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머신러닝 기반 음성분석을 통한 체질량지수 분류 예측 - 한국 성인을 중심으로

        김준호,박기현,김호석,이시우,김상혁,Kim, Junho,Park, Ki-Hyun,Kim, Ho-Seok,Lee, Siwoo,Kim, Sang-Hyuk 사상체질의학회 2021 사상체질의학회지 Vol.33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whether the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Body Mass Index (BMI) could be predicted by analyzing the voice data constructed at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KDC)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BMI classific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Korean adults who had completed voice recording and BMI measurement in 2006-2015 among the data established at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Among them, 2,825 data were used for training to build the model, and 566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s an input feature of CNN,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extracted from vowel utterances was used. A model was constructed to predict a total of four groups according to gender and BMI criteria: overweight male, normal male, overweight female, and normal female. Results & Conclusions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F1-score and Accuracy. As a result of the prediction for four groups, The average accuracy was 0.6016, and the average F1-score was 0.5922. Although it showed good performance in gender discrimination, it is judged tha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follow-up studies is necessary for distinguishing BMI within gender. As research on deep learning is a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is expected through future research.

      • KCI등재

        ‘폭주하는 전차’ 사례에 대한 형사법적 결론을 생각해보기 ― 자율주행자동차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법학적 사유실험을 겸하여 ―

        김준호 ( Kim Junho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硏究 Vol.29 No.2

        철로 위를 폭주하는 전차가 있다. 전차의 브레이크가 고장나서 전차는 멈출 수 없다. 전차의 진행방향 앞에 다섯 명의 인부가 서 있다. 이대로 질주하면 다섯 사람은 전차에 치어 사망할 것이다. 만약 기관사가 전차를 비상철로 쪽으로 돌린다면 다섯사람은 살 수 있다. 하지만 비상철로 위에도 한 명의 인부가 서 있다. 전차의 방향을 바꾸면 이번에는 한 사람이 사망한다. 기관사는 어떠한 선택을 해야 형사책임을 면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전차 문제에서 인간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인지를 놓고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여러 이론이 제시되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자율주행차를 둘러싼 새로운 딜레마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 내용은 전차 딜레마를 모태로 한 것이다. 자율주행차 앞에 갑자기 여러 명의 보행자가 뛰어든 경우에 자율주행자동차가 어느 방향으로 진로를 선회해야 할 것인지가 그 논란의 핵심이다. 만일 자동차가 이를 피하려다 인도 위에 서 있는 한 명의 보행자를 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그래도 자율주행차는 진로를 선회해야 할 것인가? 자동차 제조사는 자율주행차가 한 명의 보행자를 희생시키도록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을 짜야 옳은가? 본 연구는 이 물음에 답을 찾기 위해 먼저 전차 딜레마에 관한 형사법적 결론을 생각해 보았다. 기관사가 전차의 방향을 바꾼 행위를 작위로 보고, 또 전차의 방향을 바꾸지 않은 행위를 부작위로 설정했다. 작위를 통해 기관사는 한 사람의 생명을 앗게 된다. 그리고 부작위를 통해서는 다섯 사람의 생명을 침해하게 될 것이다. 이 행위와 결과를 우리 법원에 가져가면 유죄와 무죄 중 어떠한 판결이 나올 것인지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그 결론은 전차가 어느 방향으로 달려도 기관사에게 유죄를 물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전차의 방향을 바꾸든 바꾸지 않든 기관사의 행위는 긴급피난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기관사의 행위는 위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어떻게 행동해도 위법행위를 범할 수밖에 없다면, 처음부터 기관사는 적법행위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었던 것이 된다. 적법행위를 할 여지가 원천적으로 없었던 행위자에게는 형사책임을 물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기관사는 작위를 하든 부작위를 하든 무죄판결을 받을 것이라 예상된다. 사람이 해서 무죄가 되는 행위라면, 자율주행차가 그렇게 움직이도록 명령을 입력한 사람도 무죄가 되어야 한다. 자율주행차가 선회를 하든 직진을 하든 그렇게 알고리즘을 짠 제조사는 기대불가능성의 이론을 주장하여 무죄가 나오도록 법원을 설득해야 할 것이다. There is a trolley that runs over the railroad. The brakes of the trolley are broken and the trolley cannot stop. There are five workers sta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If unstopped, the trolley will hit and kill these five people. If the driver turns the trolley to the emergency rail, the five workers can live. However, there is another worker standing on the emergency rail. If the trolley changes the direction, one person dies. What choice could the driver make to avoid criminal liability? Over the past decades, several theories have been put forward in various disciplines as to what choices should humans make in this trolley problem. Recently, as technology for autonomous driving has continued to develop, a new dilemma surrounding it has emerged. Its contents are based on the trolley dilemma. The core of the controversy is to which direction should the self-driving car turn if several pedestrians were to suddenly jump in front of the car. Should the self-driving car still turn its course, even if hitting a pedestrian on a sidewalk is inevitable? Is it right for an automaker to u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make self-driving cars sacrifice a single pedestrian?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criminal conclusions on the trolley dilemma. The act of the drive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was seen as a commission, whereas not changing the direction was seen as an omission. A commission takes one person’s life, whereas an omission takes five people’s lives. It should be considered which judgment such acts and outcome will result in at court. The conclusion was that no matter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the driver cannot be convicted. The driver's act cannot be a necessity regardless of whether the trolley’s direction is changed or not. Therefore, the driver's act is judged to be illegal. If one cannot act without violating any law, then the driver has been put in a situation where one cannot expect a lawful conduct in the first place. Actors who have no room for lawful conduct should not be held liable for criminal offen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river will be acquitted of innocence, regardless of acts of commission or omission. If an act of a person results in innocence, the person who entered the order for the self-driving car to move as such should also be acquitted. Whether the self-driving car turns or goes straight, the manufacturer of such algorithms will have to plead innocent by claiming inexigibility.

      • KCI등재

        수용자의 자녀 교류 유형과 설명 요인

        김준호(Junho Kim) 한국교정복지학회 2023 교정복지연구 Vol.- No.82

        본 연구는 수용자의 자녀 교류 유형과 설명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잠재집단분석과 일반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용자의 64.9%는 자녀와 교류하고 있었고, 서신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둘째, 수용자의 교류 유형은 소극집단과 적극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적극집단은 전반적으로 소극집단에 비해 다양한 자녀 교류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자녀양육자 관계가 좋을수록, 수용사실을 인지한 경우에 소극집단보다 적극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용자의 자녀 교류 확대 방안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exchanges between prisoners and their children and the explanatory factors. For this purpose, latent group analysis and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64.9% of the prisoners were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and correspondence was used the most. Second, the type of exchange of prisoners can be divided into a passive group and an active group. Overall, the active group used a variety of child exchange methods compared to the passive group. Third, the higher the age,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 caregiver, and the more female than mal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active group than the passive group in the case of recognizing the fact of accept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measures to expand exchanges between children of inmate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proposed.

      • 코너 기반 모션 추정을 위한 빠르고 정확한 알고리즘

        김준호(Junho Kim),오일석(Il-Seok Oh)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C

        본 논문에서는 코너 기반의 모션 추정을 위하여 코너 검출과 매칭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코너 정보는 중요한 특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지영상 뿐만 아니라 동영상 내의 복잡한 영상에서 제한된 시간 안에 코너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기존 코너 검출 알고리즘 중 Rosten 알고리즘은 간단한 덧셈과 뺄셈만으로 코너를 검출함에 따라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코너를 매칭하면서 모션 추정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비슷한 처리 시간 내에 코너 매칭을 통하여 모션 추정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Normalised Cross Correlation(NCC) 계수를 사용하여 코너를 매칭하고, 매칭된 코너들의 정보 중 부정확한 매칭 정보를 두 번의 단계에 걸쳐 outlier를 제거한다. 기존의 Rosten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실제 영상에서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과 비슷한 처리 속도로 보다 더 정확한 모션을 추정해 냄을 실험 결과 확인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현실(AR)기술발전과 디지털 디자인의 능동적 활용 방안

        김준호(Kim Junho),차화숙(Cha Whasuk),류준호(Yoo Junh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Virtual Evironment(VE 가상환경) 또는 Virtual Reality(VR 가상현실)의 한 종류로서 실제 환경의 객체에 가상으로 생성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사용성과 효용성을 극대화하며 향상된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차세대 정보처리 기술이다. 1968년 처음 발표된 이후 점진적 발전을 거듭한 AR은 최근 몇 년간 모빌리티 환경의 전개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장에 따라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AR은 게임 방송 등 기존 놀이형 문화콘텐츠 분야는 물론 의료 국방 교육 등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변화에 중심을 이루고 있는 서비스이다. 기존 AR 발전의 중심이 기술을 중심으로 한 발전이었다면 향후 디지털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분야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는 또 다른 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특히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 다양한 콘텐츠와의 결합 참여·공유·개방·협업을 통한 AR 2.0시대의 확대 기술 개방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AR 콘텐츠 제작 및 매쉬업을 할 수 있는 장의 마련 등이 필요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AR 서비스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와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을 유인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augmented Reality a type of the virtual environment(VE) or virtual reality(VR) is a new gen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that provides a sense of immersion and a sense of reality improved through the maximization of the usability and the utility by mixing the information virtually generated with the object in a real environment. The AR which gradually continued to develop after the first announcement in 1968 has rapid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unfold of a mobile environment and the expansion of a smart device in recent years. The AR is the service based on a change in a ubiquitous computing field like medicine a national defense and an education as well as the existing play cultural contents field like a game a broadcast and so on. The further development demands the active and aggressive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contents based on a digital design while the existing AR developed around the techniques. The place should be prepared to make more people produce the AR contents and mash-up through various contents closely related to a real life the expansion of AR 2.0 generation led by several types of works like the involvement the share the opening and an collaboration and the technology opening. Furthermore there is in need of a research on the level of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AR service and on the method of attracting a continuous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