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漢功能動詞槪觀

        朴起賢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2 언어와 언어학 Vol.0 No.30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기능동사구문의 의미,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고 두 언어사이의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중 기능동사의 결합가 측면의 특징을 기준으로 그 범위를 정하고 기능동사의 기능과 기능동사의 목적어의 특징 등 방면에서 두 언어를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인지문법의 관점에서 기능동사구문과 대응하는 단일 동사간의 차이를 해석하려고 시도해 보았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결합가 측면에서 톡특한 통사적 성질을 갖는 구문들이 있는데 다른 대부분의 구문이 동사와 그 논항을 중심으로 문장이 형성되나 이런 구문에서는 동사의 논항이 아니지만 문장에서 빠져서는 안되는 성분이 존재한다. 이 성분은 동사와는 아무런 의미, 통사적인 관련이 없고 오히려 목적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데 이런 목적어는 의미적으로도 다른 목적어와는 다르게 동작의 의미를 나타낸다. 우리는 의미적으로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고 통사적으로 자신의 논항을 요구하는 명사적 성분을 서술성 명사라고 부르고 이런 명사를 목적어로 거느리는 동사를 기능동사라고 불렀다. 기능동사는 대부분 단지 아주 추상적인 동작의 의미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동사구문은 의미상 별다른 변화없이 단일 동사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기능동사의 기능측면에서 1) 한국어의 '하다'와 순수한 명사적 성분을 목적어로 하는 중국어 기능동사의 경우 단일 동사로 바꿀 수 없으며 따라서 통사적인 필요에 의해 기능동사구문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2) 한국어에서 대응하는 단일 동사가 있는 기능동사구문과 대부분의 중국어 기능동사구문은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꼭 기능동사구문을 써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통사적인 필요에 의해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3)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능동사는 의미적으로 구체적인 정보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do' 혹은 'give' 두 가지 의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4) 기능동사구문과 단일 동사의 대응에 있어서 한국어와 중국어에 있어서 모두 기능동사구문에서 부사구나 개사구로 나타나던 서술명사의 대상이 단일 동사의 경우 목적어로 직접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기능동사의 목적어 측면에서 1)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능동사의 목적어는 모두 의미적으로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품사적으로 혹은 분포상으로 명사적인 성격을 갖는다. 2) 한중 기능동사의 목적어는 동작의 의미를 나타낼 뿐 아니라 통사적으로도 자신의 논항을 요구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기능동사구문에서는 동사의 논항과 명사의 논항이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3) 한국어에서 서술명사는 대부분 한자어인데 이들은 바로 중국어에서도 기능동사의 목적어로 쓰이기도 한다. 따라서 두 언어의 기능동사 목적어가 의미, 통사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공유할 뿐 아니라 어휘자체가 같은 경우도 발생한다. 이전의 연구, 특히 생성문법을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기능동사는 의미가 없을 뿐 아니라 통사적으로도 불완전한 동사라고 여겨왔다. 하지만 어떤 단어의 의미는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구체적이냐 혹은 추상적이냐의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또 우리가 의미, 통사적으로 아무런 기능이 없는 언어단위를 발화한다는 것도 상상하기 힘들다. 그래서 우리는 기능동사구문에 대응하는 단일 동사가 있는 경우 동일한 개념화 상황에 대해 교체적인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기능동사구문의 특징과 두 언어간의 대비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있음도 밝혀두고 싶다. 먼저 기능동사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다루고 이를 기초로 범위를 정하기는 했지만 한국어든 중국어든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동사의 완전한 목록을 제공하기 보다는 기능동사구문의 공통점을 주로 다루고 차이점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다루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기능동사구문에 대한 인지문법적인 해석도 너무 간단하고 추상적이어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는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상호매체성의 이론과 그 적용 - 피터 그리너웨이의 <프로스페로의 서재>를 중심으로-

        박기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10 比較文化硏究 Vol.19 No.-

        The cinema of Peter Greenaway has consistently engaged ques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and particularly the relations of image and writing to cinema. When different types of images are correlated and merged with each other on the borders of painting, photography, film, video and computer animatio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distinct elements cause a shift in the notion of the whole image. This analysis proposes to articul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rtial’ dimension and the ‘intermedial’ dimension in Peter Greenaway's film, <Prospero's Books> (1991). If the interartiality i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arts, including the transition from one to another, the intermediality articulates the sam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media.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s the same on both sides; on the contrar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dia does not show the same symmetry. All art is based on one or more media - the media is a condition existence of art - but no art can't be reduced to the status of media. This suggests that if the interartiality always involves the intermediality, this proposal may not be reversed. First, we analyse a self-conscious investigation into digital art and technology. Prosospero's Books can be read as a daring visual essay that self-consciously investigates the technical and philosophical functions of letters, books, images, animated paintings, digital arts, and the other magical illusions, which have been modern or will be post-modern media to represent the world. Greenaway uses both conventional film techniques and the resources of high-definition television to layer image upon image, superimposing a second or third frame within his frame. Greenaway uses the frame-within-frame as the cinematic equivalent of Shakespeare's paly-within-play : it offer him the possibility to analyse the work of art/artist/spectator relationship. Secondly, we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ten word, oral word and the books. Like the written word, the oral word changes into a visual image: The linguistic richness and nuances of Shakeaspeare's characters turn into the powerful and authoritative, but monotone, voices of Gielgud-Prospero, who speaks the Shakespearean lines aloud, shaping the characters so powerfully through his worlds that they are conjured before us. Specially each book is placed over the frame of the play's action, only partially covering the image, so that it gives virtually every frame at least two space-time orientations. Thirdly, we try to show how Peter Greenaway uses pictorial referenc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text of the Renaissance as well as pictorial techniques and language in order to question the nature of artistic representation. For exemple, The storm is visualised through reference to Botticelli's <Birth of Venus>: the storm of papers swirling around the library is constructed to look like a facsimili copy of Michelangelo's Laurentiana Library in Florence. Greenaway’s modern mannerism consists in imposing his own aesthetic vision and his questioning of art beyond the play’s meta-theatricality: in other words, Shakespeare’'s text has been adapted without being betrayed. The cinema of Peter Greenaway has consistently engaged ques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and particularly the relations of image and writing to cinema. When different types of images are correlated and merged with each other on the borders of painting, photography, film, video and computer animatio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distinct elements cause a shift in the notion of the whole image. This analysis proposes to articul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rtial’ dimension and the ‘intermedial’ dimension in Peter Greenaway's film, <Prospero's Books> (1991). If the interartiality i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arts, including the transition from one to another, the intermediality articulates the sam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media.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s the same on both sides; on the contrar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dia does not show the same symmetry. All art is based on one or more media - the media is a condition existence of art - but no art can't be reduced to the status of media. This suggests that if the interartiality always involves the intermediality, this proposal may not be reversed. First, we analyse a self-conscious investigation into digital art and technology. Prosospero's Books can be read as a daring visual essay that self-consciously investigates the technical and philosophical functions of letters, books, images, animated paintings, digital arts, and the other magical illusions, which have been modern or will be post-modern media to represent the world. Greenaway uses both conventional film techniques and the resources of high-definition television to layer image upon image, superimposing a second or third frame within his frame. Greenaway uses the frame-within-frame as the cinematic equivalent of Shakespeare's paly-within-play : it offer him the possibility to analyse the work of art/artist/spectator relationship. Secondly, we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ten word, oral word and the books. Like the written word, the oral word changes into a visual image: The linguistic richness and nuances of Shakeaspeare's characters turn into the powerful and authoritative, but monotone, voices of Gielgud-Prospero, who speaks the Shakespearean lines aloud, shaping the characters so powerfully through his worlds that they are conjured before us. Specially each book is placed over the frame of the play's action, only partially covering the image, so that it gives virtually every frame at least two space-time orientations. Thirdly, we try to show how Peter Greenaway uses pictorial referenc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text of the Renaissance as well as pictorial techniques and language in order to question the nature of artistic representation. For exemple, The storm is visualised through reference to Botticelli's <Birth of Venus>: the storm of papers swirling around the library is constructed to look like a facsimili copy of Michelangelo's Laurentiana Library in Florence. Greenaway’s modern mannerism consists in imposing his own aesthetic vision and his questioning of art beyond the play’s meta-theatricality: in other words, Shakespeare’'s text has been adapted without being betrayed.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기현,윤치연 한국심리협회 2014 심리행동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이 있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애인의 우울감소에 영향이 있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P시의 장애인협회 에 소속되어 있고 우울감을 느끼고 있는 지체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프로그 램을 주 2회, 회기당 120분씩, 총 14회기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와 우울척도 검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양적분석을 하고 질적분석을 위해 집단 보조자 1명과 함께 실험집단의 각 단계별 회기 진행과정을 녹취, 녹화하고 회기별 미술 활동작 품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 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 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체장 애인의 우울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 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지체장애인들에게 긍정적인 인지, 행동, 정서의 변화 결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체장애인들에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physically disabled individual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physically disabled? Second,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To verify the questions, the following individual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5 disabled individuals who are affiliated with the Association of the Disabled in P city and have a depressio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2 hours twice a week totalling 14 times. To identify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wo different aspects with self-esteem scale test and depression scale test. For qualitative analysis, each s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orded and taped, with the help of an assistant. Also, their artwork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each sess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self-esteem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elf-esteem while participating in the group art therapy.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ively reduced the depress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self-esteem of the physically disabled and reduced their depressi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led to positive changes in the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dividuals.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ed in the research could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improving the emotions of the physically disabl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