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정부의 질과 시민사회: 비판적 검토와 지표 개발을 위한 시론

        김선혁 ( Sun Hyuk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1 정부학연구 Vol.17 No.3

        본 논문은 최근 서구 학계에서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고 국내 학계에도 막 소개되기 시작한 ``정부의 질(Quality of Government)``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정부의 질 연구가 각국 행정과 정책의 비교 분석틀로서 보다 유용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시민사회와 관련된 지표들이 적극적으로 개발,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선 정부의 질 논의의 지식사적 맥락을 살펴보기 위해 삶의 질, 사회의 질, 시민사회의 질, 거버넌스의 질(굿 거버넌스), 민주주의의 질 등 다양한 Quality학의 등장과 발전 과정을 살펴본다. 이어 현 단계 정부의 질 논의의 핵심내용을 정리한 후 그것이 선행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 논의와 민주주의의 질(Quality of Democracy) 논의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의욕이 지나쳐 시민사회와 관련된 요소들을 망실하는 愚를 범하였다고 분석한다. 이에 본 논문은 정부의 질 논의에 시민사회가 왜 포함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포함될 수 있는가를 행정학의 다양한 주제 영역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의 질`` 논의가 보다 일반적인 비교 분석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시민사회 친화적인`` 논의로 전환되어 이론적으로는 굿 거버넌스론과 민주주의의 질 논의를 심화·확장시키고 정책적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를 진작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논의를 맺는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Quality of Government(QoG)" and proposes that, for the QoG literature to be more broadly used as a useful comparative framework, it is imperative to take civil society into serious consideration. The paper first probes the intellectual-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QoG discussion, ``reflecting on various quality-related literature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Quality of Society,`` ``Quality of Civil Society,`` ``Quality of Governance (Good Governance),`` and ``Quality of Democracy.`` Next, the paper observes that the QoG literature, out of its excessive zeal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receding Good Governance and Quality of Democracy literatures, has erred in neglecting civil society-related variables. This paper therefore demonstrates why it is crucial to associate civil society with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how we can effectively incorporate civil society-related variables into the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paper emphasizes that changing the current QoG into a more civil society-friendly QoG will deepen and expand the Good Governance and the Quality of Democracy literatures and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democracy worldwide.

      • KCI등재

        정부의 질과 규모가 국민의 객관적・주관적 정부의 질과 규모가 국민의 객관적・주관적

        김태형(Kim Tae hyung),최정인(Choe Jung in),정세희(Jung Se hee),문명재(Moon M. J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1

        정부가 제공하는 공공서비스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있고, 여러 국제기구들이 발표하고 있는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 중에는 정부의 정책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부의 질과 삶의 질은 함께 논의되어야 할 현대 사회의 주요 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87개 국가를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부의 효과성과 정부의 규모, 그리고 생태계 건전성이 국민의 객관적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효과성, 법의 지배, 인구수, 1인당 GDP로 나타났고, 정부의 규모가 확대될수록 국민의 주관적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제공이나 정책업무 처리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고, 정부의 지출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연계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자연환경의 보존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생태계 건전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Public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re directly linked to the people s life. Among the indicators that measure the quality of life announc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vast majority of them show the policy effect of government.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the quality of life are the main issues to be discussed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quality and size of government on subjective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Data from 187 countries from 2000 to 2014 were looked into, and FGLS(Feasible General Least Square)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government effectiveness, size of government, and ecosystem vita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objective quality of life. while the rule of law and the population of individual countries have negative effects on objective quality of life.

      • KCI등재

        The Effects of Local Government Qual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A Case Study of Nepal and Ethiopia

        Odkhuu Khaltar,김태형,이현옥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9 地域發展硏究 Vol.2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the impa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QOL) in the local governments of Nepal and Ethiopia.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quality of government as a universal measure of the quality of life and have tested its effectivenes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effects in developing countries. By testing this model in developing country cases, this study shows whether it’s still applicable in the developing world and examines what kind of local government capacities a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n each country context. We used the survey data already collected from 412 local residents in Nepal’s Tikapur in 2017 and 500 local residents from three Ethiopian regions in 2019.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under the project of ‘Capability Data Serie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quality of governanc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and the convenience of access to public serv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at individual freedom, health condition, and living habits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impact of government qual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various dimensions of quality of life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The result indicates that individuals living in a community whose governments is accountable, provide better public services, and ensure easy access to the public services are more satisfied and happier than those living in areas with low-quality of local government. Also, individuals living with strong and healthy social-economic-physical status and good habits enjoy a high level quality of life.

      • KCI등재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 유형과 정부의 질

        도수관(Doh Soo g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OECD 및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 등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퍼지셋(fuzzy set)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개별 국가들의 정부의 질적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 그리고 정부의 질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부의 질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한 다음 이를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운영 방식의 측정변수로 활용한 정부지출 규모는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 통제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에 따라 사회자본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셋째, 사회자본과 정부지출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은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통제, 불편부당성, 행정의 전문성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정부의 질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al quality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size of government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It is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and control of corruption. It is also shown that both high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control of corruption, impartiality, and professionalism. These findings question the use of heterogeneous indicators for governmental quality and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depends on the size of government measured as the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Thus, the importance of the size of government in explaining the variation in the quality of government sheds light on the social capital theories of governmental qualitie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의 질이 지속적인 세무전략에 미치는 영향

        신상이,박종일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ree crucial questions. First, whether the corporate governance leads to sustainable tax strategies or not? Second, whether the higher earnings quality leads to sustainable tax strategies or not? Third, whether the corporate govern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er earnings quality and sustainable tax strategies or not? Does corporate transparency and/or accounting transparency affect firms implementing sustainable tax strategies? Although prior research came up with indirected evidences such as positive (e.g., Neuman et al. 2013;Park et al. 2015). Thus, we directly investigate whether the sustainability of firms’ tax strategi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rporate governance and highe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e., earnings qual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sustainable tax strategies. To measure sustainable tax strategies, following McGuire et al. (2013), we calculat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annual Cash (GAAP) ETRs as measures over the three-year period, t-2 to t. To measure earnings quality, following Jeon and Park (2019), we use opaque financial reports (i.e., OPAQUE~OPAQUE4) are grounded in accrual-based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y for lowe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as measures over the three-year period, t-2 to t. In this study, we used the ESG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evaluation data as a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provided by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i.e., KCGS). We used the sample 3,380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Exchange for the period 2011-2019.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do not find evidence that corporate governance is positively linked to firms implementing sustainable tax strategies. Second, we find that higher earnings quality is positively linked to firms implementing sustainable tax strategies. Third, we do not find evidence that corporate governance mediates the link between higher earnings quality and sustainable tax strategies. In sum, our study found that the higher earnings quality rather than sound corporate governance positively influence firm’s sustainable tax strategies. Thu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corporate governance, earnings quality, and sustainable tax strategies related literature by bridging the gap that exists in three literatures. Furthermore, our study contributes to corporate governance, earnings quality, and tax literatures by being the first to examine the economic cause of firms implementing sustainable tax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corporate governance and high financial reporting quality. Specially, our results also provide new evidence to the sustainable tax strategies in prior research.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have certain implications for the managers, regulators and policymakers as it clarifies the link among main aspects of firms to engage in more sustainable tax strategies. 본 연구는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기업의 지배구조가 우수한지, 또한 높은 이익의 질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높은 이익의 질과 지속적인 세무전략 간에 양(+)의 관계가 우수한 지배구조에 따라 더 강화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는 현금유효세율의 변동성을 낮추는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기업이 이익지속성이 높고, 투자자 측면에서 가격결정에 반영되며(McGuire et al. 2013), 또한 더 투명한 정보환경에 있다고 주장한다(Neuman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앞서의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분석을 위해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측정은 McGuire et al.(2013)의 방법을 준용하여 과거 3년간의 Cash(GAAP) ETR의 변이계수로 측정하고, 지배구조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의 ESG 등급을 이용하였으며, 이익의 질은 전규안․박종일(2019)의 방법을 준용하여 DA와 RM에 기초한 과거 3년간 자료로 측정되었다. 분석기간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최종표본은 3,380개 기업-연도 자료이다. 실증결과는 첫째, ESG로 측정된 지배구조는 지속적인 세무전략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앞서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다른 실증적 증거이다(Neuman et al. 2013). 둘째, 높은 이익의 질은 지속적인 세무전략과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높은 이익의 질과 지속적인 세무전략 간에 양(+)의 관계가 우수한 지배구조에 따라 더 강화된다는 결과는 제한적 증거만이 관찰되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연구는 지배구조의 영향보다 투명한 재무보고인 높은 이익의 질이 지속적인 세무전략에 더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지속적인 세무전략을 다룬 관련연구에도 추가적인 새로운 증거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KCGS의 ESG 등급과 지속적인 세무전략의 관계를 처음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도 의미가 있다.

      •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 유형과 정부의 질

        도수관(Soo Gwan Doh) 한국정부학회 2015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12

        본 연구는 OECD 및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 등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퍼지셋 (fuzzy set)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개별 국가들의 정부의 질적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 그리고 정부의 질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정부의 진 분석용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한 다음 이를 본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운영 방식의 측정변수로 활용한 정부지출 규모는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 통제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에 따라 사회자본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셋째, 사회자본과정부지출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은 정부의 효과성, 법치주의, 부패통제, 불편부당성, 행정의 전문성 등으로 측정된 정부의 질적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정부의 질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정부운영 방식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al quality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size of government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It is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and control of corruption. It is also shown that both high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expenditure exhibit higher quality of government as measured by government effectiveness. rule of law. control of corruption. impartiality. and professionalism. These findings question the use of heterogeneous indicators for governmental quality and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depends on the size of government measured as the level of government expenditure. Thus. the importance of the size of government in explaining the variation in the quality of government sheds light on the social capital theories of governmental Qualities.

      • KCI등재

        플랫폼 정부 기반 서비스의 품질요인이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김송은 ( Songeun Kim ),남현동 ( Hyundong Nam ),남태우 ( Taewoo Nam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3

        최근 지능형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의한 전자정부의 공공행정 패러다임 전환과 코로나19로 인한 서비스 환경 변화에 따라 전자정부에게 적합한 새로운 전략적 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품질 개방형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민간기업의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을 공공부문에서도 활용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공공정보 개방 및 공유의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기업과 시민사회 등 민간부문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부가가치 창출을 촉진할 수 있다. 플랫폼화를 통한 공공정보 개방, 소통, 맞춤형 서비스 제공은 정부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정부가 정책을 집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전략적 혁신으로 인식된다. 수요자의 관점에서 전자정부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추진하기 위해서 시민의 신뢰 및 관계 형성이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현실에서, 정보통신기술 활용의 효과성이 시민의 신뢰와 사용 의지에 달려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정보시스템 품질요인이 정부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분석 결과, 플랫폼 정보시스템 품질 및 관계 품질이 사용 의도, 사용자 만족과 정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 신뢰가 높을 경우, 사용 의도와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전자정부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가 수요자 중심의 정보시스템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전략적 역할과 품질 속성 강화 및 정부 신뢰 제고가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response to the recent paradigm shift of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ICT and the continuous threat of COVID-19, the need for new strategic means of e-government has emerged. Governments are considering the adoption of the customer-oriented data openness paradigm and platform business strategies in the private sector. The increasing opennes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customized services through platformization has strong potential to enhance trust in the government. Considering the effect of platform-based innov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ystem quality factors on trust in government. The study found that platform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e-government, user satisfaction, and trust in government. Trust in government raises the intention to use and satisfaction with use. Further research needs to focus on quality attributes of e-government platform-based services, which contribute to improving customer-oriented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enhancing trust in government.

      • KCI등재

        한국인들은 정부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좋은 정부의 다차원적 모델과 경험적 적용

        조영호 세종연구소 2016 국가전략 Vol.22 No.1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quality of government. Whereas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either a single attribute or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of good government, they have shown limitation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fail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non-Western government in a systematic way. Thus, this study proposes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of good government and uses a nationwide survey to analyze how Koreans evaluate the quality of government.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a majority of Koreans assess their government’s quality as problematic, evaluate procedural quality more negatively than outcome quality, and project their experience of authoritarian modernization and flawed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Moreover, Koreans’ evaluation of governmental quality is determined by political, cultural, cognitiv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improve procedural quality rather than outcome quality. 최근 학계에서 정부의 질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좋은 정부의 단일 속성에 집중하거나 다양한 특성들에 주목하고 있는데, 양자는 신뢰성과 타당성의 문제점을 노출하였고, 비서구권에서 정부의 질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좋은 정부의 다차원적 모델을 제안하고, 전국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인들이 정부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들 중 다수는 정부의 질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고, 좋은 정부의 결과적 측면보다는 절차적 측면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는 개발 독재를 통한 근대화 과정의 경험과 민주화 이후 민주정치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는 현상을 반영한다. 또한 한국인들의 좋은 정부에 대한 평가는 정치적, 문화적, 인지적, 사회적, 및 경제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적으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정부가 결과보다는 절차적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시민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민혜 ( Kim Min Hye ),이승종 ( Lee Seung Jong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대부분의 삶의 질 지수조사에서 주관적 삶의 질 영역의 주요 지표로 측정하는 시민참여가 실제로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거참여를 정치참여수단으로, 정부의 정책과정이나 활동에 영향력을 주고자 행동하는 시민의 활동을 행정적 참여인 시민관여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각각의 참여수단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거참여는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정부신뢰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반면 행정적 참여수단인 시민관여는 직접적으로는 삶의 질에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부신뢰의 효과를 고려했을 때는 그 결과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시민의 정부신뢰 수준에 따라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방향성이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고수준의 정부신뢰를 가진 시민들은 참여할수록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인식하는 반면, 저수준의 정부신뢰를 가진 시민은 아무리 정책과정에 참여하고 시정요구를 해도 그러한 활동에서 오는 정부의 피드백이 삶의 질을 높였다고 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itizen participation, which is a key indicator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this, the type of citizen participation is divided into presidential election turnout and citizen involvement(administrative participation), which are used in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s, and then the effect of each means of participation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i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urnou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ut government trus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citizen involvement did not directl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when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was taken into account.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citizen involvement has a differe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Citizen participation with high levels of government trust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while citizens with low government trust did not regard the government's feedback from such activities a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no matter how much they participated in the policy process or the corrective request.

      • KCI등재

        경영자 과신성향과 재무보고의 질의 관계,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의 효과: ESG 자료를 중심으로

        이윤정,박종일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4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impact of managerial overconfidence on low-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i.e., assessed by accruals qual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that corporate governance can play is in ensuring the quality of the financial reporting process (Cohen 2004). Hence,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corporate governance attributes that are intended to mitigate managerial overconfidence affect firm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Previous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overconfidence-related personal traits of CEOs could affect companies’ tax reporting policy, accounting conservatism, and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e., discretional accruals or/and real earnings management). For example, Prior studies suggest that firms with overconfident CEOs avoid more tax (Chyz et al. 2015), less conservative accounting policies (Ahmed and Duellman 2013), and more likely to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Hsieh et al. 2014). Further, Schrand and Zechman (2012) find that firms with overconfident CEOs are more likely to have financial misstatement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that directly examines whether (or how) managerial overconfidence affects accruals quality, a commonly used proxy fo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Thus, this study will fill the research gap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accruals quality as well as its link with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nd its impact on accruals quality. In our tests, following Francis et al. (2005), our measure of accruals quality (hereafter AQ) used proxy fo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is based on both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s and the absolute value of residuals from firm-specific regressions of changes in working capital accruals on lagged, current, and future cash flows from operations. We also use the ESG (environment responsibil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governance) evaluation grade data announced by the KCGS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s a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Kim et al. (2016) and Park and Kim (2020), we use combined measurement as CEO overconfid ence, it takes the value of one if the firm meets the requirements of at least three of seven criteria are based on prior research and zero otherwise. The sample for our main analysis is based on KCGS d ata such as existing the ESG (E, S, G) evaluation grade between 2011 and 2018. The main sample includes 3,940 firm-year observations with firm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We indicate three key findings. First, we find that CEO overconfid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w-quality accruals (AQ). This results suggest that firms with overconfident CEOs significantly lead to damag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Second, we find that a negative and significant interaction of CEO overconfid ence and ESG evaluation grad e on firms’ accruals quality (AQ). This results imply that good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in to safeguard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by monitoring of managers and weaken the association between CEO overconfidence and low-quality accruals. In other words, this findings indicate that good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is more effective monitors of the financial reporting process, such as improves decision-making by overconfident CEOs, leads to high-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Lastly, in our additional tests, using interaction terms with E (environment responsibility), S (social responsibility), G (governance) evaluation grade variables respectively, we find qualitatively similar results in all sector. Collectively, our results provide yield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how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certain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re related to the level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Specifically, our results suggest that good corporate governance characteristics may have lead to improved financial reporting a... 본 연구는 경영자 과신성향이 재무보고의 질을 훼손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또한 경영자 과신성향에서 유발하는 재무보고의 질 하락을 우수한 지배구조의 기업은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효과가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재무보고의 질을 Francis et al.(2005)에 따라 발생액의질로 측정하고, 기업지배구조의 대용치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기간 2011 년부터 2018년까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경영자 과신성향은 낮은 발생액의 질과 양(+)의관계를 보여 경영자 과신성향이 재무보고의 질을 훼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 과신성향과 낮은 발생액의 질 간에 양(+)의 관계는 우수한 지배구조의 기업일 때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의 과신성향에서 비롯된 재무보고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우수한 지배구조의 기업은 이를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높은 재무보고의 질을 유지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ESG 대신 그 구성인 환경경영(E), 사회적 책임경영(S), 기업지배구조(G)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경우도 앞서와 질적으로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경영자에게 과신성향이 있는 기업은 재무보고의 질 수준을 낮춘다는경험적 증거를 보여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앞서의 관계를 지배구조와 연계시켜 우수한 지배구조의 기업은 재무보고의 질 측면에서도 경영자의 통제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본 연구는 경영자 과신성향과 발생액의 질의 관계, 또한 이들의 관계를 지배구조의 효과와 서로 연계시켜 살펴본 처음의 논문이라는 점도 의의가 있다. 최근 들어서 실무계에서 ESG 활동이 활발하게 논의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ESG를 기업지배구조의 대용치로 분석한 실증적 증거를 보여주고있어 규제당국에게도 ESG 공시관련 정책마련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