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언어 교육으로서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방안 - 공공 어휘의 타당성 탐구를 중심으로 -

        김규훈 한국문법교육학회 2023 문법 교육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way to valid vocabulary education as public languag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stablished categories for vocabulary usage in public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tegorized accurate, appropriate, and valid vocabulary using based on different areas of vocabulary education within public language education. And then, this study developed the content for valid vocabulary education and created a pathway for its implementation in public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 of valid vocabulary education was found to involve understanding the conceptualization of vocabulary, exploring the expressive intent and effects evident in vocabulary selection, and recogniz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vocabulary. Lastly, this study designed instructional content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public vocabulary using. It was determined that public vocabulary education primarily examines the validity of specialized terminology used in official documents. Based on this, the research proposed a learning activity to explore the validity of legal vocabulary used in a news article.

      • KCI등재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어휘 교육 평가의 이론적 고찰 -목표와 내용 타당도를 중심으로-

        이도영 ( Do Young Lee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어휘력을 둘러싼 평가 논의의 딜레마는 어휘력을 협소하게 보느냐 넓게 보느냐에 기인한 것이었다. 하지만, 어휘력을 협소하게 보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 많은 연구자들은 어휘력이 일반적인 언어 능력과 구분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어휘 교육 평가의 목표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는 ``어휘 사용 규칙(조건)``으로 어휘력을 넓게 볼 필요가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기호 체계로서의 어휘 의미``와 ``상황 맥락으로부터 추출한 어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상황 맥락으로부터 추출한 어휘 의미``는 ``기호 체계로서의 어휘 의미``를 포함한다. 이처럼 어휘력을 넓게 보면 협소한 의미의 어휘력은 넓은 의미의 어휘력에 당연히 포함되므로 어휘력을 좁게 볼 이유가 없다. 그런 다음, 어휘력이 일반적인 언어 능력과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살펴본다. 즉, 어휘력과 일반적인 언어능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들은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식으로 어휘력과 일반적인 언어능력을 모순 관계인 것처럼 취급하였다. 하지만, 이는 정도 문제인 것이다. 극단적인 한 쪽은 어휘력을 협소하게 보는 것으로 순수 어휘력이라 할 만한 것들이다. 평가 상황에서는 어휘의 ``사전적인 의미``를 묻거나 어휘 단독 문항이 이에 해당한다. 그 반대쪽은 어휘력과 이해력, 표현력의 구분이 모호한 어휘 평가 문항들이다. 그 중간쯤에는 문맥적 의미를 묻는 어휘 평가 문항이 있게 된다. 이론적으로는 양 극단에 걸친 모든 어휘 평가 문항 개발이 가능하지만, 광의의 어휘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더 바람직하다 하겠다. The dilemma about vocabulary power evaluation comes from the breadth of vocabulary power. However, to regard vocabulary power narrowly has no validity. Most of researchers emphasize on the combination of vocabulary power and general linguistic ability. Therefore, to obtain the objective and content validity of vocabulary education`s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ocabulary power as ``rules (conditions) of language use``. It includes essentially ``vocabulary meaning as sign system`` and ``vocabulary meaning derived from situational contexts``. Also ``vocabulary meaning derived from situational contexts`` includes ``vocabulary meaning as sign system``. Like this, it has no reason to regard vocabulary power narrowly. Because broad conception of vocabulary power implies narrow conception of vocabulary power. After that, it needs to investigate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between vocabulary power and general linguistic ability. Until now, we knew that vocabulary power and general linguistic ability are incompatible. But, to regard certain items as vocabulary power or general linguistic ability is a matter of degrees. Extreme one side is to evaluate vocabulary power narrowly. The other side is to evaluate vocabulary power combining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The middle side between two extreme sides is to evaluate contextual meaning of vocabulary. It is desirable to evaluate vocabulary power combining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 KCI등재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 탐색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김규훈 ( Kim Kyoohoon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3

        이 연구는 표현 의도를 탐구하는 어휘 교육의 설계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어휘 교육의 범주화 유형 가운데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기초 논의의 성격을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표현 의도 탐구’가 무엇인지 국어과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확인하여 교육적 중점을 파악한다.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은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를 통하여 표현자가 담아내고자 한 세계를 어떻게, 왜 그렇게 반영하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교육 방안을 열어준다. 이러한 어휘 교육을 설계하기 위하여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 요소를 탐색한다. 이론 요소로 ‘인지문법’을 기반으로 ‘틀과 은유’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방향을 확인한다. 인지문법은 어휘를 개념화 과정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기저 이론이다. 매개 이론으로서 틀과 은유는 표현자가 전경과 배경의 선택을 통한 개념화 과정에 대한 어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적 기제를 지니고 있다. 실천 요소로 ‘인지 중심적 텍스트’를 도입하고 ‘어휘 타당성 탐구 활동’을 구안한다. 텍스트의 개념을 인지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접근의 실제를 확인한다. 이를 전제로 틀과 은유를 학습자의 수행 단계로 활용하여, 기사문에 대한 어휘 타당성 탐구 활동의 실제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gn elements of vocabulary education to investigate expressional intentions. It has a meaning of a basic research for systematizing valid vocabulary using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s an educational approach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expressional intentions by examining the Korean subject curriculum. Valid vocabulary education can broaden educational outcomes by clarifying how and why words in a text can depict the world the expresser wants to draw.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elements necessary for vocabulary educatio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s for the theoretical elements, this study verifies a vocabulary teaching strategy using the frame and metaphor approach based on cognitive grammar. Cognitive grammar is a fundamental theory for understanding vocabulary as a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On the other hand, as a mediation theory, the frame and metaphor approach provides a methodological mechanism that can lead the expresser to use vocabulary in a conceptualization process by choosing vocabulary foregrounds and backgrounds. Regarding the practical ele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gnitive aspect of texts and investigates vocabulary validity. The concept of text is established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and verified by an approaching example, while the investigation of vocabulary validity comprises the application of the frame and metaphor approach to the learners’ performing steps in the analysis of a news story.

      • KCI등재

        수용·표현 어휘력검사(Receptive Expressive Vocabulary Test)의 타당도 연구

        김영태(Young-Tae Kim),이주연(Ju-Yeon Lee),홍경훈(Gyung-Hun Hong),김경희(Kyung-Hee Kim),장혜성(Hae-Seong Cha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09 言語治療硏究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st materials, the appropriateness of the vocabulary and figures was evaluated by speech language pathology related experts. Additionally,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ools can distinguish differences in vocabulary proficiency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was performed targeting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of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Lastly,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performing PPVT-K, K-BNT-C, a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argeting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validity evaluation showed that an average score of 3.57 was obtained out of 5. Seco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ird, the REVT-R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PPVT-K. Forth, the REVT-E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K-BNT-C.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is valid.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조기선별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사정 어휘검사도구의 타당화 연구

        이예다나(Lee, Yedana),손승현(Son, Seung-Hyu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ocabulary CBA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 s language curriculum in the 1st, 2nd and 3rd grades of school. To do this study, vocabulary CBA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roperties of vocabulary CBA were assessed using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Pearson r correl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ain validity as screening test for classify group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813 students completed the tests, and results showed promising evidence of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Limitation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하고 중재 계획 수립에 대한 개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인 교육과정중심사정 어휘검사도구의 예비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813명 학생들이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적문항신뢰도와 피어슨상관관계분석,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중심사정 어휘검사도구는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을 선별하는 데 적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철자 및 단어인지 유형이 읽기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유형으로 파악되었으며 하위 26~28% 학생으로 집단을 구성하였을 때 판별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교육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신해(Hwang, Sheen-Hai),김민진(Kim, Mi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어휘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는 정서어휘 선정, 검사도구 시안 개발, 검사도구 타당화의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정서어휘 선정 단계에서는 검사도구 문항을 구성하기 위한 정서어휘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서용어를 수집하고, 전문가 협의와 어휘 등장 빈도를 고려해 유아의 수준에 적합한 정서 범주별 주요 정서어휘를 선정하였다. 검사도구 시안 개발 단계에서는 선정된 정서어휘를 그림 문항으로 제작하고, 제작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도구 시안에 대한 2차례의 예비검사를 진행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에 대한 통계적 방법과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시안을 구성하였다. 검사도구 타당화 단계에서는 최종 시안을 사용하여 본검사를 진행하고 수집한 결과에 대해 Rasch모형을 적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3개의 연습문항과 75개의 본문항으로 구성 된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를 확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정서어휘 검사도구가 측정도구로서의 안정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and validate the emotional vocabulary acquired by young childre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tool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selection of emotional vocabulary, development of examination questions, and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First, based on a literature analysis, emotional vocabulary was defined and discrimination criteria were set. In consideration of experts consultation and the frequency of vocabulary appearance, the emotional vocabulary for the developing measurement was selected. Second, two preliminary tests were conducted to develop the measurement draft, and the measurement was develop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by experts. Finally, for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he main test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results were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by applying the Rasch model. Through the process the emotional vocabulary measurement was composed of 3 practice questions and 75 body ques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table measuring tool for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n emotional vocabulary.

      • 基於樣題商務詞語統計的商務漢語考試內容效度考察

        張述娟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1 한자연구 Vol.0 No.4

        This paper, based on vocabulary statistics from sample test paper, analyzed Business Chinese Test(BCT) content validity through comparing to Business often-used vocabulary in BCT syllabus. Vocabulary from the BCT sample test takes 16.1% of total 2455 from Business often-used vocabulary, which makes BCT sample test is a representative one. On the other hand Business vocabulary from Business often-used vocabulary covered 89.6% of the sample test’s Business words. View of two aspects above, we draw the conclusion that Business Chinese Test has a comparatively high content validity.

      • KCI등재

        ‘어휘 사용의 타당성 탐구 활동’의 교육 내용 설계 방향

        신명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Exploration of validity of vocabulary use' i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activity of criticizing and judging the validity of vocabulary used in text. Depending on the context, it can be called “determining the validity of vocabulary use” or “the critical activity of vocabulary use”. Validity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hen accuracy and relevance are secured. In order to explore the validity of vocabulary use, accurate and appropriate judgment of vocabulary concepts and contexts must be preceded. 'Criticism' is made on a rational and logical basis and is, of course, distinguished from unconditional criticism. This paper deals with exploring the validity of vocabulary use in connection with text reading. Exploration activities of Validity of vocabulary use have not been explicitly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Nevertheless, it can be integrated with critical reading activiti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itical reading skills, and can be developed as a developmental activity of the proper identification of vocabulary us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skills.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the activities to grasp vocabulary conceptualization, the vocabulary comparison activity, and the vocabulary change activity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In addition, we analyzed what kinds of difficulties students faced in performing such activities, and then examined what instructional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se activities. ‘어휘 사용의 타당성 탐구 활동’은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타당성을 비판·판단하는 활동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맥락에 따라 ‘어휘 사용의 타당성 판단 활동’이나 ‘어휘 사용의 타당성 비판 활동’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타당성’은‘정확성’과 ‘적절성’이 담보될 때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어휘 사용의 타당성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어휘 개념과맥락에 대한 정확하고 적절한 판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비판’은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근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무조건적인 비난과는 당연히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어휘 사용의 타당성 탐구 활동을 텍스트 읽기와 연계하여 다루었다. 어휘 사용의 타당성 탐구 활동은 그동안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교육 내용화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비판적 읽기활동과 융합되어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으며 어휘 사용의 적절정 파악 활동의 발전적 활동으로개발되어 어휘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에 기반하여 어휘 사용의 타당성 탐구 활동으로‘어휘 개념화 파악 활동’, ‘어휘 비교 활동’, ‘어휘 바꾸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실제로 이러한활동을 수행할 때 어떤 어려움을 겪으며 어떤 수행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여 이 활동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필요한교수적 지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 KCI등재

        2021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Ⅰ 문항의 어휘 타당도 분석 ― 교과서 수록 어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민 ( Kim Youngmin ),정지수 ( Jeong Jiesu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6 No.-

        본고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Ⅰ 과목(이하 ‘2021수능’)의 문항 구성에 운용된 어휘를 중심으로 내용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수능이 가르친 내용을 범위로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제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수록된 어휘와 수능 어휘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21수능’ 어휘 중 6종의 중국어Ⅰ 교과서 수록률은 평균 46.68%이며, 중국어Ⅱ 교과서 수록률은 평균 79.5%로, ‘2021수능’의 어휘 수준은 중국어Ⅰ보다는 중국어Ⅱ에 근접하며, 중국어Ⅱ까지 이수하여도 ‘2021수능’ 출제 어휘의 80% 가량의 형태만을 학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21수능’에 사용된 기본 어휘 중 51.2%가 하나의 어휘가 여러 품사와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1음절 어휘로 조사되었으며, ‘2021수능’에서는 중국어Ⅰ은 물론이고 중국어Ⅱ 6종 교과서에서도 다루거나 배우지 않는 의미와 용법을 이해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기본 어휘의 결합으로 만들어졌으나 기본 어휘의 의미만으로는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없는 어휘 결합이나 관용 표현들이 출제되었다. 전체적으로 ‘2021수능’은 어휘 운용에 있어서 평가 내용의 타당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수능 출제 시 어휘 범위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교육과정의 어휘목록이 상세화되어 타당도를 높이고 교수-학습에도 긍정적인 환류효과(washback effect)를 가져올 수 있기를 바란다. In this study, a content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vocabulary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s in the Chinese I section of the 2021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2021 CSAT”).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evaluation would be from the contents taught, we investigated the inclusion rate of the vocabulary of the “2021 CSAT” from high school Chinese text 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verage inclusion rate of vocabulary from the six textbooks of Chinese I was 46.68% and from the six textbooks of Chinese II was 79.5%, it means that the vocabulary level of the “2021 CSAT” was closer to that of Chinese II than that of Chinese I. Further, even if a student had completed Chinese II, he or she would have learnt only 80% of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2021 CSAT. 51.2% of the basic vocabulary used in the “2021 CSAT” was surveyed as a one-syllable vocabulary which could function as multiple parts of speech, and have multiple meanings or functions. The “2021 CSAT” necessitated knowledge of meanings and usage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or learned through the six textbooks of Chinese I or Chinese II. In addition, exam questions included vocabulary combinations or idiomatic expressions created by combining words from basic vocabulary but whose meaning in combination could not be inferred from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basic word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2021 CSAT lacked content validity of vocabulary application. The findings suggest a revision of the vocabulary list of the curriculum to adjust the vocabulary range to enhance validity, thus promoting a positive washback effect in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어휘 등급의 검증 방안 연구

        최소영(Soyoung Choi), 박태준(Taejoon Park), 박진호(Jinho Park) 형태론 2023 형태론 Vol.25 No.1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체계적인 어휘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여 등급화한 '어휘 등급화 목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새로운 방안을 설계하여 검증을 실행하였다. 검증 방안으로는 다음의 양방향 방안을 고안하였다. 첫째, 학교교육을 넘어서는 언어생활로의 확산적 방안으로, 검증 대상 어휘 등급이 학교교육보다 넓은 세계의 일반적인 언어생활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등급인지를 확인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의 실행을 위하여 새로운 기초 자료인 대규모 말뭉치로부터 추출된 어휘 위계를 설정하고 어휘 등급과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둘째, 어휘 등급의 교육적 목적을 보다 초점화하여 학교교육의 구체적인 교수학습적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등급인지를 확인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는 수렴적 방안이다. 이 방안의 실행을 위해서는 여러 교과의 교과서 텍스트 수준과의 연계 정도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밝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검증 결과, 검증 대상의 어휘 등급은 대규모 말뭉치에 기반하여 추출된 어휘 위계 및 교과 텍스트 이독성 평정 수준에 상당히 부합하되, 특히 낮은 등급의 쉬운 어휘에서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는 경향성을 보였고, 검증 결과 지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안에서 상호 유사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검증 방안이 일정 부분 유효함을 확인하였으며, 어휘 등급화 목록의 보완 방향을 일관성 있게 알려준다는 점에서 유용한 검증 결과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탐색한 어휘 등급 검증 방안은 어휘 등급 설정과 등급 검증의 실증성을 향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In this study, a new method was designed and verifi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vocabulary grading list', which selected and graded educational vocabulary to support systematic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As a verification method, the following two-way method was devised. First, as a way to expand language life beyond school education, it is a way to verify validity by checking whether the vocabulary grade to be verified is a level that appropriately reflects general language life in the wider world than school education. To implement this plan, a hierarchy of vocabulary extracted from a large-scale corpus, which is a new basic data, was set up and a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grade of this study was designed. Second, it is a convergent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by focusing more 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vocabulary grade and checking whether it is a level that can explain specific teaching-learning aspects of school education. To implement this plan, a method was designed to reveal the degree of linkage with textbook text readability levels of various subject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vocabulary grade of this study was quite consistent with the lexical hierarchy extracted based on the large-scale corpus and the level of readability evaluation of textbook texts, but showed a tendency to show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especially in low-level easy vocabulary, and the verification result index was poor. If not, they showed mutual similarit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ification method of this study was partially effective, and it could be said that it was a useful verification result in that it consistently informs the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of the vocabulary ranking list. The vocabulary grade verification method explor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mproved the empirical quality of vocabulary grade setting and grade ver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