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경험과 의미

        금교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employee’s in the process of graduate dual degree acquisition. To this end, 7 research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of acquiring dual degree and its mea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selected was the narrative to analyze the conten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irst of all, the following are the experience of employee’s who have tried to acquire dual degree at their graduate schools. First, trial was initiated from their desire to get out of the academic complex and become socially recognized as someone in high social status. Second, the symbolism of dual degree was an opportunity to have confidence in learning. Third, it was autonomous study from their indeed desire without any force or interference, Fourth, they were addicted to study since they felt vacant or worried without study. Fifth, Study was developed to wisdom in terms of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eir works regardless of their ages. Sixth, they continued to study since they had motivation to keep developing their wisdom and experience. The meanings of such research participants' graduate dual degree acquisition are as follows. First, dual degree is to advance further from simple ski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further professionalism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to study following recent changes and new trends. Second, the dual degree is the practice of learning and teaching. Start of learning is to recognize one's own shortage and have humble attitude for study. Teaching is an act to lead followers to reach the level of their teachers. By showing one's changes, the dual degree can make the meaning of catharsis for the desire of learning. Fourth, dual degree means fusion and communication. If one studies new field without sticking to only one's major, one's knowledge will be extended greatly through fusion and integration process. Fifth, dual degree is preparation for the second life. It is to realize life of old age wiser.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cquiring graduate dual degree seems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and expansion in career or life in their workplace. 본 연구는 직장인이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복수학위취득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자료를 토대로 내용을 분석하는 내러티브 연구를 선택하였다. 먼저, 직장인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 경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콤플렉스를 벗어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이다. 둘째, 복수학위가 가지는 상징성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학습의 즐거움 알게 되어 누구의 간섭이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난 학습이었다. 넷째, 공부를 중단하면 허전하고 불안하므로 공부도 중독성이 있음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공부는 나이와 상관이 없으며 일과 함께 전문성에서 지혜로 발전되었다. 여섯째, 경륜과 지혜가 학습동력으로 작용하여 계속학습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참여자의 대학원 복수학위취득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학위는 숙련의 해체이다. 이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전문성을 신장하고, 새로운 트랜드의 변화에 따른 공부를 해야 한다. 둘째, 복수학위는 상구(배움)와 하화(가르침)의 실천이다. 상구(배움)의 시작은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겸손하게 배우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며, 하화(가르침)는 높은 수준을 가진 선진이 후진에게 선진의 수준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셋째, 자신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복수학위는 배움의 욕구에 대한 카타르시스의 의미가 된다. 넷째, 복수학위는 융‧복합과 소통이다. 전공에 얽매이지 말고 새로운 공부를 하면, 학문이 복합과 융합의 현상으로 작용하여 지식의 폭이 넓어진다. 다섯째, 복수학위는 제2의 인생준비이다. 길어지는 노년의 삶을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장인에게 대학원 복수학위취득이 직업이나 삶에 있어서 새로운 기회와 확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

        이경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s for job conversion. For it,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in-depth interview for 7 employees with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rom Jun. to Dec. 2018. As a result, 3 great ranges and 8 sub-factors of the meaning of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for job conversion. were drawn. First is the change of value changing new view and recognition. Second is confidence improvement,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change recovering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is changes of actual life that obtain pleasure of leaning, formation of personal network, and family supports. From the above results, employees’ university·graduate school experience may let them challenge new works with confidence and be analyzed as appearance of identity finding the work suitable for their aptitude and living a subjective life. 본 연구는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대학원 경험이 있는 재직자 7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직자의 대학·대학원 경험이 직업전환에 주는 의미는 크게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다. 첫째, 새로운 시각과 인식이 바뀌는 가치관의 변화이다. 둘째, 자신감 향상과 동기부여, 그리고 흥미와 적성을 되찾는 심리적 변화이다. 셋째, 배움의 즐거움과 인적네트워크 형성, 그리고 가족의 지지를 얻는 실생활의 변화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재직자들의 대학·대학원 경험은 자신감을 얻어 새로운 일을 도전하게 하고, 적성에 맞는 일을 되찾아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정체성의 발현이라 해석할 수 있다.

      • 한의과대학 기공 관련 현황 및 강의 만족도 분석

        金起震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1. Purpose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stablished subjects of Qigong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students, the author attempted a grasp of the established Qigong-related subjects at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nationwide and their students' club activities. And in order to prepare the basis for futur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the lectures, an evaluation was made on the lecture by the 'theory-practice-self study' system initiated in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at Daegu Haani University. 2. Methods To investigate particulars on Qigong subjects at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across the country, their home pages were checked on in May, 2008 and a personal phone inquiry was also made regarding the items not to be confirmed from the home pages. The content of inquiry was compiled and sent to each college by e-mail to obtain the confirmation of the professors in charge or department heads. To grasp the present state of the clubs for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nationwide, the monitors for the whole clubs within the colleges were contacted by phone to inquire into, and with an agreement in advance, the monitors were inquired of their clubs' general situations in the manner of phone questionnaire. And I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Yangsaeng Qigon and Practice' which is the lecture that composed theory, practice, self study for 120 students a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3. Results Nine out of 11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ffered course of Qigong and 8 as a major and 1 as a cultural subject. Daeguhaani and Wonkwang colleges had the science plac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their regular course and the rest in the preparatory course. The subject was 1 credit for 4 colleges and 2 credits for 5 ones. Practice was arranged independently for 6 colleges. There were 6 schools with clubs related to Qigong and 12 clubs altogether in 11 colleges of Oriental medicine. The number of clubs were 4, the most, at Daegu college and the number of members were 61, the most, at the same school, too. As for the content of training, 6 colleges, the most, combined Junggong(精功) and Donggong(動功d). It was shown that in case of clubs without intramural space for training, there were fewer times of weekly group training, together with less training time. Of the 8 clubs with a coach, there was only one club that had a coach from Oriental medicine doctor. In the inquiry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lass of ‘Yangsaeng Qigong and practice', 69% answered positively. As to the satisfaction with class grouping, 76% answered affirmatively, and as to the question "Agreement to the plan workable?", 72% said it was satisfactory, showing lectures by class grouping were made successful as planed. As to satisfaction with theory lectures, 36% were satisfied (38% unsatisfied), as to practice 90% was satisfied (2% unsatisfied) and as to the self-study and special lectures, 36% was satisfied (23% unsatisfied), showing th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practice. To the question "Was it helpful in understanding hygiene Danjeon-breathing science?", 31% said yes (16% no) for theory, 87% yes (3% no) for practices, 32% yes (32% no) for special lectures, and 37% yes (28% no) for team assignments. 4. Conclusions As seen in the inquiring result of 'Yangseng Qigong(養生氣功) and practice' satisfaction on the subject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in Daegu Haani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were much interested in practical training of Qigong and its operational methods. Also, In their education goal, each college includes a therapy for the people's health improvement as a doctor of Oriental medicine as well as personal cultivation of their mind and body, and in the content of lectures, many colleges were including not only the concepts of breathing, its principles and history, but also its use for clinics. However, all the colleges except DaeguHaani and Wonkwang, have established the Qigong in their preparatory course, revealing their knowing it as a basic course. In addition to educat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breathing as a basis for Oriental medici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hat the science should be placed in the regular course and taught to the students as a field of basis and clinics for Oriental medicine in order to enable practical operation in joint with clinics at the scene. The textbooks and majors of the lecturers turned out to be varied, but as seen from the result of lecture satisfaction on 'Yangseng Qigong and practice', i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paredness of the lecturers and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material. Despite the situation that most schools have chosen it as a major subject, the subject name was divergent among schools and the textbook and the content of practice were also not unified. At the point of globally rising interest in Qigong, this will only lead to its weak competitiveness when advancing to the world. We ourselves should be standardized and prepared. To this e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should be a common textbook for Qigong, and that specialized manpower to lecture on the subject should be cultivated. 1. 연구의 목적 기공학 과목개설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정규 교과목이외의 학생활동을 파악하고자 전국 한의과대학의 기공학 과목 개설 및 한의과대학 내의 기공 관련 학생 동아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대구한의대학교에서 ‘양생기공학 및 실습’에서 새롭게 실시된 ‘이론-실습-자율학습’ 방식의 강의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강의개선 및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를 계획하였다.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전국 11개 한의대의 기공학 과목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5월에 전국의 11개 한의대 홈페이지를 조사하였고 한의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 직접 전화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한 내용을 정리하여 각 대학에 우편으로 발송하여 담당교수 혹은 학과장의 확인을 받았다. 전국 11개 한의대 기공 동아리 현황 파악을 위해서 2007년 10월에 11개 한의과대학 전체동아리 회장에게 전화 연락하여 기공 관련 동아리를 조사하였고, 조사된 기공 관련 동아리 회장에게 전화 설문방식으로 사전 동의를 구해 소속 동아리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에서 2008년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양생기공학 및 실습’을 수강한 본과 1학년 120여명을 대상으로 모든 강좌가 끝나고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3. 결과 11개 한의대학 중 기공학이 개설 되어 있는 학교는 9곳이었고, 그 중 전공으로 개설된 학교는 8곳, 교양으로 개설된 학교는 1곳이었다. 대구한의대와 원광대학교 한의대학교가 각각 본과 1학년 2학년에 배치가 되어 있었고, 나머지 학교들은 예과에 배치가 되어 있었다. 1학점으로 된 학교가 4곳, 2학점으로 된 학교가 5곳이었다. 실습 시간이 있는 학교는 6 곳이었다. 11개 한의대학 중 기공관련 동아리가 있는 학교가 6곳이었고, 12개의 동아리가 있었다. 동아리 수는 대구한의대에 4곳으로 제일 많았고, 회원수에서도 대구한의대가 61명으로 제일 많았다. 수련내용에 있어서는 정공과 동공을 병행하는 곳이 6곳으로 제일 많았다. 교내에 수련 공간이 없는 동아리의 경우 주당 단체 수련 횟수 및 수련 시간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승이 있는 8개의 동아리 중 1개의 동아리만이 한의사 출신 스승이 있었다. ‘양생기공학 및 실습’ 강의 전반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69%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분반에 대한 만족도’는 76%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계획서와의 일치가 잘 되었냐’에 대한 답변도 72%가 만족한다고 답해 분반에 의한 강의가 계획대로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 강의의 만족도는 14%가 만족, 38%가 불만족으로, 실습은 90%가 만족, 2%가 불만족으로, 자율학습 및 특강은 36%가 만족, 23%가 불만족이라 답해 실습이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생기공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냐’는 질문에 이론은 31%가 그렇다, 16%가 그렇지 않다고, 실습은 87%가 그렇다, 3%가 그렇지 않다고, 자율학습은 32%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특강은 32%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조별과제는 37%가 그렇다고 2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4. 결론 대구한의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공학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학생들은 ‘기’의 실질적인 수련, 운용 방법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 대학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개인의 심신 수련뿐만 아니라 한의사로서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치료에도 그 목표가 있었고, 강의 내용에서도 기의 개념, 원리와 역사뿐만 아니라 임상에 활용하는 내용 또한 다수의 대학에서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구한의대학교, 원광대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에서는 예과에 개설이 되어 기공을 기초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공학이 한의학의 기초로 이론적인 기의 개념을 교육하는 것 외에 실제 임상과 접목하여 실질적 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본과에 개설하여 한의학의 기초 및 임상 분야로 학생들에게 교육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교재와 강사의 전공이 다양하였는데 기공학 강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강사의 준비상태 강의 자료의 만족도에 따라 강의의 만족도가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가 전공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 교과목명이 다르고, 교재, 실습내용 또한 통일되지 않고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세계로 나아갔을 때 경쟁력이 약할 수밖에 없다. 우리 스스로 표준화하고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강의할 수 있는 기공학 공통 교과서가 있어야 할 것이고, 기공을 전문적으로 강의할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제모샵 이용형태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이애순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Through the study of background theory and cautious survey, this positive research i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using pattern of epilation shop(waxing shop) which gives effect to Customer satisfaction index For the study of background theory, we looked up divers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through precede thesis and literature. Questionnaire items are composed with general factors of customers and general information which comes from customers who use hair removal shop. First, in general factors of customers, there ar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monthly income. Second, in general information which comes from customers who uses hair removal shop, there ar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number of use, type of market management, payment for 1 time use, place of treatment, purpose of treatment, preference benefit, customer satisfaction index, re-visit intention,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tendency of the hair removal shop. First, in the analysis of age, 48.5% of twenties, 33.5% of thirties, 9.5% of teens, and 8.5% of forties are shown to use the hair removal shop in sequence. In the analysis of marital status, single, 67.8%, shows higher percentage of use for hair removal shop than married, 32.2%. In sequence, university graduate44.5%, college graduate30.5%,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lower than those of high school graduate19%, and educational attainments equal to and higher than those of graduate school6% are shown in educational level analysis. In analysis for monthly income, the results appear 2-3million won(33.0%), 1-2million won29.9%, 3-4million17.3%, and over 4million 9.6% in sequence. Second, in analysis for number of use of hair removal shop(waxing shop), 1 per month47.0%, 1 per 2 months23.5%, etc14.5% are shown in sequence. The types of market management of hair removal shop are francise hair removal shop59.0%, ordinary downtown shop(this kind of shop deals with nail art too)35.0%, Private hair removal shop around work place (school) 4.0% House hair removal shop2.0% Payment per one time use is 10000~30000(29.5%), 30000~50000(25.0%), over 10000023.5%, 50000~10000021.0%, and lower than 100001.0% The surgical parts are Vikini&Brazilian36.6%, Eye brows35.6%, armpit15.1%, leg9.3%, arm3.4%, and etc0.0% in sequence. When asked why they want to visit hair removal(waxing), respondents answered beauty52.0%, Sanitary/health31.7%, Self-expression6.4%, Relief of stress(Refreshing feeling) 6.4%, and Sexual satisfaction3.5% in sequence. Preferred benefits are easiness of reservation55.1%, Gift money policy19.7%, discount sale12.6%, discount for regular customers10.1% ,and offer of free gift. Third, in the satisfaction of hair removal shop(waxing shop), Survey for satisfaction in Service indicates high46.7%, Very high43.7%, Average9.5%, Low0%, and Very low0% Answers for the Satisfaction in Techincal skill indicate Very high51.3%, High35.2%, Average13.6%, Low0%, Very low0%. Answers for the satisfaction in price indicate Very high(54.5%), High(30.8%), Average14.6%, Low3.5%, and Very low0% Answers for the satisfaction in facilities indicate Very high54.5%, High30.8%, Average13.6%, Low1.0%, and Very low0% In the analysis of survey for the service, technical power, price, and facility, customer shows high rate of satisfaction. Among survey answers, 'Very satisfied' item is checked in facilities54.5%, Technical power51.3%, price49% and Service43.7% in seqquence. From this data, we can see that facilities and Technical power are considered to be a strong point of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in the question which asks customer's re-visit intention of hair removal shop(waxing shop), answers were I for sure will38.7%, I will38.7%, Maybe12.9%, I don't think so5%, and Never0%, which indicate overall high rate of re-visit desire of customers. On the answers, Very high38.7%, high38.7%, normal12.9%, low5%, and very low(0%) are seen. Fifth, for the question which asks whether you expresses your dissatisfaction in hair removal shopwaxing shop process, I do38.7%, I for sure do36.6%, Sometimes19.6%, Rarely4.1%, and Never1.0% are answered, which shows that customers are quite open to express their inconvenience. The major users of hair removal shop are in their 20~30s in age and make 2~3million won for monthly salary. As I researched for these users, I found that these customers mostly tend to visit franchise hair removal shop(waxing shop), 1 time for month, spending 20000~100000 won per one visit. Their major treatment parts are eye brows, bikini, brazilian waxing. Moreover, the main purpose of this treatment is beauty. Their preference for using hair removal shop(waxing shop) is from the easiness of reservation. Service satisfaction, technical satisfaction, price satisfaction facility satisfaction are estimated in very high score. Their re-visit intention is assessed high and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is also shown to be high. 본 연구는 제모샵(왁싱샵) 이용형태가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이론적 배경의 연구와 설문을 통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위해서 선행논문과 문헌을 통하여 다양한 고객의 만족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사항에서 연령, 결혼여부, 학력수준, 직업, 월소득을 알아보았고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 의 일반적사항에서는 제모샵(왁싱샵) 이용횟수,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 의 매장형태, 1회 이용시 지불금액, 제모샵(왁싱샵) 에서 관리받는 부문, 제모 관리받고 있는 목적, 선호혜택,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 고객 만족도,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 재방문의사,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 에 대한 불만표현양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분석에서는 20대 48.5%, 30대 33.5%, 10대 9.5%, 40대 8.5% 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서는 미혼67.8%, 기혼32.2%로 미혼이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수준분석에서는 대졸44.5%, 전문대졸30,5%, 고졸이하19%, 대학원이상6%대 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분석에서는 전문직34.0%, 기타28.4%, 사무직18.3%, 영업직9.1% 대순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분석에서는 200-300만원33.0%, 100-200만원29.9%, 300-400만원17.3%, 50만원미만10.2%, 400만원이상9.6%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의 일반적 사항은 제모샵(왁싱샵) 이용횟수 분석에서는 월1회47.0%, 2개월에 1회23.5%, 기타14.5% 3개월에 1회8.0%, 월2회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하는 제모샵의 매장형태에서는 프렌차이즈(체인점) 제모샵59.0%, 시내 중심가 일반(네일과같이하는)제모샵35.0%집, 직장(학교)근처 일반 제모샵4.0%, 하우스 제모삽2.0% 순으로 나타났다. 1회 이용시 지불금액은 1만원이상∼13만원미만29.5%, 3만원이상∼5만원미만25.0%, 10만원이상23.5%, 5만원이상∼10만원미만21.0%, 1만원미만1.0% 순으로 나타났다. 제모샵(왁싱샵)에서 관리받는 부문에서는 비키니&브라질리언36.6%, 눈썹35.6% , 겨드랑이15.1%, 다리9.3%, 팔3.4%, 기타0.0%순으로 많이 관리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모(왁싱)를 관리 받고 있는 목적은 미용52.0% , 위생,건강31.7% , 개성표출6.4%, 스트레스 해소기분전환6.4%, 성적만족 3.5%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호혜택은 예약이 잘되어서55.1%, 금액권 제도가 있어서19.7%, 할인 이벤트가 있어서12.6%, 회원할인제도가 있어서10.1%, 사은품을 제공2.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의 만족도에서는 서비스 만족도는 그렇다 46.7%, 매우그렇다 43.7%, 보통이다 9.5%, 그렇지 않다 0%,매우 그렇지 않다 0%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만족도에서는 매우그렇다 51.3%, 그렇다 35.2%, 보통이다 13.6%, 그렇지 않다 0%, 매우 그렇지 않다 0%으로 나타났다. 요금 만족도에서는 매우 그렇다 54.5%, 그렇다 30.8%, 보통이다 14.6%, 그렇지 않다 3.5%, 매우 그렇지 않다 0%으로 나타났다. 시설 만족도에서는 매우 그렇다 54.5%, 그렇다 30.8%, 보통이다 13.6%, 그렇지 않다 1.0%, 매우 그렇지 않다 0%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서비스, 기술력, 요금, 시설 만족도 비교 분석을 한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는 매우 그렇다 항목은 시설54.5%, 기술력51.3%, 요금49%, 서비스43.7% 으로 나타난 걸로 보았을 때 제모샵(왁싱샵)의 시설과 기술력 부분을 고객만족도의 강점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의 재방문 의사는 매우그렇다 38.7%, 그렇다 38.7%, 보통이다 12.9%, 그렇지않다 5%, 매우그렇지않다 0%로 전반적으로는 재방문의사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하는 제모샵(왁싱샵) 불만표현 양상은 그렇다 38.7%, 매우그렇다 36.6%, 보통이다 19.6%, 그렇지않다 4.1%, 매우그렇지않다 1.0%로 불만이 있을 때 설문대상 응답자들은 불만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모샵 이용 형태가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주 연령층은 20∼30대 미혼, 대졸, 전문직, 월소득 200∼300 정도의 여성들이다. 이들의 제모샵(왁싱샵) 이용행태를 분석한 결과는 월 1회, 프렌차이즈 제모샵(왁싱샵)을 방문하여 1회 2만원∼10만원 정도를 가장 많이 지불하며 관리부분은 눈썹, 비키니, 브라질리언 왁싱(음모부위)이 가장 높았다. 또한 관리받고 있는 목적은 미용이며 현재 이용중인 제모샵(왁싱샵)을 선호하는 이유는 예약이 잘 되어서이며 서비스 만족도, 기술 만족도, 요금 만족도, 시설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그리고 재이용 의사도 매우 높았으며 불만표현 양상은 대체적으로 많이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 데이트 성추행 및 성폭력에 관한 연구

        이미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3년제 보건행정학과 200명, 물리치료학과 100명 4년제 간호학과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본 연구목적에 동의한 학생들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0월 5일부터 10월 23일까지 2주간에 걸쳐 직접 설문에 답을 기입하는 자기보고식 방법으로 활용하였고, 총 500부를 설문하여 결측치가 있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452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으며 결과 치 로 논문의 특성과 중요한 의의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가해에 대한 성별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2.679, p=.008), 남자가 여자보다 학교폭력 가해 경험이 많았다. 둘째, 데이트 상대에 대한 통제와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은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789, p=.000), 성역할 태도와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은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40, p=.003). 셋째,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 예측요인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변수는 대학입학이전 학교폭력가해경험(B=1.507, p=.022), 대학입학 이전 성행동경험(B=-1.727, p=.009)으로 데이트 성폭력 가해 행동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대학입학이전 학교폭력가해경험이 있을수록 데이트 성폭력 가해를 할 확률이 4.154배 높아지며, 대학입학 이전 성행동경험이 있을수록 데이트 성폭력 가해를 할 확률이 0.178배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개인적 특성과 대학입학이전 피해경험이 데이트 성폭력 가해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보다 가해경험이 상당히 높게나와 대학 내에 구체적인 성교육과 가해 피해인지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절실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대학입학이전 성행동경험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도 이러한 결과를 보이는 연구들이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원인을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제로 데이트 폭력의 발생률이 약 30%의 수치를 보여 결코 낮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회적으로 데이트 관계에서 폭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변화를 위해 초·중·고등학교에서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에 폭력에 관한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넷째, 일회성 교육을 넘어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제 대학생 데이트 성폭력예방 성교육을 일시적인 일회적차원이 아니라 실제적인 차원에서 대학입학과 동시에 OT와 MT시점부터 실제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본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연구는 조사 대상을 경상북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교만을 편의 표집하여 연구가 실시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종단적인 연구나 질적 연구를 통해 재 확증이 되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는 개인의 민감한 문제를 설문지에만 의존한 조사연구로 답변의 진실성 여부를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설문대상자 선정에 피해자와 가해자 부분에 성비를 비교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피해자와 가해자 쌍방의 결과를 비교 검토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 who agreed on the study purpose and who were selected on random sampling base among 200 students at the three-year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100 students at the physiotherapy, and 200 students at the four-year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 Gyeongsangbuk-do. Data collection period was 2 weeks from October 5 to October 23, 2015; self-report method was used for the students to fill responses directly in questionnaire; 452 questionnaires out of total 5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sult except those with missing value. Research result is shown as follows and the result can be considered as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meaning of the thesis. Summary of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t=2.679, p=.008) in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between gender and male students had more experience that female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control over dates and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r=.789, p=.000) and that there was weak correlation between sex role attitude and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r=-.140, p=.003). Third,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 variables as predictors of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were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B=1.507, p=.022) and sexual behavior experience before entrance to university (B=-1.727, p=.009) and tha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on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Fourth, the more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students ha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became as much as 4.154 times; and, the more sexual behavior experience before entrance to university students had,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became as much as 0.178 times. Sugges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was shown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demographical factor and damage experience before entrance to university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Perpetration experience was revealed much more than expected and therefore, it is quite serious to operate specific sex education at university and damage recognition as well as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econd, it was shown that sexual behavior experience before entrance to university was a cause of influence on dat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experience. There were some advanced researches showing such result but it is necessary to have a careful analysis on the cause. Third, actual occurrence rate of date violence reached about 30% which was never low figure. However, the society has not yet recognized violence could occur in date relationship. To have a change in such recognition, it is required to include contents related to violence into curriculums of primary·middle·high school and univers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intensive education instead of one-shot education. Now, it is required to approach sex education for prevention of student date sex violence not from temporary one-shot level but from actual level of OT and MT at the same time of entering to university. Following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necessity of subsequent research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of universities in Gyeongsangbuk-do by convenient sampling and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 Second, it is required to reconfir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rough a vertical or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clearly clarify the result. Third, it is required to carefully consider veracity of responses because this study relied only on questionnaire regarding personal sensitive affairs. Fourth, it is required to reflect comparison of sex ratio on the item of victim and offender when selecting questionnaire objects. With this, it is required to make comparative review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between victims and offenders.

      • 대학 내 연구실험실의 산업보건관리 실태조사 연구

        박인규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대학 내 연구실험실의 산업보건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경북과 대구 지역에 소재한 402개소 연구실험실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7월까지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은 경북지역에 위치한 연구실험실이 348개소, 대구지역은 54개소이었으며, 대학규모별로는 15,000명 이상의 연구실험실이 267개소(66.4%)로 가장 많았고 전공별로는 공학계열 연구실험실이 100개소(24.9%)로 가장 많았다. 2. 대학 내 연구실험실의 이산화탄소 평균농도는 446.0 ppm 이었고, 평균 온도는 25.8℃, 상대습도는 평균 59.7%이었으며 조도는 평균 459.2 lux 로 나타났다. 3. 대학 내 연구실험실의 물질안전보건자료의 평균 비치율은 24.9%이었고 전공별로는 환경 및 산업보건계열의 연구실험실이 48.4%로 가장 높은 비치율을 보였다. 한편, 유해물질 표지의 평균 부착율은 53.0%이었고 역시 환경 및 산업보건계열의 연구실험실이 64.5%의 가장 높은 부착율을 보였다. 4. 대학 내 연구실험실의 60%가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고 있었으며 평균 제어풍속은 0.37 m/sec 이었고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에 미달하는 연구실험실은 63.4%(144개소)이었다. 5. 연구실험실 내 화학물질을 보관하는 시약 냉장고는 96.6%가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었고 음식물 냉장고의 경우 시약 등을 같이 보관하는 등 부적절하게 관리되는 경우가 11.9%로 나타났다. 6. 보호구 비치율은 방독마스크 17.8%, 방진마스크 14.3%로 낮았으나 보안경 비치율은 68.9%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보호구 보관함은 12.7%의 연구실험실만이 비치하고 있었다. 7. 위생설비의 경우 샤워기는 11.9%가 비치하고 있었고, 세안기도 15.7%만이 구비되어 있었으며 구급약품을 비치한 연구실험실은 23.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대학 내 연구실험실의 경우 산업보건관리 실태는 매우 열악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해화학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그 정보를 알 수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와 유해물질 표지를 모든 대학 내 연구실험실에 당연히 비치하여야 하며 해당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보호구도 반드시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학물질 중독의 사전 예방 차원에서 국소배기장치 제어풍속은 반드시 준수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대학 내 연구실험실 종사자들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는 행정당국은 물론 대학 내 관계자들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모형 개발

        김은영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연구를 분석함으로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핵심역량의 타당성을 위하여 델파이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문헌연구분석으로 도출한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및 창의성, 대인관계, 자기관리·개발, 미디어 정보 문해, 전공지식, 시민의식, 융합, 인성, 전문직업과 글로벌로 총 11개이다. 둘째,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 패널 5명을 선정하여 델파이 조사를 3차까지 진행하였다. 1차에서는 11개의 핵심역량과 160개의 하위요소 중 문제해결 및 메타역량과 디지털 정보 문해역량 그리고 전공지식역량의 3개 핵심역량명 수정과 6개의 하위요소명이 수정되었다. 2차에서는 160개의 하위요소가 64개로 정제되었고 3차에서 최종 48개로 도출되었다. 내용 타당도는 1로 5명 기준 .99를 넘어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켄달의 W값은 .000 수준에서 유의함으로 전문가의 합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모형은 델파이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01∼11의 번호를 부여하여 개발하였다. 핵심역량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하나의 핵심역량의 함양은 다른 핵심역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에서의 배움을 통해 성인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과 안정적인 직장생활 그리고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만족스러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성공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adult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core competencies of adult college stud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tudies. In addi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alidity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11 core competencies of adult college students derived from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earch: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creativity, interpersonal, personal management and development,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ajor knowledge, citizenship, convergence, character, professional job, and global. Second, to find out the validity of the core competencies of adult college students, five expert panels were selected, an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up to the third round. In the first round, among the 11 core competencies and 160 sub-elements, problem-solving and meta competency, digital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and major knowledge competency were modified, and six sub-elements were modified. In the second round, 64 sub-elements were selected, and in the third round, the final 48 sub-elements were derived. The content validity was found to be 1, secured at .99 or higher for five people. In addition, Kendall's W value was significant at the .000 level, indicating a high degree of agreement among experts. Third,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adult college students was developed by assigning numbers from 01 to 1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Core competencies are organically linked, so the cultivation of one core competency affects other core competencies.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rough learning at the college, it is possible to lead a wonderful daily life and a successful life as a member of civil society and successful college life and stable work-life of adult college students.

      •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조사

        김명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의 조사 목적은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연구조사는 2008년 4월 1일부터 2008년 4월 5일까지 대구한의대학교 학생 중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일부 문항에 대해서 삭제, 수정·보완하였고 2004년 4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2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250명을 일반적 특성별로 구분해 보면 성별로는 남자가 99명 39.6%, 여자 151명 60.4%로 조사되었으며, 학년별로는 1학년이 69명이고 27.6%였으며, 2학년은 82명 32.8%, 3학년 76명 30.4%, 4학년 23명 9.2%였다. 2. 노인부양의식에서 가장 강한 부양의식을 가진 것은 경제적 부양의식(4.24)이었고, 그 다음이 서비스적 부양의식(4.04), 정서적 부양의식(3.83)의 순이었다. 3.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22세이상 24세미만 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이 4.43으로 가장 높았다(p<0.05). 출생 서열별로는 외동이 4.54로 부양의식이 가장 높았다(p<0.01). 부모님 건강상태별로는 부모님이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36으로 조사되어 부모님의 건강수준이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대학생들의 정서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연령별로는 22세이상 24세미만 학생들의 부양의식 4.01로 정서적 부양의식이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부모님이 건강하다라는 학생집단에서 정서적 부양의식이 높았다(p<0.01). 5.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서비스적 부양의식에 관한 조사에서 부모님 건강이 건강하지 않는 편이다라는 집단에서 서비스적 부양의식이 3.92, 건강이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00,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부양의식은 4.14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6. 경제적·정서적·서비스적 부양의식과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부양의식과 서비스적 부양의식은 서로간의 상관관계가 강하게 나타났다(r=.730). 7. 회귀분석 결과 노인부양의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출생순서(β=.148), 종교(β=.127), 부모님 건강상태(β=.168)였다. 즉 출생순서에서 외동일수록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높았으며, 종교에서는 종교가 있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았고, 부모님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았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It has conducted preliminary study to verify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survey to 30 students among undergraduates in Daegu Hanny University from 1 to 5 April 2008. Then, it deleted, revised or corrected some items and it performed the field survey to 250 students from 15 April to 31 May 200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y general characteristics, 250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99 men (39.6%) and 151 women (60.4%); 69 freshmen (27.6%), 82 sophomores (32.8%), 76 juniors (30.4%) and 23 seniors (9.2%). 2. With regard to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was the strongest in this study(4.24), followed by service (4.04) and emotional (3.83). 3. The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was highest in students aged between 22 and 24 (4.43) (p<0.05). The awareness was greatest in only child (4.54) (p<0.01). Regarding to health status of parents, it showed 4.36 of supporting awareness in the group answered ‘my parents are healthy’. It meant that health status of parents affects the economic caregiving awareness (p<0.05). 4. With regard to the emotional caregaiving awareness, it was highest in undergraduates aged between 22 and 24 (4.01) (p<0.05) and in the group with healthy parents (p<0.01). 5. In the case of the service caregiving awareness, it was 3.92 in the group with somewhat unhealthy parents; 4.00 in students with somewhat healthy parents 4.14 in the group with healthy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1). 6. In the correlation among those awareness, it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and service caregiving awareness (r=0.730). 7.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wareness for the age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birth order (β=.148), religion (β=.127) and health status of parents (β=.168). In other words, the awareness was greater in the only child, in the student with religion or with healthy parents.

      •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황보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이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주제는 노인대학 참여활동 즉,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빈도, 참여기간 및 참여만족도 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상호 유의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경상북도 동남부 지역에 속하는 지방자치단체 중 군집표집의 방식으로 표집 된 2개 도시(경산시, 포항시)지역에 소재한 노인대학 4곳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9일부터 6월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9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χ²),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지역인 경산시와 포항시의 실제 인구분포는 60세 이상 남자44,073명, 여자 60,266명으로 여자 57.76%, 남자 42.24%(2014, 경산, 포항시 인구통계)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조사된 성별은 여자 80.7%, 남자 19.7%로 나타나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 가운데 남자보다 여자의 사회활동이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보인다. 연령은 71세∼80세 75.1%로 평균연령 75.58세로 나타나 노인의 고령화 현상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인들이 신체적인 여건만 허락된다면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의 경제 상태가 어떤가의 질문에 ‘보통’이라고 대답한 노인들이 73.1%,를 차지해 노인들이 경제성장과 사회복지 정책의 실효성을 체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들의 성별 및 연령별 프로그램 참여활동 주요특성 즉, 참여 동기, 선호프로그램 및 참여만족이유간의 차이가 있는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령별로는 참여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상이함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선호프로그램과 참여만족이유는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은 선호프로그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상이하게 나타났고 나머지 참여동기와 참여만족이유는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의 각 변수와 성공적 노화와의 각 변수들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성공적 노화의 각 영역별 간 상관관계는 모두 일관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빈도’와 성공적 노화 그리고 ‘참여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참여기간’과 성공적 노화는 쌍방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참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성공적 노화의 각 변수 간 상관관계는 건강상태 변수가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영역 및 지적 영역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연령변수가 참여기간 변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 외 배경변수는 성공적 노화 각 영역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공적 노화 전체영역에 대하여 독립변수인 프로그램 참여활동 요인 중 ‘참여빈도’와 ‘참여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각각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참여기간’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여기간이 길수록 신체적 노화가 진행되어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성공적 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관찰해 볼 수 있었다. 한편 배경변수인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동거상태’ 및 ‘건강상태’ 등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나 성공적 노화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노인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 중 ‘참여빈도’와 ‘참여만족도’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참여기간’은 오히려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 중 ‘건강상태’는 신체적 영역에, ‘성별’은 지적영역에 그리고 ‘동거상태’는 사회적 영역의 성공적 노화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은퇴 전에 부부가 함께 건강관리를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함을 시사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노인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프로그램 참여빈도와 참여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he senior university program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on affect to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university seniors participate in activities, seniors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frequency, duration, and involv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How does actually impact on successful aging?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note did mean to each other? Or to investigate the affect on successful aging. Research tools utiliz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and 2-cities was sampled by way of cluster sampling of municipalities belonging to the south-eastern of Gyeongbuk province (Gyeongsan, Pohang) to target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college located in areas where the elderly in 2014 May 19, June 27, as follows, using the 197questionnaire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in the last analysis b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oss tabs(χ²),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of follows; First, Surveyed area, Gyeongsan the actual population distribution of Pohang are 44,073 people men, 60,266 people women aged 60 and over were identified as men42.24%, 57.76%women.(2014, Gyeongsan & Pohang demographics). However, the gender research in this study, 80.7% women, the elderly man appeared in university participation rate of 19.7% of the elderly man who lives in the area, were characterized by highly than men. Age71 years to 80 years was found in 75.1% Average age of 75.58years appeared in the aging society towards the elderly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who replied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a ’normal’ 73.1% of the elderly, the elderly are accounted could see that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economic growth and social welfare policies. Second, Gender and Age program participation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is, Motivation, that preference program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oss-analysis was performed becaus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ge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to the rest of the program and participating preferred satisfactory reason for not different. Also appeared to differ by gende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avor programs were examined by the rest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hy not different. Third, Each region-specific variables and successful aging seniors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senior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uccessful aging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participation period’, and successful aging showed that both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participating subj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successful aging showed the physical domain and intellectual are as and positive correlation of the health status variables successful aging, age-period variables and variables involved positive (+)showed a correlation enemy. Mor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regions in the successful aging. Fourth, Successful Aging independent variables, program participation factor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 found to be on the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appear in 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ipation period’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ather, they appear to be not only appeared to affect the amulet to successful aging. This period could be longer participate in the physical aging process try gazing at the more careful to participate on a long term negative impact on successful aging. The background variables, demographic factors of 'sex', 'age', 'education', 'living conditions' and 'health' are statistically meaning less appear to have any particular influence successful aging been found that it does. Therefore the positive(+) impact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is the successful aging of the senior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rough the study, ‘participation period’ is rather negative (-) of the impact was found to be on. In addition, demographic factors of the ‘health’ in the physical, ‘gender’ in the intellectual sphere, and ‘living conditions’ was found on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in the social sphere. Before retiring to pursue a successful aging through participation of senior university programs are recognized as an elderly couple suggestions for preparing for health care should be togeth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ursue a successful aging through the senior university programs to increase the program participation rat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ems to be needed to help develop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