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초등학생의 요구 분석

        이재호 ( Jeaho Lee ),전상일 ( Sang-il Ge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3 창의정보문화연구 Vol.9 No.2

        본 논문은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의 요구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검사도구는 기존 문헌, 선행 연구 및 전문가 검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가, 관계 및 개선 노력의 5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각 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학생들은 관계 전문성, 교육방법 전문성, 개선 노력, 교육내용 전문성, 평가 전문성 순으로 순위를 매겼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의 열정과 지속적인 자발적 노력을 장려하는 학교 분위기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st tool for measuring the information subject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analyzing the demands and preferences of 3rd to 6th grade students. The test tool wa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validation, and was divided into five factors: education content, education method, evaluation, relationship, and improvement effor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Results show that students ranked relational expertise, education method expertise, improvement efforts, educational content expertise, and evaluation expertise in order of importance.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teaching expertise preferred by student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a school atmosphere that fosters teacher passion and continuous voluntary efforts to improve teaching expertise.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재호,전상일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5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이 교육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의 정도와 개선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들은 [학생이해], [유연성], [환경이해]에서 뛰어난 수업전문성을 지니고 있지만,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개발노력] 요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한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성별, 경력, 근무 지역, 학력 수준, 정보교육 전공 여부, 정보교육에 대한 선호도 및 정보교육 관련 업무경험 등이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학생 중심의 효과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using a 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formation subject teaching expertise.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xcellent teaching expertise in student understanding, flexibility, and environmental understanding, they received relatively low evaluation results for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evaluation, and development effort factors. Alternatives are needed to enhance teaching expertise in these areas. Various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eaching expertise, and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aim to propose alternatives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information subjects and realize effective student-centered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미래형(2009)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이 글은 2009년 연구·개발된 `미래형 교육과정`구상(안)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하여 쏟아진 질문들을 연구·개발자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이렇게 제기된 다양한 질문들이 학교교육에 어떠한 혼돈을 야기할 것인지, 둘째, 이에 기초하여 개정 고시된 `2009 개정 교육 과정`에서 미래형 교육과정과 다르게 `2007 개정 교육과정`으로 되돌려진 내용은 누가, 왜, 변화시켰으며, 어떠한 혼돈을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셋째, 이러한 비판적 논의에 기초하여 미래형(2009) 교육과정이 의도한 대로 학교교육의 희망이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일을 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들로는, 미래형 교육과정이 `미래형`인가? `글로벌 창의인재 육성`이 새로운 목표인가? 글로벌 창의 인재 육성이란 경제에 종속된 인간을 기르는 것 아닌가? 교과군, 집중이수제는 `소외` 교과를 약화시키고 국영수 중심의 입시교육을 강화하는 것 아닌가? 특정 교과를 교과군 속에 포함시키는 것은 전인교육을 포기하는 것 아닌가? 특정 교과에서 수행평가를 강조하는 것은 해당교과를 약화시키고자 하는 것 아닌가? 등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을 변경시켜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편제를 다시 담아왔다. 이에 대하여는 통합교과의 정당성에 관한 문제와 교육과학기술부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결정권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형(2009) 교육과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변화에 대한 새로운 마음가짐(metanoia-a fundamental shift of mind)을 가지고 변화 과정의 복잡성, 역동성, 불확실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변화를 주도하고 스스로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변화를 체질화 할 수 있는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을 갖추는 것이 요청되며, 변화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developer`s perspective. Specifically, first, it discusses about what kinds of confusions the various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ally cause in schools. Second, it debates why and by whom the early grade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ideas of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has changed to the old ones of `2007 revised curriculum`. Third, it sugges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be successful in schools. Issues raised about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includes the followings: Is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really future-oriented at stated?; Is the goal of raising the globalized person with creativity really the new goal?; Isn`t the goal of raising globalized person different from the raising the person who pursues money rather than other desirable values?; Do the policies of subject clusters and an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alienate the so-called weak subject matters and enhance the status of major subject matters of Korean language arts, mathematics, and English language arts?; Does the inclusion of some specific subject matters in a subject group mean to give up the goal of raising the whole person?; Is the emphasi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some specific subject matters intended to weaken them?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uts back the content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regards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problems of putting back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levanc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early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legitimacy of power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decision maker.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be successful in schools and benefit to students are suggested. First, a new attitude about the change (metanoia-a fundamental shift of mind) with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of change, dynamism, and uncertainty is recommended. Second, the adaptive expertise with which person responds to changes in their own wills and equips with the change capacity are recommended. Third, the learning organizations are recommended to equips the change capacity with the adaptive expertise.

      • KCI등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Domain Expertise on the Consistency of Relevance Judgements

        Stacey Scholten,문성빈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3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test the subject-knowledge view of relevance theory in order to find evidence of a conceptual basis for relevance. Six exper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nine Master’s students of LIS, and twelve non-experts judged the relevance of 14 abstracts within and outside of the LIS domain. Consistency among the judges was calculated by joint-probability agreement (PA) and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When using PA to analyze the judgements, non-experts had a higher consensus regardless of the task or division of groups. However, ICC calculations found Master’s candidates had a higher level of consensus than non-experts within LIS, although the experts did not; and the agreement rates on the non-LIS task for all groups were only poor to moderate. It was only when the groups were analyzed as two groups (experts including Master’s candidates and non-experts) that the expected trend of higher consistency among experts in the LIS task was seen.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국어과 탐구 능력 계발- PBL 과제의 실행을 중심으로 -

        천경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국어교육 현상에 대한 탐구 능력은 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초등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교육대학 학생들에게 국어과 교육 관련 명시적 지식이나 기술의 전수뿐만 아니라 국어교육 현상에 대한 탐구 능력과 탐구 의식을 계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에 개설된 국어과 교육 강의에서 모둠을 구성한 후, 비정형적 과제를 문제해결학습(PBL)으로 제시하고, 학생들의 국어과 탐구 능력과 탐구 의식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PBL 활동은 전반적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국어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다. 과제 수행 과정에 관한 학생들의 자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탐구 의식의 발현 단계는 ‘혼란과 당황 경험, 모둠별 해결 전략 발휘, 심리적 반전 경험, 정리된 감정 형성’ 등과 같은 순서로 나타났다. 최종적 감정은 만족감을 주로 경험하였으며, 그 이유는 주로 개인 역량을 넘어서는 과제 수행, 진정한 과제 수행, 동료들과 협동성 발휘, 전문성 경험, 주도성 발휘 등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d the developing educational college students’ inquir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teacher expertise. To this e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es opened at the college presented unstructured PBL(Problem Based Learning) tasks as a group of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As a results, PBL tasks generally increased the competence of inquiry about the Korean language subjects for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students. The analysis of self reports regarding PBL task performance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 were the four ordered stages of consciousness of inquiry : confusion and conflict, solution strategy by group, psychological reversal, and organized emotion. The final emotion was primarily satisfaction, and the main reason was an authentic task experience beyond personal capacity.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 및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일본어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미희,정욱성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A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중인 일본어전공 예비교사들이며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그리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은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교수법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새로운 혁신적 교수법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그에 대한 활동이 구체화되고 확대되기를 시사하고자 한다. The present paper aims to examine how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creating UCC materials affects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s of a group of 19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under the teacher certificate curriculum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eon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set of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WIN 21.0.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UCC experiences and their teaching subject expertise/creativ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former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ter.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might suggest that teachers’ teaching methods in the field are very important. It is hopeful that innovative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will be introduced and expanded in the filed to produce more effective education.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KCI등재

        미래지향적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방안

        이광성(Lee, Kwang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3

        미래지향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교사를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미래지향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의 자질을 연구한 CBTE접근을 기본으로 한다. 교과적 전문성 신장을 바탕으로 하되 활동의 주도성 측면과 품성적 전인성 측면을 중심으로 미래지향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안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첫째, 미래지향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경쟁력 있는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다. 장기적으로는 이 프로그램의 운영 결과가 교사 임용의 준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둘째, 미래지향적 교사는 경쟁력 있는 교사를 말한다. 경쟁력 있는 교사란 교과적 전문성과 활동의 주도성과 품성적 전인성을 골고루 갖춘 교사이다. 셋째, 미래지향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경쟁력 있는 교사 양성을 기본으로 하고, 교사 임용의 준거로 활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ow to develop and utilize the Future 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future oriented teacher is a competitive teacher. The future orien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made based on the CBTE theory. The following are: First, this program is designed to develop a competitive teacher. Also this program is designed to utilize in the long term. Second, the concept of the future-oriented teachers is a competitive teacher. A competitive teacher is a teacher who is equipped with leading performance of educational expertise and activities. Third, the issue of teaching teachers is an issue of educational expertise. It can be used to focus on aspects of subject expertise, aspects of character, and aspects of leading activity. Fourth, it is a measure of the use of the future-oriented teacher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When it comes to carrying out a practice, the number of problems should be examined.

      • KCI등재

        국어과 교사를 위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점검

        정정순 ( Jung Soon Jung ) 한국어교육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mplemented by the fiv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eoul, Busan, Daegu, Kwangju, Daejeon) in 2011.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signed concerning three sectors, which is standard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① personal development, ② professional development, ③ development of subject expertise. Courses offered in the personal development sector are not likely to help teachers develop personal capability. Courses offer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ector don`t seem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 They are more likely to improve capacity of management of class and school. Courses offered in the development of subject expertise sector tend to follow conventional pattern in setting up the lectures rather than consider teachers needs. Most Programs have not focused on the teachers concerns and needs, and through the programs, teachers have just been looked upon lack of proper knowledge. Delivery system also needs to change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participation. To improve the program to meet the needs of teachers, I just propose to construct a consultative body made up of government officials, teachers and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consider teacher`s concerns and interests to improve their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후보

        주거생활문화공간으로서 아파트의 소비자 지식 구조에 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배민철(Bae, Min 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기존 소비자 지식 연구는 소비자 지식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증명하였지만, 개념 및 실증연구 상의 문제점, 연구결과의 비교가능성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기존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에 대한 친숙도와 전문성 등에 의한 정의에 대한 문제점,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의 구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을 구분하지 않음 점, 지식의 하부구조에 대한 비고려, 하부구조의 상응문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품대상으로 고관여 제품인 아파트를 이용하여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자기평가지식을 정의, 측정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 지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을 구분하고 이들의 하부구조를 일치화시켰고 기존의 전문성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으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간의 상관관계를 하부구조와 통합적 입장에서 연관성을 고려하였고, 주관적 하부지식과 객관적 하부지식이 자기평가지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주거생활문화공간으로서 아파트를 이용한 본 연구결과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의 관련성이 존재하지만 이들이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이의 구분이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하부구조가 일치된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이 경험과 더불어 자기평가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Consumer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prediction of consumer choice.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and proved the critical roles of consumer knowledge. However, several problems exist i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aspects. As a result, comparison among research findings researches is very difficult. We define and measure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vercoming the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In particular, the scope of expertise, the distintion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the underlying structure of knowledge, knowledge structure matching are incorporated to avoid conflicting results. That is, we interpret expertise as the combin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ir decision making.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re closely related but their roles in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therefore, it should be investigated separately. Furthermore, underlying knowledge structures should be made i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these should be matched for subjective knowledge as well as objective knowledge. In this study, we split consumer knowledge into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construct underlying structures of them. Also, we define expertise as su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s of underlying structure and integra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the impact of these on self-assessed knowledge. Empirical results using apartment as a product showthat there exist som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se two constructs. These two constructs also affect self-assessed knowledge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volvement and experience. 기존 소비자 지식 연구는 소비자 지식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증명하였지만, 개념 및 실증연구 상의 문제점, 연구결과의 비교가능성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기존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에 대한 친숙도와 전문성 등에 의한 정의에 대한 문제점,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의 구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을 구분하지 않음 점, 지식의 하부구조에 대한 비고려, 하부구조의 상응문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품대상으로 고관여 제품인 아파트를 이용하여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자기평가지식을 정의, 측정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 지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을 구분하고 이들의 하부구조를 일치화시켰고 기존의 전문성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으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간의 상관관계를 하부구조와 통합적 입장에서 연관성을 고려하였고, 주관적 하부지식과 객관적 하부지식이 자기평가지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주거생활문화공간으로서 아파트를 이용한 본 연구결과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의 관련성이 존재하지만 이들이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이의 구분이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하부구조가 일치된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이 경험과 더불어 자기평가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Consumer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prediction of consumer choice.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and proved the critical roles of consumer knowledge. However, several problems exist i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aspects. As a result, comparison among research findings researches is very difficult. We define and measure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vercoming the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In particular, the scope of expertise, the distintion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the underlying structure of knowledge, knowledge structure matching are incorporated to avoid conflicting results. That is, we interpret expertise as the combin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ir decision making.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re closely related but their roles in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therefore, it should be investigated separately. Furthermore, underlying knowledge structures should be made i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these should be matched for subjective knowledge as well as objective knowledge. In this study, we split consumer knowledge into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construct underlying structures of them. Also, we define expertise as su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s of underlying structure and integra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the impact of these on self-assessed knowledge. Empirical results using apartment as a product showthat there exist som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se two constructs. These two constructs also affect self-assessed knowledge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volvement and experience.

      • KCI등재

        주관적 경력성공이 직무성과 및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직장인전문성개발의 매개효과

        김유진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job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mediating role of 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elf-reported surveys were administered with 332 employees through online. As results, job satisfaction as one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variabl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job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Next, employability, another indicator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did no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ither of job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but 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has positive impacts on not only individual career but also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lso, employee expertise development played a critical role to transfer the benefit of individuals’ subjective career success to the organiz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vocational educators may develop inegrated interventions to simultaneously facilitate both individual career success and organization’s growth. 이 연구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결과영향으로 전문성 개발, 직무성과 및 적응수행을 살펴보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주관적 경력성공이 직무성과 및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직장인전문성개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의 다양한 직무영역에서 전일제로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 직무영역과 관련하여 최소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대졸 기업근로자 33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업체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의 경우 직무성과와 적응성과 모두에 직접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장인전문성개발을 통한 간접 영향도 유의하였다. 즉, 직장인전문성개발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및 적응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고용가능성이 직무성과와 적응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직장인전문성개발을 통한 간접 영향만 유의하였다. 즉 직장인전문성개발은 고용가능성과 직무성과 및 적응성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이 연구는 주관적 경력성공이 기업에 미치는 결과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 아울러 주관적 경력성공이 조직 성공에 기여하는 과정을 매개하는 직장인전문성개발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직업 교육 현장에서 개인의 경력개발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통합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개입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 했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