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 가족내에서 세대를 걸쳐 발병한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 3예

        김병엽,이민영,오인균,김도형,김학찬,김상억,한승혜,신동훈,김은실,김종순 대한내분비학회 2001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6 No.2

        According to recent studies, the immunogenetic factors are thought to be account for a part of the etiopathogenesis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In Korea, there was one re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LA DR5, DR8, B13 and autoimmune thyroid disease. There were also several reports on a familial hereditary transmission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in other countries but not in Korea. We describe the occurrence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that affected three members of a family through three generat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familial hereditary transmission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in Korea. We report on an 80-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Hashimoto's thyroiditis, her 53-year-old daughter who had Graves' disease, and her 29-year-old grand-daughter who had Graves' disease. In order to identify the immunogenetic influence in these cases, HLA haplotypes & thyroid autoantibody were studied. HLA DRB3*02 was obseved in each of the patents. HLA DQB1*0301, DR11, DQB1*05031 and DR14 were observed in the two cases. However, HLA B13, DR5 and DR8 were not observed. The patients are currently undergoing follow-up using PTU, methimazole and synthyroid medication

      • 증상 알아두기-노인성 백내장

        김병엽,Kim, Byeong-Yeop 한국건강관리협회 2008 건강소식 Vol.32 No.6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는 것이 바로 '백내장' 발병률이다. 특히 노인성 백내장은 60세 이상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노화현상의 하나로 주 위에서 흔히 볼 수 있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칫 시력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한 질병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얗게 머리가 세어가듯 점차 수정체의 투명성을 잃어가는 노인성 백내장. 사물이 뿌옇게 보이고 눈부심 현상이 두드러지는 등 노인의 눈을 위협하는 백내장에 대해 알아보자.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Oilfish, Ruvettus pretiosus (Perciformes: Gempylidae) from Korea

        김병엽,송춘복,Kim, Byeong Yeob,Song, Choon Bok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2017 한국어류학회지 Vol.29 No.3

        Two specimens of Ruvettus pretiosus (227.0 and 238.3 mm in standard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Gempylidae, was firstly collected by using a gill net from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Jejudo Island, Korea in November 2013.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XV, 17~19+2 dorsal fin rays; II, 15~16+2 anal fin rays; belly keeled between pelvic fin and anus; body covered with cycloid scales, interspaced with rows of sharp bony tubercles. R. pretiosu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ree Korean Snake mackerels (Thyrsitoides marleyi, Rexea prometheoides and Gempylus serpens) by having belly keeled between pelvic fin and anus, and cycloid scales covered the body and interspaced with rows of sharp bony tubercles.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the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R. pretiosus. We propose new Korean names, "Gi-reum-chi-sok" and "Gi-reum-chi"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 능동적 해저면 탄성파 탐사 현황 및 기술 동향

        김병엽,김영준,구남형,유동근,이호영,변중무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08 한국지구시스템 공학회지 Vol.45 No.5

        인위적인 음원과 해저면에 직접 설치한 수진기를 사용하는 능동적인 해저면 탄성파 탐사는 대부분의 반사-P파를 얻는 해상 탄성파 탐사와는 달리 S/N비가 높은 고품질의 광각 반사파, 굴절파 및 모드전환파를 얻게 해준다. 이러한 자료로부터 해양 심부 지구조 및 속도구조를 규명하고 기존 P파만으로 알 수 없는 S파 속도, 포아송비와 같은 물성을 도출할 수 있다. 본 해설은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해저면 탄성파 탐사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규명 대상에 따른 탐사방법과 자료 처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아울러 해외의 해저면 탄성파 탐사 기술과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우리나라의 기술 현황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 KCI등재SCOPUS

        해양 다성분 탄성파 자료를 이용한 가스하이드레이트 유망지역의 BSR 상하부 S파 속도 도출

        김병엽,변중무,Kim, Byoung-Yeop,Byun, Joong-M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3

        S-wave, which provides lithology and pore fluid information, plays a key role in estimating gas-hydrate saturation. In general, P- and S-wave velocities increase in the presence of gas-hydrate and the P-wave velocity decreases in the presence of free gas under the gas-hydrate layer. Whereas there are very small changes, even slightly increases, in the S-wave velocity in the free gas layer because S-wave is not affected by the pore fluid when propagating in the free gas layer. To verify those velocity properties of the BSR (bottom-simulating reflector) depth in the gas-hydrate prospect area in the Ulleung Basin, P- and S-wave velocity profiles were derived from multi-component ocean-bottom seismic data which were acquired by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in May 2009. OBS (ocean-bottom seismometer) hydrophone component data were modeled and inverted first through the traveltime inversion method to derive P-wave velocity and depth model of survey area. 2-D multichannel stacked data were incorporated as an initial model. Two horizontal geophone component data, then, were polarization filtered and rotated to make radial component section. Traveltimes of main S-wave events were picked and used for forward modeling incorporating Poisson's ratio. This modeling provides S-wave profiles and Poisson's ratio profiles at every OBS site. The results shows that P-wave velocities in most OBS sites decrease beneath the BSR, whereas S-wave velocities slightly increase. Consequently, Poisson's ratio decreased strongly beneath the BS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free gas layer under the BSR.

      • KCI등재

        묘박중 해저 저질에 따른 파주력 특성

        김병엽,김광일,김민선,Kimura Nobuo,이창헌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2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8 No.3

        In general, a high tension on the anchor and chain is placed when a ship at anchor is subjected to heavy weather. Mariners have to pay attention to whether dragging anchor occurs to keep the safety of the ship at anchorage sinc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ble motion of ship and it causes collisions with other ships nearby. In this paper, the ship motion against the external forces was shown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about characteristic of holding power due to nature of seabed at anchor, so practical trials were carried out in rocky area and muddy area using a trial ship around coastal area of South Korea. In muddy seabed, holding power showed reasonable tension value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anchor position of continuing swing motions of a ship corresponding to wind force. Meanwhile in rocky seabed, tension values on the chain appeared very high occasionally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anchor position and seemed to exceed its holding power to be the breaking strain of the chain although weather was not in a severe condition. Therefore, some of the cables laid on the seabed were presumed to be caught in a crack on the rock. It is assumed that even a small amount of external force may cause the chain to break in a moment in rocky seabed. Additionally, wind and current forces had a somewhat contradictory effect on holding power of the ship between them. 선박 운항의 효율 및 안정성을 높이고자 제주 주변 및 남해 연안의 묘박지에서 묘박중 해저 저질에 따른 파주력의 변동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묘 박을 실시한 몇 지점에 대한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였 다. 저질이 펄 또는 암반 지역의 묘박지에서 투묘에 따른 파주력 특성을 측정한 결과, 초기 투묘시 펄에서의 닻의 파주력은 주묘로 인하여 줄어드는 값과 잘 일치하는 것 으로 판단되며, 묘박지에서 묘박중인 선체의 이동은 풍속 및 풍향과 잘 일치하고 있었다. 특히 선박에서의 풍속 의 크기는 선체의 운동 등의 영향으로 더 크게 나타나며, 이러한 영향 등으로 해저가 암반 지대인 경우, 묘쇄에 순간적인 장력의 급격한 변동이 있음에도 그에 대응하 는 선체의 위치변동으로 나타나지 않아 외력에 의한 묘 쇄의 파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묘쇄의 현수 부분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경우, 외력에 의한 급격한 장력 증가를 흡수하지 못해 파단의 위험 발생 가능이 높으며, 특히, 너울 등이 있는 악천후의 경우 암 반 지대 투묘는 절대 금물이다. 묘박중 선체의 swing은 풍속이 절대적이며, swing의 이동 방향의 변화가 묘쇄에 가장 큰 힘을 주어 이에 따라 묘쇄의 장력증가로 파주력이 감소하게 된다. 유속은 대략 1 knot 이상이 되면 일정 부분 선체의 swing을 줄여 묘쇄의 장력을 줄이고, 이로 인해 파주력 감소를 억제하는 역할도 있는 것으로 판단 되므로, 향후 풍속과 유속이 묘박중인 선박에 어떤 형태 로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더욱 정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제주 북서해역 선박기인 해양폐기물 발생량 분석

        김병엽,주혜민,이창헌,김광일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1

        제주해역은 많은 상선 및 어선들이 항해를 하고, 자망, 트롤 등 다양한 어구를 활용하여 어로활동을 하고 있다. 그 동안 해양폐기물 수집은 주로 제주도 해안 및 연안해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연근해 해역에서 발생되는 해양폐기물 발생에 대한 수집 및 연구가 미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대학교 실습선을 이용하여 제주도 북서해역에 침전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고 각 폐기물별로 관련 선박의 항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정 구역 및 선박 체류시간별로 얼마나 많은 해양폐기물을 투기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장치 항적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상해역에 선박이 체류한 시간을 추출하여, 어선업종별로 1 ㎢ 단위구역에서 시간당 해양폐기물 발생양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연근해 해역은 어선기인 폐어구가 대다수였으며, 그중 자망 및 통발 어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단위구역에서 시간당 해양폐기물 발생량은 자망어업이 평균 0.94 kg, 통발어업이 3.49 kg, 저인망어업이 0.10 kg, 연승어업이 0.11 kg, 기타어업이 0.02 kg으로 산출되었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연근해 수중환경 정화시 해양폐기물 발생이 높은 해역위주로 해양폐기물 수거가 가능할 것이다. Many merchant ships sail in the waters surrounding Jeju Island and many fishing vessels catch fish using gill nets, trolling lines, and so on. Meanwhile, marine waste ha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collection of marine waste in coastal waters. In this study, marine waste deposited in Jeju Island's northwest sea was collected using Jeju National University's training ship, and related vessels were analyzed for each gear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coastal waters had abandoned fishing grounds, which were from fishing vessels,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m was gill net and trap fishing gear. To analyze how much marine waste is accumulating in a certain area and ship's stay time, we us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to extract the time spent in the target sea, and the amount of marine waste per hour was analyzed in a unit distance of 1 km2. The average amount of marine waste generated per hour in the unit area was found to be 0.94 kg for gillnet fishing gear, 3.49 kg for trap fishing gear, 0.10 kg for trawl fishing gear, 0.11 kg for longline fishing gear, and 0.02 kg for other fishing g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