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이 직무성과, 창의성과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충성도의 매개효과 및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최성호,심덕섭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10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성과, 창의성과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이들 간관계에서 부하의 상사충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충성도 간 관계에 있어부하가 지각하는 권력거리성향이 지니는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중국 기업 상사와 부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541명의 부하와그들의 직속상사의 설문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상사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직무성과, 창의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사충성도는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및 창의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으며,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권력거리성향은 윤리적 리더십과 상사충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상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권력거리성향이 높을 때보다 낮을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과경계조건에 대해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 of loyalty to supervisor i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leadership and loyalty to supervisor. Based on prior research, we derive the following hypotheses. H 1: Ethical leadership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loyalty to supervisor. H 2: Ethical leadership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a) job performance, b) creative performance and c) organizational commitment. H 3: Loyalty to supervisor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a) job performance, b) creative performance and c) organizational commitment. H 4: Power distance orientation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loyalty to supervisor.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in our study, we used survey data from a sample of 541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in 13 Chinese compani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yalty to supervisor, 2)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3) loyalty to supervisor has turned out to have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loyalty to supervisor ha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power distance orientatio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loyalty to supervisor, such that the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employees had a low power distance orientation than when they had a high power distance ori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도서지역 호텔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종사원의 상사신뢰, 상사충성도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경열 ( Park Kyung-yeol ),이승일 ( Lee Seung-il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호텔기업에서는 조직 및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들 간에 상호 협조적인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협조적인 관계의 형성 수단으로서 상사와 부하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호텔 조직에서 관리자가 종사원들과 어떠한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가는 조직의 분위기, 신뢰, 만족감 등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이다. 즉 호텔 조직 내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부하직원의 조직몰입 및 여러 태도 변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에 위치한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호텔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상사신뢰가 직무몰입과 상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호텔조직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도서지역에 위치한 4개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42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하위변수 중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신뢰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상사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통제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상사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 신뢰는 상사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 신뢰는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호텔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대해서 호텔종사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요소와 업무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상사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호텔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호텔 종사자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상사에 대한 신뢰가 상사 충성도와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호텔 산업의 효율적인 인적관리와 관련된 학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r'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his employees' trust in the supervis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workers' trust in their supervisor and their commitment to work or the supervisor. This paper also provides support for hotel employer's good decision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is because employers and employees at hotels on the islands of South Korea need to increas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to achieve their personal goals as well as organizational objectives. One of the most common cooperative efforts is communication between a hotel employer and his employees. Hotel employer's careful attention to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ffects myriad factors, such as corporate cultur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s and job satisfaction. Hotel employer's rol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argely determines a change in the attitudes and values of employees, such as employees' commitment to organiza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r's rol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hotel employees' attitudes, a survey of employee perception was conducted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examine perception and reactions of 242 workers at four hotels located on islands area of South Korea. Thus, this paper categorizes four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of hotel employers: trust-type, professional-type, cooperation-type and control-type communication styl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paper. First, the result of this paper presents that both professional-type and trust-type communication style of hotel employer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tel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On the other hand, either cooperation-type or control-type communication style of hotel employers does not have any impact on hotel employees' trust in supervisors. Second, hotel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tel workers' loyalty to their superintendents. Third, hotel employees' trust in their supervisor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orkers' commitment to work. Hence,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hotel employees show a higher level of trust in their supervisors when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supervisor's communication style and fully informed of the tools and knowledge to work in the hotel industry. Therefore, one major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hotel employer's communication styles on his workers' trust in supervis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tel employees' trust in supervisors and their loyalty to work or supervisors with the perspectives of hotel workers. Another significant implication is to provide the basis for specific research propositions and sugges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hotel industry.

      • KCI등재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비서의 레포, 신뢰 및 상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권세정,최애경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상사와 비서 간 레포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 고, 레포가 상사에 대한 신뢰와 상사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다차원적인 인과관계로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수도권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비서 23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및 온라인 서베이로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21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 통제형을 제외한 협력형과 전문형이 비서와의 레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형 커 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전문형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사와 비서 간의 레포는 상사에 대한 신뢰, 상사충성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레포는 신뢰보다 상사충성도에 미 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상사에 대한 신뢰는 상사충성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레포는 상사의 협력형,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스타 일에서 신뢰와 상사충성도에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상사의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도 신 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새로운 경로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관계에서 레포를 살펴봄으로써 이직의도가 높아지고 직무만족도가 떨어지는 조직상황에 레포라는 관계형성과 관련된 변수를 적용하여 조직행동 분야에 학문적 기여를 했다는 데 있다. 또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상사와 비서 간의 레포가 상사에 대한 신뢰와 상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 경로와 변수 간의 영 향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레포 형성 기법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워크 샵 개최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communication styles and secretary's rapport, and to find out how the rapportaffect on the trust and loyalty to supervisor through multidimensional cause andeffect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0 secretaries who are working in capital areain Korea from October 7 to November 10, 2013.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analyzed with SPSS 20.0 and AMOS 20.0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reliabilities analysis, EFA, correlation analysis, CFA, t-test, one-way ANOVA, and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followings are summary of the resultsof the verified hypothesis: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secretary, only twocommunication styles, affiliate and professional styl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the rapport. The control style is not proven to make a statistically meaningfulcontribution to the rapport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Second, the rapport has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trust and loyalty to supervisor. Also, the effect ofthe rapport on loyalty to supervisor is stronger than on trust. Third, thesecretary's trus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rust and loyalty to supervisor. Finally, the parameter effect appears when a supervisor used an affiliate style or aprofessional communication style. In conclusion, a supervisor with a relaxed and detailed descriptive verbal stylewill be more successful in building rapport with his/her secretary. Having anestablished and positive rapport between the supervisor and secretary will increasethe secretary’s trust and loyalty toward his/her supervisor and will produce goodwork performance.

      • KCI등재

        호텔기업 상사의 감성리더십, 구성원의 상사신뢰, 직무 만족, 조직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박종철,권봉헌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2 호텔리조트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est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emotional leadership of the supervisor's and supervisor's trus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loyalty in the hotel industry. To accomplish the goals,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of deluxe hotels in the Seoul area. The statistical tools to be undertaken in this research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leadership(self-management, self-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has a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hotel employees' supervisors' trust. Second, the emotional leadership(self-management, self-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has a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ird, the emotional leadership(self-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has a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hotel employees' organizational loyalty. Fourth, the supervisor's trust has a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Fifth, the supervisor's trust has a positively affects the level of hotel employees' organizational loyalty. In the last chapter, the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ons an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personnel policies.

      • KCI등재

        골프장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상사신뢰가 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양길승(Gil Seung Yang) 한국관광연구학회 2010 관광연구저널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olf country club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both trust in supervisor and loyalty. To study this research,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enhances th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enhances the level of loyalty. Third,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loyalty mediates th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 The samples were about 141 employees who were employed a country club located in Jeonnam were process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 Second the distributiv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the level of loyalty. Third the procedural justice and loyalty mediates a positive effect the level of trust in supervisor. Finally it was foun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influenced organizational loyalty through trust in supervisor. Therefore it is necessary further study in dept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리더 겸손이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리더에 대한 충성도의 매개역할과 리더 전문성의 조절역할 -

        장은지 ( Jang Eun Ji ),손승연 ( Son Seung Yeo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조직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경쟁 우위의 원천으로서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촉진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주목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효과성이 확인된 리더 겸손이 구성원의 자발적이면서 희생적인 행동이라 할 수 있는 지식공유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리더 겸손과 지식공유 간의 연구 관심 부족과 함께 리더 겸손의 영향력 과정 및 이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리더 겸손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의 정(+)적인 관계를 검증하여 지식공유에 대한 리더 겸손의 효과성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둘째, 리더 겸손의 영향력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리더에 대한 충성도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리더 겸손의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으로 리더 전문성을 선정하여 리더 겸손이 미치는 효과의 역동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해군 간부를 대상으로 상사-부하 196쌍의 자료를 확보한 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및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리더 겸손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리더에 대한 충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 겸손이 리더에 대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 전문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구체적으로 리더 전문성이 높을수록 정(+)적인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리더 겸손이 리더에 대한 충성도를 매개로 지식공유에 이르는 영향도 리더 전문성이 높을수록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높일 수 있는 리더십 유형으로 리더 겸손의 가치를 확인하였으며, 리더에 대한 충성도의 매개효과 및 리더 전문성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 문헌에 관련 지식을 확장하는 이론적 기여를 하고 있다. 또한 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증진하기 위하여 리더십 관련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인사 배치 등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that promote the subordinate’s knowledge sharing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of organiz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value of leader humility that promotes knowledge sharing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relationship. Second,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the loyalty to supervisor in the impact of leader humility on knowledge sharing. By doing so, we would like to find the specific process of influence of leader humility. Third, we examined the boundary conditions of leader humility effects by checking leader expertise as a factor that can control the impact of leader humility. A survey was collected data from military members in the Navy,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196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humility and knowledge sharing. Through this, we demonstrated the leadership function of leader humility. Second,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and implicit leadership theory, the effect of leader humility on knowledge sharing was mediated by subordinates’ loyalty to supervisor. This results provided a lesson on why leaders should show humility to increase employee’s knowledge sharing. Finally, this results supported the moderated mediation hypothesis, verify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hanged by the level of leader expertise. This suggests that leaders need to be both humble and competent to be effective. In the last section, we discuss the limit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 KCI등재

        프랜차이즈 본부지원이 지각된 브랜드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세탁서비스 가맹점사업자 중심으로

        주성희,서민교 한국프랜차이즈학회 2022 프랜차이징저널 Vol.8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pater is to study the effect of franchisor support on the band image and loyalty, and verify a research model. A total of 374 samples have been collected with the laundry service franchise, W brand for 30 days from September, 2019. Using statistics tools such as SPSS21 and AMOS21, the research model is the hypothesis of a research model have been tested wi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ut of the franchisor support items of product service, supervisor support, franchisor promotion,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the franchisor promotion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impacted directly to the brand image while the franchisor promotion only effects directly on the band loyalty. In addition, the positive brand image of perceived franchisee affects on the brand loyalty. A franchisor, which operates the franchise service busines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brand value distinctively and continue to develop better support model for franchisee to run their operations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랜차이즈 세탁서비스업의 가맹본부 지원이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프랜차이즈 세탁서비스업체인 W브랜드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는 가맹점사업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374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사용하여 연구모형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랜차이즈 본부지원 요인인 제품서비스, 슈퍼바이저 지원, 홍보지원, 문제해결능력 중 홍보지원과 문제해결능력이 브랜드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충성도에는 본사의 홍보지원만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가맹점사업자가 인지한 긍정적 브랜드이미지는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서비스업을 운영하는 가맹본부는 타 업종보다 내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며, 가맹점사업자가 가맹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변혁적 리더십이 일중독, 직무성과 및 일․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상사충성도의 조절효과 검증

        김형진,심덕섭 한국경영학회 2022 經營學硏究 Vol.51 No.3

        We examine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workaholism, job performance and work-family conflict. Also, we attemp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aholism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work-family conflict. Additionally, we focuses on loyalty to supervisor as a possible moderator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work-family conflict. The major findings are 1)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s’ workaholism (driven to work, enjoyment of work). 2) Loyalty to supervisor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driven to work. 3) Enjoyment of work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but, contrary to hypothesis,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Also driven to work is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but contrary to hypothesis, does not affect job performance. 4) Enjoyment or work has turned out to have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nd work-family conflict. Also, driven to work ha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family conflic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oyalty to supervis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ediation relationship of driven to work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family confli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