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3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시기의 첫 자녀를 키우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기혼여성이 현재 지각하고 있는 부부관계, 즉, 배우자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시기의 첫 자녀를 키우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기혼여성이 현재 지각하고 있는 부부관계, 즉, 배우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가 어머니가 된 자신의 부모기 전이 과정에 있어 부모로서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로서의 만족, 부부간의 친밀감과 안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6개월∼48개월까지의 만4세 이하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97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측정도구의 주요내용을 정리해 보면 첫째, 부부관계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존중, 공감, 일치의 세가지 하위영역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기 전이는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의 만족,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의 세가지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s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기 전이의 일반적인 경향 역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의 차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가정의 평균월수입, 교육수준, 배우자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 및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기 전이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건강상태,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을 살펴보면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심리건강상태, 신체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자녀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와의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 신체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교육수준, 결혼지속년수,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부부관계 변인을 투입한 결과 먼저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존중과 일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는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기 전이기에는 부부 상호간의 관계와는 분리해서 부모로서 지각하는 만족감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저출산과 이혼이 심각한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만큼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결혼예비부부, 결혼초기부부, 첫 자녀 출산 부부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인의 역할에서 어머니라는 역할을 부여받은 기혼여성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불안감과 의무감을 배우자에 의해 보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보편화된 현대사회에서 기혼여성의 출산 전과 후를 계획할 수 있는 일가정 양립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가능한 지원체계의 확립과 실천이 요구된다고도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nfluence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an raising the first child of infant period on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couple relationship currently percieved by married woman, that is, this res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nfluence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an raising the first child of infant period on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couple relationship currently percieved by married woman, that is, this research studies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emotional support of spouse hav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as a mother. For this, a survey with married women having babies from 6 months to 48 month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areas was conducted and total 297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erms of details about measuring tools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regarding couple relationship, respect, sympathy, and agreement were studied as three factors for measuring emotional support of spouse percieved by married women. Moreover,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s sub factors are divided into thre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was shown to be over the average and was relatively positive. The general trend of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over the average, meaning that they felt it relatively difficult.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sociolog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it was shown as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the spous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was found that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hys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on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studied. First of all, looking at th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as a factor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hys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gratification, children’s age,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spouse, life satisfaction cognized subjectively, and physical health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percieved subjectively had significant influence.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putting in factors of couple relationship, first, respect and sympath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respect and agre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affected transition to parenthood. What is more,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should be separated from couple relationship and gratification cognized as a parent shall be interpreted.
      Recently, as low birth rate and divorce are becoming serious social problems the research result showing couple relationship influencing transition to parenthood could be used as meaningful data for educating pre-marriage couples, newly married couples, and couples with the first baby. Moreover, this implies that ways to offset anxieties and responsibilities as a roles of married women by spouse which is given by the roles of a wife and a mother have to be made. Furthermo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women’s advance to the society is being generaliz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ractical and detailed support system on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allowing them to plan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Ⅱ. 선행연구 고찰 5
      • 1. 부부관계 5
      • 2. 부모기 전이 9
      • 3. 부부관계와 부모기 전이 26
      • Ⅲ. 연구방법 28
      • 1. 연구 대상 및 절차 28
      • 2. 측정도구 31
      • 3. 자료 분석 방법 33
      • Ⅳ. 연구 결과 34
      • 1.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 및 부모기 전이의 경향 34
      •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부관계 및 부모기 전이에 대한 차이 36
      • 3. 기혼여성의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48
      • Ⅴ. 요약 및 논의 55
      • 1. 요약 및 결론 55
      • 2. 논의 및 제언 56
      • 참고문헌 63
      • <부록> 68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