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인권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s increases due to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y around the world, efforts and interest in managing health more efficiently and improving standards are increasing.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medical checkups is emphasized because they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reduce medical expenses by detecting diseases early through medical checkups. Currently, the rate of medical examinations in Korea has been on the rise every year to 76.9%, but it is still 30%.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rate of progression of medical examination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whether or not Korea has a medical examination. The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2018) and selected 17,295 people from 24,269 people under 19 years of age and 356 cases of missing major variables. The analysis focused on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disease factors, health shape factors, and medical use factors that affect whether a medical examination is performed or not. The research method used a weighted complex sample analysis metho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health examination yiel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 examination resin, we use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logistic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demographic factors, men had a higher rate of medical examination than women, and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 rate of medical examination. Second, in socioeconomic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insurance among the types of health insurance, the higher the income level, and the higher the rate of employment in economic activities. Third, in the case of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e setting and disease 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medical examination depending on the disease. Fourth, in the case of non-smokers in health type factors, if the weight is normal, and if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s good, the rate of medical examination was high. Fifth, the rate of promotion for medical examinations was high when outpatient and hospitaliz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were used in medical use factors. Overall, there were demographic factors (gender and age),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insurance typ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conomic activity status), health type factors (smoking, obesity,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medical use factors (two weeks of outpatient use, one year of hospital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looked at the factors that affect whether or not a medical examin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presentativ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order to improve the rate of medical examinations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socioeconomic support and promotion of medical examinations will be needed for those with low health examination rates. Keywords: Health examination,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Disease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Medical use factors 전 세계적으로 의학기술에 발전 등으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데, 이는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이고 의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 건강검진 수진율은 76.9%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아직까지 30%에 달하는 미수진율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건강검진 수진율 향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는 제7기 1, 2, 3차년도(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총 24,269명의 대상에서 만 19세 미만 6,618명과 주요 변수 결측 사례 356명을 제외한 17,29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학적 요인, 질병 요인, 건강행태 요인, 의료이용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건강검진 수진율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 분석을 사용하였다.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요인에서 여성에 비해 남성의 건강검진 수진율이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검진 수진율이 높았다. 둘째, 사회경제학적 요인에서 건강보험종류 중 건강보험(직장)가입자인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제활동을 하는 취업자인 경우가 건강검진 수진율이 높았다. 셋째, 질병 요인에서 당뇨병과 고혈압의 경우 질병여부에 따라 건강검진 수진율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건강행태 요인에서 비흡연자인 경우, 체중이 정상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건강검진 수진율이 높았다. 다섯째, 의료이용 요인에서 의료이용기관의 외래 및 입원을 이용하는 경우 건강검진 수진율이 높았다. 종합적으로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 사회경제학적 요인(건강보험종류, 교육수준, 소득수준, 경제활동상태), 건강행태 요인(흡연여부, 비만, 주관적 건강상태), 의료이용 요인(2주간 외래이용 여부, 1년간 입원이용 여부) 등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건강검진 수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추후 국가 차원에서 건강검진 수진율 향상을 위해 건강검진 수진율이 낮은 계층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지원과 건강검진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 치과의료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에 관한 연구 : 충북 지역 치과의원을 중심으로

        박진선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충북 지역 치과의료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실태를 파악하고자 「장애인등편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편의시설 설치기준을 근거로 청주시 소재 치과의료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해 조사하였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은 치과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실측 조사 및 관찰 조사하였으며, 본 조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 총 245개의 치과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얻어진 연구결과 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시설은 치과의료기관의 편의시설 중 가장 높은 설치율을 나타냈다. 매개시설 중 주출입구 접근로는 대부분 휠체어 통행이 가능한 정도의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었고,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은 매개시설 중 비교적 설치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주차구역의 위치가 출입구나 경사로 앞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 부적정 설치율이 높았다. 둘째, 내부시설은 조사대상 치과의료기관 대부분 적정하게 설치되어 있었으나 출입문 손잡이의 점자 표지판의 미설치율이 높았다. 승강기도 마찬가지로 대부분 적정하게 설치된 편이었으나 승강기 앞 점형 블록이나 장애인이 감지 가능한 바닥재의 경우 설치율이 낮아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셋째, 위생시설과 관련하여 장애인 전용 화장실은 미설치된 곳이 대부분이었고, 장애인 전용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남·여 화장실 구분이되어있지 않은 곳이 많았다. 넷째, 안내시설 중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은 대부분 미설치되어 있었고 유도 및 안내시설이나 음성안내장치, 시각장애인용 유도신호 장치 역시제대로 설치된 곳을 찾기 어려워 시설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미루어보았을 때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다고는 하나 부적정하게 설치된 비율이 높았다. 「장애인등편의법」에서 다양한 항목들로 나뉘어 대상시설에 따른 의무와 권장사항을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지만, 해당 항목 설치에 대한 강제성이 매우 부족한편으로 의무사항으로 규정된 시설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법의 개정은 물론이고 편의시설 설치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애인의 치과의료접근성을 강화하고 구강보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과의료기관 개설단계부터 장애인을 위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다양한기준 및 디자인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편의시설에 대해서도 법적규정을 강화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인 지원도 고려되어야 할것이며 공공기관이나 치과 관련 종사자, 일반 주민들에게도 홍보와 인식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dental institutions in Cheongju based on the criteria for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current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directly visited by dental institutions for a survey and observation, and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45 dental institutions from January 1, 2020 to April 30, 2020. Thereupon, followings are the survey result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be acquired. Firstly, intermediary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installation rate among the convenience facilities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Internal facilities, other sanitary facilities and information facilities, etc. showed remarkably low installation rates. Among the intermediate facilities, mostly the roads accessing to the main entrance were installed on the basis to which wheelchairs could pass and parking zones for the handicapped showed a relatively high installation rate, however, it was not installed in front of the entrance or the slope, and the location was improperly installed. Secondly, most of the internal facilities were properly installed, however, braille signs on the door handles were not installed in most of all dental institutions. Most of the elevators were properly installed, however, point-shaped blocks in front of elevators or flooring materials that can be detected by the disabled, are required to improve due to low installment rate. Thirdly, in relation to sanitary facilities, more than the half were not installed the handicapped only rest rooms, and even if the handicapped only restroom was installed, most of them were not separated as male and female. Fourthly, more than half of the information facilities were not installed Braille blocks for the visually-impaired, the improvement was urgent since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place that installed properly all of guidance, information facilities, voice guidance devices, and guidance signal device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improperly installed facilities, even facilities regulated as mandatory were not installed although there were som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In addition,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onvenience for the Handicapped is divided into diverse items, and presents the oblig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each facility, however, due to the lack of forciblenes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relevant items, the revision of the law and the supervision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installation should be encouraged. In order to realize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equally with the general public and achieve social integration, designs for the handicapped should be made from the design stage of a dental medical institution, and various standards and designs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ot only applicable to newly opened convenience facilities, but the legal regulations of the existing installation oblig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lso, financial support from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promotion and awareness should be increased to public institutions, dental workers, and general residents.

      • 우리나라 성인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유경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2018년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 및 2020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신규 암 환자는 243,837명으로 2017년 235,547명 대비 3.5% 증가하였고, 암 사망률 또한 2019년 158.2%에서 2020년 160.1%로 증가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 암 진단 경험자들의 전반적인 건강관리 필요성이 매년 커지고 있다. 삶의 질은 암 진단 경험자의 생존가능성의 지표, 즉 예후에 대한 예측인자와 치료 효과의 지표로 주목받고 있으며 추후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 참여 동기 및 실천 행동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암 진단 경험자의 예후 및 생존율 향상을 위한 국가 암 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질병관리청에서 시행된 제7기 1,2,3차년도(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만 19세 이상이면서 의사로부터 암 진단 받은적이 있는 대상자 922명 중 주요 변수 결측사례(16명)를 제외한 90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 만성질환 요인, 건강행태 요인, 의료이용 요인과 암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해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별 빈도와 백분율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EQ-5D)과 5가지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스트레스, BMI, 미충족의료, 외래이용이었다. 여성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1명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쁨인 경우,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BMI가 비만인 경우, 미충족의료가 있는 경우, 외래이용이 있는 경우에 삶의 질이 낮았다. 둘째, 삶의 질(EQ-5D)의 5가지 영역에서‘운동능력’은 성별,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흡연, BMI, 외래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기관리’는 경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BMI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일상활동’은 성별, 나이, 경제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흡연, BMI, 외래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통증/불편’은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미충족의료, 외래이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불안/우울’은 가구원 수,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음주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대표성 있는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성인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추후 국가 차원에서 암 진단 경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According to the 2018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Project Annual Report and 2020 Death Reason Statistics, there were 243,837 new cancer patients in Korea, when 3.5% has been increased from 235,547 in 2017, and Cancer death rates also increased from 158.2% in 2019 to 160.1% in 2020, and in the long term, the overall health care needs of the cancer survivors are growing every year. Quality of life is noted as an indicator of the viability of cancer survivors, that is, predictor of prognosis and therapeutic effectiveness, whi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driving the motivation and action of participating in healthcare for future managem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intends to grasp the factor upon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 and prepare the basic data of national cancer health management policy for improving the prognosis and survival rates of cancer survivors. The data from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of the 7th 1st, 2nd, and 3rd year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and of the 922 people who were over 19 years of age and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by their doctors, 906 were selected as finalists, excluding key variable defect cases (16). The analysis focused on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chronic disease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medical use factors and cancer-related factors. The analysis was a weighted composite-based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cancer survivors, and T-test,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ancer survivors. Finally, a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EQ-5D index and five areas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 were gender, 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restrictions on activity, stress, BMI, unmet medical care, and outpatient use. In case of woman, the higher the age, one household member, and the poor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in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use factors, the more restrictions on activity, the higher stress, the more obesity of BMI, the more unmet medical care, and if outpatient use is available,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Second, in five areas of the quality of life (EQ-5D), 'Mobility' was affecting gender, ag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tress, smoking, BMI, and outpatient use, and 'Self-Care' was affecting economic activity,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BMI. 'Usual Activities' was affecting gender, age, economic activity,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tress, smoking, BMI, and outpatient use, and 'Pain/Discomfort' was affecting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tress, unmet medical care, and outpatient use. Finally, ‘Anxiety/Depression’ showed that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subjective health, stress, and drinking were the influence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in Korea by based on the representative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dditional policies for improment of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 방사선사의 초음파 선행경험이 심장초음파 교육 학습목표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강소미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radiological technologist's (RT’s) echocardiography education class goal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RT’s pre-experience on the learning goal difficul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 of RT’s and cardiac sonographer (CS)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Likert 5-point scale by deriv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om 4 questionnaires, pre-experiences ultrasound from 3 questionnaires (external ultrasound scan experience, registered diagnostic cardiac sonographer licence acquisition, advanced practical RT of clinic sonographer (echo) licence acquisition, and 45 sub-learning goals based on 8 concepts. As a statistical analysi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ultrasound pre-experiences were frequency -analysis. And the Mann-Whitney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target difficul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ultrasound pre-experienc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OVA) for the ultrasound pre-experience group and the ultrasound non pre-experience group. As a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f the p-value was 0.05 or less using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 As a result, as for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goal for echocardiography, the quality control proficiency was 3.42±1.29 points, the understanding of cardiac pathology was 3.35±1.08 points, and the deciphering ability of cardiac medical images was 3.35±1.30 points. As for the average learning goal difficulty of the‘ultrasound pre-experience group’, the report writing proficiency was 3.20 points, cardiac pathology understanding was 3.25 points, and quality control proficiency was 2.80 points. As for the average learning goal difficulty of the‘ultrasound non pre-experience group’ was 3.74 points, cardiac medical image decoding ability was 3.63 points, and cardiac pathology understanding was 3.52 points. The period of time it to perform the scan independently was‘the quality control proficience',‘the deciphering ability of cardiac medical images', ‘the understanding of cardiac pathology' were the highest at 6 months or more. Through the derived results, RT’s one of the CS beginners is an empirically required learning goal in the fields of quality control, cardiology pathology, and the deciphering ability of cardiac medical imag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field of echocardiography education by presenting learning goals suitable for the pre-experience of ultrasound for CS beginners. 본 연구는 방사선사의 심장초음파 교육 수업목표를 수립하고 방사선사의 초음파 선행경험이 학습목표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방사선사이면서 심장초음파사인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내용은 인구학적 특성 4문항, 초음파 선행경험(심장 외 초음파 스캔 경험, 국제심장초음파 자격증 (Registered Diagnostic Cardiac Sonographer, RDCS) 취득 여부, 심장초음파 전문방사선사 자격 취득 여부) 3문항, 최종학습목표 8개의 개념에 따른 하위학습목표 45문항 도출하여 심장초음파 학습목표 난이도 분석도구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인구학적 특성 및 초음파 선행경험을 빈도분석 하였고,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목표 난이도와 초음파 선행경험에 따른 학습목표 난이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Mann-Whitne y test 독립표본 T-test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초음파 선행경험 집단과 초음파 미선행경험 집단에 대해 Kruskal-wallis 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였다. 이때 사후검정으로는 최소유의차(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SD)를 이용하여 p-value가 0.05 이하이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정의하였다. 그 결과, 심장초음파 학습목표 난이도는 정도관리 숙련도가 3.42±1.29점, 심장병리학 이해도가 3.35± 1.08점, 심장의료영상 해독력이 3.35±1.30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초음파 선행경험’집단의 평균 학습목표 난이도는 레포트(reoprt) 작성 숙련도가 3.20점, 심장병리학 이해도가 3.15점, 정도관리 숙련도가 2.80점 순으로 높은 학습목표 난이도를 나타냈다.‘초음파 선행미경험’ 집단의 평균 학습목표 난이도는 정도관리 숙련도가 3.74점, 심장의료영상 해독력이 3.63점, 심장병리학 이해도가 3.52점 순으로 높은 학습목표 난이도를 나타냈다. 독립적으로 검사를 수행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정도관리 숙련도, 심장의료영상 해독력, 심장병리학 이해도 총 세 가지 학습목표가 6개월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통해 방사선사 심장초음파 입문자들은 정도관리와 심장병리학, 심장의료영상 해독 분야에 교육 활성화와 집중 학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심장초음파 입문자들의 초음파 선행경험에 맞는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심장초음파 교육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개인정보보호인식이 코로나19 방역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여진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COVID-19, originated from Wuhan, China in December of 2019, is mostly a new respiratory infection with symptoms of fever, cough, dyspnea, and pneumonia, along with various accompanying systemic symptoms (vomiting, diarrhea, headache, etc.).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clared ‘Pandemic’ and it is being spread worldwide in an alarming rate. To prevent its spread, health authorities are disclosing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epidemic crisis of ‘Caution’ or higher level, based on Article 34-2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Disclosure of information in epidemic crisis). However, preventive measures based on the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such a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creates a controversy of human right violation and invasion of privacy. It has come to attention if the public will voluntarily comply to preventive measures despite such drawback. The current study is to identify causality between public perception on privacy protection (privacy protection concern,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acceptance) and factors that can influence COVID-19 preventive measures and willingness to take the test and provide a fundamental reference for effective health-belief model. As for study method, survey has been conducted nationwide on 300 adults, 19 or older. To analyz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items,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causality of potential variable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Privacy protection perception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enefit has shown a positive influence in preventive measures, which further have shown significant influence on willingness to take the test. Therefore, Health belief model has been useful in explaining COVID-19 prevention and willingness to take the test. Current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analyzing structural relation of privacy protection concern and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acceptance with COVID-19 prevention and willingness to take the test via a major variable of health belief model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Korean adults. Keyword: Health Belief Model, COVID-19, Privacy protection perception, preventive measures, willingness to take the test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주로 호흡기 감염으로 발열,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증상을 나타내며 다양한 전신증상(구토, 설사, 두통 등)을 동반하는 신종 감염병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Pandemic’을 선언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전 세계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감염병 확산을 막고자 보건당국에서는 감염병예방법 제34조의 2(감염병위기 시 정보공개)에 따른 ‘주의’ 이상의 감염병 위기 경보시 확진자의 정보 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확진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역학 조사 등의 방역 조치는 확진자의 인권침해, 사생활 침해 논란을 발생시킨다. 이를 감수하면서까지 국민들은 코로나 방역에 적극 협조할 수 있을 것인가에 의문점을 품었다. 국민들의 개인정보보호인식(개인정보보호염려, 개인정보공개수용범위)이 코로나19 방역 행동과 검사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효과적인 건강신념모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측정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잠재 변인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인식이 지각된 이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이익은 방역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방역 행동은 검사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건강신념모델이 코로나19 방역 행동과 검사 의향을 설명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개인정보보호염려와 개인정보공개수용범위가 건강신념모델의 주요 변인을 통해 코로나19 방역 행동과 검사 의향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치매 대응전략에 대한 연구

        이경민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소셜 미디어 상의 빅데이터를 통해 국민의 직관적인 관심도를 파악하여 정부의 기존 정책과의 조화를 이루는 합리적이고 국내 실정에 알맞은 치매 관련 헬스케어 서비스 및 대응전략 수립 활용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보건의료 관련 정부기관의 문헌고찰과 국내 구글 트렌드 검색을 통해 선정하였고, 이를 통한 각각의 키워드들을 파싱 방식의 웹 크롤링을 통하여 원자료로 수집하였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하여 네이버의 블로그, 카페, 뉴스의 플랫폼 간 2015년 2월 1일부터 2018년 2월 28일까지의 일별 언급량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키워드의 일반적 특성인 빈도분석, 감성분석을 진행하였고 키워드의 언급량을 연도 및 기간별로 비교하였으며, 키워드 간의 상관성을 분석, 치애의 언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 치매국가책임제의 언급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최적의 국내 치매 대응 전략 및 정책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선, 빈도분석에서는 키워드 치매예방이 핵심 키워드 치매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감성분석 또한 키워드 치매예방이 가장 높은 긍정의 값을 나타냈다. 평균비교분석 중 ANOVA를 통해 타 연도와의 언급량 차이를 비교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에서는 치매예방이 정책 발표 이후 가장 많은 언급량 차이를 보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각 치매 관련 키워드 언급량들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종속변수 치매의 언급량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중공선성으로 요양병원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이 제외되었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중앙치매센터, 치매안심센터, 치매예방, 치매치료의 6개 키워드가 종속변수 치매에 대한 양의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노인돌봄서비스는 음의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종속변수 치매국가책임제의 언급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트리를 분석한 결과, 두 분석 모두 치매안심센터의 언급량이 높아질수록 종속변수의 언급량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관리를 위한 센터 및 기관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조성과 지역별 사례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서비스와 치매등록통계사업, 치매상담전화센터 등의 홍보와 접근성 제고를 통한 정책의 활성화를 모색하여야 하며, 치매치료에서 치매예방으로 바뀌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고 요양병원 및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 재가노인복지시설의 활성화 등 국민의 관심도가 반영된 국내 치매대응전략 및 정책에 대한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related to dementia and the identification of countermeasures for dementia appropriate to domestic situation harmonizing with the government's existing policies by identifying the intuitive interest of the people through the big data on social med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of government medical institutions related to health care and Google Trend Search. Through this, keywords were collected through parsing style web crawling method as raw data. In addition, through data mining, daily referrals on Naver blog, cafe, and news platform from February 1, 2015 to February 28, 2018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and emotional analysis, which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eywords, were conducted. The frequency of keywords mentioned in the materials was compared by year and by period. The correlations among the keyword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that dementia is mention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whether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is mentioned were identified to induce the most optimal dementia strategy and policy. This study in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frequency analysis, the keyword ‘dementia preven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except for the core keyword ‘dementia’, and in the emotional analysis the keyword ‘dementia prevention’ also showed the highest positive value. In the mean comparative analysis,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mentioning from other years. In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the keyword ‘dementia preventio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mentioning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policy. The correlation of frequency of mentioning dementia related keywords were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frequency of mentioning dementia,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nursing hospitals and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ere excluded because of multi-collinearity. The six keywords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central dementia center, complete dementia care center, prevention of dementia and treatment for dementi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dementia, the dependent variable. The elderly care servic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Whe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of whether the dependent variabl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is mentioned, both analyses showed that the more frequently ‘Dementia’ is mentioned, the more frequently the dependent variable is mentioned. It is expected to organize an organic network of centers and institutions for dementia management, to establish case management for each region, to seek promotion of policies through publicity and accessibility of long-term care insurance and services for the elderly, to take a positive attitude of policy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paradigm that changes from the dementia treatment to the dementia prevention, and to establish a strategy for domestic dementia response strategy and policy that reflects the interest of the public by improving the negative image of the nursing hospital and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activating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치과감염관리 시 소요되는 시간 및 물적 자원에 관한 연구

        이나영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Objective: Dental infections are those in which microbe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blood or saliva in the dental clinic environment, indirect contact through contaminated instruments and equipment, or aerosol droplets during the use of handpiece or ultrasonic scaler.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ost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to protect the health of patients and dental worker, and compare it with the actual cost of infection management of some dental institu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health insurance and health policy. Material & Method: Based on the CDC's Standard Dental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Guide and Korea's Standard Dental Infection Control Policy Manual, the amount required to implement standard infection control was determined. In addition, a total of 20 dental clinics were surveyed and compared to standard infection control to determine the time and cost of the items actually spent on infection control in dentistry. Result: The cost required for a patient to visit a dentist is 2,434 won for examination, 705 won for iintraoral radiograph, 2,890 won for cleaning, 14,588 won for periodontal operation, 3,040 won for cavity treatment, 3,256 won for root canal treatment, and 16,539 won for third molar extraction. The standard protocol infection control cost was higher than the actual amount used by dental clinics, and the cost of bleeding treatments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because they included disposable surgical suits. The cost of infection control was high when the person responsible for infection control, the a lot of dentists, and the medical certification authority (p<0.05). Conclusion: Effective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s requires training of dental workers on dental infection control based on infection control officers. In addition,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cost of dental infection control, which is a major limitation of dental infection control, will naturally increase the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치과감염이란 미생물이 치과진료실의 환경에서 혈액이나 타액에 직접 접촉, 오염된 기구 및 장비를 통해 간접 접촉, 핸드피스나 초음파치석제거기의 사용 중 에어로졸로 인한 비말에 접촉하는 등의 여러 경로로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와 치과종사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시행되는 치과 감염관리 소요비용을 추정하고, 이를 실제 일부 치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활동에 의거하여 추정된 비용과 비교하여 실질적인 치과감염관리를 위한 국민건강보험수가 책정 및 보건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표준 치과감염관리지침서(1)와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 발간한 치과감염관리 표준정책 매뉴얼(2)의 내용을 기초하여 표준 감염관리 시 소요되는 금액을 산정하였고, 현재 실제 치의료기관에서 감염관리에 발생하는 시간 및 물품의 비용을 추정하기 위해 총 20개의 치과 병․의원의 감염관리 행위를 설문조사하여 표준 감염관리와 비교․분석하였다. 위의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 환자가 치과에 내원하였을 때 소요되는 표준 프로토콜에 따른 비용은 초진 및 재진 진찰 시 2,434원, 구강내 방사선사진 촬영 시 705원, 치석제거 시 2,890원, 치주질환수술 시 14,588원, 우식충전치료 시 3,040원, 치수 및 근관치료 시 3,256원, 구강외과 수술 시 16,539원이다. 또한 표준 프로토콜 감염관리비용이 실제 치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금액보다 높으며, 관혈적 술식에 필요한 비용이 일회용 수술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진료의 감염관리비용보다 높다. 감염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은, 감염관리책임자가 있을수록, 치과의사 수가 많을수록, 의료인증 기관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치과에서의 효과적인 감염관리를 위해서는 감염관리책임자를 기준으로 하여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치과종사자들의 교육 및 인지가 필요하다. 더하여 치과감염관리의 한계점인 비용에 대한 적정한 보상체계와 객관적인 국민건강보험수가 책정 및 정책 수립이 된다면 감염관리에 대한 실천수준도 자연스레 향상할 것으로 사료된다.

      • 치과의료 종사자의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분석

        김혜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치과의료 종사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구강스캐너 사용 실태 및 인식과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또한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2023년 3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치과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치과위생사, 치과의사, 치과기공사 2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항의 응답자는 96.3%로 대부분이며 이 중 사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75.3%로 응답자가 근무하는 많은 치과의료기관에서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사용한다. 2.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72.2%이나 대학 재학 중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20.7%로 인지도에 비해 교육 경험이 현저히 낮아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3.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93.0%이며 대학에서의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90.8%로 대부분의 응답자가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교육 및 대학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4.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도는 5점 만점에 3.82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치과기공사(3.98점), 치과의사(3.96점), 치과위생사(3.77점) 순이었다. 5. 디지털 구강스캐너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로는 남성이, 직업군으로는 치과의사가 디지털 구강스캐너 인식도가 높았으며,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 요구도가 높을수록 디지털 구강스캐너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 많은 치과의료기관에서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사용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른 디지털 구강스캐너의 교육 필요가 요구된다. 앞으로도 더욱 디지털 구강스캐너가 발전됨에 따라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또한 대학 교육 과정에서 디지털 구강스캐너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앞으로 더 발전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use,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digital oral scanners among dental personnel. It was also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uggesting improvement plans for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2023 to April 2023 among 295 dental hygienists, de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working in dental institution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96.3%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digital oral scanners, 75.3% of which the respondents have experience with and are used in many dental institutions where respondents work. 2. 72.2% of respondents had received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but 20.7% of respondents were educated at university,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wareness rate, and requires improvement. 3. 93.0% of the respondents felt the need for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and 90.8% responded that university curriculum is needed, showing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feel the need for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and university curriculum. 4. The awareness rate of digital oral scanners was 3.82 out of 5, followed by dental technicians (3.98 points), dentists (3.96 points), and dental hygienists (3.77 points). 1. As a factor affecting the awareness of digital oral scanners, men and dentists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digital oral scanners and those with a higher demand for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awareness. As such, many dental institutions are using digital oral scanners in modern society, but systematic education is not being conducted, therefore requiring the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accordingly. As digital oral scanners continue to develop,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and it is expected to further develop if digital oral scanner education is provided as a university curriculum.

      • 초음파 젤 용기 세척법이 오염균의 제균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의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병원 감염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병원 감염으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감염 관리는 여러 의료 기관의 환경이 감염 전파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의료 기기 중 초음파 기기는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면서 검사를 시행한다. 초음파 검사에 필요한 초음파 젤은 환자의 피부에 먼저 접촉되어 사용하는데, 젤을 사용한 초음파 검사 후 복부 발진과 가려움증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2016 년 1 월 1 일부터 초음파 젤은 의료 기기로 변경되어 의료 기기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차 의료기관에서는 초음파 5L 겔 용기에 담긴 젤을 200mL 전용 용기에 넣고 반복 사용한다. 감염 예방 효과의 관점에서는 일회용 초음파 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은 용기에 젤을 담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젤을 이용하여 감염 원인과 효과적인 제균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미사용 5L 용기에 든 젤에 대한 박테리아 테스트를 통해 초기 오염 수준을 확인 하였다. 둘째, 초음파 환경에서 용기 오염 수준을 사용중인 용기와 새로운 용기의 균검사를 통해 확인 하였다. 셋째, 250 mL의 새 용기를 물로 세척하고 젤을 담아 2 주간 항온 배양 하였다. 그 후, 초기 감염에 대한 콜로니를 측정 하였다. 그리고 각 용기를 비 세척, 물 세척, 비눗물 세척, 고준위 소독법으로 세척한 후 용기에 젤을 담고 2주 후 균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2 개의 병원성 박테리아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를 상온에서 24 시간 및 48 시간 후에 콜로니 수를 측정하여 겔에 대한 세균 배양 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의료 기기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재료인 초음파 젤의 오염 물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음파 젤을 사용하면 환경 요인에 의해 박테리아가 유발 될 수 있다. 둘째, 초음파 젤을 사용할 때, 비눗물로 용기를 씻음으로써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셋째, 대표적인 병원균이 초음파 젤에 첨가 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이 감소한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젤 자체는 박테리아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젤 주변의 환경 요인과 부적절한 세척방법을 용기에 적용하면 오염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음파 젤 용기의 주기적 세정과 청정 환경의 유지가 초음파 검사 중 감염 제어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게 되었다. As the modern medical environment changes, hospital infections continue to increase. There was economic and social loss caused by hospital infection so we need countermeasures to prevent this. Infection management was important because the environment of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can act as a mediator of infection transmission. Ultrasonic devices among medical devices are being inspected while contacting the patient's skin. The ultrasound gel, which is necessary for the ultrasound examination, is first contacted with the skin of the patient. After the ultrasound examination, abdominal rash and itching are caused. As of January 1, 2016, the ultrasonic gel is changed to medical device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medical device technique. Generally, in a primary medical institution, gels in an ultrasonic 5 L gel container are placed in a 200 mL dedicated container and used repeatedly. In terms of infection prevention effect, disposable ultrasound gel was preferably used, however, there was a case in which a small container is repeatedly replenished for reus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infection and efficient method of eradication by using ultrasonic gel. First, the initial contamination level was checked by the bacteria test for unused 5 L bulk, Second,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container in the ultrasonic environment was checked through the test of the ultrasonic gel container and the new container in use. Third, 15 untreated 250 mL containers were washed with water and incubated with the gel for 2 weeks. The colonies were then measured for initial infection. After washing for 2 weeks, the cells were compared with the initial colonies. The cells were washed three times in each group, and the cells were washed without washing, washing with water, soapy water, washing method and high level disinfection. Finally, two pathogenic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were enriched for 24 hours and 48 hours at room temperature and colony count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bacterial culture characteristics for the gel.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or contaminants of ultrasound gel, which is a necessary material for using ultrasonic medical devices. First, when the ultrasound gel is used, bacteria may be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when using an ultrasound ge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bacteria by washing the container with soapy water. Third, microorganisms are reduced over time even when a representative pathogen is added to the ultrasonic gel. In conclusion, ultrasound gel itself does not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bacteria can grow, but may be contaminated if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 gel and inappropriate methods are applied for reus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periodic cleaning of ultrasonic gel container and maintenance of clean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ultrasound examination.

      • 흉추 도수교정이 경추신경병증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정중신경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명종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경추신경병증 환자에게 적용되는 흉추 도수교정이 가짜 흉추 도수교정과 비교하여 통증과 기능장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경추신경병증 진단을 받은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흉추 도수교정군과 대조군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평가는 통증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숫자통증등급척도, 경추 능동관절가동범위, 한국어판 경부장애지수 설문지, 그리고 정중신경의 기계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영상 측정을 진행하였다. 기초선 측정 이후 각 그룹에 흉추 도수교정과 가짜 흉추 도수교정을 적용하고 두 군에 동일하게 일반적인 물리치료(전기치료, 열치료)를 30분 적용하였다. 이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위와 동일하게 재평가를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윈도우용 SPSS version 22를 이용하였으며, 각 그룹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흉추 도수교정군과 가짜 흉추 도수교정군의 통증, 경추 능동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초음파검사 전, 후, 추적평가 결과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과 ANOVA를 사용하였다(유의수준 0.05). 연구 결과 통증은 중재 전에 비해 추적평가에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으며, 관절가동범위는 중재 전, 후, 추적평가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증가 되었다. 경부장애지수는 중재 전, 후, 추적평가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추 관련 통증을 가지고 있는 대상들에게 흉추 도수교정을 적용하는 것이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개선의 효과를 보였다. 특히 경부장애지수 점수 개선에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므로 적극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를 확보하고 중재 기간을 확대하여 장시간 중재의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hysical therapists with therapeutic knowledge by demonstrating how thoracic spine manipulation applied to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affects, such as pain and dysfunction, when compared to sham thoracic spine manipul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5 people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oracic spine manip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ham thoracic spine manipulation.  For the evaluation, a numeric pain-rating scale was used to confirm the degree of pain improvement. An iPhone 13 Pro measurement application was us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cervical active range of motion. In addition, the Korean neck disability index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improvement in daily life, and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to confirm mechanical changes in the median ner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2 for Windows, an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ANOVA, before, after, and after follow-up results for pain,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nd ultrasonograph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ollow-up evaluation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range of mo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s well as in the a follow-up evaluation. The neck disability index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ollow-up evaluation before, after, and after intervention, and the median nerve flatness ratio was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wa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as before intervention.  The study’s result indicated that thoracic spine manipul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ain,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nd median nerve changes. In future studies, more participants should be included to measure the immediate effect at each intervention session and analyze the continuity of treatment by expanding the follow-up perio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generalize the findings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