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 노인의 건강실태와 의료서비스욕구에 관한 연구

        김숙자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농촌 노인의 건강 실태와 의료서비스욕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농 촌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대상은 호남의 전형적인 농촌 인 정읍 시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삼았다. 조사결과를 요약ㆍ정리하고, 우리나라 농촌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제 도에 시사하는 바와 그 정책적 의미를 분석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상태이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노인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시력, 청력, 통증ㆍ불편감 등 기초적인 건강상태 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병 유병률도 매우 높았다. 둘째, 건강관리이다. 건강의 관심도와 건강관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건강관리 방법은 대부분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보약을 먹거나 걷기와 같 은 간단한 운동으로 건강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후건강관리 에 관한 지식 보유율은 매우 낮았다. 예방접종율은 대단히 높았으나, 정기적인 건강검진율은 매우 낮았다. 병원 조력자나 간병인은 직계가족이 주류를 이루 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변의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노인도 일 정 정도 있었다. 감기 등 단기적인 질병에 걸렸을 경우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보건소를 방문해서 해결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공공보건의료기관 이용율 도 대단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료복지서비스이다.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인지도와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희망하는 노인의료복지서비스는 장기요양보험, 노인무료건강검진제도, 노인전문병원, 노인요양시설 등 주로 노인의 수발(케어)과 관련된 서비스가 많 았다. 노인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차분석 결과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것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분석 결과 중 정책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건강보험 종류별 차이점인데, 건강보험 종류가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잘 보여주는 변수란 점을 감안 할 때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예를 들어 직장건강보험 대상 노인이 의료급여 대상 노인보다, 즉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신 의 건강에 대해 자신하는 비율이 높았고,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 높았으며, 최우선으로 원하는 노인의료복지제도에서도 의료급여 대상 노인은 의료급여의 확대를 가장 많이 원하고 있고, 직장 건강보험 대상 노인은 노인전문병원 지 역 내 설치를 가장 많이 희망하고 있으며, 지역 건강보험 대상 노인은 의료급 여 확대와 노인전문병원 지역 내 설치 양쪽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별로 희망하는 노인의료복지제도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사결과가 우리나라 농촌 노인 보건의료서비스정책에 시사하는 바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노인의 주관적ㆍ객관적 건강상태 모두 양호하지 않고, 건강관리방법 역시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병률 도 대단히 높고, 고혈압, 관절염 등 만성적ㆍ기능적 질병을 많이 갖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농촌 노인의 보건의료 욕구가 대단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농촌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서비스를 확대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후건강관리에 관한 지식 보유율이 대단히 낮았고, 정기적인 건강검 진율도 매우 낮았다. 병원 조력자나 간병인은 배우자나 자녀 등 직계가족이 대부분이고, 도와줄 사람이 아예 없다는 노인도 일정 비율 있었다. 이러한 사 실들은 농촌 노인의 건강에 관한 지식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정 기적인 건강검진 수검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간병인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셋째, 농촌 노인의 공공보건의료기관 이용율이 대단히 높았다. 이는 농촌 노 인이 질병이 발생할 시 주로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농촌 노인을 위한 공공보건의료기관에 대한 정부지 원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의료복지서비스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은 반면에 노인재가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대상 자인 노인이 노인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노인재가복 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가 높은 만큼 앞으로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더욱 개선하여 농촌 노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노인복지프 로그램으로 자리 잡도록 정부는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Social welfare academy says that need is different from want. While want means emotional situation that something needed is lack, need means objective conditions that something needed and are evaluated by professionals, such as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professors, economists and etc. For measuring need, the criteria must first be established and the categories in terms of which needs should be estimated or measured are by no means self-evident. Recently measuring health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is becoming important in Korean society. The major reason is rise of the aged society and unprecedentedly high speed of ageing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survey health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the aged in rural areas which have already become the aged society. For the purpose, 136 old aged living in rural areas of Jongeup City were sampled and interviewed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health conditions and medical needs for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health needs and current living conditions of the aged,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45 items.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frequency, X² and t-test.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health conditions and medical needs of the aged in rural area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conditions of the aged living in rural areas are weak and poor. Most of them have chronic deceases and high rates of sickness. Second, they have poor knowledge about health conditions, and only a few aged persons are regularly checking their health conditions. Third, they heavily depend on the public health institutions such as public health clinics and local branches of public health clinics. Fourth, they don't know about social welfare systems for the aged well, but know about in-home service programs for the aged and are satisfied about them.

      •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성 변화

        김숙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초등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인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생들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전인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성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여 자료 수집, 분석, 해석, 과정을 거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H군 소재 C초등학교 3학년 1개 반 학급(6명)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 하였다. 프로젝트 학습 활동 중에 기록한 교사 일지, 학부모 상담 일지, 참여관찰, 면담, 포토폴리오, 학생 일기, 편지, 설문지 등의 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성 변화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긍정적 자아개념이 증진되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타인존중 의식이 증진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공동체 의식이 증진되었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학습 활동은 초등학교 학생의 인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project approach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its influences upon human nature of the school children. The study was intended to help the school children grow up through the approach to be whole me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ethnography. The study applies a quality study method which consisted of collect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processes by adopting a project. This study conducted from March, 2008 to October, 2008 by applying a project to 6 students in one classroom of 3rd grade of C Elementary School, H-gun. Teacher's diaries, parents' counsel diaries, participant observations, depth interviews, portfolios, students' diaries. letters, questionnaires and etc were used at the project approach to record, investigate and interpret its influences upon human natur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ory were following: First, the project approach promoted affirmative self-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 the project approach promoted the school children to respect other persons. Third, the project approach promoted the school children to be conscious the community. In conclusion, the project approach had affirmative influences upon human natur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최종사고의 조절효과

        김숙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반추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최종사고(final thought)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최종사고는 반추 후 내리는 결론을 의미하며 그 내용에 따라 건설적 결론, 중성적 결론, 파괴적 결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 I 에서, 최종사고척도(Final Thought Questionnaire)를 개발하기 위해 45개 예비문항을 247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건설적 결론 7문항, 중성적 결론 5문항, 파괴적 결론 7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다른 표집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척도의 3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TQ는 좋은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II 에서는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최종사고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8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최종사고척도와 목표지향성 척도,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BDI, BAI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설적 결론과 파괴적 결론이 반추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중성적 결론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목표지향성은 최종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성장추구지향성이 확인추구지향성보다 최종사고의 각 유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the final thought on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The final thought means conclusion after rumination and consists of constructive conclusion, neutral conclusion, destructive conclusion. In Study I, total 45 item of preparato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o develop Final Thought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items were selected-7 constructive conclusion, 5 neutral conclusion, 7 destructive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nother sample, it was fitted into three-factor model. It was found that FTQ ha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In Study II,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final thought on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31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FTQ, GOI, RRS, BDI, BAI.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constructive conclusion and destructive conclusion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rumination and depression but neutral conclusion does no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oal orientation predict final thought. Especially, growth-seeking orientation have an effect on final thought rather than validation-seeking orientation. Finally, all the results from the studies conducted were consolidated and their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길리건의 '배려'관점에서 본 모녀의 '자기희생' 경험과 소통에 대한 연구

        김숙자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of a mother and daughter's self-sacrifices and how to transfer and resist the experiences between mother and daughter.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 for the 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For this study, I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pairs of mothers and daughters who ranged in age from 20s to 60s. As the result of interviewing them, mothers' life was not for themselves.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to think what to do for themselves were luxurious things for mothers who were required to exist only for their families. Mothers never had the reins and autonomous rights which can decide their life and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choice. Such life of self-sacrifice isolates a female into an island within society. It is more distorted relationship by preventing her from having opportunity to express her negative and aggressive emotion normally. Daughters want to live a valuable life unlike their mothers' self-sacrificing life. A mother doesn't cognize a spiritual value by herself, living in the society that doesn't respect woman's quality. A daughter also doesn't realize that her adaptability, endurance and affinity come from her mother and always overlook her mother is also the human being that has a desire and want of achievement and recognition. It encourages a daughter to have mother phobia about who is not to be the perfect woman because the daughter fills her up with the perfect mother image. At the same time, the daughter constantly suffers from a guilty conscious about that she cannot to be the such a perfect mother. Through this study, I confirmed that nobody could take care of another person without caring for himself. To force the sacrifice of one side is finally to aggravate aggression and violence. It means that the patriarchal system which enforces the self-sacrificing life to women perverts the relations of women and between woman and man. Therefore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 can be found in the change of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We can check the small change arising from the self-awakening in this study but the social change is more urgent thing because individual consciousness is prescribed by social condition. There are some resolution following results of the study. First, our society have to reevaluate the female's merits of care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ethic of care that woman takes full charge shares with man. Care and justice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should be a complement to each other. Our society should provide opportunity of self-realization and economic power that strengthen female's negotiation skill to woman. Second, we should prepare the various opportunity that we can train new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from childhood so that we can change distorted and negative communication way into healthy one. Third, we also provide the change that women have the great value of themselves and much self-respect. And then a mother and daughter have the relation that they can heal each other in their good connection. In conclusion, it is time that the whole family and nation find a lost dream of woman and take care to recover woman's self who loses needs. Also, woman realizes that self-care is both right and responsibility and thinks what she should do for herself. When warm love spreads out in order to cure each other for recovering lost existence of woman herself, we can find the hope of mutual understanding. 본 연구는 모녀의 자기희생 경험과 그 경험이 어떻게 모녀간에 전이되고 저항되는지를 살펴보고 변화와 소통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대에서 60대에 속하는 5쌍의 모녀를 심층인터뷰 했다. 모녀의 경험을 살펴 본 결과, 어머니들의 삶은 ‘내가 없는 삶’이었다. 오직 가족을 위해서만 존재하기를 요구받았던 어머니들에게 자신을 생각하고 자신을 위해 무엇을 할까를 생각한다는 것은 사치스러운 것이었다. 어머니들은 스스로 자신의 인생에 통제권을 가져 본 적이 없었고, 자신의 삶에 대해 선택하고 그 선택에 책임질 수 있는 자율권을 가져 본 적이 없었다. 이런 자기희생적 삶은 여성을 사회 속의 섬으로 고립시키고, 어머니들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공격성이 건강하게 표현되거나 주장될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함으로써, 더욱 관계를 왜곡시킨다. 어머니의 자기희생을 보면서 자라는 딸들은 어머니와는 다른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싶어 한다. 어머니 스스로가 자신 속에 있는 귀중한 자질을 존중받지 못하는 세상에서 스스로 가치감을 인식하지 못했듯이, 딸 역시 자신의 적응력, 강인한 끈기와 친화력이 어머니로부터 왔음을 깨닫지 못하였고 어머니가 자신과 같은 욕망과 성취욕과 인정의 욕구를 가진 인간이었다는 사실을 쉽게 간과한다. 왜냐하면 완벽한 어머니에 대한 이상화가 딸들 속에 도사리며, 그렇지 못한 어머니에 대해서는 어머니 포비아를 갖도록 끊임없이 부추기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자신도 어느새 그런 어머니로서의 모습에 끊임없이 자책하고 죄책감을 가진다. 연구결과 어느 누구도 자신을 진정으로 보살피지 못하면서 타인을 보살필 수가 없으며, 어느 일방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결국은 공격성을 조장하고 폭력을 야기하는 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여성에게 ‘자기희생’을 강요하는 가부장적 사회가 여성과 여성의 관계, 여성과 남성의 관계 모두를 왜곡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변화의 실마리는 가부장적 사회의 변화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개인의 자각을 바탕으로 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개인의 의식은 사회적 조건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사회의 변화가 더 시급히 요구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몇 가지를 제안하면 먼저, 어머니들의 자기희생적 돌봄의 가치를 재평가해야 한다. 여성에게만 전담되었던 돌봄의 윤리가 남성들에게도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양육자와 노동자의 개념을 연결시켜서 여성들에게도 역할에서의 협상력이 유지될 수 있는 정치경제적 능력과 자기실현의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둘째, 관계를 왜곡하는 이중메시지의 의사소통방식을 건강한 의사소통 방식으로 전환 될 수 있도록 어린 시절부터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을 훈련하고,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감정들이, 건강한 에너지로 전환 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건강한 자기표현/역할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셋째, 여성들에게 자신에 대한 가치감과 자존감을 가질 수 있는 자기치유의 장을 만들 기회가 제공되어 관계를 위해 관계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서로의 치유를 위해 함께 새롭게 관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가족과 국가가 여성을 위해 그들의 잃어버린 꿈을 찾고 욕구와 필요, 상실된 여성들의 자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때이다. 그리고 여성들 스스로는 자기배려가 권리이며 책임임을 자각하고 자기배려를 위해 무엇을 해야할 것인지를 돌아보아야 한다. 잊어버린 여성 자신의 존재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 서로를 치유할 수 있는 온화한 사랑이 전개될 때 소통의 희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日本語人格代名詞의 待遇表現

        김숙자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sonal pronouns in terms of hornorifics in modern Japanese. Personal pronoouns in other Indo-eruopean languages are rather simple compare to those of Korean and Japanese. Personal pronouns such as "watakushi", "watashi", "boku", "ore" show a rather rich varieties in vocabulary as well as in its systems, and they don't make any inflections. In this thesis the writer attempts to review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ronouns and honorific structure of their meanings. Not only having demonstrative functions, but also they indicate speaker's judgement of honorific level towards his hearer. In this term Korean personal pronoun and that of Japanese are in common. Some of the significant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personal pronoun "watashi" is standard form in mordern Japanese. It can be used among male and female in common. However we find a strong tendency of using among female speakers generally. When a male speaker chooses "watashi" we may assume that the speaker talks or writes either to his elderly person or to his fellow. He usually does'nt choose it for indicating himself to his junior hearer. For instance, parents never call themselves as "watashi" in front of their children, they rather use the kinship terminologies such as "otoosang" or "okaasang" instead of "watashi". Again, an elderly person or a senior may call oneself as "sense" etc. (2) The second personal pronoun "anata" seldom appears in Japanese sentences or in conversation. They prefer to abbreviate "anata". When they try to express honor to their speaker, they either abbreviate subject or they substitute for terminologies of social positions like "syachoo", "kachoo", "sensee".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Indo-europen languages. "Anata" may be said different from "you", and I may say this as "selectional restrictions of personal pronouns". (3) The third personal pronoun "kare", and "kanojo" are not used for indicating elderly person. For the third person whom one, knows by name or by certain social position, the speaker prefers to call by name or by social position. (4) Korean and Japanese show similarities in the sense that personal pronouns change in accordance with speech level. (5) "watashi", "atashi" and "anata" are mainly used by female speakers. "boku", "washi", "ore", and "omae" are used by male speaker. So Korean learners of Japanese better be careful when they study, that the subject indicates female, then sentence ending has to be harmonized with it. (6) When the system of "ko, so, a, do" is diverted to indicate personal pronoun, it means that speaker expresses his intention of honorifics to his hearer. This way of using demonstrative pronoun for indicating person, has been developed since early stage of middle Japanese. When "kore" is used for person, it means that the subject of indication belongs to his inner circle such as one of his family member. By choosing demonstrative pronoun "ko, so, a, do", one may express his intention of modesty. But "are", "ano hito", "achira" may not be used for indicating elderly person. They usually indicate husband or fiance or his own children. As is generally know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re quite similar in various syntactic structure. And here again, I would like to emphasize personal pronoun is a typical one.

      • 유아교육기관의 홍보실태와 기관장의 홍보효과에 대한 인식

        김숙자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이 현재 어떠한 홍보전략을 가지 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장들이 가지고 있는 홍보효과에 대한 인식 이 유아교육기관의 규모, 그리고 기관장의 교육경력과 어떠한 관계 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서울시 근교 신도시에 위치한 166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관장들이다. 본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 는 선행연구와 문헌의 내용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실제 유아교육 기관을 운영하는 원장들을 개별 면접 조사한 내용과 본 연구자가 사립 어린이집을 운영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 조사법이며,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한 평 균, 표준편차, 차이검증을 위한 변량분석 및 분산분석(ANOVA)을 한 후 Duncan의 사후검증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홍보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홍보의 시기와 목적, 대상, 원아모집홍보와 이미지 홍보를 포함한 세부 영역별로 조사한 결과, 우선 원아모집을 위하여 유아교육기관 장들은 대상 학부모나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직접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이미지 홍보 활동을 인쇄매체, 방송매체, 유아교육프로그램을 통한 방법, 지역사 회를 통한 방법, 옥외홍보를 통한 방법 등의 하위영역별로 조사한 결과, 각각 교육계획안을 학부모에게 보내고, 가정통신문에 식단내 용을 자세하게 알리며, 지역유아교육기관장 모임에 자주 참석하고, 공공장소의 게시판에 포스터를 붙이는 방법들이 가장 자주 사용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장들은 평소에 유아교 육기관의 이미지고양을 위하여 주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홍보활동을 시행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규모와 기관장의 경력별로 유아교육기관의 원아모집홍보와 이미지홍보의 효과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장의 인식 을 알아본 결과, 대체로 규모가 크거나 중간 정도의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4∼5년 정도의 교육경력을 가진 유아교육기관장이 홍보의 효과에 대하여 더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원 아모집홍보의 효과에 대하여 유아교육기관장들은 취원 아동의 학부 모를 통하여 원아모집을 홍보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식 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의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홍보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다양한 매체의 선택이 필요하다. 둘째, 소규모의 유아교육기관장들은 공동으로 적극적인 홍보활동 을 펼침으로써 중규모이상의 기관으로 성장·발전할 수 있다는 사 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장들은 자녀를 둔 학부모뿐만이 아니라 유아교 육관련기관의 담당자와 지역언론기관 등을 포함하여 홍보의 대상을 더욱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PR campaigns were implement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what difference there was on superintendents recognitions to the advertising effects. 166 selected superintende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its neighboring cities were questioned by face-to-face interview.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Duncan Post 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the PR practice based on its period, purpose, and target audience, the superintendents most favorite way to collect children was a face-to-face contact wi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for example, distributing leaflets, brochure and pamphlets to them and visiting their home, rather than mailing advertising materials. In addition to this, at the result of research over the way to improve the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ir community, most preferred methods were reporting weekly or monthly plans for childrens meals and educational programs, enthusiastical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with other superintendents, and placing eye-catching posters on bulletin boards in public places like self-service laundries, bus stops, subway stations, churches, shopping centers, and social clubs. It was also found out that superintendents regarded parents as the major target audience for improving their institutions status. Second, a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into superintendents recognition to the PR effects based on their carriers as well as their institutions size, respondents in large/medium-sized institutions or with 4∼6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more interests. Superintendents viewed earning good reputations and confidence from parents whose children had ever attended in the institutions as the most efficient way to collect children. The above research results giv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superintendents should have more flexibility in selecting PR methods in order to improve their institutions status and to attract many children and their parents. Second, superintendents of small institutions should recognize that they can develope their institutions into large/medium sized ones through earnest cooperation in advertising, rather than competition. Third, in PR campaigns, superintendents need to expand their target audience including an advisory committee and local media, without mentioning parents, children and community residents.

      • 기술경영가족회사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사례

        김숙자 부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business paradigm shifts toward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industry, so-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enterprises is becoming the core capability of growth momentum for the future. Accordingly, Management of Technology (MOT) is being paid attention to construct systematical planning and operations on technological strategy, thereb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relationship in MOT-relevant domains. Due to this reason, academia manages the family membership system that enables mutual collaborations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to achieve their win-win strategy and makes customized cooperative systems to share their human and property resources systematically. Particularly, it is vital to operate the family membership system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the MOT domain because family enterprises need to endeavor the establishment of value-toward technology strategy within the framework of those cooperative systems. For such the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state-of-the art of the family membership system managed by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of Technology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also proposes vitalization strategies of this membership system so that famliy enterprises located in the east-southern area in Republic of Korea can gain MOT-oriented innovative capability.

      • James Harrington의 均衡理論 : 그의 農地法을 中心으로

        김숙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세아나 공화국(The Commonwealth of Oceana)을 썼던 헤링턴(James Harrington, 1611∼1677)은 그의 共和國 思想으로 해서 古典的 共和主義者(classical republican) 또는 그 財産均衡理論으로 해서 유토피안으로 불리우기도 하는, 內亂의 世紀 -17C-의 英國의 政治思想家이다. 그의 生涯는 알려진 바가 적으나 騎士 家門에서 태어나 젠트리로서의 敎育을 받은 뒤 두루 海外를 여행하여 歷史的 眼目과 見聞을 넓힌 뒤 돌아와 국왕 찰스1세 (Charles I)에게 봉사하였으며 혁명으로 국왕이 처형된 뒤 그의 代表作 오세아나를 著述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이 책과 기타의 정치적 저술들에 그의 政治學과 歷史學 공부 및 해외의 見聞에서 얻은 思想을 展開하였다. 특히 오세아나 공화국은 이스라엘, 아테네, 로마, 베니스 등의 공화주의 國家, 그 중에서도 베니스의 공화제를 모범으로 삼았으며 古代의 政府와 現存政府와를 此較 觀察하는 科學的인 方法을 이용하고 特히 歷史硏究에 있어서는 마키아벨리로부터 강하게 影響받았다. 그의 政治思想에 있어서의 獨創性은 社會, 經濟構造와 政治構造와의 關係를 力學的으로 파악하여 그것을 土地分配 樣式에 결부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위해 古代의 共和國들이 토지가 安定이 될 때 번창하고 타락할 때는 崩壞의 길을 걸었음을 例證하였다. 힘을 가진자가 지배한다고 할 때 그 힘은 토지에 있으며 토지의 所有에 의하여 한 국가의 상부구조는 서로 變改한다고 하였다. 全 토지의 4분의3이상을 1人이 가지고 있을 때는 君主政治이며 극단에 흐를 경우 전제정치(tyranny)로 타락하게 되고 小數(The few) 또는 귀족(nobility)에게 집중되어 있으면 고트족이 이루었던 均衡 즉 고딕적 균형(gothic balance) 또는 貴族정치이며 극단에 흐르면 과두정치(oligarchy)로 타락한다. 마지막으로 多數(The many) 또는 人民 전체에게 토지가 분배되어 있으면 그것은 공화국이다. 물론 극단에 흐르면 무정부 상태가 된다. 헤링턴이 높이 평가 받고 있는 것은 이 時点에서 英國의 內亂 직전의 사회변화에 주목한 점이었다. 헨리7세 이래로 영국은 사회적 변화가 急速히 進展되고 있었다. 그와 그의 두 계승자 -헨리8세, 엘리저베드1세 -는 귀족의 토지를 몰수하여 民衆에게 분배하고 민중의 힘을 성장시켰다. 이제 영국은 명백히 고딕的 균형이 붕괴하고 共和政이 된 것이다. 그런데도 Stuart 왕가는 이런 힘의 轉移을 눈치채지 못하고 여전히 從前의 왕의 專制政治에 매달렸기 때문에 舊體制의 파괴가 內亂을 일으킨 것이라고 그는 分析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혁의 內面에는 토지 균형의 변화가 있었던 것이다. 그는 공화국의 항구적인 발전은 그러므로 토지의 평등한 분배를 유지시키는 것이라 보았고 그리하여 항구적인 공화국의 기본법이 되는 農地法과 投票에 의한 官職 交替의 원리를 오세아나의 憲法에서 實施하기를 주장하였다. 農地法은 年收 2,000파운드 이상의 수입이 있는 토지 소유자가 한 명 이상의 아들을 가지고 있을때는 相續時에 그들에게 모두 분배한다는, 長子相續制(Primogeniture)의 廢止 원리와 그러나 그 어느 누구도 2,000파운드 이상을 소유하지 못한다고 하는, 2,000파운드 토지 상한선의 제정으로 인한 토지 偏重의 防止, 그리고 딸의 結婚持參金으로서 1,500 파운드를 넘을 수 없게 한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영국의 지주의 수는 혁명 이전의 300명에서 5,000명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 숫자는 공화국을 유지하는데 充分하다고 하였다. 農地法은 다음과 같은 反論을 불러 일으켰다. 첫째, 財産의 기준을 土地에만 두었다는 점. 둘째, 따라서 商業의 힘을 너무 무시했거나 상업 또는 金融의 힘을 전혀 고려치 않았다는 점. 셋째, 공화국 건설과 공화국 유지의 핵심세력인 젠트리 階層이 경우에 따라 귀족에게 속하기도 하고 인민에게 속하기도 한다는 점. 넷째, 농지법으로도 富의 偏在를 막을 수가 없다는 점등이 지적되었다. 당시의 영국의 현실을 살펴 볼 때 毛織物工業이 발전하고 신흥 地主들이 企業的 經營으로 이익의 극대화를 꾀하고 있었기 때문에 토지가 모든 商業행위의 기초가 되었다는 것 따라서 商業에 대해 全혀 無知했던 것이 아니라 貨幣의 流動的인 性格을 두려워 했다는 점. 이미 手中 토지를 가진 新興계층으로서의 젠트리는 人民에 포함되지만 보다 가난한 人民들 위에 서서 공화국을 잘 운용하고 귀족에 대해서는 민중의 이익을 옹호하는 支配階級, 즉 學識과 여유를 지니고 新興지배 세력으로서 보수적 구 封建貴族(Feudal Nobility)에 대항하는 귀족적 젠트리로 그려냈다는 점, 농지법에 의한 부의 분배는 기회균등의 확대를 의도했다는 점 등을 이에 대한 解答으로 提示할 수 있다. 小說의 形式으로, 그리고 크롬웰의 獨裁하에서 쓰여진 오세아나 공화국은 그것의 진실한 면모를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昨今에 불러 일으킨 영국의 社會經濟史 硏究의 발전에 끼친 功 -젠트리 論爭과 영국혁명에 대한 諸 解釋등-은 그 누구도 否認할 수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오늘날처럼 平等과 富의 再分配라는 문제가 절실히 요구될 때 그의 財産균형 이론은 음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James Harrington (1611-1677), the author of The Commonwealth of Oceana, was an English political philosopher at the time of the English Civil war. He is on the one hand depicted as a classical Republican due to his ideas of commonwealth, and on the other hand a Utopian due to his balance theory of property. He was descended from knights, received a gentry education, traveled overseas to widen his historical insights and experiences, and then offered his services to Charles I, and wrote his masterpiece The Commonwealth of Oceana after the king perished during the Revolution. In his works, he developed his political and historical ideas based on the experiences gained from his overseas travels. In 'The Commonwealth of Oceana' he modeled Israel, Athens, Rome, and Venice as republics, and he adopted a scientific method to compare ancient governments with existing ones. He was furthermore influenced on his study of history by Niccolo Machiavelli. His orginality in his political ideas is shown in hi s careful examination of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and thereby applying them to the land distribution system. In doing so,he showed that ancient republics prospered when the land policy was stable and failed to prosper when it was not. He showed that when a man of power controlled the nation, his power came from the land, and superstructures were alternative due to the ownership of land. If one man holds three-fourth of the whole and an absolute monarchy is sure to appear and if the monarchy goes to extremes then it becomes tyranny. If only a few or a nobility holds the land, a gothic balance or aristocracy is sure to appear and if the political system goes to extremes then it becomes oligarchy. If many or all the people hold the land, a commonwealth is sure to appear and if the commonwealth goes to extremes then it becomes anarchy. what Harrington focused on was the social changes on the brink of the English Civil war. Up to that time England had undergone rapid social changes since Henry VII ascended the throne. Henry VII and his two successors- Henry VIII and Elizabeth I - confiscated the nobilities' land holdings and distributed them to the people and cultivated the people's power. Now Britain was on the threshold of a commonwealth, discarding the gothic balance. Harrington argued that the Stuarts did not discern this change of power and held on to the old tyranny. But the old structure gave way to the Civil war. Under the stream of the revolution, there followed a change of balance in land. In this connection, the enduring prosperity of the commonwealth can be kept up by the balanced distribution of land. Thus Harrington maintained that the agrarian law, one of the basic laws of the commonwealth, and the rotation of offices by ballot should be enacted in Oceana. His formulation of agrarian law includes the following concepts: 1. The abolishment of primogeniture, that every man who is at present possessed of an estate in land exceeding the revenue of 2.000 £ in a year, and having more than one son shall leave his lands either equally divided among them. 2. The prevention of lopsided holdings of land. According to the idea, no one should have land worth more than 2,000 pounds. 3. A dowery should not exceed 1,500 pounds According to this system, the number of land owners would increase from 300 to 5,000, enough to keep up the Commonwealth. However, this agrarian law invited the following controversies: 1. The standard of property focused on the land. 2. Accordingly, the power of commerce was largely ignored, or the power of commerce or finance was not considered at all. 3. The gentry class, a central power in building up and keeping up the commonwealth, could be classed as nobles or peopl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4. This Agrarian law couldn't prevent the lopsided ownership of wealth. Considering the British society at that time, the wool industry was developing and the new landowners were enjoying utmost profits through industrial management. In this light, the land was the basis of commercial activities. So Harrington was not ignorant of commerce but afraid of the monetary character as a movable property. The gentry could be classed and be included in commoners in the view of owned land already, and be classed as nobility who would lead the commonwealth. The gentry as an educated new power also fought against the fedual nobility. The redistribution of wealth by the agrarian law could be translated as the expansion of equal opportunity. Though The Commonwealth of Oceana is in some respects difficult to understand today, no one can deny that its merit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tudy of British social economic history. Morover, since equality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are really needed in these days, Harrington's balance theory of property is worth careful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