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혈관조영술시 3D 검사에서 frame당 선량 변화에 따른 선량 및 화질에 관한 연구

        김영은,최준호,황선문,김태일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1

        목적 : 뇌혈관조영술 시 검사에서 당 선량의 변화에 3D frame 따른 선량 및 화질평가를 통해 환자의 피폭선량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Frame당 선량변화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phantom실험에서는 본원 3D 검사에서 주로 쓰이는 5s DR, 5s DSAprotocol의 frame당 선량인0.36μGy에서 0.24, 0.20, 0.17, 0.14, 0.12, 0.10μGy로 줄여서 촬영하고 각각 protocol별 DAP와 Air-kerma의 감소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선량 차이 분석을 위하여 촬영 protocol은 0.36μGy, 0.24μGy, 0.17μGy으로 선택하고 각각의 선량을 비교하였고, 저선량 protocol로 각각 3D 촬영한 후 Fusion을 한 검사와 기존 5s DSA 검사의 선량 차이 비교 분석하였다. 화질 평가에서는 phantom 실험에서 얻은 영상을 바탕으로 대조대잡음비(Contrast-to-Noise Ratio; CNR)와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를 이용하여 화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정성적인 평가를 위해서 영상의학과 전문의 3명이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 한 환자에서 각각 protocol을 다르게 촬영한 두개의 영상을 A, B로 구분하고 혈관 margin의 명확도, 미세혈관들의 구분가능 정도를 비교하여 3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 Frame당 선량변화에 따른 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phantom실험에서는 frame당 선량이 낮을수록 DAP 값과 Air-kerma값이 균일하게 감소하였고, 환자 대상으로는 특히 frame당 0.36μGy와 0.17μGy로 각각 촬영하였을 경우 선량 감소율이 약 40%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정성적 평가에서는 대부분 우수(3점), 보통(2점)이 많았고, 0.36과 0.17 protocol에서 가장 큰 점수 차이를 보였다. 정량적 평가에서는 0.36μGy로 촬영한 영상의 값이 높게 나왔고, 0.10μGy로 촬영한 검사에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 : 3D 검사 시 화질의 용인 가능한 범위에서장비 자체에 설정되어있는 값들을 변경하여 각 병원에 맞게 최적화 시키고, 방사선 관계 종사자들 또한 선량을 줄이고자 하는 인식을 높이는 것이 방사선을 가장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Musculoskeletal problems affect quality of life in Parkinson’s disease

        김영은,김한준,윤지영,이웅우,양희준,김종민,전범석 대한파킨슨병및이상운동질환학회 2018 Journal Of Movement Disorders Vol.11 No.3

        Objective Musculoskeletal problems are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than in normal elderly, but the impact of musculoskeletal problem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patients with PD is unknown. Methods Four hundred consecutive patients with PD were enrolled for the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problems and HRQoL. HRQoL was assessed by the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hich comprised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Results Of the total patients, 265 patients had musculoskeletal problems, and 135 patients did not have musculoskeletal problems.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roblems reported lower levels of HRQoL in terms of physical health than did patients without musculoskeletal problems (p < 0.05). In women, all components of physical health were lower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roblems than in patients without musculoskeletal problems (p < 0.05). Meanwhile, in men, only the bodily pain score of physical health was lower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roblems than in patients without musculoskeletal problems.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I & II scores, and pain severity from musculoskeletal problems, in that order (p < 0.01 for al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culoskeletal problems in patients with PD affect HRQoL significantly, mainly in terms of physical health rather than mental health and especially in women rather than men. Musculoskeletal problems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care of patients with PD.

      • KCI등재후보

        진로검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김영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진로검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검사에 대한 인식, 활용현황 및 문제점을 설문조사하였으며 기술통계, t검정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검사의 경험이 있는 학생이 87.8%로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적성검사, 진로발달검사, 직업흥미검사의 순으로 많이 받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검사에 대한 느낌은 보통보다 낮게 나타나 어려운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진로검사 실시 시 설명의 도움정도는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6학년 보다는 5학년,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진로검사의 활용은 혼자서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부모와의 상담, 친구들 간 정보교류, 교사와의 상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검사의 중요성과 진로선택 등에 있어서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는 모두 보통 이상 수준으로 응답하였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도움이 된다는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섯째, 진로검사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문항내용이 더 쉽게 구성되어야 하고, 검사의 해석이 자세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진로검사 활용별 진로발달의 차이검정 결과 부모, 교사, 형제자매와의 상담, 친구들 간의 정보교류를 통해 활용한 학생들의 진로발달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areer assessments and its problems, and provide recommendations accordingly.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surveyed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on the perceptions, use and problems of career assessments, and analyzed the data descriptively and by using t-test. The main argum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87.8% of the students had taken career assessments before with the most frequent tests being career aptitude tests, career development tests, and vocational interest tests. Second, perceptions on career assessments were lower than average indicating that students found the tests to be difficul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or grades. Third, help received through explanations during the tests were perceived to be higher than average, with fifth graders and female students receiving more help when compared against sixth graders and male students respectively. Fourth, career assessments were used most frequently by the students themselves, followed by to counsel with parent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friends, and consult with teachers. Fifth, the importance of career assessments an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on how useful it was in their career decision were above average, an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found it more useful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ixth, students responded that the questionnaire should be more easily structured, and the interpretations of the assessment more detailed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assessments. Seventh,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based on how the assessments were used, students who had consulted with parents, teachers, siblings and among friends were foun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직업인식,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

        김영은,정철영,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now about occupation, and to identify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and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Gottfredson's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career guida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opulation of his study was school-age childre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240 students(12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20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rawn form th population by third stage(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6 grade), forth stage(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Gottfredson's developmental stage. 221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percep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er than occupational perceptions of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middle school students grew narrower than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er than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직업에 대해 얼마만큼 아는지 직업의 인식수준을 구명하고 또한 Gottfredson의 직업포부 이론에 따라 이들의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를 구명하고 이와 관련있는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모집단은 학령기의 다문화 가정 자녀와 비교집단인 비 다문화 가정 자녀로 설정하였다. 표집은 Gottfredson의 발달단계에 따라 3단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4∼6학년), 4단계 중학생을 대상으로, 총 240명을 표집하여 분석에 총 22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직업인식은 비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비해 낮았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이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대안영역은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의 경우에 진로대안영역이 좁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직업포부 지위수준이 비 다문화 가정 자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들의 천국, 제기동을 통해서 본 노인 여가공간의 융합적 특성 연구

        김영은,김세훈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노인들의 일상여가활동과 이동성이 증대됨에 따라 노인 여가 공간이 자생적으로 생겨나는 사회현상에 주목하여 도시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여가 공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제기동을 중심으로 어떠한 노인들이 도시공간을 선택하고 이용하고 있는지, 또 어떠한 도시공간의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설문 조사, 인터뷰 등을 통해 도시공간 특성을 물리적, 인문사회학적, 경제적 세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기동은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이자 노인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둘째, 제기동은 익숙함을 탈피하고 새로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도시공간이다. 셋째, 제기동은 노인들의 소득수준에 최적화된 도시공간으로 노인들이 일상 여가를 위해 소비가 가능한 공간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의 여가 장소 및 노인 친화적 도시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초고령 사회에 맞추어 실질적으로 노인들이 원하는 도시공간을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an assess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focusing on the growth of leisure space for the elderly who have increased mobility and leisure time in an ageing society.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the types of leisure space that are used by the elderly in an urban area. The assessment was made from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perspectives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on the elderly visitors in Jegi-dong, a sub-district of Dongdaemun-gu in Seoul Metropolitan City with high numbers of elderly foot traffic on a daily basis. There are three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as results. First, Jegi-dong is a space that fulfills the desires of the elderly and provides various options for elderly’s leisure. Second, Jegi-dong is a new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xperiences. Third, Jegi-dong is an urban space that is optimized to meet leisure demands of the elderly under restrained budget. The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basis that can be used by decision-makers prior to developing and planning urban spaces in an ageing society.

      • KCI등재

        Comparison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queous MEA, DEA, TEA, and AMP Solutions

        김영은,임진아,정순관,윤여일,Shin Tae Bae,남성찬 대한화학회 201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4 No.3

        The separation and capture process of carbon dioxide from power plants is garnering interest as a method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is study, aqueous alkanolamine solutions were studied as absorbents for CO2 capture. The solubility of CO2 in aqueous alkanolamine solutions was investigated with a continuous stirred reactor at 313, 333 and 353 K. Also, the heat of absorption (−ΔHabs) between the absorbent and CO2 molecules was measured with a differential reaction calorimeter (DRC) at 298 K. The solubility and heat of absorption were determined at slightly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 enthalpies of CO2 absorption in monoethanolamine (MEA), diethanolamine (DEA), triethanolamine (TEA), and 2-amino-2-methyl-1-propanol (AMP) were 88.91, 70.44, 44.72, and 63.95, respectively. This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heat of absorp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antity of heat for absorbent regeneration, and is dependent on amine type and CO2 lo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