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中國 講唱文學 中<黛玉葬花> 小考

        임미주 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語文學誌 Vol.41 No.-

        <黛玉葬花>是在《紅樓夢》第23、27、28回中女主人公林黛玉因落花而傷春, 幷爲타作花塚的情節。尤其在第27回中林黛玉所吟詠的<葬花詞>不僅隱喩了自 身的處境, 還唱出對靑春愛情的傷感之情。타不僅被稱爲《紅樓夢》中最優美的唱 詞之一, 而且賈林二人一起葬花時的對話也被稱作解除賈林之間的誤會與磨擦 的絶唱。<黛玉葬花>歸屬於《紅樓夢》極具藝術性的段落中, 給讀者留下深刻的印 象。타自問世以來以各種文學形式流行於民間, 至今仍然廣受讀者們的喜愛。如 今<黛玉葬花>的故事及歌謠在民間流傳, 以多種講唱形式展現在大衆面前。但是 以往學界對타的硏究主要針對小說和戱劇作品中的<黛玉葬花>, 而對民間傳承 下來的各種講唱文學的<黛玉葬花>專業性硏究成果寥寥無幾。但若考慮<黛玉葬 花>本身已包含了敍事性兼抒情性的講唱文學的因素, 幷且在民間長篇章回小說 的《紅樓夢》時常以短篇的關目形式流傳的事實, 那不難發現타在講唱文學中的 傳承和演變的必要與價値。 於是本文就以觀察歷來中國講唱文學中<黛玉葬花>的傳承和演變情況, 探 討小說的敍事在各種不同的講唱中流行的樣相, 幷發現其改編演繹的意義。而 因中國的講唱文學多種多樣, 其作品的規模甚爲龐大, 因此本文主要以南北講唱 文學的代表; 鼓詞(也包括其前身子弟書)/彈詞爲中心, 比較幷分析其中的<黛玉 葬花>作品。藉此先接觸了解中國講唱文學中的<黛玉葬花>, 進而把握其講唱文 學的特徵, 幷發現其藝術上的成果。

      • KCI등재

        청 궁정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의 전승 연구Ⅰ - 청 궁정희 속 사마등(司馬騰)의 ‘옥마고사(玉馬故事)’ 전승을 중심으로

        임미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Rui ying huang chao( 瑞應皇朝) in Jie jie hao yin (瑞應皇朝), which consists of the ancient story of the Governor of Bingzhou receiving a jade horse from a snowless land after a large snowfall and devoting it to the Emperor during the Western Jin Dynasty, to the Shengpingshu transmitted festival court play Y u m a g u i c h a o (玉馬歸朝),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changing patterns between the Qianlong period festival court plays and those of the latter period. Though the relevance between the two works can be inferred by their plots and characters, because most existing literature only study festival court plays as a list of plays, such relevance has not been identified. There are currently many records of Shengpingshu Yu ma gui chao ’s various scripts, costumes, and make-up. Jie jie hao yin lacks such performance and historical records, making it difficult to speculate i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us, Yu ma gui chao is a meaningful literary work in inferring the transmission of Jie jie hao yin and its effect on later festival court plays. By comparing the two works, this article diachronically examines the transmission of festival court plays within the Qing Palace and uses such findings to analyze the changing patterns between the early and late festival court plays. Jie jie hao yin that consisted of high literary value of merchants, literary examinations, and the livelihoods of the common people were excluded. Furthermore, while Jie jie hao yin , which was created under the grandiose palace play environment of the Qianlong period, had numerous actors appearing together and utilized various props, dijing, and stage devices, plays that had a small number of characters and that was able to be performed on a simple stage were the only ones that survived in the latter Shengpingshu stage. Because of this, Ji e ji e h a o y i n’ s R u i y i n g huang chao , like Yu ma gui chao , became dramatized and transmitted as a latter Shengpingshu play. On the other hand, most other plays were not passed-on, making it im 본고는 서진(西晉) 시대 병주도독(幷州都督) 사마등(司馬騰)이 대설이 내린 후 눈이 쌓이지 않은 땅에서 옥 마(玉馬)를 얻자 이를 황제께 바쳤다는 고사를 다루고 있는 절절호음(節節好音) 수록 상설절희(賞雪節戱)인 「서응황조(瑞應皇朝)」와 승평서 전승 월령승응희 「옥마귀조(玉馬歸朝)」의 비교 분석을 통해, 건륭 연간의 월 령승응희와 후기 월령승응희의 특징을 비교하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다. 두 작품은 줄거리, 등장인물 등을 통해 그 관련성을 유추할 수 있는데, 그동안 학계에서는 주로 극목으로만 월령승응희 작품들을 분석하다보니 두 작품의 관련성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다. 승평서본 「옥마귀조」는 현전 다양한 극본과 무대 의상 및 분장 상황에 대한 관련 기록이 남아있어 그동안 관련 공연 기록이나 역사 기록이 전하지 않아 그 공연 상황을 짐작 하기 어려웠던 절절호음 의 전승 상황과 후기 월령승응희에 미친 향을 유추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자 료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월령승응희의 청 궁정 내 전승 상황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초기 월령승응희와 후기 월령승응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다. 청 궁정의 월령승응희 공연은 건륭 연간 궁정 의례로 정식 제정되어 규범화되고, 대규모 작품 창작이 이루 어지는 등 가장 흥성하다. 그러나 도광 연간 승평서 개혁 이후, 근검절약을 숭상하던 도광제의 정책으로 대 규모 인원이 출연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작품은 더 이상 공연되기 어려웠다. 이에 월령승응희 공연은 점차 의례적 기능만 담당하며, 후대로 갈수록 그 공연 절기 수와 공연 장소, 공연 극목 모두 점차 감소하다. 이에 두 작품이 함께 공연되던 추세에서 후기로 갈수록 한 작품만 공연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신선들이 등장해 서 태평성대를 노래하고 가공송덕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에 절절호음 속 어용사인들의 문학성 이 뛰어난 작품이나 문인 고사들과 일반 백성들의 생활 모습을 반한 이야기는 배제되었다. 또 건륭 연간 성 대했던 궁정 연극의 상황에 따라 창작된 절절호음 에는 많은 수의 배우들이 한꺼번에 등장하고, 다양한 소도 구 및 지정 등 무대 장치를 활용하는 반면, 등장인물이 많지 않고, 대형 무대가 아닌 간단하게 공연할 수 있는 작품들만이 후기 승평서 무대에서 계속 생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절절호음 속 「서응황조」는 「옥마귀조」와 같은 후기 승평서 극목으로 각색되어 전승되고, 작품 대부분은 공연 전승이 끊기게 되며, 승평서 당안 등 청대 역사 자료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 KCI등재

        세시 명절을 통해 본 중국희곡-잡지 『立言畫刊』속 應節戲 자료를 중심으로-

        임미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1 No.-

        Seasonal holidays have held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Chinese public’s life. They provide great opportunities to performing arts, which need audience, because of various gatherings during holiday seasons. For the reason just mentioned, play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Chinese seasonal customs with seasonal plays known as ‘Jie Xi’ having been performed from the formative stage of Chinese plays. Peking Opera, which is a typical traditional play in China, has also been steadily performed every season. A prosperity of theater in the late Qing dynasty brought intense competition among professional theater companies. ‘Ying Jie Xi,’ a branch of Peking Opera, was a result of the prosperity in theater and has been performed every holiday season by large-scale private theater companies. This paper is based on 33 articles of ‘Ying Jie Xi’ from Li Yan Hua Kan, a drama journal which was published in Beijing during the Anti-Japanese War. Analysis of the articles found that ‘Ying Jie Xi’ has been performed during seven special holidays - New Year’s Day, Dano, Offering Guandi, Qixi Festival, Hungry Ghost Festival, Mid-Autumn Festival and Kitchen God Day - among the general public. It also revealed difference in performing environment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Qing court. ‘Yue Ling Cheng Ying Xi,’ which is ‘Jie Xi’ of the Qing court, was performed during nearly twenty holidays. This study also shows that several plays of the Qing court’s ‘Jie Xi’ influenced plays of the public such as ‘Ying Jie Xi.’ ‘Ying Jie Xi’ is related with seasons, so that its performances were repeated every year. The mood of ‘Ying Jie Xi’ is very festive, representing the atmosphere of holiday seasons. Typical characters of ‘Ying Jie Xi’ employ splendid attractions and various kinds of equipment. Such characters led the performing environment of Chinese plays into the era of modern theatre and increased the commercial value of ‘Ying Jie Xi’ as well. 중국의 세시 명절은 중국 대중의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명절은 수많은 사람이 특정일에 한 곳에 집결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많은 관중을 필요로 하는 희곡 활동에는 매우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준다. 이에 중국 세시 명절 풍속에서 희곡공연은 중요한 내용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일찍이 중국에서 연극이 형성된 시기부터 각 세시 명절에 다양한 ‘節戱’가 공연되었다. 중국 희곡의 대표주자인 경극도 그 형성 직후부터 매 절기마다 절기 특색을 지닌 작품들이 꾸준히 공연 되었다.특히 ‘應節戱’는 청말 연극문화의 번영에 따라 직업극단 간의 경쟁이 나날이 치열해지면서 민간의 대형 직업극단에서 각 절기에 공연한 특정한 극목을 일컫는다. 본고는 항전시기 북경에서 출간된 희곡전문 잡지인 『立言画刊』속에 수록된 33期의 응절희 기사를 토대로 이 시기 민간에서 행해진 절기 연극에 대한 초보적 고찰이다. 기사 분석을 통해서 청말 민초 시기 민간에서 元旦, 元宵, 端午, 祭關帝, 七夕, 中元, 秋夕, 祭竈日 등 7개 명절에 응절희가 공연되었음을 확인했다. 이는 청대 궁정의 월령승응희가 거의 20개 명절에 공연 되었던 것과는 확연한 대조를 이루며, 민간과 궁정의 공연환경의 차이를 확인하게 해주었다. 또 궁정대희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몇몇 작품들을 통해 궁정 절희가 민간의 ‘응절희’에 미친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다. 경극 응절희는 내용적으로 절기의 기원이나 절기 상징물, 절기 풍속과 관련된 대목이 등장하는 등 절기와의 직접적 연관성이 있거나 경축적 명절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吉祥劇이다. 또 매해 일정 레퍼토리가 반복 공연되는 특성을 띠며, 남녀노소 모든 관객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평이한 내용을 다루었다. 형식적으로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는 등 화려한 볼거리를 추구하고, 민국 이래로 신식극장의 설립 등의 공연․환경적 변화에 발맞추어 현대적 극장으로 진입하여 조명과 회전무대 등의 무대미술과 효과를 적극 활용하였다. 또 응절희 공연이 표를 사서 보는 관상적․영업적 공연이 되면서 점차 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공연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양축고사와 동영고사를 통해 본 중국 전통 이별 장면 묘사의 특징-<동창기(同窓記)>와 <직금기(織錦記)>를 중심으로-

        임미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0 No.-

        The Story of Liang Zhu and The Story of Dong Yong are both Chinese folk tales that have been transmitted for many years. They have long been adapted as plays and performed in the private sector. The earliest works that recorded and established these plays were written in Ming, and they are Tongchuangji, which tells the story of Liang Zhu, and Zhijinji, which tells the story of Dong Yong. It is unusual that the situation before the parting of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is described in very similar ways between “18 Phases of Sending” in Tongchuangji and “Farewell under the Locust Tree's Shade” in Zhijinji. This study examined the similar depictions of a breakup scene between “18 Phases of Sending” in Tongchuangji and “Farewell under the Locust Tree's Shade” in Zhijinji from Ming and analyzed their common features. Both the works used a metaphor to sing about emotions through landscapes and convey intentions through objects and the traditional Chinese “homophonic” rhetoric in the breakup scene. In the embodiment of a character, both the works depict the man to be naive and the woman to be self-initiated, which is in the line with the female-initiated characteristic often found in the traditional myths of China. In Zhijinji, the “spindle tree” symbol is used to reflect the ideal of making it in the world and having a son among civilians. In Liang Zhu stories such as Tongchuangji, this symbol of “tree” is gradually accepted and consulted until the willow tree is used as an important place backdrop. This outcome comes from the practice of mankind to reflect their customs, desires, and ideas in myths and legends. It shows the gradual secularization process of stories amid the changes of the times. That is, the tale of Liang Zhu and the tale of Dong Yong have long changed and developed, being transmitted broadly across many regions of China, and reflected the new spirit of the times and the customs of society in the most sensitive and direct ways as major media of civilian culture.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theatrical works based on the motifs of these two tales will help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even further. 본고는 중국 6대 전설 중 하나인 ‘양축이야기[梁祝故事]’와 ‘동영 이야기[董永故事]’를 희곡작품화 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인 명 전기(傳奇) <동창기(同窓記)> 와 <직금기(織錦記)> 에 나타난 이별 방식의 유사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의 상호 연관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그 속에 드러나는 중국인들의 이별 장면 묘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동창기> 속 ‘십팔상송’과 <직금기> 속 ‘괴음분별’ 대목에서는 이별을 앞둔 상황에서, 여자 주인공은 여러 사물을 들어 남자 주인공에게 거듭 이별의 상황을 암시하지만 남자 주인공은 전혀 이를 알아채지 못하고 동문서답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두 작품이 오랜 세월 민간전설로 구두 전승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중국을 대표하는 민간전설인 두 이야기에서 이별을 다루는 방식이나 이별을 비유하는 공통된 방법들은 곧 오랜 세월 중국인들의 뇌리 속에 깊이 자리매김하고 일상화된 이별의 표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두 작품 모두 이별 장면에서 풍경을 빌어 감정을 노래하며, 사물에 의탁해 뜻을 전하는 비유법과 중국 전통의 ‘해음(諧音)’ 수사법이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인물 형상화에 있어서, 어리숙한 남성에 반해 주도적인 여성이라는 성격적 특징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중국 전통 전설에서 자주 발견되는 여성 주체적인 특징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직금기>에서는 ‘홰나무’라는 표상을 활용하여 출세하고 아들을 낳는 민간의 이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동창기>와 같은 양축희에서 점차 이러한 ‘나무’의 표상을 수용하고 참고하여 ‘버드나무’가 중요한 장소배경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류가 풍속, 욕망, 사상을 신화전설에 반영하였기 때문에 시대 변화 속에서 이야기가 점차 세속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즉, 양축전설과 동영전설은 오랜 시간 중국 여러 지역에서 널리 전승되고 변화 발전하며, 민간 문화의 주요한 매개체로서, 새로운 시대정신과 사회풍속을 가장 민감하고 직접적으로 반영하였다. 따라서 두 전설을 모티브로 한 연극작품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을 통해 우리는 중국의 전통 이별 장면 묘사의 특징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제국의 영화, 식민지의 콩트 -『조선일보』의 「映畵에서 어든 콩트」 분석

        임미주 구보학회 2014 구보학보 Vol.0 No.11

        1937년 『조선일보』는 학예면에 「映畵에서 어든 콩트」라는 코너를 만들어 놓고, 당대 조선에서 상영 중인 영화에 착안해 문인들이 쓴 동명의 짧은 글들을 연재하고 있었다. 길게 연재되지는 못했지만, 안회남이 프랑크 카프라 Frank Rosario Capra의 1937년 작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에 착안해 「일허진 地平線」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이선희는 6월 22일부터 자끄 페데르Jacques Feyder의 1935년 작 「여자만의 도시La Kermesse héroïque」를 「女人都」라는 제목으로 연재했고, 박태원은 르네 클레르René Clair의 「마지막 백만장자Le Dernier Milliardaire」를 통해 「最後의 億萬長者」를, 마지막으로 이태준이 리차드 볼레슬라브스키Richard Boleslawski 감독의 1936년 작, 「사막의 화원The Garden of Allah」을 동명의 작품으로 발표한 것이었다. 선행 연구에서 이들 작품은 콩트로 분류될 만큼 적은 분량과 동화적이고 우화적인 분위기로 가볍게 취급되었지만, 이들 작품은 실제 영화에서 강조되는 음악적인 요소들과, 내포한 주제, 풍자적인 기법 등을 모두 소설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조명될 여지를 남긴다. 또한 기법적인 측면에서만 연구되었던 1930년대의 대표적인 작가들이 식민지 문제나 계급, 성 차별의 문제를 통해 당대 현실을 얼마나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었으며, 최신의 서양 예술을 어떻게 전유하고자 했는지의 일면 역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문이라는 매체가 독자 대중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점, 지면의 상업 광고와의 배치 문제 등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이들 작가의 문제의식에 좀 더 깊게 접근하고자 했다. In 1937, Chosun Ilbo arranged a corner of ‘a short story from movies’ in the literary page, and published serially short stories of the same title which the literary men writes in it with an influence of contemporary screening movies. Though it did not last for a long spell, at the first onset, Ahn Hoi-nam published Lost Horizon with an idea from the movie, Lost Horizon (Frank R. Capra, 1937), Lee Sun-hee, since 22 June, made up a story, titled The City of Ladies from the movie, La Kermesse héroïque (Jacues Feyder, 1935), and Park Tae-won wrote The Last Billionaire from the movie Le Dernier Milliardaire (René Clair, 1934) and, lastly, Lee Tae-jun did The Garden of Allah from the same title movie (Richard Boleslawski, 1936). Though advanced researches took those works lightly by reason of the air of fairy tale, fable and of small quantity as classified as an conte in them, they remain in a reviewable position as ever, on account of novelizing musical factor which are highlighted in movie, implicit subject and of satirical technique and so on. This paper will examine that they seized on contemporary reality as problems of colonization, class, and sexual discrimination sharply, and tried to appropriate the latest western art, even if the writers of the 30s are studied in terms of technique. Lastly,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medium of newspaper and on arrangement with advertisement on paper, their critical mind are expected to be more looked deeply int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