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서울 1964년 겨울」의 패러디 소설 연구 :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강유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김승옥의 소설 「서울, 1964년 겨울」과 그것의 패러디 텍스트인 전진우의 「서울, 1986년 여름」, 임영태의 「서울 1994년 여름」을 비교한 연구다. 지금까지 한국소설사에서 패러디 소설과 그것에 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했다. 특히 「서울, 1964년 겨울」의 패러디 소설인 「서울, 1986년 여름」과 「서울 1994년 여름」에 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 세 작품에 초점을 맞추고,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 비교 연구를 통해 이들 간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논한다. 더 나아가 패러디를 한 작가의 시대 인식과 패러디의 목적까지 규명한다. 세 소설을 크게 서사구조, 인물, 모티프, 배경, 주제의식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서사구조는 배회, 꿈틀거림, 여관 모티프 등을 공통분모로 갖고, 인물에서는 제3자의 인물 합석으로 인한 이야기 전개와 그의 극적인 외로움, 소외 인물의 현실대응 방식을 논했다. 모티프는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일탈, 꿈틀거림, 언어유희, 배경, 주제로 분류되었다. 배경에서는 1960, 1980, 1990년대의 시대 상황과 소설의 배경을 이야기했고, 주제에서는 인간 소외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결론적으로 세 작품 모두 작품마다 각각 다른 작가의 패러디 의도를 가지고 인간 소외를 이야기했다. 「서울, 1986년 여름」과 「서울 1994년 여름」은 「서울 1964년 겨울」을 각 시대상에 맞게 패러디하여 재맥락화한 작업이다. 이는 문학사에서 과거와 현재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새로운 예술 창조의 가능성의 지평을 열어 놓았다는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Kim seong ok's 「Seoul, Winter of 1964」and its parody novels like Jeon jin woo's 「Seoul, Summer of 1986」 and Yim young tae's 「Seoul, Summer of 1994」. There has not been a lively argument about parody novels in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up to now, especially the parody novels of「Seoul, Winter of 19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its two parody novels. Furthermore, this study covers parody writer's attitude in terms of history recognition and their intention.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various aspects like a plot, character, motif, setting, and them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its two parody novel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its two parody novels are loitering, wriggling and inn motif.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s feeling of loneliness and their response to society. The motif based on intertextuality can be classified into deviation, wriggling, playing with words, setting and theme. The setting is related to the 1960's, 80's and 90's. The theme of the parody novels can be summarized two words: human alienation. In conclusion, by analyzing the original text and its two parody novels this study examines human alienation in the modern society. Two parody works, 「Seoul, Summer of 1986」 and 「Seoul, Summer of 1994」, were re-contextualized works of 「Seoul, Winter of 1964」based on contemporary issues and conditions. These parody works can be evaluated as brilliant achievements obtaining continuity between past and present and expanding the boundaries of literary creation.

      • 우리나라 성인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유경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8년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 및 2020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규 암 환자는 243,837명으로 2017년 235,547명 대비 3.5% 증가하였고, 암 사망률 또한 2019년 158.2%에서 2020년 160.1%로 증가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 암 진단 경험자들의 전반적인 건강관리 필요성이 매년 커지고 있다. 삶의 질은 암 진단 경험자의 생존가능성의 지표, 즉 예후에 대한 예측인자와 치료 효과의 지표로 주목받고 있으며 추후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참여 동기 및 실천 행동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암 진단 경험자의 예후 및 생존율 향상을 위한 국가 암 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질병관리청에서 시행된 제7기 1,2,3차년도(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만 19세 이상이면서 의사로부터 암 진단 받은적이 있는 대상자 922명 중 주요 변수 결측사례(16명)를 제외한 90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 만성질환 요인, 건강행태 요인, 의료이용 요인과 암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별 빈도와 백분율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EQ-5D)과 5가지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스트레스, BMI, 미충족의료, 외래이용이었다. 여성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1명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쁨인 경우,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BMI가 비만인 경우, 미충족의료가 있는 경우, 외래이용이 있는 경우에 삶의 질이 낮았다. 둘째, 삶의 질(EQ-5D)의 5가지 영역에서‘운동능력’은 성별,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흡연, BMI, 외래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기관리’는 경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BMI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일상활동’은 성별, 나이, 경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흡연, BMI, 외래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통증/불편’은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미충족의료, 외래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불안/우울’은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음주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성인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추후 국가 차원에서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According to the 2018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Project Annual Report and 2020 Death Reason Statistics, there were 243,837 new cancer patients in Korea, when 3.5% has been increased from 235,547 in 2017, and Cancer death rates also increased from 158.2% in 2019 to 160.1% in 2020, and in the long term, the overall health care needs of the cancer survivors are growing every year. Quality of life is noted as an indicator of the viability of cancer survivors, that is, predictor of prognosis and therapeutic effectiveness, whi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driving the motivation and action of participating in healthcare for future managem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intends to grasp the factor upon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 and prepare the basic data of national cancer health management policy for improving the prognosis and survival rates of cancer survivors. The data from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of the 7th 1st, 2nd, and 3rd year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nd of the 922 people who were over 19 years of age and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by their doctors, 906 were selected as finalists, excluding key variable defect cases (16). The analysis focused on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chronic disease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medical use factors and cancer-related factors. The analysis was a weighted composite-based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cancer survivors, and T-test,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ancer survivors. Finally, a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EQ-5D index and five areas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 were gender, 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restrictions on activity, stress, BMI, unmet medical care, and outpatient use. In case of woman, the higher the age, one household member, and the poor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in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use factors, the more restrictions on activity, the higher stress, the more obesity of BMI, the more unmet medical care, and if outpatient use is available,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Second, in five areas of the quality of life (EQ-5D), 'Mobility' was affecting gender, ag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tress, smoking, BMI, and outpatient use, and 'Self-Care' was affecting economic activity,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BMI. 'Usual Activities' was affecting gender, age, economic activity,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tress, smoking, BMI, and outpatient use, and 'Pain/Discomfort' was affecting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tress, unmet medical care, and outpatient use. Finally, ‘Anxiety/Depression’ showed that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stress, and drinking were the influence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in Korea by based on the representative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dditional policies for improment of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 BTS의 <아리랑 연곡>을 활용한 민요아리랑 교육방안

        강유경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I select Arirang, a popular folk song that expresses Korean emotions well, and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social, cultural, and musical characteristics. Using this as background knowledge, we will look at the composition of BTS' <Arirang Song>, which was released relatively recently. Given immense cultural influence in the world, BTS’ songs contain various components. Among the songs they sang, we look at how they expressed the fusion of culture, focusing on the songs that revealed their identity as a Korean. Existing integrated Korean textbooks and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re introduced as fragmentary knowledge compared to Arirang's cultural value. To increase learners' understanding of Arirang, to acquire it as background knowledge, and to sympathize and communicate through experience, we examine various cultural education models and plan an Arirang education plan based on this. In the first step, Arirang'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the reading and listening areas so that background knowledge about Arirang can be accumulated. And by interpreting the lyrics of BTS' <Arirang Medley> and comparing them with regional Arirangs, learners understand the emotions of Koreans in Arirang. Learners compare and contrast the folk song Arirang and <Arirang Medley> to discuss different modes of Korean sentiment and learn the lyrics and melodies through singing along. The consensus is broadened so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the universality of music by looking at folk songs from other countries that were popular in Korea and comparing them with each of the learners’ home country's folk songs. Among the cultural contents that are relatively accessible to learners, Arirang-based musicals and installation art, other genres of arirang played with modern instruments, and regioal Arirang festivals will be investigated and announced. Educational measures are prepared so that learners can second handedly experience Korean culture through presentations and help them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The educational plan presented in this paper is designed for active communication of Korean culture by learners with intermediate or higher Korean levels. There is still room for educational measures for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from the beginner level.

      • 개념계층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의미적 개념분석기법

        강유경 선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World Wide Web의 탄생과 다양한 컴퓨팅 환경의 비약적인 발전에 의해 우리는 매일 방대한 양의 다양한 데이터들과 지식, 정보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여 유통 및 소비되는 정보의 홍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실세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데이터에 내포된 유용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활용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데이터마이닝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통계기법, 분류(Classification) 및 군집화(Clustering), 요약(Summarization), 연관규칙(Associations rule) 등과 같은 다양한 분석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도메인 내의 데이터들로부터 개념들(Concepts)을 추출하고, 개념들 사이의 상.하위관계를 파악하여 개념계층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형식개념분석기법(FCA : Formal Concept Analysis)이 주목받고 있다. 형식개념분석기법은 주어진 도메인 내의 지식을 개념단위로 추출하여 계층화하기 위한 정형화된 데이터분석기법으로서, 현재, 의학 및 생물정보학, 사회과학, 소프트웨어공학, 온톨로지공학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형식개념분석기법의 경우, 처리대상 데이터가 이진데이터(binary data)에 국한되어 있어서, 다종다양한 실세계의 데이터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처리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값을 갖는 데이터(many-valued data), 멤버쉽값(membership value)을 갖는 퍼지데이터(fuzzy data), 불완전성(incompleteness) 또는 불확실성(uncertainty)과 같은 특성을 갖는 러프데이터(rough data) 등으로부터 개념들을 추출하고, 개념격자구조를 토대로 계층화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의미적 개념분석기법을 제안하고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과 개발된 지원도구를 사용하여, 의료분야의 데이터에 대한 실험(의료서식지 데이터로부터 공통항목 추출실험, 의료데이터에 대한 이진화기법적용 실험)과 웹 데이터에 대한 실험(폭소노미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로부터 태깅정보분석 실험, 사용자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반 기법과 개발된 도구들의 유용성과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 과제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제반기법 및 도구에 대하여, 연관관계 규칙 추출에 관련된 제반 연구가 추가될 필요가 있고, 사용자 쿼리 생성 및 처리,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기능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반 요소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과 도구들을 토대로 실세계 현실상황에 적합한 유용하고 편리한 웹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 통합 및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학교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도

        강유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provide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cooks in charge of school meal by surveying job satisfaction of 201 cooks working at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8228;Gyeongbuk and by finding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nd variables that ha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oks working at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8228;Gyeongbuk were as follows: 67.2% of them were aged below 40 , 69.5% of them graduated from high school, 93.0% of them had the position of general cook, 49.3% of them had fixed term contract, 35.8% of them had experience of 1?`3 years, 45% of them received monthly salary of below 700?`900 thousand won, 90.0% of them had working hours of over 8 hours, and 63.2% of them did not have cooking certifica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meal center were as follows: meal service under direct management was 62.7%, in the number of daily meal service, once was 43.8%, in the number of people who drink water on daily basis, over 1101 people was 81.0%, in the place of meal service, school cafeteria was 65.2%, in the number of cooks, over 15 cooks were 41.3%. 2. Job satisfaction score of cooks in charge of school meal in each area was as follows: job satisfaction score was 3.33,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score was 2.77,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core was 3.27. 3.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oks in charge of school meal and the place of meal service showed high score in group of permanent position, group who received monthly salary of over 1100 thousand won, group of consignment meal service and group of three meals. It was found that group of cooks with indefinite contract had lowest job satisfaction. In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the group of cooks with bachelor's degree and the group of cooks with indefinite contract had low satisfaction while the group of general cooks, the group of cooks who received monthly salary of 1100 thousand won, the group of consignment meal service, the group of three meals , the group with cooking certificate had high satisfaction. When overall job satisfaction (p<0.001), job satisfaction(p<0.001),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p<0.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p<0.01) were surveyed in terms of change of occupation, the group with the intenti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had low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out the intenti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4. It was found that overall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5.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tention to change place of employment and job improvement was as follows: The reason they chose current place of employment was ?eworking hours?f (32.1%).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anted to change place of employment. The reas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was as follows: ?elow salary?f (41.6%) and ?elow promotion opportunities (prospect)?f (19.7%).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job satisfaction were salary & employee benefits (first place), employment stability (second place) and working hours and environment (third place). When surveying the intenti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and job improvement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it was found that the reas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in group of indefinite contract was ?elow salary?f (66.6%).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at had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salary & employee benefits in all groups. It was found that 80.6% of the cooks with experience of 1?`3 year had the intenti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while 54.8% of the cooks with experience of 3?`5 year had the intenti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and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t was found that the reas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in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over 1 year was ?elow salary?f while the reas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in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below 1 year was ?elow prospect?f and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hen asked to choose the reas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according to salar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low salary chose ?edue to low salary?f, while the group with high salary chose ?edue to heavy workload?f and ?elow promotion opportunities(prospect)?f and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hen surveying the intention of changing place of employment according to meal service operation type, it was found that 28.7% of the group under consignment meal service chose ?edue to low salary?f while 51.3% of the group under direct management chose was ?edue to low salary?f and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job satisfaction factors,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er and this result is attributed to unsatisfactory salary, promotion opportunities and prosp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plan to mak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such as salary raise, incentive payment, stable employment, fair promo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cooks so that they can enhance pride in job since overall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search that seeks a way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the cooks in charge of school meal should be done. The sustained effort to secure capable human resources, enhance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meal should be made. 본 연구는 대구&#8228;경북 지역 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학교급식 조리원 201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도 향상과 조리원의 인력 관리 시 중점을 두어야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구&#8228;경북 지역 고등학교급식 조리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40세 이하 67.2%, 최종 학력은 고졸 69.5%, 직위는 일반 조리종사원이 93.0%로 대부분이었다. 고용형태는 계약직 49.3%, 근무경력은 1?`3년 미만 35.8%, 월 급여는 70?`90만원 미만 45%로 가장 많았고, 근무시간은 8시간 이상이 90.0%, 조리사자격증은 ?e없다?f가 63.2%로 대부분이었다. 급식소의 일반적 특성은 급식운영형태에서 직영급식은 62.7%, 위탁급식은 37.3%로 나타났고 1일 급식횟수는 1식이 43.8%로 많았다. 중식기준 1일 식수인원은 1101명 이상 81.0%, 배식장소는 식당 65.2%, 조리원 수는 15명 이상이 41.3%로 각각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학교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요소별 점수는 직무자체만족도 3.33점, 근무조건만족도 2.77점, 대인관계만족도 3.27점으로 비교적 높은 직무자체만족도에 비해 근무조건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3. 학교급식 조리원 및 급식소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고용형태(p<0.05), 월 급여(p<0.01), 급식운영형태(p<0.01), 1일 급식횟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각각 정규직, 110만원 이상, 위탁급식, 3식의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직무만족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직무자체만족도는 고용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무기 계약직의 경우 직무자체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근무조건만족도는 학력(p<0.01), 직위(p<0.05), 고용형태(p<0.01), 월 급여(p<0.01), 조리사자격증 유무(p<0.001), 급식운영형태(p<0.001), 1일 급식횟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대졸이상, 무기 계약직의 집단에서 각각 근무조건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일반 조리종사원, 110만원 이상, 조리사자격증이 있는 집단, 위탁급식, 3식의 경우 각각 근무조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만족도는 조리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직여부에 따른 전체 직무만족도(p<0.001)와 직무자체만족도(p<0.001), 근무조건만족도(p<0.001), 대인관계만족도(p<0.01)는 이직의사가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모두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전반적인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요소별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직무만족도가 직무자체만족도, 근무조건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직무만족요소 사이의 관련정도도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요소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5. 학교급식 조리원의 근무처 이동(이직)과 직무개선방향에 대한 사항을 분석한 결과 현재 근무처를 선택한 이유는 ?e근무시간이 적당해서?f가 32.1%로 가장 많아 근무시간을 제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할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는 ?e이직한다?f가 68.2%로 대체로 이직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e급여가 적어서?f 41.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e승진기회(장래성)가 없어서?f 19.7%로 조사되었다. 조리원의 직무개선방향을 위하여 염두에 두어야 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근무요인으로 급여 및 후생복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용의 안정성, 근무시간과 작업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조리원 및 급식소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무처 이동(이직)과 직무개선방향은 고용형태별로 살펴본 결과 이직이유에 대하여 무기 계약직의 ?e급여가 적어서?f 66.6%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근무요인은 모든 집단에서 급여 및 후생복지가 가장 많았다. 근무경력별로 살펴본 결과 이직여부는 1?`3년 미만의 경우 80.6%, 3?`5년 미만의 경우 54.8%가 이직의사가 있다고 나타나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이직 이유로는 1년 이상의 집단들 모두 ?e급여가 적어서?f를 많이 답한 것에 비하여 1년 미만의 경우 ?e장래성이 없어서?f가 많이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월 급여에 따른 이직이유에 대해서는 급여가 적은 집단의 경우 ?e급여가 적어서?f를, 급여가 많은 집단의 경우 ?e근무시간이 많아서?f와 ?e승진기회(장래성)가 없어서?f를 선택하여 급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급식운영형태에 따른 이직이유에 대해서는 ?e급여가 적어서?f가 위탁급식 28.7%에 비해 직영급식 51.3%로 직영급식이 위탁급식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이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학교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도 측정결과 다른 요소에 비하여 특히 근무조건만족도가 낮았는데, 이는 급여에 대한 불만과 승진 등의 장래성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다. 직무에 만족할 때 조리원의 사기는 물론 학교급식의 생산성 및 질적 향상이 가능하므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급여에 대하여 노동 강도에 맞는 급여 책정이나 적절한 성과급 지급, 안정적인 고용형태 및 승진을 위한 직제개편과 같은 실질적인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직무만족도는 직무자체만족도, 근무조건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만큼 조리원이 직무에 대한 자부심을 높일 수 있도록 조리원이라는 직업을 비교적 경시하는 사회의 인식 변화와 지속적인 관심도 필요하다. 또한 근무조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찾아 개선하는 적극적인 태도와 함께 급식소내 원만한 대인관계 조성을 통하여, 전반적인 직무만족도 향상을 이끌 수 있는 통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확보, 학교급식 조리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 향상, 나아가 학교급식의 질적인 면이 함께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의료진이 지각하는 환자의 서비스 품질이 의료진의 신뢰, 동기부여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유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의 발전에 따라 의료서비스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 병원들 간의 경쟁 또한 점점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의료서비스에 관한 연구는 환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환자가 의료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고 병원은 환자가 더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노력하고 최대한 환자의 욕구를 충족 시키려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하지만 서비스 이용자 또한 서비스에 참여한다. 서비스 이용자도 서비스의 부분 종업원으로 간주되며 서비스 제공자의 품질 뿐만이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의 품질 또한 매우 중요하다. 환자들의 품질을 알아봄으로써 더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반대의 입장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서비스 이용자 입장에서 서비스 제공자를 평가하였지만 본 연구는 처음으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서비스 이용자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의 서비스 품질을 알아보고 환자의 서비스 품질과 의료진의 신뢰, 동기부여,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및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2019년 10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중국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의료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48부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3.0,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환자의 서비스 품질은 SERVQUAL과 같이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다섯 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자의 서비스 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은 전부 의료진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환자의 서비스 품질이 좋을수록 의료진이 환자에 대한 신뢰는 높아진다. 환자의 서비스 품질의 하위 차원은 공감성, 응답성, 확신성, 신뢰성, 유형성 순으로 의료진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의료진 신뢰는 동기부여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의료진이 환자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더 동기부여가 된다. 넷째, 의료진의 동기부여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의료진은 동기부여가 될 수록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다섯째, 의료진 신뢰는 환자의 서비스 품질과 의료진의 동기부여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지닌다. 환자의 서비스 품질은 직접적으로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신뢰를 거쳐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동기부여는 의료진의 신뢰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지닌다. 신뢰는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동기부여를 거쳐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환자의 서비스 품질이 어떠한 차원으로 분류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고 환자의 서비스 품질이 의료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더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환자의 서비스 품질 또한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동해 심층순환의 계절변화에 대한 수치실험

        강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층순환은 저위도와 고위도 간의 열에너지를 재분배 시켜주며 기후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해 심층의 수온과 염분은 매우 균일하기 때문에 해수의 물성자료만을 이용해서는 심층순환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동해 심층순환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직접적인 해류관측이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심층순환에 계절변화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관측은 시공간적 한계로 인해 심층순환의 수평적인 분포를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심층순환을 이해하기 위해 수치모델실험을 통한 많은 선행연구들도 있었지만, 심층순환의 계절변화를 제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40°수평해상도, 40개의 수직 층을 가진 고해상도 모델을 이용해 동해의 심층순환을 재현하고 각 분지 별 심층순환의 계절변화를 살펴보았다. 수치실험을 통해 계절별로 유향과 유속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연구에서 알려진 것과 같이 분지의 경계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순환을 하지만 봄철에는 울릉분지와 야마토분지의 경계를 따라 시계방향의 흐름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경계를 따라 나타나는 반시계방향의 순환은 경압성 해류의 영향이고, 분지 내부의 흐름과 봄철 시계방향의 흐름은 순압성 해류의 영향으로 보인다. 하지만 봄철 울릉분지와 야마토분지의 시계방향 흐름은 관측에서 보고된 적이 없었던 현상으로 추후 추가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Deep circulation in the global ocean redistributes the energy between low and high latitude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limate change. Because of the homogeneity of deep water in the East(Japan) Sea, it is hard to clarify the deep circulation by using hydrographic data. Direct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deep circulation in the East(Japan) Sea. Observed current revealed seasonal variation of current in deep layer. But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in limited stations and for limited periods, detailed structure of horizontal velocity field in deep layer has not been well clarifi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elucidate the deep circulation of East(Japan) Sea using numerical models, but the seasonal variation of deep circulation has not been presented. In this study, the deep circulation in the East(Japan) Sea was simulated by using high resolution model with 1/40°horizontal resolution and 40 vertical layers. The seasonal variation of deep circulation were examined in each basin. The direc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flow show seasonal variation. The cyclonic circulation which has been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was simulated for whole season. However, anticyclonic circulation occurs along the southern slope of the Ulleung and Yamato Basin in spring. The entire cyclonic circulations along slope result from baroclinic currents, whereas, an anticyclonic flow in the interior and along the slope in spring result from barotropic currents. But the anticyclonic flow along the slope of the Ulleung and Yamato Basin which has not observed should be studied by observation and dynamic analysis further.

      • 잠재계층모형을 활용한 초등 교사의 전문성 개발 유형 및 유형별 교사 효능감 수준 분석

        강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various typolog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aratively outstanding individuals are recruited to become teachers in Korea.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teachers’training is quite exclusive with a concrete object, they can be assumed to have similar quality in their abilities. However, although teachers participate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ome show a minimal difference in their professional level; some participate in repeti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s they did in the previous year, on the other hand, some actively get involved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e different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ven though studi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have been conducted consistently, this study is distinctive in the sense that it uses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fi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rofessional development typologies and to search for effective support methods for each group. Since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re conducted by studying various topics, its question was considered one of the indicator variables.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eedback exchanged among teachers in schools and the aspect of using evaluation and feedback from the principals. As part of the indicator variabl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feedback and participation in mentoring activities to have reflective practice in class using teaching-related feedback. The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ategorized as active participation(24.1%), conventional participation(46.5%), and passive participation(29.4%) group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e participation group showed a high interest and effor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Conventional participation group, which comprises almost half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46.5%), has been constantly participating in development activitie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but did not show distinctive interest and effort in responding to the minority groups or changes. They showed differences in courses such as ‘teaching cross-curricular skills’, ‘approaching to individualized learning’, ‘teaching in a multicultural or multilingual setting’, or ‘schoo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with active participation group. Passive participation group showed the lowest interest and participation rate in all professional developments, especially in training activitie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able influences of the teachers’ and schools’ level on latent class categorization by comparing teachers in active and passive participation group, ‘teaching career’, ‘joint teaching activitie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structional leadership’ showed to be influentia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he teacher self-efficacy differed by the category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analyzing the entire teacher efficacy without separating the sub component,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was the highest in active participation group with 3.48, followed by 3.29 in conventional participation group, and the lowest in passive participation group with 3.07. Such results were also shown in teacher self-efficacy in student engagement, teacher self-efficacy in instruction, and teacher self-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provide practical feedback for teachers to make good use of the comments and build a school environment and atmosphere to exchange feedback with fellow teachers in the same grade. The feedback and conversation among fellow teachers or from the principal are considerably helpful in developing their expertise. Thu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mbracing atmosphere that feedbacks are well exchanged and utilized. Second, institutional support and teachers' awareness shift are needed to encourage mentor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mentor teachers with meaningful compensation. And it is important to train skilled teachers to become influential mentors and to engage more teachers in the active participation group. Third,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perception and participate actively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o foster outstanding individuals equipped with future competencies. In particular, ‘teaching cross-curricular skills’ was also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ough there are practical problems due to excessive content in the school textbook, still it is necessary to change teachers' perspective. Moreover, various supports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to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or building expertise and practical knowledge. Al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ompetency in multicultural setting. To reinforc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in-service teachers,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small group activities and collaborations, as well as to maintain curr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urth, fostering school culture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joint teaching activities is essential. To get actively involved in studies together, teachers should be able to share their interests, goals, and vision with sufficient time and perio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time regularly to discuss and share the curriculum. Fifth, it is meaningful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and a plan to participate the special training activities(eg. the‘Study Leave Program’) for active participation group teachers. Sixth, it is essential to awaken the importance of a principal's role, considering its influence on teachers which has been revealed as remarkably positive. Taking account of authoritative atmosphere from principal or other cultural aspects in Korea, principals need to make effort for a better class support, a positive school atmosphere, and an embracing culture toward feedbacks. This study determined the latent class according to professional development catego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also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latent class categorization in detail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teacher efficacy in each latent cla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nd meaningful implications to support and increas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by subgroup effectively. Hence, this study will help contribute to the spread and generalization of teachers in active participation groups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다양한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교사들은 우수한 인재들이 입직하고 특히 초등교사의 경우 대부분 목적형․폐쇄형 국립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성되고 있으므로 비교적 질적 수준이 유사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는 매년 연수를 받고 있음에도 비슷한 수준에 머무르거나 작년에 하였던 대로 반복적인 연수활동에 참여하는 교사도 있는 반면,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전문성 개발을 하는 교사들도 있다. 실제로 초등 교사들이 전문성 개발에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과 관련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는 사람 중심적 접근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전문성 개발의 잠재계층별로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알아보고 유형별 지원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지닌다.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활동은 다양한 주제의 연수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해당 문항을 지표변수의 하나로 보았다. 또 다른 지표변수로서 현장에서 교사들 간에 교류되는 피드백, 학교장으로부터의 평가와 피드백을 활용하는 측면과 교수(teaching)와 관련된 피드백을 통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실천을 하는 멘토링 활동 여부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TALIS 2018 초등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3,185명의 교사와 161명의 학교장이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전문성 개발 잠재계층을 유형화 하고자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수준 요인과 학교 수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의 전문성 개발 잠재계층은 적극적 개발 유형(24.1%), 관습적 개발 유형(46.5%), 소극적 개발 유형(29.4%)의 세 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적극적 개발 유형은 멘토링을 제외한 전반적인 영역에서 매우 높은 분포를 보였다. 이 유형에 속한 교사들은 교육과정과 수업, 학급경영 영역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높은 관심과 참여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다문화 역량을 높이기 위한 연수활동 참여 및 피드백 활용 면에서도 다른 두 유형에 비하여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사회 변화에 대한 민감성, 소수 집단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유형의 교사들은 전문성 개발 활동에 대한 노력이 다른 두 유형에 비하여 탁월하게 높다고 할 수 있다. 관습적 개발 유형은 초등 교사들 중 절반에 가까운 비율(46.5%)을 차지하는데, 기존에 중시되던 영역에 대해서는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소수 집단 또는 변화에 대한 대응 면에서는 별다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관습적인 특성을 보였다. 적극적 개발 유형과는 ‘범교과 능력 가르치기’, ‘개별화 수업’, ‘다문화 교육’, ‘학교경영 및 행정’ 등의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소극적 개발 유형은 전문성 개발 활동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연수활동에 낮은 관심과 참여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 요인 중 교직경력과 공동 교수 활동,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는 준거집단인 소극적 개발 유형과 관습적 개발 유형보다는 비교집단인 적극적 개발 유형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함께 수업을 계획하고 준비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할수록,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할수록 소극적 또는 관습적 개발 유형보다는 적극적 개발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학교 요인에서는 학교장의 교수리더십이 준거집단보다는 비교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 구성요인의 구분 없이 교사효능감 전체를 살펴보았을 때, 적극적 개발 유형 교사들의 효능감은 3.48점, 관습적 개발 유형의 교사효능감은 3.29점, 소극적 개발 유형 교사들의 효능감은 3.07점으로 나타나 관습적 개발 유형 교사들이 소극적 개발 유형 교사들보다 효능감이 높고, 적극적 개발 유형 교사들이 관습적 개발 유형 교사들보다 효능감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능감의 하위 구성요인인 학생참여 효능감, 교수학습 효능감, 학급경영 효능감에서도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피드백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동료 교사들 간에 피드백이 자주 교류되도록 동학년 분위기와 학교풍토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지속적인 지식 개발을 함과 동시에 매 수업에서 실천하고 반성하고 재구성하여 수업 능력을 발전시켜 간다. 동료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와 피드백, 학교장의 교육적인 목적을 지닌 피드백은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상당히 유용하므로 피드백이 잘 교류되고 활용되는 포용적이고 민주적인 분위기가 필요하며, 결과나 실적물보다는 피드백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멘토링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고, 공유하는 태도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숙련된 교사를 효과적인 멘토가 될 수 있도록 훈련하고 교육 현장에 더 많은 교사들이 멘토 교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치 있는 보상과 유인가가 지원될 필요가 있다. 또한 멘토 교사 자신도 성장하면서 후배를 이끌 수 있는 ‘공유’의 가치를 인식하고 중요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특히, 학생들의 미래 역량과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미래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려면 핵심역량에 대해 교사들이 더욱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성 개발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적극적 개발 유형의 교사들은 범교과 능력 가르치기, 개별화 수업, 다문화 교육 등의 영역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높은 관심과 참여율을 보였다. 특히, 범교과 능력의 경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다. 교사들이 관련 영역의 전문성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연수활동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실천적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역량을 함양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현직 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위해서 기존의 연수활동을 유지하면서도 주제의 다양화 및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를 주축으로 한 교사 협력활동과 소모임 활동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와 공동 교수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는 교사 문화 조성에 힘써야 한다.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함께 연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충분한 시간과 기간을 통해 교사들이 서로의 관심사와 목표 및 비전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에 대해서 협의하고 나눌 수 있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제공하여 교사들이 동학년 또는 교과 단위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자주 교류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와 분위기를 조성하면 공동 교수 활동과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교직경력이 높고 전문성 개발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습연구년 특별연수를 활용하여 자기개발과 재충전의 시간을 제공할 수 있고 개인적인 전문성 함양에서 나아가 교직 사회의 집단적 전문성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초등 교사들에게 미치는 학교장의 교수리더십(instructional leadership)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학교장으로서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환기할 필요가 있다. 학교장들은 교사들의 수업 지원과 긍정적인 학교 분위기 조성, 피드백 활용이 잘 이루어지는 문화 만들기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여 유형화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유형별 교사효능감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세부 유형별로 전문성 개발 수준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초등 교육 현장에 적극적 개발 유형의 교사들이 더욱 확산되고 일반화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치유이미지에 대한 섬유표현연구 : 한의학 관점에서의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姜裕慶 동덕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는 늘 상반된 두 가지 감정이 교차된다. 기쁨과 슬픔, 희망과 절망, 고통과 희열... 이러한 감정들이 모여 하나의 삶을 이뤄나간다. 따라서 미술작품에는 이러한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마음이 표현되어 있으며 삶의 경험에서 얻어진 기쁨과 슬픔이 담겨 있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욕구와 갈등을 상징으로 그려내고 있다. 복잡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누구나 한번쯤 아픔을 겪는다. 그것이 어떤 명명 할 수 있는 질병이든지 아니면, 현대인이면 누구나 있음직한 스트레스에 의한 정신적 질환이든지 유한존재로서 인간에게 아픔이란 우리 삶의 양면성처럼 결코 비껴갈 수 없는 것이다. 치유이미지는 어떤 병에 대한 직접적인 치유효과를 보여주기보다는 치유의 이미지로써 우리가 느끼는 아픔이 결코 혼자만 앓는 아픔이 아닌 우리 동시대인이 공유하는 고통이라는 데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아픔과 치유이미지를 통하여 삶의 양면성을 상징화하고, 이를 통하여 아픔을 함께 공유하고, 아픔을 이겨낼 수 있는 희망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 “병이란 인간 내부의 부조화에서 오는 것이다”라고 정의한 것처럼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병이란 슬픔, 절망, 고통 등의 감정이 우리 내부 안에서 혹은, 우리 삶 안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나타나는 것이다. 한의학에서의 치료 또한 물리적인 치료효과 보다는 유기적인 균형과 조화를 중시하며 병의 원인을 내부에서 찾아 장기적인 치료를 통해 조화를 되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질병을 치료하는 힘은 모든 사람의 내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데 나의 경우에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힘이 활성화되어 나온다. 내 작업의 목적은 단지 작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제작 과정을 통하여, 즉 내 자신과 치유를 원하는 상대방의 상황을 반복하여 검토해 보는 과정에서 치유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이다.”라는 치유미술가 크리스찬 코뱃의 말처럼 자신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신이 누구인가를 알게 되는 과정에서 치유를 경험하는 치유미술(Healing Art)은 한의학과 그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서양적 관점에서 접근을 한 코뱃과는 달리 우리 정서에 맞으며 근원적이고 전체성을 중시하는 동양철학에 근본을 둔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치유미술을 접근하였다. 치유이미지의 상징화 대상은 가장 가까우면서도 근원적인 탐구가 가능한 ‘나’를 대상으로 삼았다. 아픔과 치유의 이미지는 본인의 일상의 기록인 데일리이미지(Daily Image)를 통하여 고통과 치유에 대하여 형상화 시켰고, 그 이미지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낙서화 분위기의 드로잉(Drawing) 느낌을 살려 경사 이카트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주된 기법이 되는 경사 이카트 기법은 부드러운 섬유의 느낌과 더불어 구체적 형상의 회화적인 표현과 우연적인 효과의 표현이 가능하며, 섬유조직의 텍스쳐로써 시각적인 효과와 동시에 촉각적인 효과에 의한 치유이미지의 상징화를 보여 주고자 한다. 또 작품에 나타나는 선과 색, 형태, 섬유조직, 등은 그 하나하나마다 한의학의 배경이 되는 동양철학의 상징성을 담고 치유와 아픔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재료에 있어서도 한약재와 한의학의 여러 가지 치료기구 등의 오브제(Objet)를 사용하여 치유이미지를 상징하고, 형상화 하였다. 치유와 아픔의 이미지는 삶에 있어서 행복과 불행의 양면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삶의 행복과 기쁨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한의학에서 말하는 치유의 의미처럼 자신의 내면에서 생겨나는 것이며, 가장 큰 치유의 힘은 결국 ‘정성’과 ‘소망’을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re are two emotions crossed as life of human being through joy and sad, hope and despair, agony and delight ect. Those emotions make one of human life. An object of art is expressed human mind in order to live human life, there are symbolized not only joy and sorrow as the result of life experience, but also desire and complication. It was pictured symbol with desire and complications, otherwise it is difficult conversation. It is symbolized both bright and seamy sides of life. In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world, we get a pain at least once. Whether it named disease or not. It may experience the mental disease by stress or the pain of human being. Those are both sides of human being as limited life of human being. The image of medical treatment displays directive effect for some disease, the pain of our feeling is not the pain of one person as the image of medical treatment. Those are pains of contemporary human being, each other also it makes structure of pain in order to form the sympathy of pains. It is symbolized by two sides of life through pains and healing image. Therefore, it will suggest a desire to overcome pains. Oriental medicine defined "Disease came from disharmony of human inside". Disease of human being appears, when we are disharmony by emotion of sorrow, desperateness and pain inside of life. For instance, in Oriental medicine, it is very important medical treatment and organic balance and harmony rather than physical remedy. It means to get harmony through constant treatment to search cause of disease. "I make works using human bodies as subject and put emphasis on the process of making them. I believe that the healing force is innate in everybody, for in my case, during the process of working such force is activated and bursts out. My purpose of art-making is not merely producing art works, but to produce the healing force in the process, and it recounts repeatedly circumstances both of the person who wishes healing and myself." Artist Christian corbat said healing art is study of oneself confidence and experience of medical treatment. But my study approached oriental medical view which based oriental philosophy. Symbolizing object of healing image purposed myself which is near and basic study. Image of pain and medical treatment formed by my daily image. It expressed drawing feeling of warp ikat techniques. Warp ikat of main weaving technique can express pictorial expression, and accidental expression. Texture of textile organization is symbolized by sense of sight and sense of touch. Also, line and color, specially form and textile organization are symbol of oriental philosophy. And it include pain and healing. In order to make work of art, I used materials of oriental medicine and various kinds of medical healing object. It symbolized, and it formed construction. Image of healing and pains are symbolized both side happiness and misery. Happiness and joy come not only outside of oneself but also inside of oneself as meaning of oriental medical healing. The greate power of medical treatment emphasize finally to remind true heart and h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