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鄭旭盛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9
아리시마 다케오의 소설 “돌에 짓밟힌 잡초”는 등장인물 주인공 A, 아내 M코, 친구 B로를 통해 파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 결말에서 세 등장인물은 모두 파탄에 이르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왜 그들은 파탄에 이르게 된 것일까? 그들을 파탄에 이르게 한 원인은 무엇인가? 본고에서는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그 원인에 대해 추적하고, 작가가 본 작품을 통해 의도하고자 한 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원인으로서 M코와 친구 B의 부정하기 그지없는 불륜관계를 상정하였다. 이는 소위 사회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비판으로 파탄을 초래할 수밖에 없는 길이었다 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본고는 이 둘의 관계에 더하여 M코의 창부적인 성격과 그러한 M코에 대한 A의 ‘불신’이라는 도식을 관계를 추가하여 이 두 등장인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는 M코를 중심으로 친구 B와 A라는 인물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 세 등장인물을 자리매김함으로써 파탄의 원인에 대한 입체적인 조명이 가능하였다. 즉, A의 M코에 대한 사랑은 A의 ‘질투’와 ‘알 수 없는 경쟁심’에 대한 ‘집착’ 그리고 ‘쟁취에 대한 만족’을 위해 A가 선택한 ’사랑‘의 방식이었다. 이는 평소 ’사랑‘과 ’위선‘의 관계에 대해 날카로운 시선을 유지하던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가 세 등장인물을 통해 ’사랑‘과 ’위선‘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A의 M코에 대한 사랑의 방식 역시 또 다른 ’사랑‘이라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Chief character A in "The weed which was pushed to a stone", the M of the wife, B, nobody of the friend are free from a level of the failure. I taste a fruit of the all failure after all. Did, and have all of them tasted a fruit of the failure? It is this article that considered while squeezing a focus what it is that an author intended through this work while pursuing the cause whether the cause that let all of them fall into failure would be where. At first the causes will include the illicit relations that are extreme in unchastity with M child and B. It is decided that this is criticized seeing from so-called social point of view, and, as for inviting it, there can be a way by failure. However, I stretched out consideration in <distrust> of A to title the prostitute-like place of the M to such M without perching on this by the main subject. Particularly, A flowed into it, and, as well as prostitute characteristics of M and unchastity and the M with B, it investigated the viewpoint about a cause of the failure to the person that it was said. The love for the M of A was for "jealousy" of A oneself and "deep attachment" to "mysterious emulousness" and "satisfaction of the greed for struggle",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the love" that A chose through the main subject then. In other words, I clarified that it included "love" of transformed A that it was thought as another cause of the failure with this work through this report.
정욱성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 Vol.54 No.-
本論は有島武郞において「眞面目」というものは、いかなるものであり、しかもそれがいかにその精神的な面で影響を及ぼしていたのかを彼の精神的な軌跡を천りながら考察して、明らかにしたのか本論文である。有島武郞の精神的な基調をなしていると思われる「眞面白」は、彼の思想だけではなく、彼の文學の世界にも影響していると思われる。本論のテ―マは本論文にとどまることなく、今後彼の作品にまで論點を廣げ、「眞面目」によって派生された「僞善」がいかにえがかれているのかを明らかにするつもりである。
鄭旭盛 한국일본문화학회 2011 日本文化學報 Vol.0 No.51
I discussed it while paying attention about a person called Kibe whom I did not pay attention to very much by the main subject so far. What did not attract attention will be because I did not think it to be such an important person with a work so far. However, Kibe was not the simple character who carried just the position who gave a career in the past who hurt for Yoko as considered by the main subject. Besides, as for Kibe, judging from the inspection by the conventional main subject, it feels like having to be it in the work called "a certain woman" to be an indispensable important person so as it has a great influence on Yoko of the chief character, and to give a change in a lifetime.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Yoko image, the big thing that I had an influence on does not turn in particular on doubt. If hope and disappointment, a wave were abusive, I tasted reality, a list and the back and the world where it was said through a married life with short Kibe of Yoko. The sprouting to particularly <-related> and <hypocrisy> will be that it was clarified that it was the most notable thing that I have changed Yoko into another person through the main subject in that.
鄭旭盛 한국일본문화학회 2000 日本文化學報 Vol.8 No.-
본 논문은 有島武郞의 크리스트교 入敎의 배경 및 의의를 파악해 보고, 이를 통해 有島의 크리스트교의 失體는 무엇이었으며, 그의 背敎의 근원적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有島에게 있어서 크리스트교 신앙생활의 시작은 〈僞善〉적인 자신의 모습, 혹은 「人」의 〈僞善〉으로부터의 탈출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신적인 변화를 그의 日記를 통해 면밀히 분석하였다. 본론에서는 특히 明治32年頃의 日記에 나타난 심적 변화를 중점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그의 〈僞善〉에 대한 인식과 이로부터 탈출하려는 정신적 고뇌를 명백히 밝혔다. 또한 〈僞善〉으로부터의 탈출이라는 정신적인 변화와 함께. 「自然」과 「神」에 대한 인식의 변화 또한 이 시기에 보여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自然」과 「神」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人」의 〈僞善〉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人」의 〈僞善〉의 大替로서의 「自然」을 통해 「神」을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神」의 인식이 有島로 하여금 크리스트교 入敎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