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행위로 인한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폐지와 법정임대차 도입- 민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

        권영준 한국민사법학회 2014 民事法學 Vol.68 No.-

        The abolition of the customary superficies and the adoption of thestatutory lease– A study on the Draft of the Civil Code Amendment –Kwon, YoungjoonThe Korean Civil Code (hereinafter “KCC”), which was first enactedback in 1960, is a fundamental norm governing legal relationships amongprivate entiti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KCC, Korean society hasexperienced drastic changes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 KCC hasnever been comprehensively amended up to now. Against this backdrop,there has been a constant call for the comprehensive amendment of theKCC. In response, the Ministry of Justice has carried out an ambitiouslegal project of amending the KCC since 2009. As of January 2014, thefinal amendment draft is about to be completed. This article aims toaddress major changes envisaged in the draft specifically concerning theabolition of the customary superficies. Customary superficies, according to the legal precedents, endows abuilding owner the right of superficies even without agreement with aland owner or relevant legal provisions creating such superficies undercertain conditions. The main function of this customary right is to protectpublic interest inherent in the existence of a building. When the ownershipof land and the building thereon, once attributed to the same owner,belong to different owners due to whatever legal reasons including sale orpublic auction, the building owner can claim the right of customarysuperficies against the land owner so long as there is no contract to teardown the building. This is specific legal device to protect building owner권영준 : 법률행위로 인한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폐지와 법정임대차 도입 41in a jurisdiction where the ownership of land and a building can beseparated. The customary superficies was first acknowledged in 1916 by ChosunHigh Court. Since then, there has been much debate over whether or notsuch custom had existed in Korea.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heavycriticism on conferring too strong right to a building owner in case of salewhen she could have made a contract with a land owner to securerelevant right to use land. This led to the current draft, which abolishesthe customary superficies in case of sale, while converting the customarysuperficies in case of public auction into legal superficies by creatingadditional provisions to that effect. In the case, the statutory lease contractwill be acknowledged for 10 years after the ownership over land and abuilding belong to different owners. This provides interim protection for abuilding owner, but not as formidable as customary superficies.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or not this draft will finally be enactedin the near future. Yet, the draft itself is certainly worthy of beingreviewed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even before its enactment.

      • KCI등재

        개인정보 자기결정권과 동의 제도에 대한 고찰

        권영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1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1조에서 선언하듯이, 개인정보 보호는 “개인과 존엄의 가치를 구현”하는 문제로 여겨지고 있어 마치 성역처럼 여겨질 위험성도 없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법적 문제들이 그러하듯 어떤 가치를 추구함에 있어서는 늘 그 하위 가치들의 세밀한 형량과 조정이 요구된다. 개인정보 보호도 예외가 아니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헌법 제10조와 제17조에 기초하여 인격권의 하나로 인정되는 권리로서, 개인정보 보호법의 이념적 토대를 이룬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전통적인 권리 분류법에 따르면 절대권 내지 지배권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개념상 강한 권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역시 이를 둘러싼 수많은 가치나 이익들의 균형 있는 고려와 세밀한 조정을 요구한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정보 통제권이자 표현 통제권의 속성도 가진다는 점, 개인정보 자기결정권과 같은 인격권의 보호범위는 소유권과 같은 절대권과 비교할 때 형량과 조정의 필요성이 훨씬 크다는 점,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전제가 되는 합리적 인간상은 현실적 인간상과 거리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보호범위는 좀 더 균형감 있는 조정 작업을 통하여 확정해 나가야 한다. 또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이용할 수 없다는 원칙을 구현한 동의 제도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이념을 가장 잘 구현하는 제도로서 현재 개인정보 보호 법제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이념적 정당성을 인정하는 이상 동의 제도도 그 이념적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나아가 권리 보호 방식에 관한 동의 규칙(property rule), 보상 규칙(liability rule), 양도불가능 규칙(rule of inalienability)의 틀에 비추어 검토하더라도 동의 제도의 정당성은 원칙적으로 인정된다. 하지만 동의 제도가 현실 속에서도 정당성을 획득하려면 정보주체의 정보력, 인지력, 판단력, 협상력이 충분히 담보되어야 하는데, 그 동안의 실증적인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실 속에 나타난 정보주체의 모습은 그렇지 않다. 이로 인해 정보주체의 동의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그 동의의 가공할 만한 법적 힘에 기대어 오히려 개인정보의 오남용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대한 사전 동의는 부분적으로 비현실적인 것이 되고 있어 동의 제도를 기계적으로 관철하거나 확장하는 것은 과학기술의 발달에 장애가 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동의 제도를 재검토하고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동의 제도의 문제점과 이와 유사한 약관 제도의 개선에 관한 논의 현황을 참조하면 동의 제도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다. 첫째, 정보제공의 단순화와 실질화를 통해 동의의 형식화를 방지하는 방향이다. 이는 정보주체가 알고 하는 동의(informed consent)를 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다만 정보제공의 단순화는 개인정보 보호법에서 요구하는 정보제공 기준에 배치될 위험이 있으므로 기존 정보제공과 병행하여 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단순화된 정보는 텍스트(text) 요약판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표(table)나 이미지(image)를 사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개인정보취급방침 등에 대한 등급제나 인증제를 통해 제3의 전문기관이 개인정보 보호 정도를 1차 ... As declared in the first Articl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Kore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urports to materialize inner value of human dignity. This poses possibility of view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nearly non-negotiable issue. However, as is the case with other legal issues, pursuing certain value almost always requires subtle balancing in regard to other values. The matter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 no exception to this.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which forms a normative found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gime, springs from personality right which in turn grounds itself on the Article 10 and 17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typical taxonomy, is categorized as absolute or dominion right, and thus regarded as a ‘strong right’ by its nature. Yet, it is also the right that controls and curbs information and expression, and thus creates tension against other personal legal interests. In that sense, it is to be differentiated from typical absolute right such as ownership right over thing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one reasonably delineate the scope of protec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thereby striking an appropriate balance among relevant values and interest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 of self-determination, the current legal regime in principle requires the consent of the information subject in collecting 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As long as the idea of self-determination can be justified, the consent regime can also be justified. Further, from the perspective of property rule / liability rule dichotomy, the consent regime which embodies the idea of property rule is justified. However, in order for such regime to work well in practice, lack of information, judgment capacity, and bargaining power of the information subject need to be addressed. Without such basis, the consent regime only justifies exploit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from less-informed information subject. The empirical studies show that it is so in reality. Moreover, the consent regime needs to be revisited in the wake of “Internet of Things”, in which obtaining individual consent from information subject becomes almost impracticable.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proposes several ways to respond to these challenges. First, it points out necessity to enhance informed decis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by simplifying and materializing information-disclosure on the meaning and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The summary of the text of a privacy policy or relevant boilerplates may be provided. Tables and images may also be used, as one can find out similar examples in other areas such as revealing energy efficiency on electronic appliance. A rating or certification of a privacy policy by competent authorities may also serve as a simple way of delivering information. Second, it addresses the possibility of relaxing current consent regime, including turning current opt-in regime to opt-out regime, while strengthening other mean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cluding fortifying control right of information subject in the processing stage, utilizing technical measures such as PETs(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and encouraging self-imposed control in the private sector. Such efforts may lead to substantial and practical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 클라우드 컴퓨팅의 계약법적 문제

        권영준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1 Law & technology Vol.7 No.2

        클라우드 컴퓨팅은 오늘날 국내외 IT 분야의 핵심 화두로 자리잡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들의 정보처리와 보관의 측면에서 편의성, 안전성, 효율성을 제고하여 주기 때문에 향후 점점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보가 가치를 창출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 기업, 국가의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집중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법적 위험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위험이 현실화하였을 때 어떻게 이를 해결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충분한 선례와 연구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계약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을 최대화하면서 위험은 최소화하거나 합리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 글은 이러한 배경 아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의 전반적인 모습을 개관하고 그 속에 있는 다양한 쟁점들을 검토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서비스의 내용, 서비스의 품질을 객관화할 수 있는 지표의 선정, 정보에 대한 권리의 귀속관계, 정보의 저장위치와 방법, 정보접근·관리·이전·회수 등 정보통제,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수집과 가공 및 양도에 대한 제어, 정보에 대한 확실한 보안조치, 사법당국의 강제적 조치에 대한 대응, 채무불이행에 대한 구제수단과 면책사유, 계약관계의 종료에 따른 정보반환·삭제·상속 등 청산문제, 준거법이나 재판관할의 검토, 효율적 분쟁해결절차의 모색, 합병·파산·영업양도·경매등에 즈음한 법적 문제, 제3자에 대한 불법행위책 임시 내부적 구상관계 등 다양한 쟁점들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Cloud computing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noteworthy issues in the field of IT industry.Since cloud computing enhances convenience, security and efficiency in processing and storinginformation, it is likely to be utilized more frequently with time. However, in the society whereinformation functions as an important source of value, giving a cloud computing service provider toomuch de facto control on information through cloud computing might incur significant legal risk.Contract is a pertinent vehicle by which this risk can be minimized or rationally allocated betweenparties while preserving merits of the cloud comput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intends togive a general overview on cloud computing contract and to give a detailed analysis on various legalissues arising out of this contract. Issues that are addressed in this article include the service levelagreement(SLA), legal issues concerning information, information security, breach of contract andremedies, termination of the contract, choice of law and jurisdiction, as well as other issuesconcerning M&A, bankruptcy, enforcement, torts and inheritance law.

      • 우리나라 가축사체처리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

        권영준,권준형,김권철,김주희,홍명하,류영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우리나라의 경우 비 감염 및 감염가축 처리 및 예방 목적으로 대부분의 사체는 매몰처리 되고 있으며 일부 소각처리 되고 있다. 2013~2016년 동안 백신처방 유무와 관계없이 AI, 구제역 발병에 따른 세계 살처분 대비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AI는 두 번째, 구제역은 첫 번째로 매우 높은 살처분율을 나타내고 있다. 가축사체 처리방법에는 매몰, 소각, 랜더링, 호기호열성, 퇴비화, 알칼리 가수분해, 혐기성 분해 등이 있다. 매몰 방식을 이용한 사체처리의 경우, 정상적으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도 가축사체의 부패에 따른 침출수 및 악취 발생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2011년부터 호기호열성 처리법이 시도되었으나 여전히 침출수 문제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도입된 AI구제역 발생후 FRP통에 넣어 매몰한 저장조의 매몰 가축사체가 부패가 일어나지 않고 3년이 지나도록 썩지 않고 미라처럼 그대로 있어 재처리가 불가피하며, 정부 예산이 이중으로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각방법은 소각 후 잔재물이 2~3%로 적게 발생되지만, 장비 구입비가 비싸고, 이동 및 보관 등 유지ㆍ관리가 어려우며, 이동형 소각기에 대한 법률 적용근거 미흡에 따른 사용 전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는 관련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렌더링 처리방법은 가축사체를 친환경적으로 자원재활용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 각광을 받았지만, 동물성 기름과 잔존물이 과다 발생하며, 추가적인 부산물 처리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 사체처리 방식(매몰, 소각, 랜더링 등)들은 침출수 및 잔여 바이러스 유출, 주변 환경오염 유발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고 가축사체를 유용자원으로써 재활용하기 위한 자원화 개념이 도입되어야 하고, 또한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 저렴한 투자비와 유지관리비,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과 환경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새로운 사체처리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 KCI등재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 구상관계

        권영준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4 No.-

        Contribution among joint tortfeasors is, after all, a matter of ultimatedistribution of tort liability. In other words, it deals with “suum cuiquetribuere”, namely the justice in attributing to each his own share. In thisregard, the doctrine of contribu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ehiclesby which distributive justice in tort law can be achieved. Against this backdrop, I have addressed various aspects of the U.S. tortdoctrines regarding contribution. Traditionally, the U.S. tort law imposedjoint and several liability on tortfeasors only when there was concertedaction or conspiracy among them. Contribution was not allowed amongjoint tortfeasors even when one of these tortfeasors discharged liability ofother tortfeasors. With time, the U.S. tort law has enlarged the scope ofjoint and several liability by imposing such liability where joint torts hascaused indivisible damages. No-contribution rule was still deemedapplicable for such joint torts. However, as comparative negligence thatreflects the idea of apportionment of liability became dominant overcontributory negligence, no-contribution rule has been modified. Nowadays,a joint tortfeasor is widely entitled to seek contribution. Yet, many statesstill deny the right to contribution in case of intentional torts. As the right to contribution was made largely available, the standard ofdetermining the scope of contribution has become even more important. The Restatement (Third) of Torts on Apportionment of Liability, in itsArticle 8, enumerates factors for assigning percentages of liability amongtortfeasors, such as the nature of the person’s risk-creating conduct and the strength of the causal connection between the person’s risk-creatingconduct and the harm. The diachronic change of the U.S. tort doctrine may be described as ameaningful move toward more elaborate apportionment of liability. Thistrend can be witnessed in the rise of comparative negligence, abdication ofa no-contribution rule, and elaboration on the standard of liabilityapportionment. Recent changes in many states toward restriction on jointand several liability while enlarging the scope of several liability, is alsoanother sign of such trend. The above discourse on contribution is worthy of note from theperspective of Korean law. Korean tort law has acknowledged the largescope of joint and several liability with wide entitlement of contributionright. Although I take this stance as appropriate in principle, someexceptions need to be allowed when equity requires so. In seeking atheoretical grounds for such exceptions in the name of equity, the U.S. tort doctrines may be useful sources for re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아두이노를 이용한 AES와 LEA의 암복호화 속도 측정

        권영준,신형식 한국전기전자학회 201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3 No.3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result showing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times of the AES and LEAalgorithms. AES and LEA algorithms are international and Korean standards for block ciphers, respectively. Throughexperimen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LEA algorithm for light weight IoT devices. In order tomeasure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times, 256-bit and 128-bit secret keys were randomly generated for AES andLEA, respectively. Under our test environment using an Arduino microcontroller, the AES algorithm takes about 45㎳ forencryption and decryption processes, whereas the LEA algorithm takes about 4㎳. Even though processing times of eachalgorithm may vary much under different implementation and test environments, this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LEA algorithm can be applied to many light weight IoT devices for security goals. 본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 블록 암호 AES와 국산 표준 경량 블록 암호인 LEA의 암복호화 속도를 비교 실험한 결과를 소개하고, LEA의 사물인터넷 기기 통신에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두 암호 알고리즘의 속도 측정을 위하여, AES의 경우는256비트의 무작위 생성 비밀키를, LEA의 경우는 128비트의 무작위 생성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복호화를 수행하였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256비트 비밀키 AES 알고리즘의 경우 암복호화에 약 45㎳가 소모되었고, LEA의 경우 128비트 비밀키에 대하여 암복호화에 약 4㎳가 소모되었다. 알고리즘 구현 방식과 실험 환경에 따라 속도 차이는 매우 다양할수 있으나,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LEA 알고리즘은 경량 에너지 환경을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의 보안 알고리즘으로서충분히 고려해볼 만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