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 노인의 건강실태와 의료서비스욕구에 관한 연구

        김숙자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농촌 노인의 건강 실태와 의료서비스욕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농 촌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대상은 호남의 전형적인 농촌 인 정읍 시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삼았다. 조사결과를 요약ㆍ정리하고, 우리나라 농촌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제 도에 시사하는 바와 그 정책적 의미를 분석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상태이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노인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시력, 청력, 통증ㆍ불편감 등 기초적인 건강상태 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병 유병률도 매우 높았다. 둘째, 건강관리이다. 건강의 관심도와 건강관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건강관리 방법은 대부분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보약을 먹거나 걷기와 같 은 간단한 운동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후건강관리 에 관한 지식 보유율은 매우 낮았다. 예방접종율은 대단히 높았으나, 정기적인 건강검진율은 매우 낮았다. 병원 조력자나 간병인은 직계가족이 주류를 이루 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변의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노인도 일 정 정도 있었다. 감기 등 단기적인 질병에 걸렸을 경우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보건소를 방문해서 해결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공공보건의료기관 이용율 도 대단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료복지서비스이다.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인지도와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희망하는 노인의료복지서비스는 장기요양보험, 노인무료건강검진제도, 노인전문병원, 노인요양시설 등 주로 노인의 수발(케어)과 관련된 서비스가 많 았다. 노인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차분석 결과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것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분석 결과 중 정책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건강보험 종류별 차이점인데, 건강보험 종류가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잘 보여주는 변수란 점을 감안 할 때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예를 들어 직장건강보험 대상 노인이 의료급여 대상 노인보다, 즉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신 의 건강에 대해 자신하는 비율이 높았고,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 높았으며, 최우선으로 원하는 노인의료복지제도에서도 의료급여 대상 노인은 의료급여의 확대를 가장 많이 원하고 있고, 직장 건강보험 대상 노인은 노인전문병원 지 역 내 설치를 가장 많이 희망하고 있으며, 지역 건강보험 대상 노인은 의료급 여 확대와 노인전문병원 지역 내 설치 양쪽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별로 희망하는 노인의료복지제도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사결과가 우리나라 농촌 노인 보건의료서비스정책에 시사하는 바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노인의 주관적ㆍ객관적 건강상태 모두 양호하지 않고, 건강관리방법 역시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병률 도 대단히 높고, 고혈압, 관절염 등 만성적ㆍ기능적 질병을 많이 갖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농촌 노인의 보건의료 욕구가 대단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농촌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를 확대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후건강관리에 관한 지식 보유율이 대단히 낮았고, 정기적인 건강검 진율도 매우 낮았다. 병원 조력자나 간병인은 배우자나 자녀 등 직계가족이 대부분이고, 도와줄 사람이 아예 없다는 노인도 일정 비율 있었다. 이러한 사 실들은 농촌 노인의 건강에 관한 지식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 기적인 건강검진 수검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간병인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셋째, 농촌 노인의 공공보건의료기관 이용율이 대단히 높았다. 이는 농촌 노 인이 질병이 발생할 시 주로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농촌 노인을 위한 공공보건의료기관에 대한 정부지 원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은 반면에 노인재가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대상 자인 노인이 노인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노인재가복 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가 높은 만큼 앞으로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더욱 개선하여 농촌 노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노인복지프 로그램으로 자리 잡도록 정부는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Social welfare academy says that need is different from want. While want means emotional situation that something needed is lack, need means objective conditions that something needed and are evaluated by professionals, such as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professors, economists and etc. For measuring need, the criteria must first be established and the categories in terms of which needs should be estimated or measured are by no means self-evident. Recently measuring health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is becoming important in Korean society. The major reason is rise of the aged society and unprecedentedly high speed of ageing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survey health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in rural areas which have already become the aged society. For the purpose, 136 old aged living in rural areas of Jongeup City were sampled and interviewed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health conditions and medical needs for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health needs and current living conditions of the aged,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45 items.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requency, X² and t-test.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health conditions and medical needs of the aged in rural area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conditions of the aged living in rural areas are weak and poor. Most of them have chronic deceases and high rates of sickness. Second, they have poor knowledge about health conditions, and only a few aged persons are regularly checking their health conditions. Third, they heavily depend on the public health institutions such as public health clinics and local branches of public health clinics. Fourth, they don't know about social welfare systems for the aged well, but know about in-home service programs for the aged and are satisfied about them.

      • 中國 佛敎의 孝 思想에 관한 硏究 : 性理學 이전까지

        김숙자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교가 중국에 전래해 올 무렵 중국은 이미 유교가 국교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둘 간의 충돌이 예견되는 상황이었다. 불교의 전래가 본격화 되면서 유교와 불교 간의 충돌은 점점 더 치열해지고 전면적으로 확대되어 나갔다. 유교와 불교 간의 충돌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인 것은 효의 문제였다. 그것은 효가 유교의 가장 핵심적 윤리였고, 또한 효의 문제가 유교와 불교 간 가장 큰 차별점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교는 중국에 정착하기 위해 어떻게든 효의 문제를 직시해야 했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만 했다. 유교는 승려들이 출가하여 부모와 처자를 버리고서 경제적 봉양을 하지 않고 후손을 잇지 않으며, 부모에게 물려받은 신체를 훼손하는 것 등을 크게 문제 삼으면서 불교를 불효라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중국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의 효행을 들춰내고, 효와 관련된 인도의 원시 경전을 번역하였으며, 불효론에 맞서고 불교의 효행론을 주장하는 론(論)과 소(疏)들을 짓고, 위경(僞經)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이것은 중국 불교에서만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적 현상들이었다. 위경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이 있다. 그런데 그것이 비록 중국에서 ‘거짓으로 만들어진’ 위경이기는 하지만 중국 불교의 효사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상의 효 관련 불교 문헌 속에 나타난 중국 불교 효사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는 부모와 자식 간의 혈연적 관계를 바탕으로 행해지는 윤리인데, 불교에서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인연설(因緣說)이라는 큰 틀에서 보되 특수한 인연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 특수한 인연에서 부모의 은혜가 너무나도 큼을 강조함으로써 그에 대한 보은으로서 자식의 효를 말하고 있다. 둘째, 불교에서는 출가를 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봉양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유교측에서는 출가불효론(出家不孝論)을 제기하여 불교의 출가를 비판하였다. 중국 불교는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맞서면서 오히려 출가대효론(出家大孝論)을 제기함으로써 이를 반박하였다. 부모를 경제적으로 봉양하는 것은 작은 효일뿐이고, 출가하여 부모를 깨우치고 선으로 이끌어 극락왕생하도록 돕는 것이야말로 큰 효라는 것이다. 셋째, 불교에서는 이승에서 저승으로 넘어가기까지 49일의 시간이 걸린다고 보는 까닭에 그 전과 후에 부모의 영가에 대한 재를 올리는 것이 바로 효에 해당된다고 말한다. 부모가 죽은 뒤 저승으로 가기 전 49일 동안 자식이 정성으로 재를 올리게 되면 부모의 죄업이 씻어져 극락왕생의 길이 열리며, 저승으로 간 뒤에도 재를 올리면 지옥에 가있던 부모가 극락으로 갈 수 있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중국 불교의 효사상은 부모와 자식이라는 혈연적으로 특수한 관계를 기초로 하면서도 이를 모든 중생에까지 확장하고 있으며, 불교의 인연설이나 자비사상, 인과응보사상, 정토사상 등과 깊이 연관되어 전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When the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the Confucianism had already occupied as national religion position so conflict had been expected. As the Buddhism was introduced in earnest, the conflic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began to get intense and be extended. The most important point in conflic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was the filial duty. Because the concept of filial duty was core ethics in Confucianism and the problem of filial duty w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But Buddhist had to deal with filial duty problem properly to come to stay in China. Confucianists criticized Buddhists are disobedient because Buddhistic priests leave home life and desert parents, wives and children and do not support parents and do not carry on family lines and hurt their bodies inherited from their parents. So Buddhists tried to find out filial conducts of Shakyamuni and translated Indian primitive scriptures related with filial duty and wrote essays and false scriptures related with filial duty. This is very important feature Chinese Buddhism has. Bumoeunjungkyung is a representative false scripture but it is very important material to understand Chinese filial duty. Followings are the features of filial duty of Chinese Buddhism that was mentioned in Buddhism documents. First, Buddhism regard filial duty, that is ethnics based on bl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s a special relationship called karma. In this relationship, they emphasize that parental love is deep and they have to repay their kindness. Second, When a monk enter the priesthood, he can not provide for his parents in Buddhism. So Confucianists criticized entering the priesthood and insisted Buddhists are disobedient. But Chinese Buddhists refuted that insistence and, on the contrary, insisted that entering the priesthood can be great filial duty. They explained that economical supporting their parents is a small filial duty and entering the priesthood is a great filial duty because they can help parents achieve spiritual enlightenment and go to the paradise of Buddhism called Sukhavati. Third, they insisted that performing an ancestral sacrifice for parents can be a great filial duty because they believed that it takes 49 days to move from this world to the other world. They insisted that performing an ancestral sacrifice for parents for 49 days help their parents clean their sins and move to the paradise of Buddhism called Sukhavati even though their parents has been in hell. Therefore, we can notice that the filial duty of Chinese Buddhism was based on parental blood relationship and was extended to all sentient being and was developed doctrine related with karma doxy, mercy doxy, the law of rewards in accordance with deeds and Sukhavati doxy.

      • 경로당 노인들에게 적용한 타이치 운동의 효과

        김숙자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산업화에 따른 경제성장과 더불어 의약의 발달과 보건위생의 향상으로 사망률이 감소하고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된 반면, 핵가족에 따른 사회구조적 변화로 출생률은 감소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1960년대 52.4세에서 2001년에 75.6세로 증가하였으며 2020년에 80.7세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강수명은 2001년 현재 64.3세로 평균수명과는 10년의 차이가 있다. 최근 정부에서는 신 국민건강증진 계획을 통해 2010년까지 건강수명 72세를 목표로 국민건강증진정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통계청2005). 또한 경제발전이 시작된 60년대 이래 노인인구의 비율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전체인구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60년대 2.9%에 불과하던 것이 2000년대에는 7.2%로 증가하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을 추정해 볼 때 2019년에는 20.0%로 고령사회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고령화와 질병의 양상이 만성퇴행성질환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 70% 이상이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만성질환의 계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완치시킬 수 없으므로 노인들은 스스로 질병 상태를 조절하면서 사회에 적응해 나갈 수 있는 자가 관리 능력을 키워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최근 타이치 운동은 노인들에게 신체기능(유연성, 평형성, 복근력)을 강화하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운동 중재로 보고 있다. 보건의료 측면에서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 증진 시켜 줄 수 있는 포괄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로당 노인에게 적용한 타이치 운동을 이용 하여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생활양식을 변화시키고 일상생활에 기능적인 독립성을 영위하여 건강증진과 만족스러운 삶을 유지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여 간호 프로그램을 개발 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3월 21일에서 2007년 5월 21일까지 8주간 이었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288곳 경로당 중 S구 에 72개 중(실험군 60명과 대조군65명) 각각 경로당 3곳의 경로당 노인 125명 이었다. 자기보고형 자기효능감과 통증에 관한 설문지와 신체기능(유연성, 평형성, 복근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각각 76.5세와 78.6세였고, 남녀구성비는 실험군의경우 대조군보다 여성이 많았고, 양 집단 모두 신체적 특성의 차이는 없었다. 비만은 실험군과 대조군 공히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2배 이상 많았다. 1) 제1 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69, p=.000). 2) 제2 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신체기능이 향상 될 것이다” 제1부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유연성이 증가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오른손(t=-4.302, p=.000), 왼손(t=-3.081, p=.003). 제2부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평형성이 증가 될 것이다”는 오른발에서는 지지 되었고(t=.745, p=.000), 왼발에서는 기각되었다(t=1.587, p=.115). 제3부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복근력이 증가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41, p=.000). 3) 제3 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통증이 감소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3.06, p=.003). 본 연구결과 타이치 운동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자기효능감과 신체기능 중 유연성, 평형성과 복근력 및 통증의 정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타이치 운동 프로그램은 경로당 노인에게 자기효능감 향상과 신체기능향상 및 통증감소에 효과적인 간호 중재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ai Chi exercise program in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25 people who were using the hall for the aged (gyeongnodang) facility located in Seongnam-si, Gyeonggi-do. A selfreport type survey was carried out between March 21 and May 21 in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 average ag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76.5 and 78.6, respectively, and regarding gender distribution ratio,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women than the control group, while there were no specific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obesity, in both groups, there were twice more people identified as being obese than those identified as not.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was supported(t=4.69, p=.000).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more enhanced physical function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e first sub-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greater increase in flexi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was supported (right hand:t=-4.302, left hand:t=-3.081, p=.003). The second sub-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greater sense of equilibrium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was supported for the right foot(t=.745, p=.000), but rejected for the left foot(t=1.587, p=.115). The third sub-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stronger abdominal muscl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was supported(t=4.41, .000). 3) As for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greater decrease in pai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was supported(t=-3.06, p=.003). In conclusion, Tai Chi exercis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Accordingly, Tai Chi exercise program is believed to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enhancing self-efficacy, decreasing pain, and enhancing physical functions for the elderly of the hall for the aged. This paper proposes that Tai Chi exercise program be carried out for the elderly who do not get enough exercise.

      • 日本語人格代名詞의 待遇表現

        김숙자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sonal pronouns in terms of hornorifics in modern Japanese. Personal pronoouns in other Indo-eruopean languages are rather simple compare to those of Korean and Japanese. Personal pronouns such as "watakushi", "watashi", "boku", "ore" show a rather rich varieties in vocabulary as well as in its systems, and they don't make any inflections. In this thesis the writer attempts to review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ronouns and honorific structure of their meanings. Not only having demonstrative functions, but also they indicate speaker's judgement of honorific level towards his hearer. In this term Korean personal pronoun and that of Japanese are in common. Some of the significant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personal pronoun "watashi" is standard form in mordern Japanese. It can be used among male and female in common. However we find a strong tendency of using among female speakers generally. When a male speaker chooses "watashi" we may assume that the speaker talks or writes either to his elderly person or to his fellow. He usually does'nt choose it for indicating himself to his junior hearer. For instance, parents never call themselves as "watashi" in front of their children, they rather use the kinship terminologies such as "otoosang" or "okaasang" instead of "watashi". Again, an elderly person or a senior may call oneself as "sense" etc. (2) The second personal pronoun "anata" seldom appears in Japanese sentences or in conversation. They prefer to abbreviate "anata". When they try to express honor to their speaker, they either abbreviate subject or they substitute for terminologies of social positions like "syachoo", "kachoo", "sensee".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Indo-europen languages. "Anata" may be said different from "you", and I may say this as "selectional restrictions of personal pronouns". (3) The third personal pronoun "kare", and "kanojo" are not used for indicating elderly person. For the third person whom one, knows by name or by certain social position, the speaker prefers to call by name or by social position. (4) Korean and Japanese show similarities in the sense that personal pronouns change in accordance with speech level. (5) "watashi", "atashi" and "anata" are mainly used by female speakers. "boku", "washi", "ore", and "omae" are used by male speaker. So Korean learners of Japanese better be careful when they study, that the subject indicates female, then sentence ending has to be harmonized with it. (6) When the system of "ko, so, a, do" is diverted to indicate personal pronoun, it means that speaker expresses his intention of honorifics to his hearer. This way of using demonstrative pronoun for indicating person, has been developed since early stage of middle Japanese. When "kore" is used for person, it means that the subject of indication belongs to his inner circle such as one of his family member. By choosing demonstrative pronoun "ko, so, a, do", one may express his intention of modesty. But "are", "ano hito", "achira" may not be used for indicating elderly person. They usually indicate husband or fiance or his own children. As is generally know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re quite similar in various syntactic structure. And here again, I would like to emphasize personal pronoun is a typical one.

      •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최종사고의 조절효과

        김숙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반추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최종사고(final thought)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최종사고는 반추 후 내리는 결론을 의미하며 그 내용에 따라 건설적 결론, 중성적 결론, 파괴적 결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 I 에서, 최종사고척도(Final Thought Questionnaire)를 개발하기 위해 45개 예비문항을 247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건설적 결론 7문항, 중성적 결론 5문항, 파괴적 결론 7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다른 표집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척도의 3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TQ는 좋은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II 에서는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최종사고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8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최종사고척도와 목표지향성 척도,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BDI, BAI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설적 결론과 파괴적 결론이 반추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중성적 결론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목표지향성은 최종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성장추구지향성이 확인추구지향성보다 최종사고의 각 유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the final thought on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The final thought means conclusion after rumination and consists of constructive conclusion, neutral conclusion, destructive conclusion. In Study I, total 45 item of preparato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o develop Final Thought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items were selected-7 constructive conclusion, 5 neutral conclusion, 7 destructive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nother sample, it was fitted into three-factor model. It was found that FTQ ha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In Study II,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final thought on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31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FTQ, GOI, RRS, BDI, BAI.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constructive conclusion and destructive conclusion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but neutral conclusion does no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oal orientation predict final thought. Especially, growth-seeking orientation have an effect on final thought rather than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Finally, all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conducted were consolidated and their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길리건의 '배려'관점에서 본 모녀의 '자기희생' 경험과 소통에 대한 연구

        김숙자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of a mother and daughter's self-sacrifices and how to transfer and resist the experiences between mother and daughter.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 for the 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For this study, I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pairs of mothers and daughters who ranged in age from 20s to 60s. As the result of interviewing them, mothers' life was not for themselves.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to think what to do for themselves were luxurious things for mothers who were required to exist only for their families. Mothers never had the reins and autonomous rights which can decide their life and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choice. Such life of self-sacrifice isolates a female into an island within society. It is more distorted relationship by preventing her from having opportunity to express her negative and aggressive emotion normally. Daughters want to live a valuable life unlike their mothers' self-sacrificing life. A mother doesn't cognize a spiritual value by herself, living in the society that doesn't respect woman's quality. A daughter also doesn't realize that her adaptability, endurance and affinity come from her mother and always overlook her mother is also the human being that has a desire and want of achievement and recognition. It encourages a daughter to have mother phobia about who is not to be the perfect woman because the daughter fills her up with the perfect mother image. At the same time, the daughter constantly suffers from a guilty conscious about that she cannot to be the such a perfect mother. Through this study, I confirmed that nobody could take care of another person without caring for himself. To force the sacrifice of one side is finally to aggravate aggression and violence. It means that the patriarchal system which enforces the self-sacrificing life to women perverts the relations of women and between woman and man. Therefore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 can be found in the change of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We can check the small change arising from the self-awakening in this study but the social change is more urgent thing because individual consciousness is prescribed by social condition. There are some resolution following results of the study. First, our society have to reevaluate the female's merits of care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ethic of care that woman takes full charge shares with man. Care and justice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should be a complement to each other. Our society should provide opportunity of self-realization and economic power that strengthen female's negotiation skill to woman. Second, we should prepare the various opportunity that we can train new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from childhood so that we can change distorted and negative communication way into healthy one. Third, we also provide the change that women have the great value of themselves and much self-respect. And then a mother and daughter have the relation that they can heal each other in their good connection. In conclusion, it is time that the whole family and nation find a lost dream of woman and take care to recover woman's self who loses needs. Also, woman realizes that self-care is both right and responsibility and thinks what she should do for herself. When warm love spreads out in order to cure each other for recovering lost existence of woman herself, we can find the hope of mutual understanding. 본 연구는 모녀의 자기희생 경험과 그 경험이 어떻게 모녀간에 전이되고 저항되는지를 살펴보고 변화와 소통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대에서 60대에 속하는 5쌍의 모녀를 심층인터뷰 했다. 모녀의 경험을 살펴 본 결과, 어머니들의 삶은 ‘내가 없는 삶’이었다. 오직 가족을 위해서만 존재하기를 요구받았던 어머니들에게 자신을 생각하고 자신을 위해 무엇을 할까를 생각한다는 것은 사치스러운 것이었다. 어머니들은 스스로 자신의 인생에 통제권을 가져 본 적이 없었고, 자신의 삶에 대해 선택하고 그 선택에 책임질 수 있는 자율권을 가져 본 적이 없었다. 이런 자기희생적 삶은 여성을 사회 속의 섬으로 고립시키고, 어머니들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공격성이 건강하게 표현되거나 주장될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함으로써, 더욱 관계를 왜곡시킨다. 어머니의 자기희생을 보면서 자라는 딸들은 어머니와는 다른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싶어 한다. 어머니 스스로가 자신 속에 있는 귀중한 자질을 존중받지 못하는 세상에서 스스로 가치감을 인식하지 못했듯이, 딸 역시 자신의 적응력, 강인한 끈기와 친화력이 어머니로부터 왔음을 깨닫지 못하였고 어머니가 자신과 같은 욕망과 성취욕과 인정의 욕구를 가진 인간이었다는 사실을 쉽게 간과한다. 왜냐하면 완벽한 어머니에 대한 이상화가 딸들 속에 도사리며, 그렇지 못한 어머니에 대해서는 어머니 포비아를 갖도록 끊임없이 부추기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자신도 어느새 그런 어머니로서의 모습에 끊임없이 자책하고 죄책감을 가진다. 연구결과 어느 누구도 자신을 진정으로 보살피지 못하면서 타인을 보살필 수가 없으며, 어느 일방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결국은 공격성을 조장하고 폭력을 야기하는 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여성에게 ‘자기희생’을 강요하는 가부장적 사회가 여성과 여성의 관계, 여성과 남성의 관계 모두를 왜곡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변화의 실마리는 가부장적 사회의 변화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개인의 자각을 바탕으로 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개인의 의식은 사회적 조건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사회의 변화가 더 시급히 요구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몇 가지를 제안하면 먼저, 어머니들의 자기희생적 돌봄의 가치를 재평가해야 한다. 여성에게만 전담되었던 돌봄의 윤리가 남성들에게도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양육자와 노동자의 개념을 연결시켜서 여성들에게도 역할에서의 협상력이 유지될 수 있는 정치경제적 능력과 자기실현의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둘째, 관계를 왜곡하는 이중메시지의 의사소통방식을 건강한 의사소통 방식으로 전환 될 수 있도록 어린 시절부터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을 훈련하고,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감정들이, 건강한 에너지로 전환 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건강한 자기표현/역할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여성들에게 자신에 대한 가치감과 자존감을 가질 수 있는 자기치유의 장을 만들 기회가 제공되어 관계를 위해 관계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서로의 치유를 위해 함께 새롭게 관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가족과 국가가 여성을 위해 그들의 잃어버린 꿈을 찾고 욕구와 필요, 상실된 여성들의 자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때이다. 그리고 여성들 스스로는 자기배려가 권리이며 책임임을 자각하고 자기배려를 위해 무엇을 해야할 것인지를 돌아보아야 한다. 잊어버린 여성 자신의 존재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 서로를 치유할 수 있는 온화한 사랑이 전개될 때 소통의 희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