이 네트워크에 원활히 전송되기 위한 대역폭과 영상 송출 서버의 적정 데이터 저장 공간을 추정하는 UHD 뉴스룸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UHD 뉴스 영상 포맷을 선정하기 위한 요소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화질, 렌더링 시간, 파일 크기, 비트레이트 4가지로 정하고, AHP 기법 설문 조사를 활용하여 각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화질은 객관적 화질 평가인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과 주관적 화질 평가인 Differential Mean Option Score (DMOS), Picture Quality Rating (PQR) 실험을 통해 포맷 별 화질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뉴스 리포트 영상을 Non-Linear Editing (NLE)에서 UHD 포맷으로 영상을 출력하여, 렌더링 시간, 파일 크기, 비트레이트 결과를 확보 하였다. 비교 군 코덱 및 포맷 별로 결과 값들을 100 점의 정규화한 값으로 치환하고, AHP 설문 조사에서 도출된 요소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UHD 뉴스 영상 포맷을 XAVC Class 300으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XAVC Class 300 영상 포맷을 News Digital System (NDS)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테스트를 하여 기존의 1 Gbps 네트워크는 UHD 뉴스 영상을 전송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최소 10 Gbps 대역폭 이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UHD 뉴스 영상 포맷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HD 뉴스 영상 포맷의 용량 비교를 통하여 UHD 영상 송출 서버의 데이터 저장 용량을 계산 하였으며, 약 22.5 TB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영남지역 寺刹 所藏 冊板의 분석

        김지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시대 영남지역 所在 사찰에 所藏된 冊板에 대한 연구로, 소장 책판을 지역별, 시기별, 간행참여자별로 분석하고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지역은 크게 대구와 경북, 부산과 경남 두 지역으로 나누었다. 대구‧경북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91종 2,626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책판이 소장된 지역은 청도지역으로 운문사를 포함한 3개 사찰에 총 20종(21.9%)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찰 소장 유교책판은 11개 지역 13개 사찰에 31종 781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상주지역에 소장된 유교책판이 5종 374판(59.4%)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다. 주제별로 대구‧경북지역 사찰에 소장 불교책판을 분석해보면 경전류 책판이 22종(24.1%)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고, 다음으로 의식·의례에 사용되는 예참류 책판이 19종(20.8%)이 소장되어 있다. 판각시기별로 대구‧경북지역에 소장된 불교책판들은 18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24종(26%)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8종(19.7%), 16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3종(14.2%) 소장되어 있다. 주제별로 시문집이 17종(53%)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있다. 다음으로 능화판 및 기타 책판이 7종(21%), 초학자들의 한문을 학습시키기 위한 소학류 경전이 4종(12.5%) 소장되어 있다. 대구‧경북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들은 18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24종(26%)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8종(19.7%), 16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13종(14.2%)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은 11개 지역 13개 사찰에 31종 781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상주지역에 소장된 유교책판이 5종 374판(59.4%)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다. 판각시기는 17세기와 18세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7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7종(21.8%), 18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7종(21.8%) 소장되어 있다. 부산지역 소재 사찰은 범어사와 복천사 2곳이며 경남 지역은 총 18개 사찰이다. 위의 사찰들에 소장된 책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적으로 대구‧경북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91종 2,626판이 소장되어 있고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종류의 책판이 소장된 지역은 청도지역으로 운문사를 포함한 3개 사찰에 총 20종(21.9%)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부산‧경남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부산‧경남지역 사찰 소장 불교책판은 총 318종 9,763판으로 단연 해인사에 소장된 불교책판이 주를 이룬다. 전체 종수의 41.8%, 총 책판수의 60.4%가 합천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책판을 소장하고 있는 곳은 양산 통도사가 54종(16.9%), 하동의 쌍계사가 28종(8.8%)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경우 8개 지역 9개 사찰에서 60종 5,330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해인사는 국내최대의 책판수장고답게 유교책판의 경우도 경남지방 유교책판의 87.7%, 영남지방 전체 유교책판의 76.5%를 소장하고 있어 그 종수와 판수에서 다른 사찰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부산‧경남지역의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책판을 주제별로 살펴 볼 경우 경북과 비슷한 양상으로 경전류 책판이 86종(27%)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의식 및 의례와 관련된 예참류 책판이 67종(21%)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경우 60종으로 대구·경북지역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유가책판이 소장되어 있으며 책판의 종류는 대구‧경북지역과 동일하게 문집류 책판이 34종(56.6%)으로 주를 이루고 있다. 부산‧경남지역에 소장된 불교책판의 경우 해인사에 소장된 국보 206호(1∼28호) 28종의 책판과 보물 734호(1∼26호) 26종의 고려시대 책판이 소장되어 있어 15세기 이전 판각된 책판의 소장비율이 17.2% 매우 높게 나타난다. 조선시대를 살펴보면 17세기에 판각된 책판이 66종(20.7%)으로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18세기 판각된 책판이 47종(14.7%)이 소장되어 있다. 유교책판의 판각시기는 경북지역과 마찬가지로 18세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18세기에 판각되어 소장된 책판이 19종(31.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사찰에 소장된 책판들은 16∼19세기에 판각된 책판들이 주로 소장되어 있으며 대규모 개판불사를 통해 판각된 책판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17∼18세기 출간된 개인문집의 상당수가 사찰에 소장되어 있는 것도 확인된다. 그 실례를 본 논문에서는 영남 지역 소재 50개소의 사찰에 한정하여 검토하였다. 추후 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전국의 사찰을 대상으로 불교책판의 소장 특징 및 유교 책판의 제작과 서적 인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woodblocks housed in buddhist temples in the Yeongnam area. It is designed to analyze the bookshelves in their collection by region, timing and publication subject, and examine the motives,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bookshelf was made at the temple. To achieve this goal,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nd recently reported woodblock-printed investigation reports related to Buddhist book boards were analyzed, while missing data were conducted on-site surveys. Records of Buddhist booklets are hard to identify through book lists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Nupango(鏤板考) compiled by Seo Yoo-gu(徐有榘) and others in 1796 at the order of King Jeongjo(正祖), contains 12 Buddhist books that are housed in Haeinsa Temple and at Bohyeon Temple on Mount Myohyang. Information on the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Buddhist books is not available on the list of other books compi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the temples in the possession of the bookshelves was compiled by referring to the four kinds of investigation reports conducted in modern times. The National Inspection Office led the investigation in 1987, while the woodblock-printed data (1-4)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found between 2005 and 2007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temple's cultural assets (5-12) are woodblocks of the temple's hea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were investigated from 2015-2017, showing a time difference of 30 years. First, Korea's temple cultural assets (5-12) were included as basic data, and the missing data were added through woodblock-printed materials (1-4) in the Gyeongbuk area, woodblock-printed materials (1-3) in the Gyeongnam area, and a list of heads of national inspection sites. Buddhist bookshelves at the temple in Daegu confirmed that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Buddhist books, including Donghwa Temple, which was sold in 1866, and Pagan Temple, which was sold in 1648. In the early Joseon period, books were led by Gangyungdogam(刊經都監) or Jujaso(鑄字所),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ubjects were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offices or individual literary circles. This phenomenon is due to this phenomenon, which has activated the spread of books due to the advancement of forests into central politics, the inflow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it can be said that temples still take up the portion of Joseon's printed publishing culture. The publishing and printing culture of Goryeo Buddhist temples, which originated from Mugujonggwangdaedaranigyong(無垢淨光大陀羅尼經) and succeeded to Chest Seal Dharani(寶篋印陀羅尼) and The First Tripitaka Koreana(初雕大藏經), continued even after entering Joseon. However, after the 16th century, not only Buddhism-related books were published in Buddhist temples, but also in biblica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istory books, and private book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under financial sponsorship by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the public. Many of the personal literary books published in the 16th-19th century were withdrawn from temple editions, and the examples were reviewed only for inspections of 50 sites in Yeongnam area in this paper. Further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will be deemed necessary for the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book withdrawal of Confucian woodblocks for temples across the country, which will be promised later.

      • 올리고에틸렌옥사이드 헤드그룹을 이용한 색전이 온도조절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 연구

        김지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이아세틸렌의 유도체를 이용하여 실행한 이 실험은 기본적인 PDA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친수성 말단그룹의 길이를 바꿈으로서 그 색전이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가 서로 다른 올리고에틸렌글리콜부분을 포함한 양친성 다이아세틸렌 단량체 세 가지를 합성하였다. 일반적인 다이아세틸렌 초분자 제조법을 이용하여 다이아세틸렌 자기조립체를 만든 후 자외선 광중합으로 청색의 폴리다이아세틸렌을제조하였다. 폴리다이아세틸렌의 열적색전이를 조사한 결과 청색에서 자색으로 색이 변하는 것은 친수성부분의 길이에 의존한다는 것을 고나찰하였다.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헤드그룹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온도변화에 민감한 물질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이아세틸렌 모노머로부터 얻은 가장 짧은 에틸렌옥사이드 부분을 가진 폴리다이아세틸렌유도체는 약 75 oC에서 자색을 띤다. 반면에, 중간길이와 가장 긴 에틸렌 옥사이드 부분을 가진 폴리다이아세틸렌은 45 ℃와 30 ℃에서 선명한 자색을 띤다. 지금까지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의 색전이는 주로 헤드그룹의수소결합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헤드그룹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서 폴리다이아세틸렌의 색전이 온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폴리다이아세틸렌 센서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본 연구의 결과는 센서 소재로서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다이아세틸렌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a series of amphiphilic diacetylene monomers containing oligo(ethylene glycol) groups were prepared. Photopolymerization of the diacetylenes afforded formation of blue-colored polydiacetylenes. Thermochromism of the PDAs was investigated and the temperature observed for blue-to-purple color change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lengths of the hydrophilic headgroups. The PDAs derived from the diacetylene monomer that has a shortest ethylene oxide groups displayed purple color at 75 ℃. In contrast, medium sized and longest ethylene oxide group-containing PDAs showed color transition temperature of 45 and 30 ℃, respectively. Thus, we were able to manipulate the thermochromic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hydrophilic headgroups.

      •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노출 수와 위치에 따른 응시 시간 및 기억에 관한 연구

        김지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era of big data has come, it is easy for consumers to acquire and utilize information, and as the mobile advertising market has expands, programmatic advertising in mobile environment has emerged. However, the application of programmatic advertisements is inactive because they are still in the introduction stage in Korea, and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are on the prospect of programmatic advertisements and the perception of experts. Therefore, it was focused on the overall effect of programmatic advertising, but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effect of specific elements. Thus,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 of the number of programmatic advertisements and the location of exposure, and to grasp them through the advertisement experiment in mobile articles. The study conducted experime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dvertisement gaze duration and the memory of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grammatic advertisement and general advertisement,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location of the exposed advertisement along with the customized advertisement.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advertisements in 10 domestic media companies, and produced four experiments based on the place where the advertisements are provided the least (Kyunghyang Newspaper) and the place where the most (Maeil Economy) are provided: 'Any article that exposes 3 general advertisements', 'Any article that exposes 8 general advertisements', 'Any article that exposes 3 programmatic advertisements' and 'Any article that exposes 8 programmatic advertisements'.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research that programmatic advertisement will attract the consumers' attention to the advertisement in mobile articles and will increase the memory level. Furthermore in order to apply it in various situations,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and location variables were add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eye tracking and interviews with men and women in their 20s. The time of the advertisement gaze duration was grasped and analyzed through eye tracking, and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based on the free memory recall of the subject through the interview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information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 advertisement mem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ime of the consumer's advertisement gaze duration was found to be not different between the programmatic advertisement and the general advertisement, and rather, it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among them, the higher time of the advertisement was shown when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 was 8. However, in terms of consumer's memory of advertisi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s, and on the contrary, statistical result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grammatic advertising and general advertising were derived, and the advertising memory in programmatic advertising was higher.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in terms of the time of advertisements, and the time of examination is higher when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is more exposed. And the time of the advertisement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exposure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was high only in the upper advertisement when the programmatic advertisement was posted. Next, in terms of memory of advertisement, the influence of location variables of advertisement was found to be large. In other words, the programmatic advertisements on the top and middle of the text showed a higher memory level,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matic advertisement itself was recognized, and there was no effect of the advertisement memo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advertisement exposures.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osures of advertisements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for a long time, but because it does not lead to high advertising memories, increasing the number of exposures of advertisements in programmatic advertisements will not have a great impact on the effect of advertisements, and when consumers want to raise the level of memory of advertisements, it is effective to place the posting of advertisements at the top and middle.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비자의 정보 획득 및 활용이 손쉬워졌고, 모바일 광고 시장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환경에서의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등장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프로그래매틱 광고는 아직 도입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그 적용이 활발하지 않으며, 기존의 연구들은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전망 및 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다.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는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전체적인 효과에 초점 맞춰져 있을 뿐, 구체적인 요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개수와 노출 위치에 따라 그 효과를 분석 및 검증하고자 하였고, 이를 모바일 기사 내 광고 실험을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래매틱 광고와 일반 광고 각각의 개수에 따라 나타나는 소비자 광고 응시 시간, 그리고 광고 기억의 관계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으며, 광고의 맞춤화 여부와 더불어 노출되는 광고의 위치에 따른 영향 또한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사 10곳을 대상으로 광고 현황을 살펴보고, 가장 광고가 적게 제공되는 곳(경향신문)과 가장 많이 제공되는 곳(매일경제)을 기준으로 ‘일반 광고를 3개 노출하는 기사’, ‘일반 광고를 8개 노출하는 기사’,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3개 노출하는 기사’, 그리고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8개 노출하는 기사’ 의 네 가지 실험물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모바일 기사 내 광고를 보는 소비자의 시선을 더 오래 끌고, 기억 수준 또한 높게 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나아가 다양한 상황에서의 적용을 위하여 광고의 노출 개수 및 위치 변인을 추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방식은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아이트래킹과 인터뷰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아이트래킹을 통해 소비자의 광고 응시 시간을 파악 및 분석하였고, 실험 후 인터뷰를 통해 피험자의 자유로운 기억 회상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그 정보는 광고 기억의 측정 도구로 사용되었다. 이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광고 응시 시간은 광고는 프로그래매틱 광고와 일반 광고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오히려 광고 노출 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광고 노출 수가 8개로 더 많이 제공된 경우에 더 높은 응시 시간을 보였다. 하지만 소비자의 광고 기억 측면에서는 광고 노출 수 간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반대로 프로그래매틱 광고와 일반 광고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통계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프로그래매틱 광고에서의 광고 기억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즉, 결과를 종합하자면 광고의 응시 시간 측면에서는 광고의 노출 수 변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출된 광고의 수가 더 많을 때 응시 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광고의 노출 위치에 따른 광고 응시 시간은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게재하였을 때 상단 광고에 한하여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광고의 기억 측면에서는 광고의 위치 변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문의 상단과 중간에 게재되는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더 높은 기억 수준을 보였고,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적용 자체에 대한 광고 기억 변인과의 유의성은 인정되었으며, 광고 노출 수에 따른 광고 기억의 효과는 없었다. 이에 단순히 소비자의 시선을 오래 끌기 위해서는 광고의 노출 수를 늘리는 것이 효과가 있으나, 높은 응시 시간이 높은 광고 기억을 이끌어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있어 광고의 노출 수를 늘리는 것은 결과적으로 광고의 효과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기억 수준을 높이고자 할 때는, 광고의 게재 위치를 본문의 상단 및 중간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에 대한 연구

        김지완 淑明女子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past,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buying behavior which is depicted placing primary priority on the acquisition of economical but quality-assuring products with expeditiousness. However, in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consumers are more focused on shopping behavior which is said to be rather recreation-oriented than merely utility-oriented. In the early 1990s as technological advances allowed hybrid shopping mall developments to foster the same magical experiences that were once only seen in national amusement parks such as Disney World. Notably, brand experience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n marketing practice. Marketing practitioners have come to realize that understanding how consumers experience brands is critical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goods and services. With differentiating strength built on the entertainment experience, a shopping mall is perceivable as more than just for marketing purchases. So, the creation of entertainment experience may play essential role in enhancing the shopping mall's competitive edge. But the amount of scholarly literature available on hybrid shopping malls is very limited.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s and personalities on hybrid shopping mall satisfaction and loyalty. Second, the empirical study are carried on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and genders on the consumers'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Third,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mplication for Korean hybrid shopping malls by deriving the results from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s and personalities on brand performances and consumers'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s and personalities on hybrid shopping mall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brand experience scale by Brakus et al.(2009), the store personality scale by d'Astous and Lévesque(2003) are used. In order to measure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satisfaction items used in Anselmsson's(2006) study are adopted and the loyalty scale developed by Baker, Levy and Grewal(1992) and utilized by Chebat, El Heidhli and Sirgy(2000) are used. In this study, 500 valid questionnaires are used. In order to test reliability Cronbach's as and to tes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re used. With the proposed model, we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s and personalities on hybrid shopping mall satisfaction and loyalty.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and hypothesis AMOS 4.0 was used, and 6 out of 7 hypothesis were accepted. Main findings from the thesis are as follows: First, hybrid shopping mall brand experience affects satisfaction, loyalty, and shopping mall brand personality. Second, hybrid shopping mall brand personality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positively, but does not affect loyalty directly. Third, satisfaction on hybrid shopping mall affects consumer loyalty. Last, hybrid shopping mall br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affects loyalty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s and personalities on brand performances, the need for examining the consumers'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has arisen. So, a research question is presented. The main purposes of the research question are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s on the consumers'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In order to examine the consumers'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items from the Martin's(2009) study are used. Among the 500 valid questionnaires collected, 470 questionnaires are used, eliminating 30 questionnaires which are neither generation X nor Y.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factors are obtained. In order to assess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and genders on the consumers'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t-test are us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factors, only functional factor affects generation X. Second, only malling attitude affects men and variety factor affects women. Third,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Y generation men and women, and X and Y generation women. Fourth, only functional factor affects X generation women and malling attitude affects X generation men. Lastly, only malling attitude affects Y generation 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hybrid shopping mall brand experiences have effects on not only brand personalities but satisfaction and loyalty as well. So, it would be worthwhile to explore which patterns occur for which experience dimensions. Although some the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factors in this study are similar between gender and generations, there are some findings that indicate differences among genders and generations. So, there are some aspects mall development companies should remember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the different seg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cademic researchers and mall practitioners with a more comprehensive foundation in which to view and comprehend the effect of hybrid shopping mall brand experiences on brand personalities and brand performances, and differences in hybrid shopping mall brand choice factors between genders and generations. 과거 필요한 제품을 효율적이고 빠르게 ‘구매’하는 것에 만족했던 소비자들은 시간과 여유를 가지고 다양한 즐거움과 문화 등 경험을 통해 만족을 얻고자 하는 새로운 소비 욕구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1990년대 초반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쇼핑을 재미있고 신나는 경험으로 만들어 소비자로 하여금 쇼핑센터에서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제품 구매와 재방문의 가능성을 높이는 본격적인 복합 쇼핑몰 등장의 토대가 됐다. 이렇듯 경험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무적 차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경험을 핵심으로 한 복합 쇼핑몰들의 급격한 성장은 심화되는 경쟁 상황을 예견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세대의 소비자들이 반응하는 복합 쇼핑몰의 선택요인을 찾아 방문빈도와 체류시간을 높일 수 있는 요소를 발견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 개발이 중요하다. 이렇듯 국내 복합 쇼핑몰들이 급성장 추세에 있고 직면한 과제가 많으나 역사가 짧은 관계로 복합 쇼핑몰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세대와 성별 복합 쇼핑몰 선택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복합 쇼핑몰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복합 쇼핑몰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둘째, 복합 쇼핑몰 방문객들이 고려하는 복합 쇼핑몰 선택요인과 세대 및 성별에 의한 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려고 한다. 셋째, 복합 쇼핑몰 경험 및 개성의 영향 그리고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에 있어 세대 및 성별에 의한 선택요인 차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복합 쇼핑몰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복합 쇼핑몰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복합 쇼핑몰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Brakus, Schmitt and Zarantonello (2009)가 제시한 경험 측정 문항과 복합 쇼핑몰 브랜드 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d‘Astous and Lévesque(2003)의 “store personality" scale을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복합 쇼핑몰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는 Anselmsson (2006)이 제시한 항목을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복합 쇼핑몰 충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Baker, Levy and Grewal(1992)에 의해 개발되고, Chebat, El Hedhli and Sirgy(2009)의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항목을 이용했다. 수집된 500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설문항목에 대한 안전성, 일관성 및 예측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통한 신뢰도(reliability) 검증, 각 요인별 측정 모형에 대한 탐색요인분석과 확인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으로 타당성(validity)을 검증하여 개성요인이 4개로 도출됐다. 이렇게 개발된 연구모형을 통해 복합 쇼핑몰 브랜드 경험 및 개성이 복합 쇼핑몰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자료 분석 및 가설 검증을 위해 AMOS 18.0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총 7개의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지지됐다.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 쇼핑몰 브랜드 경험은 복합 쇼핑몰 만족도와 충성도에 그리고 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개성은 복합 쇼핑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충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만족도를 통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 쇼핑몰 만족도는 복합 쇼핑몰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복합 쇼핑몰 경험 및 복합 쇼핑몰 브랜드 개성은 만족을 매개로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질적인 방문객들의 복합 쇼핑몰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선택요인과 세대와 성별 간 복합 쇼핑몰 선택요인에 대해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여 이를 통해 실무적인 전략을 도출하고자 연구문제를 제기했다. Martin(2009)의 연구에서 활용된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을 활용하여 측정했다. 수집된 500개의 데이터 중 X, Y세대에 포함되지 않는 30명의 응답자 데이터를 제외한 470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결과 복합 쇼핑몰 선택 준거요인은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됐다. 복합 쇼핑몰 선택준거요인의 세대별,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 중 기능적 동기만이 X세대의 복합 쇼핑몰 선택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은 몰링 태도 요인, 여성은 다양성 요인에 대한 고려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남ㆍ여 간에는 복합 쇼핑몰을 선택하는데 있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X세대 여성의 경우 기능적 동기, 남성은 다양성 요인에 대한 비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Y세대 남성은 몰링 태도 요인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에 대해 여성들의 경우에는 X세대와 Y세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복합 쇼핑몰 브랜드 경험이 복합 쇼핑몰의 브랜드 개성이라는 이미지 요인은 물론 만족도 및 충성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실무차원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복합 쇼핑몰의 브랜드 경험적 요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X세대와 Y세대 그리고 성별 간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의 차이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까운 미래에 경쟁 심화가 예견되는 가운데 복합 쇼핑몰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선진국에서도 입점업체 구성과 내용 등 콘텐츠가 비슷해 차별화된 정체성 형성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복합 쇼핑몰들이 있다는 현실을 감안해 보면 X세대와 Y세대 남․여를 대상으로 복합 쇼핑몰 선택 요인의 차이에 대한 본 연구는 국내 복합 쇼핑몰 연구 분야 중 세대와 성별이라는 새로운 측면에서의 접근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 연구

        김지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Children's libraries should provide free access t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children want, and they should be places where children have equal opportunities for their future lives. Although it is an essential institution for children’s growth, it has not been long since children's libraries developed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children’s library from the liberation of 1945 until 2016, and to clarify how the development is done and what the features a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fact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children’s library, library laws and policy documents to confirm the children’s library law, standards, and policies were collected. Also,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children’s readings as reading environment and the publishing flow of children’s book, Korean Library Yearbook and National Reading Practice Survey were examined. Periodicals were collected to check the children’s libraries related issues and events.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the periodic library management state including public library foundation, children’s library foundation, and children’s room installation in public libraries. Next, newspaper articles were gathered to identify the social awareness and needs of the children’s library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ning. Fin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environment and awareness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children’s library,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process, and interactions among the libraries, in-depth interviews of ten leaders concerned with children’s library movements. Based on these collected materials, social change and children’s reading environment were analyzed as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brary in each period. Internal factors covered the standards of children’s library,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children’s library and the children’s room in public library, and the achievements and prospects. Also, when and who founded the children’s library and how developed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z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Korean children’s library could be divided into five stages: dark period, formation period, growth period, proliferation period, and transition period. The major characteristics are followed. First, from the liberation of 1945 to 1976, the period was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children’s library. During this time of period, the society was very unstable and confusing by going through the colonial liberation in 1945 and the Korean War in 1950. The library suffered a great deal of human and material damage, and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public library at the government level.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was very few. Most of the publications were textbooks and entertainment, and children’s books were mostly complete collections, so the reading environment of children was scanty.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foundation of children library with social confusion, economic hardship, and low public awareness of public libraries. Despite this difficult environment,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National Libraries, installed children's rooms. The children's rooms of the public library provided reading rooms and reading classes to encourage children's reading and started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Second, from 1977 to 2002, which is a period of growth of the children' s libraries in Korea, it was the first time that children's libraries were first created with the main purpose of providing library services to children. Jamsil Children's Library was opened in 1977 in the private sector and Seoul Children's Library was opened in 1979 in the public sector. After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1987, children's librarie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due to the influences of the growth of civil society, the movement of small private libraries, the growth of children 's book publishing, and the emergence of children' s reading groups. In this period,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law and the library society was little in establishment of the children's libraries, and it was mainly established by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who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children's library due to the growth of civic society and interest in reading. The main bod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ildren's libraries was the individual, the corporation, and the organization, and there was no formation of power to lead the establishment. Children's small libraries, which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private sector, organized a council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library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rocess. Third, from 2003 to 2016, which is a spreading period for the children's libraries in Korea, the establishment of public children's libraries and small children's libraries became widespread. Since the opening of Suncheon Miracle Library in 2003, children's libraries have been expanded nationwide as a local government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children's library.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nd private children's libraries was spreading nationwide based on reading campaigns throughout the society, the growth of children's books, the interest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children's libraries, and the legislation of children's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As media and civil society's interest in the reading movement increased, The Miracle Libraries were built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The Miracle Libraries greatly changed the perception of children's libraries and later became a model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children's libraries. These social movements promoted the opening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and the revision of the Library Act included children's libraries in the category of public libraries in 2006. At this time, a variety of fields, classes and regions from individuals, businesses, corporations, civic groups, religious organizations, local governments and countr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children's libraries. In the 2010s, changes in children’s library began to emerge. The escalating foundation of children’s libraries in the early and mid 2000s has slowed down, and the annual number of users and the lending from children’s libraries have been declining. It showed the expansion and growth of children’s libraries, children’s smal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made more libraries available to children, and declining in birth rate of children due to low birthrates have influenced on the circumstances. Also, there was a change in the name and the type of children’s library. In 2009, the amendment of Library Act changed the name of village library into small library. In 2012, the Small Library Promotion Act was enacted, which allowed the children’s small library to rename itself as a small library, providing the basis for securing the legal status and support of small libraries. Also, there were cases where the public children’s library changed into a general public library. This is a phenomen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for children’s library to which is expanding the service not only for children also adolescents and adults, to be recognized not rather as special library for children but as one type of public library. The children's library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late 1970s, and since its turnaround and growth, it has spread nationwide in the 2000s. In the long history of the Korean Library, the children's library, which achieved expansion and growth for a short period of only 20 years, achieved the following achievements. First, it raised awareness of children and children’s libraries that were alienated in our society. While experiencing liberation and war, children were in a poor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not be taken care of. In 1980s and 1990s, society's interest after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the collapse of the Eastern Europe moved to small issues, regional problems, problems of life, and individual problems with major problems. In this process, growth of children's book,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children's reading, and interest in children 's library increased, which led the establishment of children' s library and the activities of related organizations were activated. In 2000s, children's libraries were founded nationwide with floating on the interests of society in general, including individuals, civil society, religion, mass media, and local autonomous groups. After the activation of the children’s library, the image and expected value of the children’s library have changed, and the vision of the children's library changed in a friendly manner. Second, children’s library draw solidarity and cooperation among individuals, civil society, media, municipalities and others. The children’s library was established in the 1970s by individual vocation, in the 1990s by individual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others who were interested in children's books, reading, and education. Then, in the 2000s, individuals,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e media, and local governments cooperated to establish a children's library, and Miracle Library opened in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Local children's small libraries propose policies to local governments through solidarity with local resident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or the substantiality and expansion of libraries. Third, the status of children's libraries and children's services were increased. The library relationship was strengthening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centered on the public library children's room. In the 1990s, the establishment of a children's library, which started in the private sector, led to the Miracle Library in the early 2000s. As a result, the interest in the children's library expanded to the whole society and this led to the interest of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children's library influenced the public library children's room, leading to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of the children's room. As the children's library became socially attracting attentio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services was also raised, and the demands and interest in the training and professionalism of child librarians became higher. As a result,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as opened, and new librarianship training for children's librarians was newly established. The National Children's Services Council was established to raise the solidari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children's library staff. Fourth, it stimulated social activities of individuals. The founding and volunteering of the children's library were mostly women, who were full-time housewives, and caretakers. Volunteering in the children’s library and activities of book-related groups which came into contact with children’s books, readings, and education became the trigger. Experiences of volunteer activities at children's libraries encourage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ocializ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ntributed to women's growth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s in that the study examined children’s library, which did not get much light in Korean library fields, and clar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ti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library and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by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in children’s library. Based on this study, children’s library should be understood and developed considering it as a part of the library field.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가 원하는 지식과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어린이의 미래의 삶을 가꾸는 평등한 기회를 획득할 수 있는 장소이어야 한다. 어린이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어린이도서관이 발전하게 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2016년까지의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전개과정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과 시기별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어린이도서관 관련 법령과 정책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린이의 독서환경으로 어린이 독서 실태와 어린이 책의 출판 흐름은 국민독서 실태조사, 한국출판연감에서 파악하였다. 어린이도서관계의 사건과 이슈 등은 도협월보, 도서관연구, 도협회보, 도서관문화 등의 도서관 관계지에서 확인하였다. 공공도서관 설립과 어린이도서관 설립,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설치 등 시기별 도서관 운영 현황은 한국도서관연감과 국가도서관통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어린이도서관 개관 확인과 어린이도서관 설립에 대한 시기별 사회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문기사도 살펴보았다. 끝으로 어린이도서관 설립 당시의 사회 환경과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인식, 설립과 운영과정, 어린이도서관 간의 상호작용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어린이도서관 운영자와 어린이도서관운동에 참여한 관계자 10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기별 어린이도서관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외부요인으로 사회적 변화와 어린이의 독서환경을 분석하였고, 내부요인으로 어린이도서관의 기준, 공공도서관 어린이실과 어린이도서관 설립 및 운영실태, 어린이도서관의 성과와 전망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린이도서관이 언제, 누구에 의해서 설립되었고,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은 도입기, 성장기, 확산기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76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도입기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실을 중심으로 어린이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1945년 식민지 해방, 1950년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사회가 매우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웠다. 도서관계는 인적, 물적으로 큰 피해를 보았으며 정부 차원에서 공공도서관을 설립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공공도서관 수는 매우 부족하였으며 출판은 교과서와 오락물이 대부분이었고, 어린이 책도 전집류 정도로 어린이의 독서환경은 빈약하였다.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궁핍,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은 상태에서 어린이도서관이 설립되지 못하였다. 1963년 도서관법이 제정되면서 공립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때 ‘어린이실’을 두어야 한다는 규정은 있었으나 공공도서관이 미비하여 어린이실의 설치와 어린이서비스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국립도서관을 포함한 공공도서관은 어린이실을 설치하여 열람서비스와 독서교실을 실시하여 어린이의 독서를 장려하였고,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둘째, 1977년부터 2002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성장기로 어린이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린이 전용 도서관이 처음 등장한 시기이다. 민간영역에서 1977년 잠실어린이도서관이 등장하였고, 공공영역에서 1979년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이 개관하였다. 1987년 정치적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의 성장, 민간의 작은도서관 운동, 어린이 책 출판의 성장, 어린이 독서운동 단체의 등장 등의 영향으로 개인 및 단체의 어린이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어린이도서관의 설립에 도서관법이나 도서관계의 영향은 적었으며 시민사회의 성장과 독서에 대한 관심으로 어린이도서관의 필요성을 자각한 개인 및 법인, 단체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어린이도서관 설립의 주체는 개인과 법인, 단체였으며 설립을 주도할 만한 세력의 형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민간영역에서 설립되기 시작한 어린이작은도서관은 도서관 설립과 운영과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협의회를 조직하였다. 셋째, 2003년부터 2016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확산기로 어린이도서관의 설립 주체가 다양화되고 공공영역의 어린이도서관 설립이 확산된 시기이다. 2003년 순천기적의도서관 개관 이후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어린이도서관 설립에 참여하면서 어린이도서관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사회 전반의 독서운동, 어린이 책의 성장,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시민사회단체의 관심, 어린이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법제화 등을 기반으로 공공과 민간의 어린이도서관 설립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기적의 도서관은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크게 변화시켰고 이후 어린이도서관의 건축과 운영의 모델이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움직임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개관을 촉진하였고, 2006년 도서관법의 개정에서 어린이도서관을 공공도서관의 범주에 포함하게 되었다. 어린이도서관의 설립에는 개인, 기업, 법인, 시민단체, 종교단체, 지방자치단체, 국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와 계층, 지역이 참여하였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2000년대 초․중반의 가파른 어린이도서관의 설립은 점차 둔화하였고 어린이도서관의 명칭과 관종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2012년 작은도서관진흥법의 제정으로 작은도서관의 법적 지위 확보와 지원 근거가 마련되면서 어린이작은도서관이 작은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기도 하였다. 또한, 서비스 대상의 확대로 공공어린이도서관이 일반 공공도서관으로 관종을 변경하기도 하였다. 이는 어린이도서관이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이라는 특수성보다는 공공도서관으로 인식되면서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해야 하는 지역사회의 요구에 따른 현상이다. 어린이도서관은 1970년대 말부터 설립되기 시작하여 퇴보와 성장을 거듭하면서 2000년대에 들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한국 도서관의 역사 속에서 확장과 성장을 이룬 어린이도서관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도서관은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던 어린이와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어린이들은 해방과 전쟁, 산업화와 입시경쟁 등으로 돌봄을 받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의 관심은 지역의 문제, 생활의 문제, 개인의 문제로 이동하였고 어린이 책의 성장, 교육 환경의 변화, 어린이의 독서,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어린이도서관의 설립과 관련 단체의 활동이 활성화되었다. 2000년대에는 어린이도서관이 개인, 시민사회, 종교, 언론,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관심사로 떠올라 어린이도서관이 전국적으로 설립되었다. 어린이도서관의 활성화 이후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이미지와 기대치가 달라졌고 우호적인 시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어린이도서관의 설립은 개인, 시민사회, 언론, 지방자치단체 등의 연대와 협력을 끌어냈다. 1970년대에는 개인의 소명에 의하여 1990년대에는 어린이 책과 독서, 교육에 관심을 가진 개인, 법인, 시민단체, 종교단체 등이 중심이 되어 어린이도서관을 설립하였다. 2000년대에는 개인, 시민단체, 언론, 지방자치단체 등이 연대하여 어린이도서관을 설립해 나갔으며 민간과 공공의 협력 사례로 기적의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민간의 어린이작은도서관은 도서관의 지속성과 확장을 위하여 지역주민과 시민단체와 연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셋째,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어린이도서관의 증가와 어린이 서비스의 위상을 높였다. 1990년대 민간 어린이도서관이 2000년대 초반 기적의 도서관으로 이어져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었다. 어린이도서관은 공공도서관 어린이실과 어린이 서비스에 영향을 미쳐 어린이실 시설 개선과 어린이 전문사서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요구와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개관하면서 어린이도서관 정책과 전문사서 양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을 담당하게 되었다. 넷째, 어린이도서관은 여성의 사회적 활동을 활성화했다. 어린이도서관의 설립과 자원 활동가들은 대부분 엄마였고 전업주부였다. 어린이 책과 어린이 독서, 교육에 관심을 가지면서 독서 관련 단체의 모임 활동과 어린이도서관에서 자원봉사를 계기로 지역 활동가로 성장하였다. 어린이도서관에서 자원 활동 경험은 지역공동체 참여와 지역 주민의 사회화를 독려하여 여성이 지역의 일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도서관계에서 그동안 연구가 부족한 어린이도서관을 연구하였으며 어린이도서관의 출현과 성장, 발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파악하고 어린이도서관의 발전 시기를 구분하여 시기별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