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방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장선영,고은현,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endency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which is there presen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and finally put through the advanced proposals for educational methodology. The total articles were 217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last over 10 years (2003-2013).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two criteria: research domains, research methodolo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part of research domains, the teaching methodology accounted for 71.4% (155 articles) of the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domains were educational counseling (13.8%, 30 articles), educational evaluation (9.2%, 20), educational curriculum (2.8%, 6),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2.8%, 6). In the teaching methodology domain, the study of learning guidance model accounted for 38.2% (83 articles). Its hows that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has been mostly conducted on the teaching methodology, especially learning guidance model.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survey study accounted for 45.2% (98 articles) of the total 217 articles. The proportions of other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literature study 14.3%, development research type I 11.5%, quasi-experiment study 10.6%, case study/qualitative study 7.8%, experiment study 6.9%, development research type II 3.2%, cost effectiveness study 0.5%, and others 0%. It is needed to be researched in the field of more qualitative study than quantitative one and also to expand the research domain and target learners in the future.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태동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발전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방법의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이론들에 의해서 정립되었듯이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상황을 항상 고려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원점에 서서 우리나라 교육방법의 현 모습과 발전 과제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을 다룬 전문 학술지인 ‘교육방법연구’ 2003년도에 발간된 15권 1호에서부터 2013년도의 25권 2호에 이르는 총 11권 28호, 2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질적인 교수학습 상황 속에서의 교육방법들이 현재 어떤 경향성을 띠고 있으며 이 속에서 어떤 교수와 학습의 요구가 있는지 교육방법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과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방법의 연구영역 및 적용대상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주로 ‘교수방법’의 ‘학습지도 모델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다. 둘째, 교육방법의 연구방법에서 지금까지 10여 년의 기간 동안 ‘조사연구’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향후 사례연구 및 문화기술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들이 보다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고등교육을 주로 대상으로 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의 의미고찰을 전제로 한 기업교육과 같은 다양한 성인교육에서의 교육방법이 필요하고,평생교육과 같은 범위로까지도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의 함의에 관한 소고(小考)

        박성일(Piao ChengRi),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 연구방법론의 함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기구조주의는 오늘날 교육 연구에서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고, 이미 수많은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과 특징을 다음과 같은 연구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Ball의 교육정책개혁 연구, Giroux의 비판교육학 연구, 佐藤学의 교육언어와 담론 해체적 분석 연구, Lather, Grumet, Noddings의 페미니즘 교육 연 구, Taubman, Daignault, Wen-Song Hwu의 교육과정 해체적 분석 연구 등이 그것이다.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는 후기구조주의 이념과 방법론을 근본과 기저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탈중심화’와 ‘차이’ 주목, ‘메타 서사’와 ‘절대 진리’ 해 체, ‘권력’ 거부와 ‘권력관계’ 해체, ‘주체성’ 해체, ‘텍스트’와 ‘담론’ 해체 등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의 양상 및 특징과 연구방법론의 근본과 기저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교육연 구자들이 후기구조주의 교육 연구방법론을 현실의 교육 연구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and explore the Connotation of it’s Methodology. Post-structuralism has had a tremendous impact in education research and so many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cent decades. This study selected some examples to exam th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ose are include: (1)Ball s study of educational policy reform; (2)Giroux s post-structuralism critical pedagogy research; (3)Satomanabu s research of deconstruction of educational language and discourse; (4)Lather, Grumet, Noddings s feminism education research; (5)Taubman, Daignault, Wen-Song Hwu s curriculum deconstruction analysis. Further, this study explored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The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based on Post-structuralism idea and methodology, and take i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undation. Concretely, this study take it into as follows to exam: (1)“Decentralization” and gaze “differance”; (2)“Grand narrative” and “absolute truth” Deconstruction; (3)“Power” deny and “Power relations” Deconstruction; (4)“Subjectivity” Deconstruction; (5) “Text” and “Discourse” Deconstruction. In conclusion, through to comparative analysis that it with 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o clarified the change and evolve, and deepen our understandings for the methodology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al research.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researchers may have a clear understandings for the modality and features of Post-structuralism education research, and for the fundamental foundations of it’s methodology. Further, we hope that it can be helpful for education research today.

      • KCI등재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ategorize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in music education and classified research articles(N=112) published i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JMES) of Korea by the research methodological category sin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publications in JMES were review articles (n=96; 85.7%), and the small numbers of articles took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16; 14.3%) relatively, while majorit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studies i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 produced results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8.3%). In conclusion, stud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 with produc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more for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관련된 학술적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현황을 알기위하여,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대부분 양적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는 대부분 질적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양적연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현장중심의 양적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전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교육방법연구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498 published 'Education Metho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during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2 (Volume 14, No. 1), to Volume 33, No. 4, published in 2021. The repor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method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itation index for the past two years (2019-2020) was 2.0.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field with 324 articles (65%), followed by 92 practical studies (18%), 44 theoretical studies (9%), and 38 qualitative studies (8 articles; %).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each study subject, the most frequently used were multi-layered subjects (193 articles; 39%), followed by 191 articles (38%)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69 articles (14%)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45 articles (9%)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research topic, learning methods were addressed in the greatest number of studies (199 articles; 40%), followed by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methods (118 articles; 24%), teaching methods (109 articles; 22%), and research methods (72 articles; 14%).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can be evaluated as academic journals that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journal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citation index, typ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방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방법연구’ 논문을 2002년 제14권 1호부터 2021년 제33권 4호 까지 20년 동안 발행한 총 498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방법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년(2019-2020)의 피인용지수는 2.0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 분석 결과 양적연구가 324편(6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실천연구 92편(18%), 이론연구 44편(9%), 질적연구 38편(8%)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 현황 분석 결과 다층 대상이 193편(39%)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대학생 191편(38%), 중등 학생 69편(14%), 초등학생 45편(9%)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 분석 결과 학습 방법이 199편(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법 118편(24%), 교수 방법 109편(22%), 연구 방법 72편(14%)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법론 연구 학술지는 피인용지수,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학술지의 정체성이 분명히 드러난 학술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용학 연구방법론 교재목차 개발에 관한 연구

        김귀옥 ( Gwi-ok Kim ),여인자 ( In-ja Yeo ),김혜진 ( Hye-jin Kim ),이창식 ( Chang-sik Lee ),양은진 ( Eun-jin Yang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4 미용예술경영연구 Vol.8 No.1

        Deriving type of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student studying research methods the study wanted to develop a cosmetology research methodology textbook table of contents for cosmetology. For this, we investigated a research methodological syllabus that was adopted by beauty school curriculum at a domestic graduate school. We also derived a fixed type of syllabus from a research methodology in comparision with related reference books for cosmetology. Then we corrected and completed by refecting opinion of advisory importance that was derived about a textbook table. After we suggested a final textbook table of contents analysis result until chapter and section. As a result, a level of lecture of a cosmetology research methodology final textbook table of contents in this study is a understanding of a research methodology, what essay is, 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of essay system, research and ethic of researcher, searaching a material, a type of research, a research procedure, a topic of research, a research proposal, an introduction, a theoretical background, a research method and a result, a conclusion, a reference, a supplement and english abstract writing, evaluation about a research, publishing an essay, and a result. This research, on account of lack of the opportunity to obtain the materials related to cosmetic methodology, is not regarded as comprehensive research. However, as it is attempting to directly understand and explain realistic education circumstance, this research reflect educational reality, which has essential meaning. Henceforward, in order that efficient and future-oriented beauty science majors to entance, more and more dicerse and advanced methods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active coorpeation of each professor's subjects

      • KCI등재

        2006년(年) 춘계학술발표대회(春季學術發表大會) : 기획주제(企劃主題): 자원연구(字源硏究)와 한자교육(漢字敎育) ;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動向)과 과제(課題)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한자 교육에 관한 담론과 연구의 방향은, 본질적으로, 크게 국어 교육의 차원, 한문 교육의 차원 그리고 거시적으로 한자문화권 차원에서 그 범주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문교육학계에 보고된 논문을 검토 대상으로, 한문 교육 및 한자문화권의 차원에서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라는 연구 문제를 특히 연구주제와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연구 주제에 대한 검토 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한자 교육의 성격과 위상에 관한 논의에서 한자 교육을 국어교육과 연계 혹 통합의 차원에서 시론한 성과가 우리의 주목을 요한다. 한자 교수 학습 분야의 연구에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유발이라는 일차적 과제를 극복하고 문자학 성과를 반영한 교수 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요구된다. 한자 교육 평가 측면에서 측정 · 평가의 통계적 원리와 기법을 활용한 과학적 연구 접근 태도가 절실히 요청된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관한 논의는 다양하게 시도, 연구되었지만 무엇보다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정 제정이 필요하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경우, 어떻게 가르치고 활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더욱 생산적일 것이다. 끝으로,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에 관한 연구는,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한자 · 한문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교재 분석을 통해 교수 학습의 일단을 소개하였다는 의의가 인정되지만, 한국의 한자 · 한문교육과 연계하여 응용, 적용, 전망의 방안과 경로(經路), 전이 효과와 그 제한, 시사점의 구체적 내용이나 주의점을 미시적으로 제시하지 못 했다는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 과제이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의 활용 양상에 초점을 두고 선행 연구 논문을 검토한 결과, 한문교육학계는 연구 방법 측면에서 이제 시작 단계에 들어섰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양적 논문의 경우 10여 편에 불과하며 그나마 과학적 엄밀성이 부족하고, 질적 연구의 경우에는 공식적으로 1편이 보고되었다. 교육 연구 방법론에 대한 공부와 적용이 한문교육 연구자에게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한자 교육 연구와 관련된 과제로, 한자 교육을 포함한 한문교육 연구의 활성화와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한문교육학 구성원들은 한문 교육 연구의 현장 지향성, 교과교육학에 대한 탐구와 적용, 연구 방법의 과학성 제고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측정 · 평가 이론, 교과교육학의 연구 성과, 교육연구방법론의 활용 및 적용에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 할 것이다. The direction of discussion and research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essentially set up its category largely from the leve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macroscopically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papers reported in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ircle in order to consider the research problem referred to as the "trend and task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search" from the level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letters, especially centering around research themes and methods. Summarizing the review results on research themes, the achievement tentatively discussed from the levels of connecting or integrating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at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discussion on the nature and status of educating Chinese letters, above everything else, needs our notice. Researches on the learning model of teaching that gets over a primary task of inducing the interest and zest of learners and also reflects the achievement of orthography are required in the learning method field of teaching Chinese letters. A scientifically-approaching research attitude utilizing the statistical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from the aspects of assessing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desperately needed. A variety of discussions o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t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attempted and studied,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government-leve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ourse in the first place. In case of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progress of discussion focusing on how to teach and utilize them would be more productive. Lastly, researches on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cultural area using Chinese characters have their significance of comprehensively showing the pres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by the countries included in the cultural area using Chinese letters and of introducing a clue of teaching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of texts, but it is a future research task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has not microscopically suggested the plans and paths of application and outlook, transfer effect and its limit, and concrete contents and cautions of suggestive points, in conjunction with the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nd classical Chinese in Korea. As a result of having reviewed previous research papers with the focus on the aspects of utilizing research methods,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ommunity can be appraised as having now entered a starting phase from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In case of quantitative papers, there are just over 10 papers and they lack scientific strictness, and only one paper was officially reported in case of qualitative researches. The study and application for the methodology of educational researches are absolutely needed to those who are studying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establish the enliven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learning identity including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e should make efforts in order to raise the orientation of studying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ward the field,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n curricular education, and scientific features of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we will have to study with interests 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theory, the research achievement of curricular education, and the use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research methodology.

      • KCI등재

        한국성인교육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Andragogy Today’를 중심으로

        최은수,김성길,허영숙,박진홍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4

        With the spread of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adult education has been making an independent research area. Thus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Korea's adult education for the past ten years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will help to establish directions and visions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adult education researches by reflecting on the past and looking into the future. This study searched for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on Korea's adult education by reviewing total 270 papers published in ‘Andragogy Today,’ which is one of the major journals in Korea's adult education, from 1998 to 2008 with a framework of regional distribution of contributors, research themes, subjects, and methodologies. 평생교육․평생학습이 확산됨에 따라 성인교육이 하나의 독립적인 연구영역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지난 10년간 한국 성인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작업은 현재 시점에서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를 조망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성인교육연구의 방향과 비전을 수립한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교육학을 대표하는 학술지인 ‘Andragogy Today’에 1998년부터 2008년까지 게재되었던 총 270편의 연구논문을 투고자 지역별 분포,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의 분석틀을 기준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 성인교육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미술교육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 질적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05 造形敎育 Vol.0 No.26

        Although art educational research has expanded in its quality and quantity, it is lack in reflective thoughts about how we claim to know what we think we know. In order to explain the importance of methodological positions in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how the qualitative approach can help uncover the underneath meanings related to various issues in art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background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ssociation with the interpretive approach an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rationale for using qualitative methods in art educational research is discussed in two aspects. Firs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 can seek the way to bridge the cleavage between practice and theory, which often leads to complex problems in art education. Second,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teacher is viewed not as a practitioner of art or the transmitter of fixed knowledge but as researc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itiate the awareness and discourse about methodological issues in art educational research and to expand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investigating our vivid experiences and circumstances in natural forms.

      • KCI등재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

        윤준채 ( Jun Chae Yoon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육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것을 토대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박사과정을 마쳤거나 현재 공부하고 있는 37명의 국어교육 연구자가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17문항으로 구성된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국어교육 연구자는 국어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데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지식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응답자는 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강좌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고, 이로 인해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을 이해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과반수가 국어교육 양적 연구방법론 필수 이수 학점으로 3~6학점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였다. 독립적인 모국어 교육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모국어 교육 현상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양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석.박사과정 프로그램은 양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ers` recognition of research methodology, especial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useful ideas necessary for rebuilding research-method relat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er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For this study, 37 researchers from universities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order to collect data, <Korean Researcher`s Checklist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Results from the study documented as follows. First, the 37 researcher thought that knowledg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Korean education is necessary. Second, their doctoral programs did not provide sufficient classes related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us they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related research works and in doing research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y thought that 3~6 credit hours fo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For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to become independent researchers, curriculum related to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restructured.

      • KCI등재

        평생교육분야 메타 연구의 동향: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현영섭,김우철 교육종합연구원 2017 교육종합연구 Vol.15 No.4

        With the increase of researched in lifelong education, meta researches also has been increased in Korea. Meta research such as research trend and meta analysis may integrate the research results and report the directions for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But until now i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we would not find a articles and discussions about the methodology of meta research of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eta researches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110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Korean Journals using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DB. The findings we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the frequency of the articles was increased nowadays. Especially, since 2011 the frequency was rapidly increased. Second, main theme of the articles were lifelong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adult learner, and so on. Third, about 40% of the articles did not suggested and explained research problem, sampling procedure and criteria, sophisticated discussion, appendix for frequency table, etc. And forth, especially in the articles using quantitative meta analyses and needs/delphi researches did not supply the sufficient explanations about the methodology. Based on the finding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