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 안내사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위원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the society gradually goes into pluralism,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happens much more frequently, and foreign students have increased in Chungnam University. Therefore, the campus sign system is newly designed for foreign students. The sign system should reveal guidance, warning, direction,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functions. The campus shows not only overal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visualization of physical and spiritual shape of the univers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ign system reveals the strategy of the university brand. The campus in university needs the different sign system from the commercial and other environmental sign system. The university could show its own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buildings. The sign system in campus has played a important role as a way of expressing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its campus. The important value of sign system is the transportation of information. In the sign system of the university campus, their own historical and contents and their contemporary culture should be involved. And their tradition, spiritual phase and even their culture should be expressed. Furthermore, the sign system should keep the concept that it is a space of exchanging the university's various unique culture. Above points would be distinguishable points from the sign system used in enterprise, medical hospital and the other managing places. The campus system should be directed not only to the future but also based on the convention because UI itself affected to the behavior pattern of university's members. The campus sign could be the expression that the university want to show its pursuit in condense to the people who visits the campus first time. The all signs installed in campus is all things of designs that directly transports the guide, signs, and regulation of the university. But most of university's campus signs are largely directed only to the design-form effects and it seems not to effectively transport its original purpo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t could be a problem. In this study,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gn system of nine universities in Korea, China and United Stat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literatures and spot survey. In order to get the correct and exact information,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in and the data was got from the students, staffs, foreign students and visitors to Chungnam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follows. First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 sign system would be moved into the enterance of campus and the visitors easily find their destination. Second, the realistic pictogram and english title should be included and the foreigners could go beyond language barrier. Third, the color of the pictogram and the logo should be much more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lege. Fourth, the compass should be included in sign system. Finally, the number of the lighting system should be increased and sign system is much more readable at night.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new effective sign system would be suggested with the result of showing the applying metho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more scientific, effective, and artistic sign system. The improved sign system is more humanized and it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the signs. Therefore, the obstacles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difference could be reduced and the atmosphere of campus would expect to become more active

      •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연구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21st century, university libraries face intense competitive environment. So they need to do 'library marketing' aimed at the organizations which they belong to and customers whom they serve for their survival and success.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library marketing', the cases of 'library marketing' in Korea, and concrete market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university librari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present statu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s the university library marketing's definition, its features and the necessity of its marketing. First, in an attempt to build the marketing strategy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from conducting homepage analysis and interviews to three librarian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ses interviews are conducted during form April 2 to 20 in 2009, three time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research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marketing,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earch standard elements as 4P(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mix.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this study elicits the problems from the library and thus built the foundation of the marketing strategy. The case studies are conducted by targeting 5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present status of marketing. To analyze the market information,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is occupied a survey for 200 students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May in 2009.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regarded as users needs and can be used for fundamental data of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users want to improve the place, product, promotion elements in order. This paper tries to find solution by utilizing the analysis of STP(market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as used for segmenting the market(professors, school personnels and students) and Targeting strategy is used for targeting the student's market.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stages for user analysis, positioning and process of operational marketing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also suggests the marketing mix - place strategy, product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y - that can be applied to university libraries.

      • 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음악 관련 교과 분석 : 대전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변서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examines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based on which it comparativel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8 four-year universities in Daeje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legitimacy of music education as liberal arts based on the above, and cases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universities overseas. This study then investigate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liberal arts curriculums and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f 8 universities in Daejeon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are comparatively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four items: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osi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and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d analyzing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First, the biggest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university was in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llowed by Mokwon University,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Pai Chai University, Daejeon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AIST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ad the highest ratio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about 35 times difference in terms of ratio. Secon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by field, genre and connectivity shows that there are more courses on theory than practice, with 5.5 times more courses in Western music than Korean music. In addition, convergence courses were all in private universities. Thir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regarding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shows that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9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n average, and those without a music department had 6 courses.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1.48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than those without, indicating that the existence of a music department has an effect on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ourth,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ccording to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shows that there are about 3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in general. However, there were a few exceptions in which a national university has many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r a private university has only a few, depending on its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or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makes a few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Students will be able to more frequently rece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education if such courses are includ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s the basic liberal arts courses for freshmen or a program that must be completed before graduation. Second, there must be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erms of practice and training. The portion of practice must be increased within the regular liberal arts curriculum in universities so that students can have more direct experiences with music and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and focu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he genre of Korean music. Courses that provide simple interpretation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actical training of gugak for actual experience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perceive the need for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music.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nvergence courses with connectivity to other fields. By constantly studying convergence courses and linking them with other fields, it will be possible to lead to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reates values meeting the goal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전지역 8개 4년제 대학교의 음악 관련 교양교육과정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으로써의 음악교육의 당위성과 외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관련 교양과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대전지역 8개 대학의 교육목적, 교양과정, 음악 관련 교양과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 음악 관련 교양과목 구성, 음악과 유무,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각 대학별로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학생 수에 비례한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은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목원대학교-침례신학대학교-배재대학교-대전대학교-한남대학교-한밭대학교-충남대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학생 수에 비해 음악 교양과목 비율이 가장 높은 카이스트와 충남대학교는 비율 수치가 약 35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구성된 분야, 장르, 연계성의 항목에 따라 분류해보았을 때 실기보다는 이론 목적의 교양수업이 많으며 한국 음악보다 서양 음악 과목이 5.5배 더 많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복합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목은 모두 사립대학에 개설되어 있었다. 셋째, 음악과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음악과가 있는 학교는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평균적으로 9과목 개설되어 있었고, 음악과가 없는 학교는 6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음악학가 있는 학교가 없는 학교보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1.48배 정도 더 많이 개설되어 있어 음악과 존재 여부가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사립대학에 개설된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가 국립대학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목표나 교육 정책에 따라 국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많거나, 사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적은 예외의 경우도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음악 관련 교양교육이 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의 증설이 필요하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교양 과정의 커리큘럼에 편성하여 학부의 신입생을 위한 기초 교양과목이나 졸업 전까지 이수하는 한 과정으로 선정하면 학생들이 음악 관련 교양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빈도수가 많아질 것이다. 둘째, 실기 분야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교의 정규 교양교육과정 안에서도 실기의 비중을 늘려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와 관심도의 집중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늘려야 한다. 국악에 대한 쉬운 해설과 실제 체험해 볼 수 있는 국악 실기 과목을 늘려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타 영역과 연계성을 가진 융·복합 교양과목을 증설할 필요가 있다. 타 영역과 융·복합된 과목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여러 분야와 연계시킨다면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가치 창출적인 교양교육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간질의 임상연구에서 데이타 뱅크의 유용성에 관하여 : 충남대학교병원 간질 데이타뱅크 1991-1994

        김재문 충남대학교 1994 국내박사

        RANK : 248687

        Various kinds of data bank systems have been employed in clinical medicine to verify the diverse features of human illnesses and have revealed risk factors, causes and prognoses of many disabling disorders. But the data bank has not been popularly used in epilepsy as yet.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data bank system in clinical epilepsy research,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e Epilepsy Data Bank of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NUH-EDB) since 1991. It was composed of 47 items which described background information, seizure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By February 1994, 1,004 epileptic patients were registered. The epileptic patients in CNUH-EDB had unique demographic features in that they had older age of onset (24.8 years), male preponderance (64.7%), and higher proportion of unemployment (20.2%) compared with other reports.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32.5%) was the most common single type of epilepsy although partial seizures were more frequent than generlized seizures (48.7% vs. 42.5%). Almost a half of the patients (49.4%) had etiological disorders, with the stroke being the most common disorder (25.8%). Incidence of malformed baby was low in epileptic mother (2.86%) and also the family history of epilepsy was not so high. A large number of patients (385 patients) had identifiable precipitating factors of their seizures. Easily avoidable seizure-prone conditions provoked seizures in 218 patients. Poly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idence (46.0%) of adevrs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AEDs) but careful observation could prevent chronic adverse effects. Epileptic discharges were found on EEGs more frequently in partial seizures than in generalized seizures (26.6% vs. 38.1%). Some special conditions of the epileptic patients were noted while establishing the CNUH-EDB. The author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migraine and epilepsy, underlying conditions of the geriatric epileptic pati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st-infarction epilepsy. In addition, etiological and prognostic features of first-ever seizures that presented as a status epilepticus were reviewed. Long-term adverse effects of diphenylhydantoin (DPH) on the cerebellar function and unwanted effects of conventional anti-tuberculosis medication on seizure management were also analyzed. While working with the CNUH-EDB, the author encountered some problems of the current data bank system that should be improved. Firstly, the current system was not individualized. Secondly, the current system included too many fields of long sentences that made data-handling difficult. And thirdly, there were insufficient follow-up data recordings. An improved EDB system that can be employed in general hospitals is proposed. Three-year experience of CNUH-EDB has taught the author some practical advantages of a data bank in clinical epilepsy research, as follows: 1) An EDB describes easily the overall features of the epileptic patients in a hospital: 2) An EDB enables an unbiased, individualized as well as systematic case-based study that may be extended into a longitudinal, cohort study: and 3) An EDB allows a ready access to groups of patients with simila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rough this way, some complex but practical issues in management of epileptic patients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resolved.

      • 공업 및 기술 교육학 연구 집단의 사회 네트워크 분석

        강현무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정보 계량 분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공업 및 기술 교육학 연구 집단의 지적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용 DB를 관계 데이터인 동시 출현(co-occurrence) 행렬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미국 조지아공대의 vantagePoint(ver.4.0)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개발한 KnowledgeMatrix를 사용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서 제시하는 주요 변수의 측정값과 네트워크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국내의 사이람이 개발한 NetMiner2(ver.2.4.0b)와 KISTI가 개발한 STIMap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기초 통계 분석에는 SPSS(Ver.11.5)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 교육학 분야의 대한공업교육학회지에는 1976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평균 15 편의 학술 논문이 발표되었고 기술 교육학 분야의 한국기술교육학회지에 발표된 학술 논문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평균 20 편이었다. 연구자별 지식 생산 분포의 특성을 살펴보면 3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공학 교육학 분야에서 20 편 이상 발표한 연구자가 34 편의 Choi,W.S을 비롯해서 4 명이었고, 기술 교육학 분야의 경우 8년 동안 매년 1 편 이상 발표한 연구자가 25 편의 Lee,S.B을 비롯해서 9 명이었다. 소속 기관별로 보면 공업 교육학과 기술 교육학 모두에서 충남대학교와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타기관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논문을 많이 발표하였다. 특히 Choi,W.S.와 Ryu,C.Y 등을 비롯해 많은 연구자들이 교수 집단에 소속되어 있고, 충남대학교와 한국기술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연구 집단을 형성하면서 두 학회 모두에서 왕성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점을 볼 때, 여전히 두 학회에서 연구자 집단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공업 교육학 분야 연구자들 633 명 중에서 핵심 연구자 309 명으로 구성된 최대 연구 집단 C1에서 집단 내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연결 정도 중심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연구자는 Choi,W.S., Rho,T.C이었고, 또한 기술 교육학 분야의 연구자들 200 명 중에서 핵심 연구자 97 명으로 구성된 최대 연구 집단 C1'에서는 Lee,B.W., Kang,G.G., Choi,Y.H.이 연결 정도 중심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 및 기술 교육학 분야 연구 집단의 연구자는 내부에서 평균적으로 1~2 명의 연구자와 협력 경험이 있고, 또한 평균적으로 3~5 명의 연구자를 거치면 서로 이웃하고 있는 협업 공동체(invisible college)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공업 및 기술 교육학 분야 연구자 네트워크의 변화를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단독 저자의 연구는 감소하고 협력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한공업교육학회가 출범할 당시인 제1시기(1976년∼1990년)에는 단독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연구 집단이 3 개 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제2시기(1991년∼2000년)로 가면서 12 개의 연구 집단으로 크게 증가하는 등 다양한 협업 공동체가 생성되었다. 한편, 제3시기(2001년∼2009년)에는 공업 교육학 분야에서 7 개의 연구 집단이 사라지고 네트워크가 5 개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Ryu,C.Y., Choi,J.S., Lee,B.W. 등 제1시기(1976년∼1990년)와 제2시기(1991년∼2000년)에 공업 교육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주도했던 연구자들이 기술 교육학 분야로 옮겨 해당 분야 연구 활동을 주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공업 교육학 분야의 연구 주제 트렌드를 좌우하는 매개 키워드는 직업 진로 상담, 문제 해결, 교사 등의 38 개로 밝혀졌고, 기술 교육학 분야의 매개 키워드는 교수법(학습), 교육 정책(행정), 교육 과정 등 16 개로 분석되었다. 공업 기술 교육학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 주제로 직업 진로 상담, 문제 해결, 교육 과정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학회에 따라 그 순위가 바뀌면서 중점 연구 주제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립대학교병원 행정직원의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lid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onflicts, job stress, emotion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ith an understanding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job stress, emotion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health behavior-related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at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For this purpose, totally 384 administrative staff from 10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national wide were interviewed for this study. After getting an approval from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ith an approved number of CNUH2018-07-073,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structure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from July 10th to August 20th, 2018.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rom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status and health behavior-related characteristics i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with younger ages (p<0.005), leisure time (p<0.037) and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p<0.036) compared to groups without such features. The score from job satisfaction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is also greatly lower in groups with lower ranks at hospitals(p=0.003), more difficult physical burden of work(p<0.001), less work satisfaction (p<0.001), no fitting aptitude(p<0.001), an intention for job transition(p<0.001). 2. The average score of the job satisfaction from survey participants i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with higher total scores of organizational conflicts (p<0.001), higher scores of job stress(p<0.001) and higher scores of emotional burnout(p<0.001). 3. In the context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nflicts, job stress and emotional burnout, there is a relevant negative correlation in the job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nflicts(r=-0.452, p<0.001), job stress(r=-0.430, p<0.001) and emotional burnout(r=-0.423, p<0.001). 4. The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affect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re leisure time, job position, physical burden of work, satisfaction with work, organizational conflicts, job stress and emotional burnout which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their explanatory power is 37.4%. Especially variables in job related characteristics make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21.7% for the job satisfaction and this suggests that the job satisfaction is deeply related to job related characteristics. 5.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veals that organizational conflicts have great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job stress or emotional burnout. The greater organizational conflicts, job stress and emotional burnout they have, the lower job satisfaction they get. Meanwhile, the greater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job stress they have, the higher emotional burnout they ge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at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is deeply related to not onl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also factors lik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nflicts, job stress and emotional burnout. The organizational conflicts have great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job stress and emotional burnout. In conclusion, job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at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can be improved by reducing cause factors in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job stress. Also, specific measures should be embraced to reduce the emotional burnout caused by accumulated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job stress. 본 연구는 국립대학교병원 행정직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 수준을 알아 보고, 특히,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 10개 국립대학교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행정직원 38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충남대학교병원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승인번호: CNUH2018-07-073)을 받은 후, 2018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평균 점수는 연령이 낮을수록(p<0.005), 여가시간이 있다는 군보다 없다는 군에서(p<0.037),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36) 유의하게 낮았다.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점수는 직위가 낮을수록(p=0.003),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적당 하다는 군보다 힘들다는 군에서(p<0.001), 업무에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p<0.001), 업무에 대한 적성이 맞는다는 군보다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직업전환의사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p<0.001) 유의하게 낮았다. 2.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평균 점수는 조직갈등 총점이 높은 군일수록(p<0.001),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높은 군일수록(p<0.001), 정서적 소진의 총점이 높은 군일수록(p<0.001) 유의하게 낮았다. 3.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 간의 상관 관계를 보면, 직무만족도는 조직갈등(r=-0.452, p<0.001), 직무스트레스(r=-0.430, p<0.001) 및 정서적 소진(r=-0.423, p<0.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여가시간 유무, 직위,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 업무에 대한 만족도,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7.4%이었다. 특히 직업관련 특성 변수들은 직무만족도에 대해 21.7%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직무만족도에 직업관련 특성이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5.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조직갈등은 직무스트레스나 정서적 소진보다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갈등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적 소진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국립대학교병원 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이나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갈등, 직무스트레스 및 정서적소진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조직갈등은 직무스트레스나 정서적 소진보다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립대학교병원 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조직갈등이나 직무스트레스의 원인 요소들을 감소시키고, 조직갈등이나 직무스트레스의 누적으로 인한 정서적 소진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 된다.

      • 병원 중국어 홈페이지 오류 분석 : - 대전선병원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장위룡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医院中文网站误译分析 - 以大田宣医院中文网站为中心 - 张 卫 龙 忠南大学校 大学院 中语中文学科 韩/中语通翻译专业 (指导教授 禹埈浩) 本研究以大田宣医院中文网站为中心,对医院中文网站上出现的韩中翻译错误进行了调查。通过对三星首尔医院、首尔峨山医院、建国大学医院、忠南大学医院、大田宣医院和大田乙支大学医院等韩国有名的大型综合医院中文网站的调查发现,其中忠南大学医院和大田宣医院的中文网站与韩文网站内容的对应度较高,内容也较为丰富;而其他几个大型综合医院的中文网站则普遍存在只有中文菜单名而没有中文内容、整体内容与韩文网站的对应度不高和信息量少等问题。另外通过对韩国365mc吸脂医院和丽得姿皮肤医院等韩国有名的美容整形医院中文网站的调查发现,这些专科医院由于其特殊性和针对性,一般都比较重视中文网站的翻译质量,而且会有中国工作人员,所以相应地这些医院的中文网站比较完善,整体译文质量也比较高。 大田宣医院和忠南大学医院都是比较有名的综合医院,中文网站的内容也较为丰富。其中忠南大学医院中文网站相对来说翻译质量较高,而大田宣医院的翻译质量不够理想。因此笔者将大田宣医院选为研究对象,而在研究过程中,将忠南大学医院中文网站作为主要参考的韩国医院网站,具体分类分析时也列举了一些忠南大学医院的典型例子。 笔者在大田宣医院中文网站上发现问题时,首先在中国最大的搜索引擎“百度”上搜索和调查相关资料,琢磨合适的修改方案,然后在汉语词典或者专业用语资料(包括相关词典、教材等)中对初步的修改方案进行进一步确认,最后,为了保证修改方案符合医院的实际情况和特有习惯,笔者又参考了北京协和医院和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的网站。 本文第二章先对大田宣医院中文网站上所出现的词汇方面的误译进行了分析。分析主要从以下六个方面入手:专业术语、外来词、汉字词、不恰当的词语选择、不恰当的词语搭配以及错别字。其中,专业术语方面主要有韩国惯用的专业术语在中国不常用甚至不用的例子;这种错误往往是由于译者医学术语方面的专业知识不足或对中国的医疗环境不了解而导致的。要避免这种错误就要求译者在开始翻译之前,必须有一定的医学术语专业知识基础,同时也要对中国的医疗环境做一些必要的了解。外来词方面的问题主要有一些英语表达方式在中文网站中未经翻译直接用英语原文标示的例子;对于外来词,汉语一般来说不会直接引用原文,而是使用在汉语中与之对应的汉语词。作为译者应该注意汉语的这一特点,遇到外来词时要耐心查验一下汉语中是否存在相应的词语或说法,然后决定要采取的翻译方法。汉字词方面的问题主要有直接将一些汉字词按照韩国的意义和用法用到中文网站中的问题;对于汉字词的翻译,首先要求译者要有充分理解韩语原文的能力,然后要求译者要有足够的能力来选择合适的词语来进行翻译,用自然的汉语表达方法使译文更自然流畅。不恰当的词语选择方面,主要有一些韩语和汉语中虽然都存在,但是在汉语中这些词语的具体意义和用法已经发生了很大变化,从而需要进行相应修正的例子;这就要求译者在选词时充分考虑到词语的多义性特点,根据文本的种类、句子的意思和结构以及词语的感情色彩来进行正确选词。不恰当的词语搭配方面主要有一些因不考虑汉语的搭配习惯和搭配条件或规则等问题而造成的误译例子;译者需要熟练掌握韩中两国语言,形成良好的语感。最后,在错别字方面,主要有一些因为两个汉语词语的发音非常相似或者完全相同而造成误译的例子,以及按照韩国发音不经确认就直接标注出汉字从而造成误译的例子,还有繁体字和简体字混用的情况。出现错别字的的几个很大的原因就是粗心、注意力不集中和没有去查找相关的资料,仅凭想当然就进行翻译。“勤能补拙‘,唯有集中精力勤快地查词典、找资料、时常检查自己的翻译结果才能最大限度地减少错别字的出现。 第三章从句法的角度出发,从句子结构(谓语、定语和状语等方面出现的问题)、语序、标点符号(逗号、句号、顿号的使用方面出现的问题)、不恰当的语体以及其他病句等五个方面入手,对研究对象中所出现的错误进行了分析,并提出了修改方案。其中句子结构方面,主要有一些谓语缺失、定语不完整、做状语的介词词组使用不当的例子;语序方面主要有一些谓语被放到宾语之后、时间状语或地点状语被放到动词之前的例子;如果译者的汉语基本功不够扎实,很容易出现上述翻译错误。因此作为译者,必须注意对汉语语法知识的学习。标点符号方面主要有句号、逗号、顿号以及间隔号方面出现问题的例子,这一点也需要译者注意中韩两国标点符号方面的异同点,尽量摆脱母语的干扰,以目的语的语言习惯为基准来进行翻译。不恰当的语体方面主要有医院对患者的称呼问题以及某些一般用在口语中的词语出现在网站内容中的例子;这一点要求译者有较高的专业素养,能够根据文本的特点正确选择适合用在口语中或用在书面语中的词语。最后其他病句中主要有一些不符合逻辑或者不符合语法的例子;这一点除了要求译者精力高度集中、积极参考各种相关资料来查找合适的表达方式以外,通过专业有效的校对也可以很大程度上发现这一类的错误。 第四章在前面研究分析的基础上,对研究对象中出现各种问题的原因以及相应的修改方案进行了总结,并对相关领域的翻译过程中应该注意的一些问题提出了一些建议。 当前还没有较为系统、专业、准确度高、符合中国国情的医疗用语词典或医疗翻译用语词典,令人感到非常遗憾。由于研究对象中的错误太多,而值得信赖、可以参考的资料又不多,所以笔者只能挑选了部分比较有代表性的误译进行了分析和修改。论文中还有很多不完善的地方,但是希望能够为提高医院网站的韩中翻译质量提供一点参考。今后,笔者仍会继续关注韩国医院中文网站内容的改善方案方面的研究。

      •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궁윤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t compared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in order to gi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total 350 students composed of 200 students of A University and 150 students of B University in D-city in May 2014 among the participants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are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social support, the sports valu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For the collected data, it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WIN-18.0. As for the analysis method, to find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And to find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Lastly, to find the effect of the sports value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the class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participants. And in all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which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le group had the higher values than female group in average.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But generally speaking, the male group had the higher values in the informational support. And according to the grade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the emo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rts values. As a result, the higher the grade of the group was, the higher the average of values was.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ports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lso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on clas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valu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general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istic valu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Thus, the various and systematic social support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are needed, and the positive change of students by the sports values and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is expected. For this purpose, the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tried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es. 본 연구는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와 스포츠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차이가 어떠한지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조사 대상은 2014년 4월 D광역시에 소재된 A대학교 200명, B대학교 150명으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을 참여하는 학생으로 표집된 250명이다. 조사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배경, 사회적지지, 스포츠가치관, 수업만족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지지, 스포츠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의 차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 하였다. 또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가치관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스포츠 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의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집단이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정보적 지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정보적 지지에서도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학년에 따라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 스포츠 가치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서는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에서의 심리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스포츠 가치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대체적으로 학년이 높은 집단일수록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스포츠 가치관이 수업만족도에 관계를 살펴 본 바, 모든 요인에 대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성적 가치에서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교 교양체육수업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다양하고 체계적인 대학교 교양수업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필요하며,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로 인한 스포츠가치관 및 수업만족으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며 이에 따른 질적 연구를 병행한 후속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Carbon and Nutrient Cycling by Litterfall and Litter Decomposition at Three Different Forests in South Korea

        Afroja, Rahman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구의 육상자원은 약 40%가 산림으로써, 산림 내 낙엽낙지는 임상으로 유입되는 양분의 주요 공급원이며 순일차생산량(NPP)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낙엽낙지량과 낙엽분해 속도는 기후 인자와 낙엽낙지의 양분 구성 성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는 임상 내 양분 공급에 주요한 인자로써 기능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다른 3가지 임상의 낙엽낙지 생산량과 분해 속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대전 충남대학교의 낙엽활엽수림(상수리나무 우점), 제주 청수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종가시나무 우점), 제주 선흘 지역의 혼효림(종가시나무, 곰솔 우점)과 상록활엽수림(종가시나무 우점)에서 낙엽낙지량을 측정하였다. 4가지 지역의 낙엽낙지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지역에 20 ⅹ 20 m 크기의 조사구를 4개씩 설치 후, 각 조사구마다 4개의 낙엽낙지망을 10 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낙엽낙지는 2015년도에는 1개월, 2016년 2월부터 2017년 8월까지는 3개월 간격으로 수거하였고 수거한 샘플을 우점종 낙엽, 기타 낙엽, 가지, 열매, 수피, 기타로 구분하였다. 낙엽분해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대전 지역의 우점종 상수리나무와 제주 지역의 우점종 종가시나무를 대상으로 낙엽을 채취하여 낙엽분해망을 제작하였다. 낙엽분해망은 그물눈 1mm 크기의 나일론 망사를 사용하여 16 cm × 16 cm 크기로 제작 후 채취한 상수리나무와 종가시나무 낙엽을 수종별, 낙엽망별6 g씩 삽입하였다. 준비된 낙엽분해망은 충남대학교 낙엽활엽수림과 제주 선흘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 설치 후 3개월마다 수거하였고, 수거한 낙엽분해망 내 분해된 낙엽의 무게를 기록한 후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선흘 지역 혼효림보다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과 청수 지역 상록활엽수림이 종가시나무 낙엽량이 높았다(p<0.01). 그러나, 선흘 지역 혼효림에서는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보다 곰솔 낙엽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수집 시기는 총낙엽낙지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p<0.01), 종가시나무 낙엽량은 5월에 가장 높았지만 9월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과 대전 지역 낙엽활엽수림의 평균 낙엽낙지량은 각각 903, 698 g m-2 y-1으로 나타났다. 상록활엽수림은 봄의 낙엽낙지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낙엽활엽수림은 가을의 낙엽낙지량이 다른 계절보다 높았다. 낙엽 생산의 연간 변이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다. 2015년에서 2016년동안 청수 지역 상록활엽수림은 744.0 g m-2 에서 1,102.5 g m-2 으로, 선흘 지역 상록활엽수림은 715.0 g m-2 에서 951.7 g m-2 으로, 선흘 지역 혼효림은 841.7 g m-2에서 914.7 g m-2 으로 증가하였다. 낙엽 분해율은 상수리나무, 종가시나무 두 종의 낙엽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선흘 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낙엽 분해 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지역 충남대학교에서는 종가시나무 낙엽보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 속도가 더 높았다. 상수리나무의 분해율 상수(k)는 0.51 ~ 0.57의 범위를 보였고, 종가시나무는 0.50 ~ 0.53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는 수종별 낙엽의 구조적 특성이 분해 과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3가지의 다른 임상에서 낙엽낙지 생산량과 낙엽 분해율을 조사하여 임상 내 탄소 와 양분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기온, 강수량 등 기후 인자 등이 낙엽낙지 생산량과 낙엽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복잡하며, 이는 낙엽낙지 생산과 낙엽 분해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이 필요함을 보이고 있다.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낙엽낙지 생산의 연간 변이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이며, 낙엽 분해의 경우 다양한 낙엽 내 양분별 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77年度 大學入試 化學問題의 分析硏究 : 國立大學校를 中心으로

        전기종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7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trend in modern science education high schools reveals that much emphasis is placed on the formation of basic concept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concerning each unit in the textbooks. The method of teaching and that of evaluation have also been improved, that is, the research learning method which is based on experimentations is introduced into the classroom teaching and the method of selection type test is gradually replaced with the method of supply type in examinations. Since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 under present system have great influence upon th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in high schools, it is thought to be important to make an analytical study upon the questions given in the entrance examinations. In the present work, in order to find out the newly prevailing trend, a study has been made upon the chemistry questions in the 1977 entrance examinations given by 6 nationa1 universitie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most of the universities are inclined to adopt the supply type test much more than the selection type. It is rather blameworthy that all the universities, in general, do not make sufficient reflection of the research learning method and also that the distribution of questions is not in good accord with the units in the textbooks. This coclusion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all the universities except Chungnam give no question at all on chemistry experiments which are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chemist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