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Claude Debussy의 피아노를 위한 《Douze Etudes Livre Ⅱ》에 관한 분석연구 : Ⅵ - VII 곡을 중심으로

        강누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Ⅱ. 본론에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드뷔시는 기존 장음계와 단음계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선법을 사용하며 화성에 있어서도 자주 사용하지 않았던 화성인 병행화음인 5도, 감∙증 3화음, 비3도 화음 등을 사용하며, 여러 가지 리듬과 풍부한 음색을 제시하며 그만의 음악 세계를 만들어갔다. 이러한 작곡 기법을 바탕으로 완성된 드뷔시의 「Douze Etudes」는 피아노 주악 기법의 발달에 큰 공적을 이루었다. 이 연주곡은 본래의 연습곡에서 사용했던 연주 기술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음색이나 음향 asu에서도 피아노의 표현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특히나, 12곡 중에서도 2권에 있는 여섯곡은 다른 누구도 다룰 수 없는 작곡가만의 특징이 현저히 잘 나타나 있는 곡이다. 드뷔시의 「Douze Etudes」에 나타난 특징을 정리해보면, 첫째, 양식에 있어서 대부분 3부분 형식으로 나뉘어지지만 다양한 리듬의 진행이 지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곡을 끌어나가기 때문에 구분이 모호하다. 둘째, 고전적인 조성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조성의 형식을 이루고 있지만 조성이 장조와 단조의 조성만을 사용하지 않고 교회선법, 온음음계, 반음음계, 5음 음계 등을 바탕으로 두고 작곡되었다. 셋째, 조성이 모호하며, 때로는 하나의 화음을 지속시키면서 그 화음 위에 다른 화음을 겹쳐 연주하거나 또 다른 조성으로 선율을 명시하는 여러 개의 조성의 느낌을 준다. 넷째, 불협화음을 해결하지 않거나, 부가음, 비정규적인화음, 3화음의 병행진행도 자주 사용하고 자유로이 전조를 하면서 드뷔시 음악의 개성적인 울림을 만들어냈다. 다섯째, 악상에 있어서 가끔 사용되는 f 말고는 보통 p와 pp를 연주하며 드뷔시 음악의 신비롭고 분위기를 연출했다. 여섯째, 자세한 나타냄 말을 표시하여 정확한 표현을 명시하여 요구하고 있다. 「Douze Etudes」는 그 만의 개성이 있는 작곡 기법을 바탕으로 완성된 작품이며 기교적인 면이나 음악적인 완성도라는 점에서 모든 사람에게 이 작품은 선택적이 아닌 필수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Debussy used not only the conventional major and minor scales but also other diverse melodies. He used such rare chords as parallel chord the fifth, diminished and augmented triad, non-triads, etc, while suggesting various rhythms and rich tones, to create his own unique world of music. Debussy's 'Douze Etudes' completed based on such composing techniques conduc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piano play methods. This work deals with not only the playing techniques used for the conventional étude but also the possibility of piano play in terms of tone and sound effects. In particular, among the 12 pieces, the 6 ones in the Volume II show composer's characteristics that can hardly be handled by other composers. The characteristics of Debussy's 'Douze Etud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iece of music are divided into 3 parts in terms of forms in most cases, but since the progression of the diverse rhythms continue to be linked in a natural way, the division is ambiguous. Secondly, although the work has a harmonic form not departing from the Classical harmonic concept, its chords do not rely on minors as a whole, but are based on church melody, chromatic scale, diatonic scale and pentatonic scale. Thirdly, the tonality is obscure, and sometimes, a chord progresses to overlap over other ones, and thus, it may be perceived as several chords. Fourthly, the composer does not resolve the discords, while using commentative sound, irregular chords and triad in parallel frequently only to create his own unique reverberation. Fifthly, in terms of motif, he performed p and pp instead of f to render a mysterious atmosphere. Sixth, he made specific expression marks to specify a precise progression. 'Douze Etudes' was completed based on Debussy's own unique composing techniques, and thus, it is conceived that this work should be dealt with not selectively but necessarily because it is perfect in terms of not only technique but also its music artistry.

      •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에 관한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강누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인스타그램에 자녀의 사진을 공유하는 영유아 어머니 10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인스타그램 내 육아 계정들의 게시물을 살펴보았다.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에 따라 수집한 자료로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고, 8개의 중심주제와 20개의 범주, 3개의 영역을 발견하였다. 발견한 3개의 영역은 각각 ‘셰어런팅 톺아보기’, ‘셰어런팅 체험기’, ‘셰어런팅 조율하기’였고, 각 영역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셰어런팅이 아이를 주연으로 어머니가 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인스타그램은 하나의 육아 일기장이자 소통의 창구가 되고 있었다. 셰어런팅이 아동의 사진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행위임에도 그 안에서 아동의 목소리는 찾아보기 힘들었으며 사진을 해석하고 게시하는 권리는 전적으로 어머니가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권리는 아동의 사진에 달리는 댓글에 반응하는 것으로까지 확장되어 아동이 가져야 할 감정과 반응까지 어머니가 대리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어머니들은 인스타그램 속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얻기도 하고 사회비교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사회적 지지 면에서 영유아 어머니들은 다른 어머니와의 소통을 통해 육아 초기의 고립감을 해소하기도 하고 육아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있었다. 때로는 사회적 지지가 과부하에 이르러 부담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또 다른 어머니의 육아 방식을 보며 자신의 육아 방식을 비교, 평가하는 등 사회비교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영유아 어머니들은 셰어런팅의 부정적인 면을 인식하고 나름대로 셰어런팅 패턴을 조절해가며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영유아 어머니들은 셰어런팅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있다는 것과 셰어런팅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당장 셰어런팅의 부작용을 크게 체감하지는 못했지만 위험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상세한 정보는 올리지 않는 등 나름의 기준을 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셰어런팅이 가지고 있는 명암(明暗)을 아동의 권리 측면과 어머니의 복지 측면에서 바라볼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 실천적 측면에서 아동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일 것과 어머니들의 사회적 지지원 마련의 필요성, 그리고 셰어런팅이 초래할 수 있는 범죄에 대한 경각심과 처벌 및 예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sharenting' experienc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young children who share photos of their children and from posts of sharenting accounts on Instagram. Using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uctive subject analysis and 8 central subjects, 20 categories, and 3 domains were found. The 3 domains were ‘examining sharenting’, ‘sharenting experiences’, and ‘adjusting sharen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harenting has been conducted in a way that when directed by the mother, starring children and Instagram has become a parenting diary and a window for communication. Even though photos of children were the medium of sharenting, it was difficult to find voices of children in sharenting and the mother had the right to interpret and post photos entirely. The mother's rights were extended to respond to comments posted on the children’s photos, which means the mother represented the emotions and reactions of the children. Second, mothers of young children gained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d social comparison in a relationship on Instagram.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mother was relieved of the sense of isolation in the early stages of childca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mothers and acquired information necessary for childcare. Sometimes, when social support became overloaded, the mother felt burdened and stressed. In addition, the mother experienced social comparison by comparing with other mothers and evaluating their own parenting skills. Third, mothers of young children knew the negative effect of sharenting and kept their life balance through adjusting the sharenting pattern. The mothers already perceived that there were critics of sharenting and the negative effect that sharenting could bring. The mothers did not worry about the negative effect right away, but they set their own standards such as not posting detailed information in order to protect their children as they were aware of the risk of sharent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light and shade of sharenting in terms of children’s rights and mother’s welfare. In terms of the practical side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voices of children,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mothers, and to enhance awareness,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crimes that sharenting can lead to.

      • 경험을 통한 시적 발상 교육 연구

        강누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struction of creative writing has already been recognized for its necessity and significance in many studies. However, in the real field of education, learners are still having difficulties in creating poetry, and teachers also instruct them without special guidance and therefore cannot obtain much educational value. This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 that instructors or learners continuously raise, 'What should we write?'. And also focuses on the necessity of instruction on 'idea-making'. Moreover, as an effective method of understanding poetry and internalizing learning which among various idea-making learners find difficult to acquire, this study suggests idea-making through learner's 'experience'. This helps the learner to overcome the lack of creative materials and build one's own original poem. Also it helps a person understand that creating a poem is an easy activity of working out one's own story, not a professional act that only the ones with inborn talent can do. Through this, we can expect a change in thoughts about poetry and get rid of the burden people carry when creating poetry. Based on these objectives,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long with the base of the theory of building 'idea-making' through one's own 'experience' and effectively creating poetry. Chapter Ⅱ reveals the educational value of 'experience', especially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lso the chapter will discuss 'idea-making through experience' which differs from the established meaning of 'idea-making' that is used in the overall educational field.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epts that are the basis of this study will be studied in detail. Chapter Ⅲ reveals the structure of accommodation and transformation of Seo Jeong-ju‘s experience, in order to clarify the principle of method study of poetry cre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It notes that Seo Jeong-ju achieves conceptions in various ways when he obtains poetry material, as close as from his everyday experiences to as far as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reading. Moreover, the chapter reveals what transformed structure his experiences show, and looks into the basic structure of experience based idea-making. Through this, chapter Ⅳ reveals the types of idea-making that have experience as their materials, and presents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s. Among various types, memory, observation, projection, association is presented as the types of idea-making that a learner can achieve through experience. And reveals through what process each type of idea-making is achieved, and presents the model. This helps the learner to remember an experience and go through a new experience, and then mediates them. Lastly, the chapter presents the activity and strategy of each stage. Si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making that is based on a learner's experience, it does not put together all the various methods for poetry creation. And has a limit that rather than the expressional aspect, it focuses on the process of thinking that builds and mediates the poetical idea. This gives the possibility of many succeeding studies which are based on idea-making such as this one and have link with poetry's expressional aspects. 창작교육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그 필요성과 교육적 의의를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학습자들이 시 창작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교사 역시 시를 쓰는 방법이나 과정에 대한 별다른 안내 없이 학습자들을 지도함으로써 충분한 교육적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주목해야 할 것이 교육현장에서 교사나 학습자들이 끊임없이 제기하는 문제인 ‘무엇을 써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임을 인식하고, 시 창작 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발상’ 지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리고 나아가 시 창작에서의 발상의 문제에 접근할 때에는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시적 발상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창작 소재의 빈곤을 줄이고 자신만의 독특한 시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 창작이 한 순간의 영감이나 타고난 재능을 가진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전문적인 활동이 아니라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법의 일종으로 충분히 해 낼 수 있는 활동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하여, 시 창작에 대한 부담감을 없애고 시라는 장르 의식의 변화를 꾀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목적 아래 이 논문에서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시적 발상’을 이루고 보다 시 창작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와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경험’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그 중에서도 본 연구가 직접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국어 교육적 측면에서의 경험의 의의를 밝힌다. 또한 교육의 전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상’의 기존 의미와는 차이를 두는 ‘시적 발상’의 개념과 창조적 지향성을 내포하는 ‘경험 중심 시적 발상’에 대해 논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개념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육 현장에 사용될 경험 중심 시적 발상 교육의 시 창작 원리를 밝히고자 시적 발상의 다양성을 매우 폭넓게 보여주는 대표 시인인 서정주의 시를 대상으로 하여 경험의 수용 과정과 창작 과정에서의 변용의 구조를 밝힌다. 서정주가 시의 소재를 얻는 과정에서 가깝게는 자신의 일상의 경험에서부터 멀리는 독서 경험을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간접경험까지 다양한 형태로 시적 발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그의 경험들이 시의 소재로 변용되면서 어떠한 변형을 보이는지 그 구조를 밝혀 경험 중심 시적 발상의 기본적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경험을 소재로 하는 발상의 유형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계획하였다. 무수한 발상의 유형 중 학습자가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발상의 유형으로 기억, 관찰, 투사, 연상을 제시하고 각각의 발상의 유형이 어떠한 사고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를 밝힌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 단계의 모형을 제시한다. 이는 학습자의 경험을 환기하도록 돕고 새로운 경험을 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경험을 확장시킨 후 이들을 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각 단계에 적절한 활동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발상에 초점을 두었다. 시 창작을 위한 다양한 발상법을 모두 아우르지는 못했고, 창작의 완성이나 창작의 전 과정을 포괄하기보다는 주로 시상을 형성하고 조정하는 사고 과정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와 같은 발상에 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창작의 전 과정의 연관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맥문동 물 추출물의 선천면역 활성과 염증억제 효과

        강누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anti-cancer activity by innate immunomodulat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iriopis tuber water extract (LPE). Methods: Cell cytotoxicity was tested with 4T1 mouse mammary carcinoma cells, spleen cells, macrophage, and RAW264.7 cells. To investigate innat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LPE on macrophage, we measur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ukin-12 (IL-12), and interlukin-10 (IL-10). To investigate innat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LPE on RAW264.7 cell, we measured TNF-α, interlukin-6 (IL-6). In addition, TNF-α and nitric oxide (NO)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were measured after treating with LPE to observe innate immunomodulating effect of LPE on RAW264.7 cell. Also,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nuclear factor κB (NF-κB)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LPE affected tumor cell growth above specific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duction of TNF-α, IL-12, and IL-10 were increased in macroph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oduction of TNF-α and IL-6 were increased in RAW 264.7 cell. The expression of TNF-α and NO induced by LPS after treating LPE was decreased. In addition, treatment of RAW 264.7 cell with LPE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p-ERK, p-JNK, and p-p38. Conclusions: LPE might have impact on the anti-cancer effect by activation of innate immune system and inflammation control.

      • 방재안전직렬 공무원 활용 방안 연구 : 경기도 비교분석사례를 중심으로

        강누리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재난이 발생하면 정부는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안전한 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재난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방재안전직렬 공무원 채용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신규채용 이후, 방재안전직렬에 대한 운용은 매우 미약하다. 재난안전 업무 기피 풍토와 자치단체 재난 대응역량 부진 등의 문제는 반복되고 있으며, 업무량 과중·인력부족·낮은 처우·잦은 비상근무는 방재안전직렬 공무원들의 재난관리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방재안전직렬 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재안전직렬 공무원의 현황 및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 도출하고 역량 강화와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기도 방재안전직렬 공무원과 환경직렬 공무원의 업무와 인사 측면에서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방재안전직렬 공무원의 활용 개선 방안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는 조직 운영 개선이다. 재난과 관련 된 법의 일원화와 적정인력에 대한 법제화, 현장에서의 적절한 권한 부여 등의 제도적 보완과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전문성 강화, 조직문화 형성 등을 통한 조직 활성화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는 근무 환경 개선이다. 채용인원 확대를 통한 업무의 과중화를 해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직무 구분을 통해 순환보직의 필요 유·무성을 조정하고, 인사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수당·승진·가점· 등의 다양하고 충분한 보상으로 인센티브를 지급해야 한다.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government has th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to protect the people from disasters and help them live in a safe society, and in order to strengthen these functions, the government has hired disaster prevention safety serial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disaster management functions. However, after new recruitment, the opera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afety series is very weak. Disaster safety work Avoidance of the climate and problems of self-government disaster response are repeated, and heavy workload, lack of manpower, low treatment, and frequent emergency work make it difficult for employees in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to perform disaster management tasks. From this point of view,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specific measures for strengthening and managing the capabilities of public safety officers in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concrete problems on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disaster prevention safety serial officials and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nd prepare management measures, we compared the work and personnel aspects of disaster prevention safety serial officials and environmental serial officials in Gyeonggi-do. The plan to improve the use of safety serial officials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improving organizational operations. These include the unification of laws related to disasters, legalization of appropriate personnel,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such as proper empowerment in the field, strengthening of expertis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organizational activ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The second is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heavy work by expanding the number of employe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necessity or absence of circular positions through job classification and to promote personnel exchange. In addition, incentives should be paid with various and sufficient rewards such as allowances, promotions, and additional points.

      • Effect of Pueraria lobata extract on cell membrane permeability via phosphorylation of p38MAPK and JNK in H2O2-treated ARPE-19 cells

        강누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eraria lobata (P. lobata), a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widely in clinical practice,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iarrhea. A variety of effects on P. lobata have been studies, whereas research on retinal diseases such as macular degeneration has been limited. Retinopathy lik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is fatal disease that can cause loss of sight due to hypertension, diabetes, or aging. To maintain healthy vision, photoreceptor cells must be preserved.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adjacent photoreceptors in the retina, and RPE cell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pathology and physiology of retinopathy. In this study, I evaluated whether P. lobata extract and its marker compounds, puerarin, daidzein and daidzin could prevent cell membrane permeability in oxidative stress-induced ARPE-19 cells. ARPE-19 cells were pretreated with P. lobata extract or marker compounds in serum-free medium and then added with H2O2, and then incubated for 24 h. It was resulted for the first time that P. lobata extract inhibited ROS generation and the decrease in Zonula occludens-1 (ZO-1) expression, and suppressed membrane permeability via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of p38MAPK and JNK in H2O2-treated ARPE-19 cells. However, three maker compounds-treated groups showed the increase in ROS generation and membrane permeability, and decrease in ZO-1 expression. The phosphorylation of p38MAPK and JNK also did not inhibited under same condition by the treatment with three maker compounds. The effect of P. lobata extract on above mentioned factors was confirmed to be better than that of each marker compound of P. lobata extract. It seems that multi-compounds containing P. lobata extract could effectively influence on retinopathy like AMD-related multi-targets or other single compounds from P. lobata or mixture of three marker compounds could prevent oxidative stress in ARPE-19 cells. In conclusion, all data suggests that P. lobata extract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retinal disease such as macular degeneration. 갈근은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한약 중의 하나로 당뇨, 심혈관계 질환, 골괴사증, 설사 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었다. 지금까지 갈근의 효능에 대하여 다양하게 연구되었지만, 황반변성과 같은 망막질환 관련 연구는 미비하다. 망막증은 고혈압, 당뇨병, 또는 노화로 인해 시력이 손실될 수 있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건강한 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세포, 광수용체 세포가 보존되어야 한다. 망막색소상피세포는 이 광수용체 세포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하고, 또한 혈관-망막장벽을 이루는 세포로 병리 및 생리학적 연구에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과산화 수소 (H2O2)로 산화스트레스가 발생했을 때, 전처리된 갈근 추출물과 갈근에서 유래된 단일화합물의 비정상적인 막투과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검증하였다. 갈근 추출물 또는 단일 화합물을 전 처리 후, H2O2로 산화스트레스를 최대 24시간까지 유발하였다. 갈근 추출물은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환경에서 ROS 생성을 억제하고 막단백질의 하나인 Zonula Occludens-1 (ZO-1) 발현 감소도 억제하였다. 특히 이러한 과정은 p38MAPK와 JNK 인산화 억제로 인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일 화합물인 puerarin, daidzein 및 daidzin을 처리한 군은 같은 조건에서 ROS 생성이나 과도한 막투과성, p38MAPK와 JNK 인산화를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는 multi-compounds, multi-targets의 원리로 작용하는 갈근 추출물이 갈근 유래 단일 화합물 보다 효능이 우수함을 보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갈근추출물이 황반변성과 같은 망막질환의 발병이나 진행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여름철 냉방실내에서 최적 의류 착의형태와 주관적 감각

        강누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냉방을 줄여 지구온난화 방지에 일조하고자 여름철에 가벼운 차림의 의복을 권장하는 쿨맵시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복장별, 환경온에 따른 인체 생리적 반응과 그 정량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온실가스 줄이기 및 직장인, 학생 등의 건강증진․기후의복 적응을 위하여 인체 착의실험을 통해 복장종류 및 환경온에 따른 피부온 변화와 주관적 감각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신체 건강한 20대 성인남성 4명으로, 1차 실험은 착의 형태에 의한 두 복장, 일반복장과 쿨맵시 복장에 의한 피부온도 및 생리적, 주관적 반응의 변화․관찰 이었다. 환경온도 25℃와 27℃, 상대습도 50±10%R.H.에서 30분간의 안정기 기간을 가진 후에 60분 동안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총 90분간의 실험이었다. 사무실 내 작업환경과 비슷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중앙에 책상과 의자를 설치하였으며, 피험자는 의자에 앉은 안정된 상태에서 설정된 온열환경 조건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실험 시작시 즉 안정기 기간이 끝난 30분 시점과 실험종료 90분 시점 두 번에 걸쳐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을 하였다. 주관적 감각 측정을 위하여 5분 간격의 일정한 시간으로 설문지를 스스로 작성하도록 하였는데, 온열감․습윤감․쾌적감 등과 같은 주관적 감각을 평가하였다. 2차 실험은 동일 피부온 발현하는 환경온 찾기로 권장온도 27℃에서 일반복장을 입고 환경온도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27℃ 쿨맵시 권장 복장을 입은 상태의 피부온도와 동일해지는 실내온도를 찾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실험 착의형태에 따른 인체 생리적 반응 결과이다. 1. 여름철 고기온에서 인공기후실 25℃로 입실함에 따라 피험자는 발한분비로 인한 저피부온에서, 땀의 분비가 감소함에 따라 고피부온으로 변하였다. 착의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환경온도 25℃에서는 일반복장과 쿨맵시 복장에 의한 가슴 부위 피부온의 차이는 일반복장이 최소 0.3∼최대 1.6℃ 더 높게 나타났다. 환경온도 27℃에서 일반복장과 쿨맵시 복장에 의한 가슴 부위 피부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일반복장이 최소 0.4∼최대 1.0℃ 더 높게 나타났다. 2. 착의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일반복장에서 가슴 부위 피부온․습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넥타이의 착용으로 인해 가슴 부위의 보온이 더해져 피부온․습도가 상승한 것이다. 또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피부온도 변화 폭이 점차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일반복장의 경우 피부에 머무르는 땀의 양이 많기도 했지만 셔츠 윗 단추의 잠금으로 인해 의복 안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기화열에 의한 체온저하가 적었기 때문이다. 27℃ 일반복장 > 27℃ 쿨맵시 복장 > 25℃ 일반복장 > 25℃ 쿨맵시 복장 착용순서로 온․습도가 높았다. 3. 환경온도 25℃에서 27℃로 높여주게 됨에 따라 피부온도가 상승하면서 이에 따라 발한량도 증가하였지만, 1시간 반 후에는 증가한 액체 땀의 증발열로 인해 피부온도는 다시 하강 하였다. 동일 의복의 경우 기온이 높을수록 불감증설량이 많았다. 25℃ 일반복장과 27℃ 쿨맵시 복장에서 비슷한 발한량 수치를 나타냈다. 4. 전신 발한량은 환경온 25℃ < 27℃에서 체중 손실이 많았다. 5. 열화상 카메라 실험에서 27℃ 일반복장 > 27℃ 쿨맵시 복장 > 25℃ 일반복장 > 25℃ 쿨맵시 복장 착용 순서로 의복표면의 최고온도가 높았다. 환경온이 높아질수록, 착의량이 많아질수록, 의복표면온도와 인체표면온도가 높아졌다. 6. 주관적 감각평가에서도 쿨맵시 복장보다 일반복장에서 온열감․습윤감․불쾌감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5℃ 일반복장과 27℃ 쿨맵시 복장에서 가장 중립적인 느낌을 나타냈다. 2차 실험 동일 피부온 발현 환경온 찾기 결과이다. 일반복장 착용시 실내온도 25℃에서의 평균 피부온도는 쿨맵시 복장 착용시 실내온도 27℃에서의 평균 피부온도와 같았다. 따라서 27℃에서의 쿨맵시 복장 착용은 냉방 온도를 2℃ 높이는 효과와 같다고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여름철 고기온에서 저기온 실내로 입실하여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쿨맵시 복장이 피부온의 신속한 회복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넥타이 미착용과 반소매 셔츠로, 팔다리의 움직임에 의한 환기 촉진(bellows ventilation) 및 대류에 의한 방열기능이 우수한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장시간 실내에서 저강도의 작업을 하는 경우, 피부온도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는 냉방온도 27℃에서 보다 25℃에서 그 하강 속도가 급격하였고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름철 실내 환경온을 27℃ 환경으로 설정하고, 의복을 가볍게 입는 것이 인체생리 반응 및 체온조절에 바람직하며 주관적 감각도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금(大笒) 개량 방안에 관한 연구

        강누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1960s, it tried to improve traditional instruments in Korea with development of orchestral music of Korean music because it required orchestral-music placement, progress of harmony and huge performance on the stage in Western style. For these reasons, people realized limit to traditional music system that was usually being used at playing traditional instruments. After then,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has been mainly targeted at extension of range of note and the volume, which remains a big project in Korean music now. The preceding research was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and Daeguem improvement. This could analyze the need of Korean-instrument improvement, history and limit. Moreover, it instructed history and limit of Daeguem improvement and current situation of Daeguem improvement by history of Daeguem improvement. As a result, some present a fragmentary paper on the improved instrument, there is no research discussing how to improve them or further problems in comparison and reviewing of improved instruments. This paper will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Daeguem improvement, the need of instrument improvement and merits and faults in comparison of improvement examples of a horizontal-wooden pipe instrument. In addition, the way to improve Daeguem will be studied from these analyses above. This paper referred to literature materials for finding the origin and symbolization of Daegume, and this studied the overview of Daeguem, the limit of Daegume expression and history. Through this study, it will analyze current situation and limit of Daegume for the purpose. There are various reasons about limit of Daegeum expression. Firstly, the tune is not exact when Korean-creative music is based. Especially, in case of Mi(E), Ra(A), Si(B), they do not express from instruments but be made by a player. It causes instability due to different tune according to instruments and players. Secondly, instruments cannot be standardization. For example, Deagume is mostly made by double-hole bamboo that is impossible to cultivate. Because of distinct of ingredients, it is difficult to be standardization, and each instrument has slightly different tune. Thirdly, there is a problem about fixed key of instrument. The key in instrument itself, especially traditional-classical Daeguem, is defined as B♭ Daeguem. Therefore, it is easy to play minor scale (♭) but some tunes are not accurate, and major scale (#) is not impossible but unnatural. On current situation of Daeguem improvement, it has been progressed by the National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in 1964, Lim Jae-Won and Lee Yong-gu since the National Gukak Center started improving instruments. The improved Daeguem made by Lim Jae-Won and Lee Yong-gu is the most popular now. In case of Lim’s improved Daeguem, he added a second hole nearby 1st hole, 3th hole and 6th hole, and installed metallic key like Flute. Lee’s Deaguem is similar with Lim’s Daeguem but Lee supplements a second hole nearby 3rd hole and 6th hole with installing metallic key. Additionally, he adjusts the tune by extending the gap of between 3rd hole, 5th hole and 4th hole, 6th hole respectively compared to original Daeguem. By these improvements of instruments, it becomes more convenient to play traditional minor scale(♭) and major scale(#) restrictively. On the improvement cases of a horizontal-wooden pipe instrument, it needs to check Jeodae(저대) in North Korea, Jukjeok(죽적) in China and Flute. The Jeodae in North Korea is improved a lot in a modern way, and the body is divided into 2 pipes with installing key operation system as flute, which make Jeodae play 12 semitones in octave. Also, it expands a range by classifying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upper register, mid register and lower register. However, replacing quality of the material changes the tone, and it lost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by eliminating Chung-Gong as representative symbol of Daeguem. The Jukjeok in China has various and lots of types. The instrument is changed by each key and players carry 6~8 instruments using mainly. Because each instrument has a different key, they play on a suitable instrument following each song, which is the greatest character in the tune-system of Jukjeok. The flute is one of the long-history instruments. Theobald Boheme extensively improved the flute in 19th century; that was divided into 3 pipes and changed the quality from woods to metal. It led to mass production and equal supplies of instruments. It could perform exact tunes by installing key-operation system as well. Until now,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 improvement and the improving process of a horizontal-wooden pipe instrument. The solution for improving Daeguem is as follows. The first is dividing the body. Although it can make players control pitch from 440Hz to 448Hz, regulating the level of opening mouthpiece by each player is current method to pronounce. However, if a player could control pronunciation by dividing the body, the accuracy will be higher. The second solution is producing instruments according to each key for expanding the range of tune. In case of the Jukjeok in preceding research, although they did not install key-operation system of the flute, Jukjeok could build more extended tune system than before by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each key. As pointed out above, if D Daeguem and B Daeguem are produced like E♭ Daeguem, it will be possible to play with more accurate tune in all minor scale(♭). It expects more convenience in major scale(#) as well. The third method is installing key-operation system. There are limit of a transposition because current Daeguem can make 7 tunes in one octave. If key-operation system is installed on all holes, it is hard to find limit of the composition because instruments by itself do not have composition. Lastly, we have to protect bamboo and Chung-Gong as a main material. The tone of Daeguem is decided by bamboo, and Daeguem can have special sound through Chung-Gong. We have to keep the character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mind. As what we explained about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instruments, we should try to keep in mind of two aspects for the development. One is keeping the way of how it was in the past, so we can keep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music. Two is bring a change for the progr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most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instruments, we should try not to break its tradition. However, current way of transformation progress has been more focused on keeping its tradition, not bring an evaluative transformatio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of continuous study and means contribution of development of Daeguem improvement. 우리나라에서 전통악기 개량이 대두된 것은 1960년대 이후 국악 관현악이 발전하면서 서양식의 관현악 배치와 화성법의 악곡진행, 대규모의 무대연주를 소화해야 했기 때문이다. 당시 전통음악을 주로 연주하던 전통악기로서는 음악체계의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이후 국악기 개량은 음역, 음량의 확장 등을 주된 목표로 한 악기 개량에 관한 연구와 실천이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며, 국악계에 큰 과제로 남아있다. 선행연구는 국악기 개량 연구와 대금 개량 연구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국악기 개량의 필요성과 역사, 한계성 등을 분석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대금 개량의 연구사를 통해 대금 개량의 역사와 한계성뿐만 아니라 대금 개량의 현 상황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개량악기에 대한 단편적인 논문만 발표되었을 뿐 개량된 악기들을 비교・검토하여 악기개량의 방향과 이후 발생한 문제점 등을 주제로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는 없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대금의 개량 현황뿐 아니라 횡적 목관악기의 개량 사례를 비교하여 악기 개량의 필요성과 장단점에 대해서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이것을 시작으로 하여 대금 개량의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우선 대금의 유래와 그 상징성을 찾기 위해 고문헌자료를 참고하였다. 아울러 대금을 개관하고 대금 표현의 한계와 대금 개량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금 개량의 현황과 한계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금 표현의 한계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 첫 번째는 국악창작곡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정확하지 않은 음정이다. 특히 미(E), 라(A), 시(B)는 악기 자체에서 나오는 음정이 아닌 연주자의 재량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음정이다. 따라서 악기와 연주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주관적이므로 불안정하다. 두 번째는 악기의 획일화, 균등화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나무 중에서도 돌연변이에 속하는 쌍골죽이 주재료이고, 이것은 재배가 불가능 하다. 이러한 재료의 특수성으로 인해 악기의 획일화가 어렵고 그에 따라 각 악기마다 미세하게 음정이 다르게 된다. 세 번째는 악기의 정해진 조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전통 정악대금은 B♭대금으로 악기자체의 조성이 정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연주에 내림조음계(♭)가 용이하나 부정확한 음정들이 있으며, 올림조음계(#)는 연주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자연스럽지 못하다. 대금 개량의 현황은 1964년 국립국악원의 악기개량을 시작으로 국립국악관현악단, 임재원 그리고 이용구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현재 가장 활용되고 있는 것은 임재원과 이용구의 개량대금이다. 임재원은 제1공, 3공, 6공 근처에 보조지공을 추가하고 플루트와 같은 금속 키를 장착했다. 이용구는 임재원의 개량대금과 흡사하지만, 제3공과 제6공 근처에 보조지공을 추가하고 금속 키를 부착했다. 또한 제3공과 4공, 제5공과 6공의 간격을 기존 전통대금보다 넓게 하여 음정을 조정했다. 이러한 개량으로 전통적인 내림조음계(♭)와 제한적이지만 올림조음계(#)의 경우도 연주에 편리함을 더했다. 횡적 목관악기의 개량 사례를 살펴보면, 북한의 저대, 중국의 죽적, 플루트를 살펴보았다. 북한의 저대는 현대적 개량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관을 두 개의 관으로 분리하고 플루트와 같은 원리의 키 작동장치를 장착해서 한 옥타브를 12반음이 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저음저대, 중음저대, 고음저대로 음역별 악기를 분류해서 음역의 확장을 정립했다. 그러나 재질을 교체해서 음색이 달라졌으며, 대금의 대표적 상징인 청공을 없애서 민족성과 특수성을 잃었다. 중국의 죽적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수량이 많다. 각 조성에 따라 악기가 달라지는데, 연주자들은 주로 사용하는 6~8개의 조성 악기를 휴대한다. 이렇듯 각각의 악기가 조성의 차이를 가지고 있어서 악곡에 맞는 조성의 악기로 연주를 한다. 이것이 죽적의 음정체계 면에서 가장 큰 특징이다. 플루트는 관악기 중에서도 역사가 오래된 악기 중 하나이다. 19세기 테오발트 보엠에 의해 대대적인 개량이 이루어진다. 3개의 본관으로 분리가 되고, 재질은 나무에서 금속으로 교체된다. 이것으로 악기의 공업적 대량 생산과 균등한 악기 보급이 가능해졌다. 또한 키 작동장치를 설치하여 정확한 음정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나라 악기 개량의 전개뿐 아니라 횡적 목관악기의 개량 과정 비교분석했다. 이것을 통한 대금 개량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본관 분리를 한다. 이것으로 약 440Hz~448Hz까지의 피치(Pitch) 조절이 가능해진다. 현재의 조절 방법은 취구의 열림 정도를 통해 개인 조절하며 발음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관을 분리하여 악기로 조절하게 된다면 보다 정확도가 높아 질 것이다. 두 번째는 음역대 확장을 위한 조성별 악기제작이다.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중국의 죽적의 경우 조성별 악기를 제작해 플루트의 키 작동작치를 도입하지 않았음에도 이전보다 확장된 음정체계를 구축 할 수 있었다. 이처럼 현재의 E♭대금과 같이 D대금과 B대금을 제작한다면 모든 내림조음계(♭)의 연주에서 현재보다 정확한 음정으로 연주가 가능해진다. 또한 올림조음계(#)의 연주에도 보다 편리함을 기대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키 작동장치를 장착하는 것이다. 현대 대금은 한 옥타브에서 7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조옮김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모든 지공에 키 작동장치를 장착한다면 악기자체의 조성이 없어지므로, 조성에 있어서 한계점을 찾기 힘들다. 마지막으로는 재료인 대나무와 청공은 지켜내야 할 점이다. 재료인 대나무를 통해 대금의 음색이 결정되는 것이며, 청공을 통해 대금 특유의 소리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악기 특성을 살려 전통 개량악기에서 전통 또한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전통악기 개량이라는 말처럼 한 축으로 전통적인 면은 지키면서 새로운 음악과 국악의 발전을 위해서 다른 한 축에서는 악기의 개량에 힘 써야 한다. 이렇듯 전통과 현대가 대칭축을 이루어 함께 계승과 발전하는 것이 전통악기 개량의 핵심으로 전통성과 현대성의 공존인 것이다. 그러나 현재 국악기에서 전통성을 지켜온 것에 비해 현대적, 발전적인 측면에서 국악기 개량은 현저히 낮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대금 개량의 지속적인 연구에 필요성을 제기하며, 대금 개량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