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역량 및 디지털 조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모바일 정보활용의 매개효과: 고령 및 청장년층 다중집단비교분석

        노승현,김정석,곽정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2 재활복지 Vol.26 No.2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and how the digital competence and digital assistance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ffect their social capital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le of mobile device use as its medium. A group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since that the above process would be different for these two age group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1232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respondents of the 2020 Information Gap Survey. Firs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bridging social capital of adults with disabilities was directly affected by their Internet use ability and digital assistance,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use of mobile information. The multi-group comparison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digital assistance on the use of mobile information and the effect of the Internet use ability on bridging social capital wer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elderly thatn for the you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formatization education for the physically disabled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help the local community digitally to promote the use of mobile information b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ile considering strategies that can enhance the bridging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성인 지체장애인의 디지털 역량 및 디지털 조력이 이들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지그리고 모바일 정보활용이 매개체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상의 과정이 지체장애인의 연령대별로 차이가 날 것으로 기대하여, 고령층과 청장년층간의 집단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1232명의 성인지체장애인들로, 2020년 정보격차실태조사의 응답자로부터 추출하였다. 먼저 구조방정식모형분석에 의하면, 성인장애인의 교량적 사회자본은 이들의 인터넷 활용능력 및 디지털조력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모바일 정보활용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다중집단비교모형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조력이 모바일 정보활용에 미치는 효과와 인터넷 활용능력이 교량적사회자본에 미치는 효과가 청장년층에 비해 고령층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보화교육에서 고령 지체장애인의 차별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모바일 정보활용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의 디지털 조력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인터넷 활용능력을 포함한 정보화교육을 통해 고령 지체장애인의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진할 수있는 전략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캐나다 도박행동 척도에서 개념적 구조 및 심리측정적 특성의 일반화 가능성: 남녀간 다집단 분석

        이순묵,이찬순,이현정,여성칠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1

        이 연구는 캐나다 도박행동 척도(CPGI)를 사용한 자료에서 도박행동에 대한 개념적 구조 및 측정적 특성이 남녀집단간에 어떻게 다르며, 어느 정도까지 일반화 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양적 검증 결과를 보면, 도박행동에 대한 개념구조가 남녀간에 대등하였고, 측정단위는 9개 문항중 6개 문항에서 동일성이 확인되어 부분적 측정단위 동일성을 확보하였다. 단위동일성이 성립하는 6개 문항에 대해서는 측정원점 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요인점수의 산출이 의미있는 경우로 보고 집단을 비교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양적인 결과만 보면 적어도 남녀간에 공통적인 측정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그러나 좀 더 세부적인 평가를 해보면 몇가지 문제가 지적된다. 우선 단위 차별성이 확인된 5, 6, 7번 문항은 모두가 “문제(problem)”라는 단어를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고, 여성들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국내용 번안척도 개발시 이 세 문항의 번안에서 남녀간 차별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요인분산이 남자집단에서 .024(p=.000) 여자집단에서 .007(p=.000) 인 것은 통계적 유의함과 관계없이, CPGI에서 측정하는 구성개념에 의문을 가지게 한다. 여자집단에서는 0에 가까운 분산으로서 전혀 응답자들이 변별되지 않는 척도임을 의미한다. 남자집단에서도 실질적으로 의미있는 분산으로 보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국민일반을 대상으로 하여 공중건강의 취지에서 폭넓게 변별해 보고자 한 목적이 위반될 가능성도 있다.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CPGI) in terms of conceptual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Results showed configural invariance(equivalence of conceptual structure), partial metric invariance(6 out of 9 items), and scalar invariance(6 items with metric invari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group comparison can be conducted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nd factor mean differences can be interpreted meaningfully. However,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by looking into detailed features of CPGI. Firstly, noninvariance was found in the factor loadings of items 5, 6, and 7 to which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in adapting the scale to a Korean version. Also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very small size of factor variance in both male(.024) and female(.007) groups. Although the two values of vari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are not practically meaningful. CPGI seems unable to discriminate the general public to an extent which has been ex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 KCI등재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 - PISA 2006을 중심으로 :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

        박현정(Hyun-Jeo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PISA 2006 자료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과학에 대한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관계 모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자기보고식 방식을 사용하여 측정된 학습동기와 자아개념변수에 대하여 측정모형의 동등성이 존재하는지를 아시아권인 우리나라 자료와 유럽권인 핀란드 자료를 사용해서 확인하였다. 이렇게 측정모형의 동등성을 확인한 다음,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아개념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우리나라와 핀란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와 핀란드 자료에 대하여 요인구조의 동등성과 요인부하량의 동등성은 비교적 충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들 학습심리적 구인간의 상관관계나 측정변수의 절편, 심리적 구인의 평균 등은 한국과 핀란드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란드의 경우, 우리나라 학생들보다 과학에 대한 내재적 동기(흥미)나 도구적 동기, 자아개념 등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하여 이들 학습심리적 구인들간의 상관계수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와 도구적 동기,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와 핀란드 학생들 모두 도구적 동기에 비해서 내재적 동기와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리나라 학생들보다 핀란드 학생들의 경우 과학에 대한 학습동기와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정도가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Using PISA 2006 dat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s of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and self-concept have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calar invariance across Korean and Finnish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e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but no scalar invariance, indicating some needs for caution when the latent means are compared across countries. Given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satisfied,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and self-concept on science achievement was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followings. First of all, Korean students showed lower means for motivation and self-concepts indicating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science, but higher correlations amo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concept than Finnish students. Secondly,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concept on student achievement was relatively smaller for Korean students, compared to Finnish counterparts. Finally,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concept seem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but the instrumental motivation seemed to have non-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in case of Korea. In Finland, however, all three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and self-concepts seemed to have most strong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 Components of Type S Designs, Type S-PB Designs and the Use of GD Designs

        Sudhir Gupta,Choi, Kuey Chung CHOSUN UNIVERSITY 1997 Basic Science and Engineering Vol.1 No.1

        For evaluating efficiency of estimation of control versus test comparisons in the multi-factor set-up, the information matrix of the component designs of a type S-PB design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 parameters of the full design. Some type S-PB designs for two-and three-factor experiments are also provided using group divisible designs.

      • KCI등재

        남녀 고등학생의 자존감과 섭식억제의 관계에서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양난미,박현주,이동귀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The relations among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body dissatisfaction, and restrained eating have been established with university students. The current study purports to confirm the aforementioned relations with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Participants were 48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area. We created a research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d which model could better explain high school students’ restrained eating.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odel which hypothesized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as partial mediators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compared to the alternative model.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restrained eating were significant. Third, the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than the alternative one both in the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latent means analyses by gender were not to be calculated because partial scalar invariance was dismissed in the multi-group analysi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증되었던 자존감, 신체비교, 신체불만족과 섭식억제의 관계를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여 청소년기의 섭식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자 고등학생 273명과 여자 고등학생 207명으로 총 480명이었고 자존감, 신체비교, 체형에 대한 불만족 및 섭식억제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였고 두 모형 중 고등학생 집단을 더 잘 설명하는 모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개별변수의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검증 결과 자존감과 섭식억제의 관계를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이 부분매개하는 연구모형이 대안모형보다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이 섭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모형검증 결과 남녀 고등학생 집단 모두에서 연구모형이 더 좋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다집단분석 결과 절편동일성이 기각되어 남녀 고등학생 집단의 잠재평균을 비교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우울궤적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복지패널 장애인부가조사를 이용한 65세 이상과 65세 미만 비교

        전해숙,강상경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장애인의 우울궤적 및 관련요인을 추정해보고, 궤적과 예측요인이 연령대 별로 서로 유사한지에 대해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2008년 실시된 1차 장애인부가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장애인 855명이다. 종속변수인 우울궤적은 2008년에서 2012년까지 5년간 매년 추적 조사된 우울증상 자료를 이용하였다. 우울궤적의 예측요인은 출발점인 2008년 기준의 연령, 성별, 교육, 소득의 통제변수와 차별경험,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도움필요정도의 위험요인, 및 사회적 지지, 자존감의 보호요인을 포함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잠재성장모형 및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였다. 평균적으로 우울궤적은 감소하였고, 우울궤적 변화 유형은 65세 미만 집단과 이상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 전체적으로는 차별경험, ADL, 도움필요정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이 우울궤적과 관련이 있었지만,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과 65세 미만의 연령대별 다중집단분석 결과, 우울궤적과 예측요인이 연령대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우울궤적 초기치, 성별이 초기치와 기울기, 교육이 초기치, ADL이 기울기에 미치는 다섯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장애인의 우울궤적 및 우울궤적의 예측요인이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장애인 대상의 연령대 맞춤형 우울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stimates the trajector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using Korean Welfare Panel Study on Disability. It further examines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and tests whether the trajectory and its predictors vary by age groups(i.e., Less than 65 vs. Over 65). A total of 855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ged 19 and ov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Endogenous variable was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estimated by the depression data collected between 2008 and 2012. Exogenous variables included control variables(i.e., age, gender, education, & income), risk variables(i.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DL, & needs for care), and protective variables(i.e., enacted social support & self-esteem). Data were processed through LGCM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MGSEM(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presented declining depression trajectory over the five years. (2)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varied by age groups. (3) All the risk variables and protective variables except social support presen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4)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trajectory varied by ag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e-sensitive depression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of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허세미(se-mi Heo),이예나(ye-na Lee)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미취업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취업 장애인의 대인관계 및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장애정도(중증, 경증)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다중집단비교를 진행하였다. 분석자료는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6차 자료를 사용하였고, 비경제활동인구 중 본 연구의 주요 변수에 응답한 패널 1,579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취업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은 이들의 대인관계와 장애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받았다. 둘째,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경증장애인에 비해 중증장애인에서 더 큰 것으로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장애수용,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프로그램,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and willingness to work for the unemployed disabled peopl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employed disabled people on self-estee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re verified. A multi-group comparis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severe and mild). For the data analysis, the 2nd wave 6th data of the employment, a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was used. Among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1,579 panelists who responded to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of unemployed disabled people was directly affected by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indirectly affected by self-efficacy. Second,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self-efficacy was greater i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an in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ograms and policies on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were proposed to improve self-esteem.

      • KCI등재

        SPA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자산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수진(Yang, Su J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합리적인 가격 대비 높은 품질과 디자인으로 국내 패션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SPA 브랜드의 개성요인이 브랜드 자산과 행동적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SPA 브랜드의 개성 요인으로 전문성, 성실성, 그리고 혁신이 도출되었다. 성실성과 혁신이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그 중 성실성만 브랜드 자산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종과 글로벌 SPA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응답을 나누어 다 집단 비교 분석한 결과, 글로벌 SPA 브랜드의 경우는 전문성, 성실성, 그리고 혁신 등 브랜드 개성 차원 모두가 유의하게 브랜드 자산을 통해 행동적 충성도를 형성하였다. 반면, 토종 SPA브랜드의 경우는 성실성만이 브랜드 자산과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성요인이며, 혁신은 브랜드 자산과는 상관없이 행동적 충성도에 직접 영향을 미쳤고, 전문성은 어떠한 유의한 관계도 형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종 SPA 브랜드들에게 브랜드 자산 형성을 통한 충성도 획득을 위해 브랜드 개성을 수립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SPA brand personality, which undermine the domestic fashion market through a reasonable price with high quality and design. This study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alidate the relationships among SPA brand personality factors, brand equity, and behavioral loyalty. As a result, professionalism, integrity and innovation were derived as SPA brand personality factors. Among them, only integrity was found to contribute to form behavioral loyalty, which was mediated by brand equity. Innovation was found to influence directly on behavioral loyalty without contribution in forming brand loyal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group comparison analysis on global versus Korean SPA brands, all the three global SPA brand personality facet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brand equity, which positively affected behavioral loyalty. In the case of Korean SPA, integrity had the only significant impact on brand equity, whereas innovation still showed a direct impact on behavioral loyalty. Thu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toward practitioners of Korean SPA brands about importance of brand personality establishment to gain loyalty through brand equity.

      • KCI등재

        학교급별 스트레스, 게임중독,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황정희(Hwang Jung Hee),곽현석(Kwak Hyun 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어린이·청소년의 스트레스가 게임중독과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게임중독의 매개를 통하여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 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다집단 비교 분석을 활용하였다. 부모, 학업, 친구 스트레스, 게임중독,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집단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와 같이 학교급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부모 스트레스는 중, 고등학교 집단에서 게임중독을 매개로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업 스트레스는 초등학교 집단에서 게임중독을 매개로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친구 스트레스는 모든 집단에서 게임중독을 매개로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집단 비교 모형에 존재하는 21개 경로 중 6개의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how stress affects game addi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cross school level, and also affect subjective happiness by mediation of game addiction. For these aims, this study used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happiness index data which was conducted in 2018, and based on multi-group comparison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 analysis of stress effects, a stress factor was divided into ‘parental stress(stress felt by youth)’, ‘academic stress’ and ‘friend stress’, while groups were divided by school level, such 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stress was related negatively with subjective happiness by mediation of game addic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Academic stress was related negatively with subjective happiness by mediation of game addiction only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Friend stress was related negatively with subjective happiness by mediation of game addiction only in all school levels. Also six of the twenty one pathways that exist in the multi-group comparison mod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levels.

      • KCI등재

        중학생의 성 및 부모구성별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

        김미선,김정석 한국인구학회 2019 한국인구학 Vol.42 No.3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s of parents, teacher and friend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doing so, the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parent composition. Using the 7th Korean Children-Youth Happiness Index Survey data collected in 2015, the study conducted path analysis and multi-group comparison analysis. The path analysis based on 1,803 students in the 2nd or 3rd grade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 and friends all have positive and 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friends. The multi-group comparis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path coefficients by parental status as well as gender. Among the male student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is greater for those with one parent. In the meanwhile, among the female students, the effect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Such findings suggest the efforts to improve satisfaction of students at school nee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arent composition and the gender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사회적 관계-부모, 교사 및 교우관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그러한 영향이 학생의 성과 부모구성에 따라 차별적인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도에 실시된 <제7차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연구>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경로분석과 다중집단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당시 중학교 2·3학년(n=1,803)을 대상으로 분석한결과, 부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및 교우와의 관계는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부모와의 관계는 교사와의 관계 및 교우와의 관계를 통해, 그리고 교사와의 관계는 교우와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비교분석결과에 의하면 학생의 성과 부모구성(즉 양(兩)부모와 한부모)에 따른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양부모 학생 보다는 한부모 학생에게서 더 큰 한편 교사와의 관계가 교우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한부모 학생에게서 유의하지 않았다. 여학생의 경우, 부모와의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양부모 학생과는 달리 한부모 학생에게서는 유의하지 않고 교사와의 관계가 교우와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한부모 학생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한부모가족 남녀학생 모두에서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 유의하였다. 특히 한부모가족 여학생에게 교사와의 관계는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유의한변수였다. 이는 부모, 교사, 교우관계가 중학생의 성과 부모구성에 따라 다르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한 상이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들은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이들의 부모상황과 성에 따라 세분화될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