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집 2: 조선시대 < 가례 > 연구와 실학 : 18세기 본암(本庵) 김종후(金鍾厚)의 『가례집고(家禮集考)』 편찬과 그 의미
김윤정 ( Yun Jung Kim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김종후의 『가례집고』는 『가례』주석서의 형식이지만, 『가례』에 대한 해석과 보충보다는 비판과 수정을 중심으로 하였다. 문헌 고증을 통해 고례로부터 『가례』로의 변화와 연혁을 객관적으로 검토하였고, 그 과정에서 『가례』의 토대가 된 『서의』에 주목하였다. 18세기 중엽 『서의』가 조선에 유통되기 시작하면서, 김종후는 『서의』와 『가례』를 비교분석한 서의고이 를 『가례집고』에 수록하였다. 서의고이 는 『가례』가 고례와 달리 시속 중심의 『서의』를 따랐다는 비판적 근거가 되었지만, 동시에 『가례』를 재해석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가 되었다. 18세기 『서의』의 분석을 통해 『가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가능해졌고, 그 선두에 김종후가 있었다고 할 수있다. 김종후는 노론 산림이었지만, 학술적으로 폭넓은 예설교류를 지향했다. 낙론 예학을 대표하는 임성주와는 고례를 기준으로 하는 비판적이고 논쟁적인 예설을 공유하였다. 또한 서얼 출신 제자인 이광석의 예설을 『가례집고』에 대거 인용하였고, 이광석의 族叔인 이덕무와도 학문적으로 교류하였다. 김종후의 개방적인 학문경향은 『가례집고』에 다양한 예설들이 수록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가례집고』에 나타나는 김종후의 예설은 고례를 중심으로 禮意와 時宜의 조율을 강조하였다. 服喪으로 인해 혼례의 때를 놓치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례를 고증하였고, 시제에서 고례에 따른 동탁을 사용하여 『가례』의 각탁 사용이 갖는 실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한편 고례로의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예의와 시속에 적합한 절충안을 제시하였다. 친영의 전안례와 초녀례는 고례에 따르면 廟에서 행해야 하지만, 廟가 없어진 상황에서는 『개원례』에 따라 정침에서 행하는 것이 친영이라는 예의에 합당하다고 보았다. 김종후는 조선 학자들의 예설도 비판적으로 고증하였다. 조선시대 상례의 기준이 되었던 김장생의 『상례비요』와 송시열의 장자설을 비판하였다. 또한 조선의 입후가 갖는 문제점을 연혁적으로 분석하면서 형망제급의 정당성을 강조하였다. 한편, 權道로 간주되던 조선의 ``無主之攝``을 고증하여 예학적 근거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김종후의 철저한 문헌고증을 통한 비판적인 『가례』 연구는 18세기 고증학·박학적인 학문경향 속에서 가능했다. 또한 경화사족으로서의 우월한 정치적·경제적·문화적 지위는 학문적인 개방성과 독창성의 토대가 되었다. 그가 제기한 새롭고 논쟁적인 예설담론은 조선후기 예학 발전에 또 하나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Kim Jong-hu`` Garye-jipgo was the interpretations of Zhu Xi``s Family Rituals, but focused on the criticism and modifica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He considered of the transition from Ancient Ritual to Zhu Xi``s Family Rituals, took note of Shuyi. Since Shuyi was started to pass in chosun after mid-18th century, Kim Jong-hu wrote Shuyi-goi analyzing Shuyi and Zhu Xi``s Family Rituals in Garye-jipgo. A new approach to Zhu Xi``s Family Rituals was star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huyi in 18th century. Kim Jong-hu was the Sanrim of Old Doctrine faction, but tried to exchange theories of ritual widely. He shared the critical and controversial thinking with Lim sung-ju. He quoted theories of Lee Kwang-suk who was concubine``s son and networked with Lee Duk-mu who was uncle of Lee Kwang-suk. Kim``s theories of ritual inGarye-jipgo emphasized on the tuning decorum and circumstance focused on the ancient Ritual. He studied the ancient ritual to solve practical problems missing a chance to marry because of funerals and using each table to every ancestors in worship. When the ancient ritual was not available, he proposed compromise way of decorum and circumstance. He criticized theories of chosun``s scholars as Kim Jang-sang and Song Si-yeol and analyzied the problemof adption in chosun. Also he confirmed substitution without heir as kwondo(權道) with the reference of ancient ritual. Kim Jong-hu`` critical study on Zhu Xi``s Family Rituals was based on documental archaeology and vast knowledge in 18th century. His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supremacy was the foundation of openness and originality in scholarship. His new discussion of ritual paved the way to the progress in the study of ritual at late chosun.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Clozapine치료로 유발된 강박증의 치료
김윤정,권영준,정희연,심세훈,정한용,한상우,Kim, Yun-Jung,Kwon, Young-Joon,Jung, Hee-Yeun,Shim, Sae-Hoon,Jung, Han-Yong,Han, Sang-W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5 생물정신의학 Vol.12 No.2
Background:Clozapine is a unique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 It is considered to be superior, even amongst the newer agents, i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However, de novo emergence or exacerbation of obsessive-compulsive(OC) symptoms during treatment with clozapine has been reported. We prospectively evaluated 19 cases which newly developed OC symptoms during clozapine treatment and discussed the treatment of OC symptoms induced by it. Methods:We recruited 19 patients(8 males, 11 females) with a DSM-IV diagnosis of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who had developed OC symptoms during clozapine treatment. OC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Padua-ICMA and YBOCS on a monthly basis over three months. Results:Eleven female and eight male patients were enrolled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32.8 years. At baseline, no patients showed OC symptoms. Moderate to severe OC symptoms appeared with mean daily dose of 298.68 mg of clozapin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ing OC symptoms between the clozapine dose reduction group and the OC treatment group. Conclusion:We noticed the possibility that the appearance of OC symptoms is connected with the effect of clozapine. The clozapine-induced OC symptoms were improved both by reducing clozapine daily doses, and by adding OC treatment drugs. With other atypical antipsychotics now available, to know and treat the side effects of clozapine would be of considerable value, offering clinical guidance in making a decision on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갑상선의 여포상 종양의 감별에 있어서 TCM-9의 발현양상
김윤정,심정원,안혜경,박영의,Kim, Yun-Jung,Shim, Jung-Weon,Ahn, Hye-Kyung,Park, Young-Euy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2
Monoclonal antibody(TCM-9) against human thyroid cancers have been studied by screening with human thyroid cancers, normal and benign thyroid tissue, and normal human serum protein. A monoclonal antibody(TCM-9) that is known to have strong specificity for human thyroid cancer but not for Graves' disease, adenoma or normal thyroid does not bind to native or mature human thyroglobulin(Tg). We used to TCM-9 antibody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n 5 follicular cancer, 2 follicular adenoma, 1 follicular neoplasm with suspicious invasion, 2 papillary cancer to ascertain being of help in differentiation between follicular carcinoma and adenoma. Reactivity of TCM-9 was observed in follicular carcinoma and papillary carcinoma but not observed in follicular adenoma. Thus TCM-9 is a novel monoclonal antibody against the thyroid cancer.
김윤정,김명길,송홍규,최형태,Kim, Yun-Jung,Kim, Myung-Kil,Song, Hong-Gyu,Choi, Hyoung-T.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2
White-rot fungi which degrade lignin can also degrade diverse recalcitrant compounds such as polymeric dyes, explosives, pesticides, and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Lignin degrading enzymes are involved in the degradation reactions, and introduction of foreign genes into a white-rot fungus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ading capacity. Genetic transformation experiment has been carried out in Irpex lacteus and Phlebia tremellosa to an antibiotic resistance. The transformation yields were 50-70 transformants/${\mu}g$ DNA and 15-25 transformants/${\mu}g$ DNA in I. lacteus and P. tremellosa, respectively. The stable replication of the plasmid was confirmed by PCR using the plasmid-specific primers, and many mutants were generated during this integration in both fungi.
먹물버섯의 생성.자가소화 과정에서 laccase 및 chitinase의 발현
김윤정,박혜연,조정원,최형태,Kim, Yun-Jung,Park, Hye-Yeon,Cho, Chung-Won,Choi, Hyoung-T.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3
먹물버섯은 버섯 시원체로부터 버섯이 성숙되는 과정에서 자가소화가 일어나 먹물이라 불리는 검은 액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멜라닌을 생성하는 laccase, 균류 세포벽 성분의 하나인 키틴을 분해하는 chitinase의 관련을 분석하고자 Northern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시원체가 생성되고 버섯이 성숙되어 먹물을 생성하는 시기에 따라 멜라닌색소 생성 효소인 laccase와 킨틴분해효소인 chitinase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계충버섯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비스페놀 A의 분해와 에스토로겐 활성 제거
김윤정,송홍규,최형태,Kim, Yun-Jung,Song, Hong-Gyu,Choi, Hyoung-T.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3
리그닌을 분해하는 백색부후균의 하나인 기계충버섯(Irpex lacteus)은 다양한 난분해성물질에 대한 분해능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 균은 다양한 배양조건에서도 리그닌 분해효소의 하나인 laccase 활성이 매우 낮다. 난분해성 물질들에 대한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accase 활성을 증가시키고자 아교버섯의 laccase cDNA를 발현벡터로 구축하여 기계충버섯에 형질전환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항시 발현되는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의 프로모터와 재조합된 laccase 유전자는 생성된 형질전환체에서 배양초기인 생장기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생성된 형질전환체가 내분비장애물질의 하나인 비스페놀 A (BPA) 분해능은 물론 에스트로겐 활성 제거에 있어서도 더 우수하였다.
김정희,김준호,박병우,김소망,이선욱,김민경,김나율,윤소정,황혜민,김윤정,주선영,Kim, Jung Hee,Kim, Jun Ho,Park, Byoung Woo,Kim, So Mang,Lee, Sun Wook,Kim, Min Kyung,Kim, Na Yul,Yun, So Jung,Hwang, Hye Min,Kim, Yun Jung,Ju, Sun Yiung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17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mpare the effect of core muscle strengthening between core exercise on stable surface and cor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Methods: Thirty-nine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The stable surface exercise group and unstable surface exercise groups practiced core muscle training for $3{\times}30minute$ sessions over a 4-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d therapeutic intervention except pre and post test. The following clinical tools were used to assess cor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Side Plank Test, Trunk Flexion Test, Balance Error Scoring Test, Core Muscle Stength & Stability Test. Results: The stable surfac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runk muscle strength of anterolateral part as revealed by the Side Plank Test and Trunk flexion Test(p<.05). The unstable surfac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runk muscle strength of anterolateral part and balance ability as revealed by the Balance Error Scoring Test and Core Muscle Strength & Stability Test(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core exercise on stable surface and cor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induced core muscle strengthening and balance ability. Expecially cor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more effective to core muscle strengthening and balance ability.
김윤정(Yun Jung Kim),박재욱(Jae Wook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1
<위키드>는 2003년 미국에서 초연된 이래 브로드웨이 박스 오피스에서 10년 넘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이 성공적으로 흥행할 수 있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내러티브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나 <위키드>는 여러 개의 복선과 그 결과로서 나오는 줄거리가 반전을 거듭하면서 이야기가 끝까지 짜임새 있게 연결되고 있다. 이 뮤지컬에서 복선 구조와 반전 플롯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스토리를 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다뤄 볼 만한 주제다. <위키드>의 핵사건을 중심으로 복선 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복선과 호응 구조가 강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특히, 호응은 기대치 못한 반전의 요소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하면서 문학 분야 외에는 복선 구조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는 것과, 내러티브가 부족한 국내의 영상 콘텐츠 제작에서도 복선 구조 플롯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Wicked> has been ranked on top in Broadway box-office for more than 10 years since it was premiered in America in 200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horoughly examine narratives in order to deal with such a huge hit. Especially, <Wicked> represents a well-connected stor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ith much foreshadowed events and reversal on the plot. Identifying the foreshadowed structure of the story and reversal plot in this musical seemed to be worth dealing with in a perspective of reinforcing the story when manufactur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foreshadowed structure based on kernels in the <Wicked>, the story was strongly connected in corresponding with foreshadowed events. Especially, unexpected reversal elements were used in corresponding story lines.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researches have been insufficiently conducted on the foreshadowed structure in the areas other than literature. In addition, practical studies seem to be needed dealing with foreshadowed structure plot on domestic video contents manufacture in short of narrative.
김윤정(Kim Yun-Jung),문순영(Moon Soon-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보육정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영유아 돌봄의 사회적 재구성 과정에 나타난 돌봄 유형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보육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돌봄‘의 주요 영역으로서, 누가 돌봄을 제공하는가라고 하는 것은 다양한 관계 및 가치적 맥락을 내포한다. 그러나 그 동안의 보육정책 관련 연구들은 주로 복지국가의 이념이나 공사 관계, 중앙 및 지방 정부 간의 관계와 같은 거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돌봄이 지닌 일상생활에서의 젠더 간, 세대 간 관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치적 맥락을 분석해 내는 데는 매우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을 보다 분명히 나타내주는 크레머의 돌봄유형을 적용하여, 보육서비스와 출산 및 육아 휴직에서의 정책 변화와 보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1980년대는 정부의 보육정책 부재 가운데 민간 비영리 보육시설의 역할과 가정탁아제도의 도입이 두드러진 시기였으며, 따라서 제도화 이전, 비전문가에 의한 보육시설에서의 돌봄이 주축을 이루었다. 1990년대는 영유아보육법의 제정을 통해 비로소 우리나라 영유아 돌봄의 제도화가 시작되었으며, 그 첫 번째 유형으로 ‘전문가 돌봄’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제도권 내에 있지 않은 ‘세대 간 돌봄’이나 ‘대리모 돌봄’등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1990년대는 공식적 비공식적 돌봄 유형이 공존하는 과도기적 시기로 규정하였다. 2000년대는 ‘전문가 돌봄’을 양적 질적으로 강화한 것과 함께, ‘전일제 모성 돌봄’의 확대 및 ‘부모 분담 돌봄’의 도입 등 다양한 돌봄 유형이 제도권 내에 편입됨으로써 영유아 돌봄의 다원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생활에서 누가 영유아에게 돌봄을 제공하도록 제도화하고 있으며, 또 실제로 제공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돌봄이 지닌 다양한 가치적 맥락을 보다 명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 전개될 영유아 돌봄의 사회적 구성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aring for children had been regarded as a private matter. However, due to the considerable growth of labour force participation among married women, it has rapidly moved into formal sector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is article studies the institutionalizing process, here is conceptualized as ‘social reconstruction process' of caring for children under age 6, It aims to analyze types of care which are imbedded in the policies related to caring for children. Child care in the 1980s heavily depended on non-profit child care centre and later on home-based care centre. Thus, it is characterized by non-professional care in the private sector. As the Child Care Act was enacted at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e professional care appeared as the first type of social reconstruction for child care. However, in reality the generational care and the surrogated mother care played a decisive role. For this reason, the 1990s can be called a period of transition which is characterized as the coexistence of formal and informal care. During the 2000s, varied types of care including full-time mother care and parental sharing care were incorporated into the social reconstruction process, along with strengthening professional care through enhancing of care and extending government support for children in care need. This study will provide an insight for policy framing in the process of social reconstruction which goes beyond the period of introduction and transition and now move toward qualitative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