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중반 이후 텔레비전드라마가 ‘불륜’을 전유한 방식과 그 의미―<애인>, <거짓말>, <내 남자의 여자>, <밀회>를 중심으로

        백경선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8

        This study tried to look at the way of appropriating extramarital affairs which based on the genre of mini-series- romance and melodramas <Aein>, <Geojeenmal>, <Nae Namjaeui Yeoja>, <Milhoe>, that has been actively summoned and captured in a new way since the mid-1990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discourse created by the drama through the affair. The aim was to get rid of unconditional (negative) prejudice against an affair drama and to reconsider the value of the drama itself. The key point is, in order to look at the way of appropriating extramarital affairs, to look at the device of dramatic tolerance that was able to escape from criticism and attack by freeing itself from the morality and ethics of the drama while dealing with the problematic subject matter of affair.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our dramas were romance-melodramas that focused on the subject of the affair and approached it with love. Accordingly, the affair is described as a romantic life than a realistic one. Although the romance-melodrama didn’t reflect reality, these dramas gained emotional sympathy from viewers. The emotional empathy was granted through the motivation and story, character setting by breaking the boundary of good and evil, and natural narrative development by delicate inner portrayals. In addition, it suggests a matter of reason instead of using the affair as a stimulating materials, so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genre of romance-melodramas in the form of miniseries.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불륜 소재를 적극적으로 소환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담아낸 미니시리즈 형식의 로맨스-멜로드라마 <애인>, <거짓말>, <내 남자의 여자>, <밀회> 등을 중심으로 텔레비전드라마가 불륜이란 소재의 관습과 상투성을 넘어 그것을 전유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불륜을 활용하여 드라마가 생성한 담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불륜 소재 드라마에 대한 무조건적이고 부정적인 편견을 지양하고 드라마 자체의 가치에 대해 재고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로맨스-멜로드라마인 네 드라마는 불륜을 사랑과 등가로 보면서 낭만적으로 묘사하였다. 불륜이라는 문제적 소재를 사랑으로 다루면서도 드라마의 도덕성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었던 이유, 즉 도덕적 비난과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드라마적 관용의 장치를 살펴보는 것이 분석의 핵심이다. 분석 결과, 네 드라마는 불륜 주체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에게 동기와 사연을 세밀하게 부여하면서 선악의 경계를 초월하여 캐릭터를 설정하고, 섬세한 내면 묘사(마음의 플롯)를 통해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로써 이들 드라마는 비록 로맨스-멜로드라마의 자장 안에서 현실을 담아내지는 못하였지만, 시청자의 정서적 공감을 얻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불륜을 자극적인 소재로 소비하지 않고 그것을 활용해 사유의 문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불륜 소재 드라마의 진화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텔레비전드라마에서 불륜 소재는 반복해서 소환될 것이며, 변화를 거듭할 것이며, 끊임없이 논쟁거리가 될 것이다. 불륜 소재에 대한 편견, 그로 인한 불륜 소재 드라마에 대한 일괄적인 평가를 지양하고 드라마 각각에 대한 차별적이고 객관적인 비판을 하는 데 이 논문이 일조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2000년대 초반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고찰

        윤석진(Suk-jin, Yun)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2 No.-

        TV드라마의 공간은 물질적이고 불균등적이며 정치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실 공간에 대한 시청자의 의식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강하다. 본고에서는 HDTV 등과 같은 새로운 영상시스템의 개발로 TV드라마의 표현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던 2000년대 초반의 미니시리즈 드라마 3편을 대상으로 TV드라마의 공간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진실〉, 〈맛있는 청혼〉, 〈명랑소녀 성공기〉 등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당해 연도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이다. 분석 결과, 3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은 기본적으로 ‘무대’라는 공간을 설정하여 등장인물의 존재감과 변신, 그리고 극적 상황을 흥미롭게 만들면서 등장인물의 상징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신데렐라나 캔디 유형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여성상을 구현한 등장인물들이 ‘지하방, 재래시장, 옥탑방’처럼,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적 약자를 상징하는 공간에 거주한다는 극적 설정은 각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대 초반 당해 연도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한 3편의 미니시리즈 드라마들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대립 구도를 표상하기 위해 공간을 구성하고 그 속에 주요 등장인물을 배치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고찰한 바대로, TV드라마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성격 표상과 사건 전개에 요한 극적요소이자 주제 의식의 현현(顯現)에 기여하는 상징적인 장치이다. 따라서 TV드라마의 공간 이미지 분석을 통해 TV드라마의 관습적 공간 구성 방식이 대중의 현실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대부분의 TV드라마가 ‘서울’을 주요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대도시’에 대한 대중의 동경을 심화시키고, 동시에 ‘지방’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등 공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spatial composition of TV dramas is a sort of signifier showing materialistic, inequal and political feature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tial images of TV dramas centering on three TV miniseries in the early 2000s when a fundamental change began to happen in expression methods in TV dramas du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image system such as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The TV miniseries under the study 〈Truth〉, 〈A Delicious Proposal〉, and 〈Success Story of A Bright Girl〉 had gained the highest viewing figures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02. The study showed that the three miniseries basically set up a space ‘Stage’ and unfolded characters’ existence, transformation, and dramatic situation in interesting ways to effectively deliver things they represent. Moreover it is worthy of notice the dramatic setting where the independent women, breaking away from the typical characters like Cinderella and Candy, lived in spaces ‘basement room’, ‘traditional market’, and ‘rooftop house’ representi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group in a capitalistic society. That is, the tree miniseries with the highest viewing figures in the early 2000s worked out a strategy of constructing such spaces to show the conflict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 and arranging mai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paces of TV dramas are a dramatic element necessary for representing characters’ personality and unfolding events as well as a symbolic device contributing to subject matter being manifest.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images of TV dramas, their conventional spatial composition methods are available of finding out the influence on the general public’s reality perception. In particular, it is needed to pay special attention in distort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to spaces as most of TV dramas set up Seoul as a main spatial background so that viewers’ desire for ‘large cities’ may be more deepened while wrong stereotypes to ‘the regions’ may be increased.

      • KCI등재

        한국의 넷플릭스 효과: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미니시리즈 형식의 내러톨로지 혁신에 관한 연구 - 오징어 게임과 지옥을 중심으로

        마이클엉거 ( Michael A. Unger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3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6 No.2

        전세계적인 코로나 19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1년, 불과 두 달 만에 넷플릭스는 두 개의 디스토피아적인 한국의 미니시리즈 오징어 게임과 지옥을 발표해 각각 당시 넷플릭스 전체에서 최고의 시청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미국 디지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대한민국 한류의 성공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이 두 미니시리즈는 전세계 시청자들에게 재앙적 혁신에 대한 신자유적인 대응이 미치는 부패의 효과에 대해서 소득 불평등이라는 한국 사회의 규범적인 이슈와 대중매체와 종교의 영향력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은 두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한정된 횟수의 시리즈 드라마 형식을 통해 어떻게 내러톨로지적인 혁신을 제시하고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은 게임 디자인 플롯 구조를 사용하는 반면 지옥은 두 개의 더 작고 상호 관련된 앤솔로지를 창조하여 중요한 스토리 격차를 구현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구조적 접근법은 국제 미디어 현상에서 볼 때 각각의 미니시리즈 드라마가 그들만의 주제적 관점으로 매력과 성공을 거머줬다고 압축해서 볼 수 있겠다. Within the span of two months in 2021 during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Netflix released two dystopian Korean miniseries Squid Game and Hellbound that each subsequently broke viewing records for Netflix’s most-watched series at that time, signaling the success of the Korean Hallyu in its latest incarnation of permeating American digital streaming platforms. Both miniseries address Korean societal norm issues of income inequality and the malaise of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religion that spoke to viewers across the world about the corrosive effects of neo-liberalism’s response to catastrophic events. This comparative article examines how these two miniseries present their own narratological innovations for the limited series drama format: Squid Game employs a game-design plot structure while Hellbound implements a significant in media res story gap at its midpoint to create two smaller, interrelated anthologies. In doing so, these structural approaches encapsulate the thematic dimensions of their respective miniseries that contributed to their appeal and success as an international media phenomenon.

      • KCI등재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창작 주체의 연결망 연구 - 2000년대 미니시리즈를 중심으로-

        윤석진 ( Suk Jin Yu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본고는 문화산업적 차원에서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제작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 창작 주체의 공동참여연결망과 동태적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이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당해 연도 시청률 1위에서 7위에 해당하는 70편의 작가와 연출자 그리고 배우의 명단을 선정하여 창작 주체의 공동참여연결망을 분석한 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시청률 1위에 해당하는 10편의 미니시리즈드라마 창작 주체의 동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 가운데 시청률이 높았던 70편의 작업에 참여했던 창작 주체의 공동참여연결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정도 중앙성이 높다는 것은 연결된 선의 수가 다른 사람들 보다 많다는 것으로 이는 참여 작품 수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나시치 권력 지수의 경우 작가와 연출자의 권력이 연결정도 중앙성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이중앙성에서 주조연급 배우들이 전체적으로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것을 통해 텔레비전드라마 기획 단계에서 안정적이고 믿을만한 배우 캐스팅을 중시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 창작 주체의 동태적 변화에서 2010년대 이후 텔레비전드라마 제작 환경 변화 추이를 예측할 수 있었다. 첫째, 기획 시스템의 정착으로 스타급 작가나 연출자의 영향력은 점점 더 약화될 것이다. 둘째, 스타급 배우의 출연이 높은 시청률을 담보하지 못하는 현상이 점점 더 두드러지고 상대적으로 기획의 역할이 확대될 것이다. 셋째, 창작 주체가 방송사에서 외주 제작사로 이동하는 것을 넘어서 작품 단위의 프로젝트 투자 기구가 성행할 것이고 대형 연예기획사가 제작에 직접 관여하는 현상도 심해질 것이다. 넷째, 평균 시청률의 저하와 지상파방송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현상도 가속화될 것이다.2000년대 제작·방영되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미니시리즈드라마 70편의 창작 주체 연결망을 분석하여 문화산업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연결망이론을 원용하여 창작 주체 연결망을 분석하고자 하는 본고의 시험적 논의 결과는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문화산업적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sed the joint participation network and dynamic change of TV miniseries creative subject in the 2000s in order to concretely find out the production status of Korean TV drama in terms of culture and industry and review its direction in the future. By selecting producers and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70 works ranked No. 1 to 7 in the viewing rate during the period of 2000 to 2009 and analysing the joint network of creative subject, we studied the dynamic change of creative subject to the 10 miniseries ranked No.1 in the viewing rate from 2000 to 2009.As a result of analysing the joint participation network, it was confirmed that casting stable and trustable actors at the stage of planning in a TV drama was important through the facts that a high degree centrality is related to the number of participated works, Bonacich power index is higher than the degree centrality of writer and producer, and leading and supporting actors generally take a high position in the aspect of betweenness centrality.In the dynamic change of creative subject, we could predict the trend in change of TV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since 2010. As a planned system settles down, the influence of star writer and producer is getting weaker, star casting can`t guarantee a high viewing rate, creative subject is changed from broadcasting company to outsourcing production, and a work-based project investment is popular while the decline of average viewing rate and the phenomenon of weakening terrestrial broadcasting influence will be accelerated.There is a physical limit in analysing the creative subject network of 70 miniseries which were produced and broadcasted in the 2000s and marked a high viewing rate, and drawing a meaningful result in the aspect of culture and industry. Nevertheless, the experimental discussion desired to analyse the creative subject network by invoking a social network theory is expected to be a clue in concretely figure out the cultural and industrial status of Korean TV drama.

      • KCI등재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구성과 소통 방식 고찰

        윤석진(Yun, Suk-jin)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3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구성과 소통 방식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미니시리즈드라마 가운데 당해 연도 시청률 1위를 기록한 10편의 등장인물 구도와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여 세 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등장인물 구도는 ‘약자 대 강자’로 이루어져 있고, 정치?경제?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약자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강자와의 대결구도에서 궁극적으로 승리를 거둔다는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주인공의 자아중심연결망을 통해 살펴본 등장인물 구도가 정형화되어 있고 갈등 유발 요인이 10편 모두 ‘가족’에서 비롯한다는 점이 일치하고 있었다. 셋째, 담론과 사회적 이슈를 분석한 결과 장르 불문하고 입시부정, 도시 재개발, 도박, 외모지상주의, 사채, 남북분단 등 한국 사회의 아킬레스건과도 같은 문제들을 제기하는데 성공하면서 시청자와 소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2000년대 미니시리즈드라마의 구성과 소통 방식 연구를 통해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의 미학적 특질과 산업적 특성의 일단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텔레비전드라마의 다양한 양식 가운데 미니시리즈드라마로 범주를 한정하고, 당해 연도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작품으로만 연구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논의 결과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 또한 분명하다. 이 문제는 차후 과제로 남겨둔다. In order to study th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Korean TV drama in the digital era, social issues presented during the broadcasting of 10 works and their characters ranked No.1 in the viewing rate in each year among TV miniseries aired from 2000 to 2009 were analysed to draw three meaningful results. First, characters are arranged under the composition of "the weak vs the strong", and in line with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weak ultimately win a victory in the battle against the strong. Second, the composition of characters seen through their self-centered network was standardized and elements triggering conflict came from "family", which was common to the 10 work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ng discussions and social issues, it was found regardless of genre that the works had successfully presented issues like achilles tendon of Korean society including college admission scandal, urban redevelopment, gambling, lookism, private loan and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to communicate with viewers. In this regard, through the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TV miniseries in the 2000s, aesthetic and industrial features of Korean TV drama in the digital era came to light. However, as the scope of study was confined to miniseries among diverse styles of TV drama, and the works which marked high viewing rates in the years, it is clearly limited to guarantee the objectiveness of discussed results, which is to be addressed next time.

      • KCI등재
      • KCI등재

        199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변천과 <질투>(MBC, 1992)의 위상

        임미주 한국드라마학회 2023 드라마연구 Vol.- No.69

        Jealousy is a new style of television drama in the 1990s and acquires historical meaning. Unlike previous television dramas, Jealousy was evaluated as new by presenting a light relationship beyond melodramatic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both novelty and limitations in that it reflected the consumption culture as it was while actively appearing in the work. However, it should not be missed that behind the love narrative of Jealousy is the drama creation period of the main character's m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al novel and the perception of the genre of 'trendy drama' introduced from Japan are complexly linked he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Jealousy is taking in the original novel, and to look at the self-consciousness that it has as a television drama. It adds to the concern about a relatively new format called 'miniseri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consider the allegations of plagiarism against Japanese drama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by Jealousy. In terms of including the status of popular narratives transitioning from novels to television dramas, Jealousy already shows the peculiarity of Korean television dramas. <질투>는 1990년대 등장한 새로운 방식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화제를 모았다. 이전까지의 텔레비전 드라마와 달리 <질투>는 멜로드라마적 전개를 벗어난 가벼운 연애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새롭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으며, 당시 트렌드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소비문화를 동시대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참신함과 한계를 동시에 지적받기도 했다. 그러나 <질투>의 연애 서사의 다른 한 축에는 주인공 어머니의 드라마 각본 창작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원작 소설과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트렌디 드라마’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이 복합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질투>가 원작 소설에서 취하고 있는 문제의식과 텔레비전 드라마로서 가지는 자의식을 살펴보면서, ‘미니시리즈’라는 비교적 새로운 포맷에 대한 고민을 더해 어떤 서사가 탄생했는가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통해 <질투>에게 지속적으로 제기된 일본 드라마에 대한 표절 혐의 역시 재고의 여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소설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로 이행하고 있는 대중 서사의 위상을 드라마 창작 과정에 대한 자기반영적 서사로 제시하면서 <질투>는 이미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만의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TV 미니시리즈 갈등구조 - 2012~2017년을 중심으로 -

        노동렬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방영된 성공한 미니시리즈 30편의 갈등구조를 분석하였다. 갈등의 설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빈부의 문제보다는 직업에서 발생하는 신분의 문제를 갈등요인으로 설정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갈등을 유발하는 내면적 요인으로는 감정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성격, 가치관, 감정 항목이 다양하게 고른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의 성공한 드라마들은 직업과 신분에서 발생하는 내면적 갈등을 주로 다루면서도 갈등의 원인이 되는 소재는 다양화하였다. 갈등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권력 관계 갈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갈등을 유발하는 상황적 요인에서 사랑과 폭력, 그리고 기타 항목이 높은 빈도를 보였다. 기타 항목에는 권력 암투와 남용, 누명, 오해, 위장 취업, 불법 시술, 피노키오 증후군, 입양, 외모 급변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재와 장르의 다양화를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갈등의 해결 방법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부정적 해결 방법의 빈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멜로 드라마에서의 긍정적 결말과는 달리, 스릴러나 사회범죄 수사물 등의 장르 드라마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 관계가 해결되는 결말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르 드라마가 활성화되면 부정적인 갈등 해결 방법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시기 성공한 미니시리즈에서는 정의 구현과 권선징악을 강조하는 주제의식, 장르 특성과 연관되어 긍정적 갈등 해결 방식과 부정적 갈등 해결 방식이 모두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 성공한 드라마의 갈등구조를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시기의 연구와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한 미니시리즈의 갈등 설정 요인은 사랑 중심에서 사회적 목표 달성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갈등을 주제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사랑 중심 가족 내 권력 갈등에서 사회적 권력 관계를 다루는 갈등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 방식의 긍정적 해결 방법에서 정의 구현을 위한 부정적 해결 방법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conflicts which have been adopted by the 30 most successful mini-series aired between 2012 and 2017.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ontrary to general expectations, what has been adopted the most frequently as the primary cause of the conflict was related to professions or social status, rather than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t could be said that the focus has been shifted from a love affair between individuals to success and power sought after in the social context. Reflecting the shift of focus from love, as has been the case with conventional soap operas, to social issues that have largely been the case with genre dramas, the way of resolving the conflicts has become negative more often. While the deus ex machina has dominantly been used as the mechanism to resolve the conflict in Korean dramas before, the emergence of genre dramas has led to the higher use of negative ways of ending it.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successful drama in this period with the study of the period from 2000 to 2011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set conflict in the successful miniseries are changing from love-centered to social goal achievement-centered. Secon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conflict by subject is changing from a power conflict within a love-centered family to a conflict structure dealing with social power relationships.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the negative resolution method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is being activated in the positive resolution method of the Deus Ex Machina method as a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 KCI등재

        젊은 노인의 환상, 늙은 청년의 현실-JTBC 미니시리즈 <눈이 부시게>를 중심으로

        박노현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The Light in Your Eyes>, a JTBC mini-series projects the reality of a youth on the delirium of an eld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of dramas for the elderly, which describe the steep life stories of old people with dementia (Alzheimer's disease) and provide a different reading. The key point of it is that the dram is not an elderly narrative embodying some elderly problems from a new perspective, by using time leap as a main material, but rather a youth narrative reproducing the youth today, through the social myth of the elderly. To this end, it initially arranges a narrative device for transforming the fantasy of reality into the reality of fantasy and then, investigates the generation discourse suggested by embodying the contemporary crowd of the youth. It, therefore, clarifies that <The Light in Your Eyes> is not, in fact, a fantastic flashback placing then/there of an elder with dementia at the center of the drama, but an actual close-up focused on now/here of a youth today. <The Light in Your Eyes>, a dram is not the elderly but only the youth. This drama symbolically shows that the youth are not different from the elderly, as an alienated class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front of production of creation, by featuring Kim, Hey-ja, the speaker of it, as a physically elder and a physically youth. Hence, it criticize the reality in which 'youth=elder', an anomalous generation concept can be established. The drama directly expresses such reality as fantasy, rather than straightforwardly accusing it. The clock for time leap and the heroine's delirium function as important narrative devices for accomplishing the probable transposi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t naturally put both a youth and an elder in one frame, through the turbulence between them. It thus emphasize the right for young people who live now/hear, as a old youth or an young elder, with the melancholy label, 'the N-Po Generation in Hell-Joseon, the first generation which is poor than their parents' to be brilliant. JTBC 미니시리즈 <눈이 부시게>는 노인의 섬망에 청년의 현실을 투사한다. 이 글은 <눈이 부시게>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치매 노인의 기구한 인생사를 그린 노인 드라마라는 주류적 해석을 거부하고 또 다른 독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요체는 이 드라마가 타임 리프를 소재로 노인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형상화한 노년 서사가 아니라 오히려 노인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매개로 이 시대의 청년을 재현하고 있는 청년 서사라는 것이다. 이를 소명하기 위해 우선 현실의 환상을 환상의 현실로 탈바꿈시키는 서사적 장치를 다루고, 다음으로 동시대 청년 군상의 형상화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세대 담론을 살핀다. 이로써 <눈이 부시게>가 기실 치매 노인의 그때/거기를 중심에 놓은 환상적 플래시백이 아니라 이 시대 청년의 지금/여기에 초점을 맞춘 현실적 클로즈업이라는 것을 밝힌다. <눈이 부시게>는 노인에 대한 드라마가 아니라 오롯이 청년에 대한 드라마이다. 드라마는 극중 화자를 겸하는 신체적 노년이자 정신적 청년 김혜자를 내세워 21세기 한국사회의 청년이 생산과 창조의 일선에서 배제된 소외 계층으로서의 노인과 별반 다를 바 없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청년〓노인’이라는 기형적 세대론이 성립 가능해진 현실을 비판한다. 드라마는 이러한 현실을 직설적으로 고발하기보다 환상으로 에둘러 둔갑시킨다. 타임리프 시계와 주동인물의 섬망은 환상과 현실의 개연적 전치를 성사시키는 중요한 서사적 장치로서 기능한다. 환상과 현실의 교란을 통해 드라마는 청년과 노인을 자연스레 하나의 프레임에 담아낸다. 그리하여 헬조선의 엔포세대, 즉 부모보다 못 사는 최초의 세대라는 우울한 꼬리표를 붙이고 젊은 노인 혹은 늙은 청년으로 살아가는 지금/여기의 젊은이들에게 눈부실 자격을 역설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