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 차원에서 개인-조직 부합과 개인-집단 부합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박재민,박형인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P-O) fit and person-group (P-G) fit in terms of the dimension of work and life balance on three facets of work engagement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using polynomial regressions and response surface graphs. Considering the differ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group, different approaches of supplementary fit and complementary fit were applied to P-O fit and P-G fit,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350 South Korean employees whose organization had 50 or more employees and who belonged to a separate department or group.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dedication decreased on both directions of P-O misfit. In addition, vigor and dedication increased along the congruence line where P-O fit matched at high-high scores rather than low-low scores. As to P-G misfit, none of the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not supporting the hypothesis. However, absorption increased along the P-G fit, showing a linear relationship. Even though vigor and dedication also increased, their rates of increase decreased exceeding a certain level, showing curvilinear relationships. Our findings suggest that managers may be able to improve dedication by intervening for P-O misfit for work and life balance. Also, results on the congruence line between P-O fit and P-G fit imply different roles of organization and group regarding work eng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 차원에서 평가한 개인-조직 부합과 개인-집단 부합이 직무열의의 세 하위요인인 활력, 헌신, 그리고 몰두에 미치는 효과를 다(차)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성에서의 조직과 집단의 차이를 고려하여 두 부합을 상호일치적 관점과 상호보완적 관점의 각기 다른 접근법으로 측정하였다. 조직의 규모가 50인 이상이면서 조직 내 별도로 소속된 부서가 있는 만 19세 이상의 전일제 직장인 또는 공무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개인과 조직이 불일치할 때 양방향 모두에서 헌신이 감소하였고, 개인과 조직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낮은 수준에서 일치할 때보다 높은 수준에서 일치할수록 활력과 헌신이 증가하였다. 개인-집단 부합의 경우, 불일치는 직무열의를 유의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반면, 개인과 집단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저-저 일치보다 고-고 일치일 때 몰두가 증가하는 선형 관계가 관찰되어서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렇지만 활력과 헌신의 경우에는 일정 수준까지만 증가하는 비선형 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 함의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따른 후속연구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개인-환경 부합과 정직성이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1 No.1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국내 기업에서 직장 내 일탈행동을 나타내는 구성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측정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연구 1). 두 번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개인-환경 부합(개인-조직, 개인-부서, 개인-직무, 개인-상사 부합)과 정직성이 직장 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정직성이 개인-환경 부합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연구 2). 연구 1에서는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집하고, 현직자 3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와 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국내기업 상황에 적합한 문항들을 추가로 수집하였다. 중복 또는 유사 문항에 대한 검토와 적절성 평정을 통해 문항들을 제외한 후, 총 60개 문항을 사용하여 199명의 현직자들로부터 얻은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개의 요인(비정직 행동, 규정위반 행동, 신체적 및 언어적 폭력행동)이 적절함을 발견하였다. 208명의 다른 현직자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371명의 현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환경 부합의 다양한 형태인 개인-조직 부합, 개인-부서 부합, 개인-직무 부합, 개인-상사 부합과 정직성은 모두 직장 내 일탈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차항 회귀분석과 반응표면 분석을 사용하여 개인-환경 부합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도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개인-조직 부합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직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개인-부서 부합, 개인-직무 부합, 개인-상사 부합과 직장 내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정직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개인-조직 가치 적합성과 집단응집력의 관계에서 인지부조화의 매개효과

        이재만,정경은 한국관광산업학회 2014 Tourism Research Vol.39 No.1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an employee perceived personal-organizational fit on the group Cohesiveness, and how the cognitive dissonance plays a parametric role on the group cohesion power based on the personal-organizational fit. this study set as from September 27th, 2013 to October 18th used 179 copies(targeting hotel employees, hotels located in Seoul). first the result of a hypothesis 1,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group cohesiveness was a show a positive(+) influence. Second hypothesis 2,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cognitive dissonance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hypothesis 3,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dissonance and the group cohesiveness was appeared to influence in the negative(-) influence. Fourth hypothesis 4,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is results is that individuals feel attractiveness and a sense of belonging when the values of individuals and those of organization match, and intend to keep consistent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a group based on the consistency of the values. And an organization should minimize the situations that individuals experience the cognitive dissonance and disharmony phenomena, and prepare the conditions where individuals can more concentrate and aggregate to a group to contribute to the outcomes of organization by constructing a path to resolve internal conflicts causeb by disharmony.

      • KCI등재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이재영(Jae Young Lee),홍소정(Sojung Hong),이윤수(Yuns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만 35세 미만의 청년 재직자 중에서 근로시간 형태가 전일제이고, 상용직 근로자라고 응답한 임금근로자 9,640명(여자 4,092명, 남자 5,5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 적응 이론(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으로 적성, 교육수준, 기술수준과 현재 직무수준과의 일치 정도를 활용하였고, 추가적으로 주전공과 복수전공이 직무와 일치하는 정도도 고려하였다. 객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임금 데이터를 사용했고, 주관적 경력성공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 만족도를 사용했다. 결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경로 분석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남여 집단 모두 적성 일치 정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고, 교육수준 일치 정도는 여자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기술수준 일치 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남자 집단에서는 복수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전공 일치 정도는 주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으나 여자 집단에서는 주전공 일치 정도가 객관적 경력성공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 초기에 해당하는 청년 재직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성공의 관계,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대해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person fit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youth employees. Methods Using the 201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9,640 wage workers (4,092 women, 5,548 men)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previous research, the present study utilized aptitude, education level, skill level, and major fit as job-person fit. Wage data were used to measure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job satisfaction was used to measure subjective career success. Results Multi-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aptitude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while education level fit was associated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only in the female group. Skill level f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On the other hand, in the male group, the double major fit was related to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major fit was related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career development field.

      • KCI등재후보

        개인-조직 가치 적합성과 집단응집력의 관계에서 인지부조화의 매개효과

        이재만 ( Jae-Man Lee ),정경은 ( Gyeong-Eun Ch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4 Tourism Research Vol.39 No.1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an employee perceived personal-organizational fit on the group Cohesiveness, and how the cognitive dissonance plays a parametric role on the group cohesion power based on the personal-organizational fit. this study set as from September 27th, 2013 to October 18th used 179 copies(targeting hotel employees, hotels located in Seoul). first the result of a hypothesis 1,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group cohesiveness was a show a positive(+) influence. Second hypothesis 2,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cognitive dissonance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hypothesis 3,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dissonance and the group cohesiveness was appeared to influence in the negative(-) influence. Fourth hypothesis 4,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is results is that individuals feel attractiveness and a sense of belonging when the values of individuals and those of organization match, and intend to keep consistent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a group based on the consistency of the values. And an organization should minimize the situations that individuals experience the cognitive dissonance and disharmony phenomena, and prepare the conditions where individuals can more concentrate and aggregate to a group to contribute to the outcomes of organization by constructing a path to resolve internal conflicts causeb by disharmony.

      • 손해사정법인 사무원의 환경적합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보험 심사ㆍ조사업무 중심으로 -

        최강해 ( Ganghae Choi ),김명규 ( Myungkyu Kim ) 한국손해사정학회 2017 손해사정연구 Vol.16 No.-

        우리나라의 손해사정 제도는 지난 1977년 보험업법의 개정을 통해 보험사고로 인한 손해액을 신속·공정하게 조사하고, 소비자와 보험사 양자의 발생 가능한 분쟁을 사전 예방하고자 만들어진 제도이다. 이러한 손해사정은 손해사정사라는 전문자격인으로 하여금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다양한 유형으로 운영되는 손해사정 실무를 담당하는 보조인(사무원)이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손해사정업무의 효과 및 효율적 업무 진행 등은 업무 사무원의 근무 등 적합성과 매우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 연구는 한국 보험업의 가장 기초적 구성원이라 할 수 있는 손해사정업무사무원을 대상으로 환경적합성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 직장 구성원의 경우 최근 근무 경향이 인적 관계 보다는 직무와 직장이 그리고 책임감 등이 손해사정업무 사무원에게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손해사정업계는 효율적이고 더 좋은 성과를 위해서는 사무원이 인식하는 조직적합성과 직무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There are many accidents in our society. Insurance is a system that economically prepares these accidents and risks. As our society continues to develop, insurance systems are also develop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insured person will receive the insurance premium according to the details of the subscription. The Claims Adjusting System is an expert who calculates insurance claims. In 1977 the Claims Adjusting System begins the revision of insurance law in Korea. This system was designed to process insurance accidents fairly and quickly. It was made to prevent disputes between insurance companies and customers. Although Claims Adjusters work, but most of the work is done by the work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workers to Claims Adjusting System. However, the research of the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is very insufficient. In this study, I conducted the environmental fitness and turnover intentions of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 The research hypothesis and conclusion is as follows. H1. The organizational fit of the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H2. The job fit of the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H3. The superior fit of the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H4. The peer fit of the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organizational fit, the job fit, the superior fit, the peer fit and the self-efficacy of the Claims Adjusting System work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s result provides a more appropriate characteristic when the employee's character and company atmosphere are similar. Therefore, the company must find what the workers need and needs that must find jobs that the employee likes. In other words, the company must identify the employee's interests, values, abilities and aptitudes. However, peer conformance is less important than other fit.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fit, job fit, and superior fit are more important. The study on Claims Adjusting System etc is very insufficient.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the insurance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공공조직의 진성리더십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환경적합성의 매개효과

        김응조 ( Eung Jo Kim ),홍아정 ( Ah Jeong H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2

        급변하는 글로벌 사회에서 창의성은 더 이상 개인발전에만 국한시킬 수 없는 개념으로, 민간 기업은 물론 공공조직에도 그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조직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함께 창의적인 조직문화와 환경구축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조직의 창의적 경영환경 조성을 위한 주요 요인으로 구성원의 집단창의성을 설정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선행요인으로 진성리더십과 개인-환경적합성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각 지역에 지역본부를 두고 있는 공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자료를 토대로 진성리더십과 집단창의성의 영향관계와 두 변수 사이의 개인-환경 적합 수준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성리더십은 집단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개인-환경적합성은 진성리더십과 집단창의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공공조직의 진성리더십과 개인-환경적합성을 고려한 실질적 지원체계가 집단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has expanded to public sector as well as corporate sector since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critical elements to succeed in this ever-changing, competitive society. In this regard, the research examined influential variables that can improve group creativity, especially focusing on the effects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rganization employees’ authentic leadership and group creativ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between the two variables. 195 employees of public organization were randomly selected to participate and answer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The study shows that the employees who perceived greater authentic leadership and person-environment fit had positive effect on group creativity. Also, all components of person-environment f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upon authentic leadership and group creativi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esigning a support system that takes authentic leadership and person-environment fit into account in public organizations will improve their group creativity.

      • KCI등재

        The Effects of Face-Saving and Group Orientation of Public Organization Memb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오현규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2 No.4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saving, group orientation,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f public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undertaken in the present study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face-saving and group orient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organization fit; 2) face-saving positively influences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but negatively affects affective commitment; 3) group orient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normative commitment; 4) person-organization fit positively influences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5) person-organization fi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studied Confucian valu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fucian values that are seen today as barriers to rapid industrialization can serve as important factors in forming positive attitudes of public organization members and as foundations in leading strategic implications for public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의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주은(Ju-En Lee),김준수(Jun-Su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4

        본 연구는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의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공익형 참여 집단과 시장형 참여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 전주시 노인사회 활동지원사업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 500명을 설문조사 하였으며, 48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의 개인-환경적합성이 높아질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환경적합성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공익형 집단은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직무만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장형 집단은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유형에 적합한 직무개발, 직무만족 향상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below as PEF) and job performance of the elderly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participants(below as ESASP),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ublic type group and the market type group. To this end, 500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ESASP in Jeonju-si, Jeonbuk were surveyed, and data of 488 person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F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SASP,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Second, the higher the PEF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SASP,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job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ESAS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EF on job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F,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public type group and the market type group in the ESASP. It turns out that satisfaction is partially medi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arket-type group, the mediating effect of PEF on job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job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measures suitable for the type of participation.

      • KCI등재

        How and When Person-Group Fit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oles of Team Identification and Task Interdependence

        Choi, Jae-Young(최재영)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팀 적합성이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 과정과 조건을 이해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팀 적합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 팀 동일시의 매개효과와 직무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속 상사들이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설문은 회귀분석, PROCESS macro, Johns-Neyman technique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팀 동일시는 팀 적합성과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매개효과는 과업상호의존성이 높은 경우 유의하지만, 낮은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연구결과 따른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286 employees in South Korea,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linking person-group (PG) fi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ward both individuals (OCB-I) and the organization (OCB-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PG fit on OCB-O and OCB-O are mediated by team identification.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further reveale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PG fit on OCB-I and OCB-O through team identification are contingent upon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positive at the high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but zero at the low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